전하 밀도
"오늘의AI위키" 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 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보기/숨기기
2. 정의
연속 전하 분포. 체적 전하 밀도 ''ρ''는 단위 부피(3차원)당 전하량, 면 전하 밀도 ''σ''는 단위 면적(원)당 전하량이며, 바깥쪽 법선 벡터 '''n̂'''를 갖는다. '''전하 밀도'''는 어떤 공간에 전하 가 얼마나 빽빽하게 분포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물리량이다. 전하 밀도는 전하가 분포하는 공간의 차원에 따라 선, 면, 체적 전하 밀도로 구분된다. [5] [6] 전하 밀도는 보통 그리스 문자 λ, σ, ρ를 사용하여 나타내며, 아래첨자 ''q''는 이것이 질량 밀도, 수 밀도 등 다른 밀도가 아니라 전하 밀도임을 명확하게 나타낸다. 전자기학에서는 간단하게 아래첨자를 생략하기도 한다. 총 전하량을 길이, 면적, 또는 부피로 나누면 평균 전하 밀도를 구할 수 있다. :\langle\lambda_q \rangle = \frac{Q}{\ell}\,,\quad \langle\sigma_q\rangle = \frac{Q}{S}\,,\quad\langle\rho_q\rangle = \frac{Q}{V}\,. 띠 계산에서는 일반적으로 전하 밀도가 전자의 밀도를 나타내므로, 이 경우에는 '''전자 밀도'''라고도 한다. 하지만 이온 등 전자 이외의 전하에 대해서도 "전하 밀도"라는 표현을 사용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2. 1. 연속 전하
전하가 연속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경우, 전하 밀도는 미소 전하량과 미소 길이, 면적, 또는 부피의 비율로 정의된다. 선 전하 밀도, 면 전하 밀도, 체적 전하 밀도는 각각 1차원, 2차원, 3차원 공간에서 전하 분포를 나타낸다. [5] [6]선 전하 밀도 (\lambda_q ): 미소 전하량 ''dQ'' (단위: C)와 미소 선 요소 d\ell 의 비율: :\lambda_q = \frac{d Q}{d \ell} 면 전하 밀도 (\sigma_q ): 미소 전하량 ''dQ''와 면적 요소 ''dS''의 비율: :\sigma_q = \frac{d Q}{d S} 체적 전하 밀도 (\rho_q ): 미소 전하량 ''dQ''와 부피 요소 ''dV''의 비율: :\rho_q =\frac{d Q}{d V} \, , 이러한 정의들을 적분하면 특정 영역에 분포하는 총 전하량 ''Q''를 계산할 수 있다. [16] [17]1차원 곡선 ''C''에 대한 선 전하 밀도 \lambda_q(\mathbf{r}) 의 선적분: :Q = \int_L \lambda_q(\mathbf{r}) \, d\ell 면 ''S''에 대한 면 전하 밀도 \sigma_q(\mathbf{r}) 의 면적분 : :Q = \int_S \sigma_q(\mathbf{r}) \, dS 부피 ''V''에 대한 체적 전하 밀도 \rho_q(\mathbf{r}) 의 체적분: :Q = \int_V \rho_q(\mathbf{r}) \, dV 실제 적용 시에는 \lambda , \sigma , \rho 또는 \rho_l , \rho_s , \rho_v 와 같은 다양한 단위가 사용되며, 각각 (C/m), (C/m²), (C/m³) 단위를 나타낸다. 총 전하를 길이, 면적, 또는 부피로 나누면 평균 전하 밀도를 얻을 수 있다. :\langle\lambda_q \rangle = \frac{Q}{\ell}\,,\quad \langle\sigma_q\rangle = \frac{Q}{S}\,,\quad\langle\rho_q\rangle = \frac{Q}{V}\,. 띠 계산에서는 일반적으로 전하 밀도를 전자의 밀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전자 밀도'''라고도 한다.
2. 2. 불연속 전하
전자 와 같이 여러 개의 분리된 지점에 전하가 존재할 경우, 전하 밀도는 디랙 델타 함수 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의 체적 전하 밀도는 다음과 같다. :ρ(r)영어 = Σi=1 N qi δ(r - r i ) ::r영어 = 측정 지점, qi = i 번째 전하 운반자의 전하량, ri 영어 = i 번째 전하 운반자의 위치 만약 모든 전하 운반자의 전하량이 모두 q인 경우 (예를 들어 모든 전자의 전하량은 q = -e (기본 전하 )) 불연속 전하의 전하 밀도는 전하 운반자 밀도 n(r)영어 로 표현할 수 있다. :ρq (r)영어 = qn(r ) 단일 점전하 q가 3차원 공간 R 내의 위치 r 0 에 있을 때 (예: 전자 ), 체적 전하 밀도는 디랙 델타 함수 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ρq (r)영어 = qδ(r - r 0 ) 여기서 r 은 전하를 계산할 위치이다. 공간 영역에 대한 전하 밀도의 적분은 그 영역에 포함된 전하량이다. 델타 함수는 임의의 함수 f에 대해 '이동 특성'을 가지고 있다. :∫R d3 r f(r )δ(r - r 0 ) = f(r 0 ) 따라서 델타 함수는 전하 밀도가 R에 대해 적분될 때, R의 총 전하가 q임을 보장한다. :Q =∫R d3 r ρq =∫R d3 r qδ(r - r 0 ) = q∫R d3 r δ(r - r 0 ) = q 이는 N개의 이산적인 점전하 운반자로 확장될 수 있다. 점 r 에서의 계의 전하 밀도는 위치 r i 에 있는 각 전하 qi 에 대한 전하 밀도의 합이다. 여기서 i = 1, 2, ..., N 이다. :ρq (r)영어 = Σi=1 N qi δ(r - r i ) 합에서 각 전하 qi 에 대한 델타 함수, δ(r - r i )는 R에 대한 전하 밀도의 적분이 R의 총 전하를 반환하도록 보장한다. :Q = ∫R d3 r Σi=1 N qi δ(r - r i ) = Σi=1 N qi ∫R d3 r δ(r - r i ) = Σi=1 N qi 모든 전하 운반자가 같은 전하 q를 가질 경우 (전자의 경우 q = -e, 기본 전하 ), 전하 밀도는 단위 부피당 전하 운반자 수 n(r)영어 를 통해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ρq (r)영어 = qn(r )
2. 3. 균일 전하 밀도
전하 밀도가 균일한 공간에서 총 전하량은 다음과 같이 간단히 표시될 수 있다. [16] [17] :Q = V · ρq,0 이는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먼저 부피에 대한 총 전하량을 구하는 방정식에서 :Q = ∫V ρq (r) dV 전하 밀도가 균일하므로 ρq (r)는 ρq,0 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Q = ρq,0 ∫V dV = ρq,0 · V 따라서, :Q = V · ρq,0 다른 차원의 전하량 계산도 위와 같다.
3. 자유 전하와 속박 전하
유전체 물질에서 물체의 총 전하는 "자유" 전하와 "결합" 전하로 구분할 수 있다. '''결합 전하'''는 인가된 전기장 '''E'''에 반응하여 전기 쌍극자를 형성하고, 근처의 다른 쌍극자를 정렬시키는 경향이 있다. 쌍극자의 배향으로 인한 전하의 순 축적이 결합 전하이다. 이들은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결합 전하라고 불린다. 유전체 물질에서 결합 전하는 원자핵 에 결합된 전자 이다. [6] '''자유 전하'''는 '''정전기 평형''' 상태에 도달할 수 있는 과잉 전하이거나, 전류 를 구성하는 전하이다. [5]
3. 1. 총 전하 밀도
총 전하 밀도는 자유 전하 밀도와 속박 전하 밀도의 합으로 표현된다. 부피 전하 밀도의 경우, 총 전하 밀도는 다음과 같다. :\rho = \rho_f + \rho_b\,. 마찬가지로 면 전하 밀도의 경우: :\sigma = \sigma_f + \sigma_b\,. 여기서 아래첨자 "f"와 "b"는 각각 "자유"와 "속박"을 나타낸다.
3. 2. 속박 전하
유전체 표면에 쌓이는 전하를 결합 표면 전하라 하며, 이는 표면에 수직인 쌍극자 모멘트에 의해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6] :q_b = \frac{\mathbf{d} \cdot\mathbf{\hat{n}}} 여기서 '''s'''는 쌍극자를 구성하는 점전하 사이의 거리이고, \mathbf{d} 는 전기 쌍극자 모멘트 , \mathbf{\hat{n}} 는 표면에 대한 단위 법선 벡터이다. 미소량을 취하면 다음과 같다. :d q_b = \frac{d\mathbf{d}}\cdot\mathbf{\hat{n}} 이를 미소 표면 요소 ''dS''로 나누면 결합 표면 전하 밀도가 된다. :\sigma_b = \frac{d q_b}{d S} = \frac{d\mathbf{d}}{|\mathbf{s}| dS} \cdot\mathbf{\hat{n}} = \frac{d\mathbf{d}}{dV} \cdot\mathbf{\hat{n}} = \mathbf{P} \cdot\mathbf{\hat{n}}\,. 여기서 '''P'''는 분극 밀도, 즉 물질 내 전기 쌍극자 모멘트 의 밀도이고, ''dV''는 미소 체적 요소이다.발산 정리 를 사용하면, 물질 내 결합 체적 전하 밀도는 다음과 같다. :q_b = \int \rho_b \, dV = -\oint_S \mathbf{P} \cdot \hat\mathbf{n} \, dS = -\int \nabla \cdot \mathbf{P} \, dV 따라서, :\rho_b = - \nabla\cdot\mathbf{P}\,. 음의 부호는 쌍극자 내 전하의 반대 부호 때문이며, 한쪽 끝은 물체의 부피 내에 있고 다른 쪽은 표면에 있다. 보다 엄밀한 유도는 다음과 같다. [6] 전기적 퍼텐셜은 쌍극자 모멘트 '''d'''에 의해 다음과 같다. :\varphi = \frac{1}{4\pi\varepsilon_0}\frac{(\mathbf{r}-\mathbf{r}')\cdot\mathbf{d}}{|\mathbf{r}-\mathbf{r}'|^3} 연속적인 분포의 경우, 물질은 무한히 많은 미소량 쌍극자로 나눌 수 있다. :d\mathbf{d}=\mathbf{P}dV=\mathbf{P}d^3\mathbf{r} 여기서 ''dV'' = ''d''3 '''r′''' 는 체적 요소이므로, 퍼텐셜은 물체에 대한 체적 적분이다. :\varphi = \frac{1}{4\pi\varepsilon_0}\iiint\frac{(\mathbf{r}-\mathbf{r}')\cdot\mathbf{P}}{|\mathbf{r}-\mathbf{r}'|^3}d^3\mathbf{r'} 다음과 같이 :\nabla'\left(\frac{1}\right) \equiv \left(\mathbf{e}_x \frac{\partial }{\partial x'} + \mathbf{e}_y\frac{\partial }{\partial y'} + \mathbf{e}_z\frac{\partial }{\partial z'}\right)\left(\frac{1}\right) = \frac{\mathbf{r}-\mathbf{r}'}{|\mathbf{r}-\mathbf{r}'|^3} 여기서 ∇′는 '''r′''' 좌표계에서의 기울기 이다. :\varphi = \frac{1}{4\pi\varepsilon_0}\iiint\mathbf{P}\cdot\nabla'\left(\frac{1}\right) d^3\mathbf{r'}부분 적분 을 사용하면 :\varphi = \frac{1}{4\pi\varepsilon_0}\iiint\left[\nabla'\cdot\left(\frac{\mathbf{P}}\right) - \frac{1}{\mathbf{r}-\mathbf{r}'}(\nabla'\cdot\mathbf{P})\right]d^3\mathbf{r'} 발산 정리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다. :\varphi = \frac{1}{4\pi\varepsilon_0} \oint_S \frac{\mathbf{P}\cdot \mathbf{\hat{n}}dS'}- \frac{1}{4\pi\varepsilon_0} \iiint\frac{\nabla'\cdot\mathbf{P}} d^3\mathbf{r'} 이는 표면 전하의 퍼텐셜(면적분 )과 체적 전하로 인한 퍼텐셜(체적 적분)로 분리된다. :\varphi = \frac{1}{4\pi\varepsilon_0} \oint_S \frac{\sigma_b dS'}+ \frac{1}{4\pi\varepsilon_0} \iiint\frac{\rho_b} d^3\mathbf{r'} 즉, :\sigma_b=\mathbf{P}\cdot\mathbf{\hat{n}}\,,\quad \rho_b = -\nabla\cdot\mathbf{P}
3. 3. 자유 전하 밀도
자유 전하 밀도는 전기학에서 가우스 법칙 을 단순화하는 데 유용하게 쓰인다. 자유 전하 밀도의 부피 적분은 대전된 물체 내부에 둘러싸인 자유 전하량을 나타내며, 이는 물체에서 나오는 전기 변위장 '''D'''의 총 플럭스 와 같다. :\Phi_D = \oiint \limits_S \mathbf{D} \cdot \mathbf{\hat{n}} \, dS = \iiint \rho_f \, dV 자세한 내용은 맥스웰 방정식 과 물질 방정식을 참조하라.
4. 양자 역학에서의 전하 밀도
양자 역학에서 전하 밀도는 파동함수 \psi(\mathbf r) 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18] :\rho_q(\mathbf r) = q\cdot|\psi(\mathbf r)|^2 여기서 q 는 입자의 전하량이고, |\psi(\mathbf r)|^2 는 확률 밀도 함수 로, '''r''' 위치에서 입자가 단위 부피당 존재할 확률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총 전하량은 다음과 같이 적분 형태로 표현된다. :Q= q\cdot \int |\psi(\mathbf r)|^2 \, d\mathbf r. 파동 함수가 정규화된 경우, 특정 영역 '''r''' ∈ ''R'' 에서의 평균 전하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Q= \int_R q |\psi(\mathbf r)|^2 \, d^3 \mathbf{r} 여기서 d^3 \mathbf{r} 은 3차원 위치 공간에 대한 적분 측도이다. 띠 계산에서 전하 밀도는 보통 전자의 밀도를 나타내며, 이 경우 전자 밀도 (electron density)라고도 한다. 띠 계산에서는 파동 함수 \psi_{i,\boldsymbol{k}} (\boldsymbol{r}) 의 노름(norm)을 이용하여 실공간에서의 전하 밀도 \rho (\boldsymbol{r}) 를 구한다. :\rho (\boldsymbol{r}) = \sum_{i,\boldsymbol{k}} f_{i,\boldsymbol{k}} |\psi_{i,\boldsymbol{k}} (\boldsymbol{r})|^2. 여기서 i 와 \boldsymbol{k} 는 각각 밴드와 k점의 지표이며, f_{i,\boldsymbol{k}} 는 각 k점 상의 각 밴드에서 전자의 점유 수이다. 띠 계산에서는 보통 원자 단위를 사용하므로 기본 전하량은 e = 1 (하트리 원자 단위계의 경우)로 한다.푸리에 변환 을 통해 실공간의 전하 밀도를 역격자공간으로 변환할 수 있다. : \rho (\boldsymbol{G}) = \frac{1}{V} \int \rho (\boldsymbol{r}) e^{-i\boldsymbol{G}\cdot\boldsymbol{r}} d\boldsymbol{r} 여기서 \rho (\boldsymbol{G}) 는 구조 인자라고도 불리며, 역공간 표시에서의 전하 밀도로도 사용된다. 실공간의 파동함수를 푸리에 변환하면 역격자공간(운동량공간)에서의 파동함수 \psi(\boldsymbol{G}) 를 얻을 수 있다. : \psi(\boldsymbol{G}) = \frac{1}{V} \int \psi(\boldsymbol{r}) e^{-i\boldsymbol{G}\cdot\boldsymbol{r}} d\boldsymbol{r} 이 파동함수의 노름을 취하면 운동량 밀도 P(\boldsymbol{G}) 를 얻을 수 있다. : P(\boldsymbol{G}) = |\psi(\boldsymbol{G})|^2 운동량 밀도는 콤프턴 산란 이나 전자-양전자 소멸 실험 등에서 관측되는 양으로, 대상이 금속 (반금속 포함)인 경우 페르미면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5. 상대성 이론에서의 전하 밀도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 도선의 한 부분의 길이는 길이 수축 때문에 속도 에 따라 관찰자에 따라 다르게 보인다. 따라서 전하 밀도 또한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앤서니 프렌치 [7] 는 전류를 띤 도선의 자기장 힘이 이러한 상대적인 전하 밀도에서 어떻게 발생하는지 설명했다. 그는 밍코프스키 도표를 사용하여 "움직이는 기준 좌표계에서 관측될 때 중성 전류를 띤 도선이 순 전하 밀도를 띠는 것처럼 보이는 방법"을 보여주었다. (260쪽) 움직이는 기준 좌표계에서 전하 밀도를 측정할 때 이를 '''고유 전하 밀도'''라고 한다. [8] [9] [10] 전하 밀도 ρ와 전류 밀도 '''J'''는 로렌츠 변환 하에서 사차 전류 벡터로 함께 변환된다.
6. 응용
전하 밀도는 전자기학 의 맥스웰 방정식 에서 유도된 연속 방정식 에 이용된다. 전하 밀도는 전류에 대한 연속 방정식과 맥스웰 방정식 에도 나타나며, 전자기장 의 주요 원천 항이다. 전하 분포가 움직일 때는 전류 밀도 에 해당한다. 분자의 전하 밀도는 화학 및 분리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데, 예를 들어 금속-금속 결합과 수소 결합 에 영향을 준다. [13] 나노여과와 같은 분리 과정에서 이온의 전하 밀도는 막에 의한 이온 거절에 영향을 미친다. [14]
참조
[1]
서적
Essential Principles of Physics
John Murray
[2]
웹사이트
Physics 2: Electricity and Magnetism, Course Notes, Ch. 2, p. 15-16
https://ocw.mit.edu/[...]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17-12-03
[3]
서적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Vol. 2, 9th Ed.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3-00-00
[4]
서적
Electricity and Magnetis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09-22
[5]
서적
Electromagnetism
Manchester Physics, John Wiley & Sons
[6]
서적
Introduction to Electrodynamics
Pearson Education, Dorling Kindersley
[7]
서적
Special Relativity
W. W. Norton
[8]
서적
Basic Relativit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9]
서적
An Introduction to Tensor Calculus: Relativity and Cosmology
Courier Corporation
[10]
서적
Classical Electromagnetic Theor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1]
서적
Modern quantum mechan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0-00
[12]
웹사이트
The Hartree-Fock Method in Atoms
https://bohr.physics[...]
[13]
학술지
Chemical Bonding and Molecular Geomet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1-00-00
[14]
학술지
Ionic Charge Density-Dependent Donnan Exclusion in Nanofiltration of Monovalent Anions
2018-00-00
[15]
서적
화학용어사전
일진사
[16]
웹사이트
Spacial Charge Distributions
http://www.ac.wwu.ed[...]
[17]
서적
전자기학
교보문고
[18]
서적
기초 일반화학
동화기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