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한 평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한 평제는 전한의 12대 황제로, 기원전 9년에 태어나 기원후 5년에 사망했다. 그는 중산왕 유흥과 위희의 아들로, 9세의 어린 나이에 황위에 올랐으나, 태황태후 왕정군과 대사마 왕망이 실권을 장악했다. 왕망은 평제의 외척 세력을 견제하고 자신의 권력을 강화했으며, 결국 평제는 14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평제의 죽음에 대해 왕망의 독살설이 제기되었으나, 병사했을 가능성도 있다. 평제 사후, 왕망은 신나라를 건국하고 황제에 즉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년 사망 - 오로데스 3세
  • 6년 사망 - 유숭 (안중후)
    유숭(안중후)은 전한 황실의 일원이자 안중후 작위 계승자로, 왕망의 섭정에 반발하여 거병했으나 실패하며 왕망이 권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 기원전 1세기 중국의 군주 - 전한 무제
    전한의 제7대 황제인 전한 무제는 54년간 재위하며 유교 기반 중앙집권 강화, 흉노 정벌을 통한 영토 확장, 소금과 철의 전매제 등 경제 개혁을 추진하여 전한의 최전성기를 이끌었으나, 과도한 군사 지출, 사치스러운 생활, 무고의 난 등 부정적인 면모도 보였다.
  • 기원전 1세기 중국의 군주 - 전한 원제
    전한의 제11대 황제인 원제는 유교를 숭상했으나 환관의 발호와 파벌 정치로 국정을 혼란에 빠뜨렸고 흉노와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왕소군을 시집보냈으며 아들 유오가 성제로 즉위했다.
전한 평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기자 → 유간
묘호원종 (元宗) (나중에 취소됨)
시호효평황제 (孝平皇帝)
존호효성스럽고 평화로운
출생기원전 9년
출생지노노, 중산국, 한나라
사망6년 2월 3일 (14세)
사망지장안, 한나라
매장지강릉 (康陵)
재위 기간기원전 1년 10월 17일 – 6년 2월 3일
연호원시 (元始; 1–5년)
성씨
왕조한나라 (서한)
가계
아버지유흥
어머니위희
배우자효평황후 왕씨
자녀없음
통치
계승자유영
이전 통치자애제

2. 가족

관계이름
아버지중산효왕 유흥
어머니위희
황후효평황후 왕씨 (왕망의 딸)
여동생수의군 유알신(修義君 劉謁臣), 승례군 유재피(承禮君 劉哉皮), 존덕군 유격자(尊德君 劉鬲子)
장인왕망
처남왕우


3. 생애

유자(劉衳)는 기원전 9년 원제의 막내 아들인 유흥과 그의 후궁 위희 사이에서 태어났다.[11] 유자는 태어날 때부터 심장 질환을 앓아 입술과 사지가 파랗게 변하는 증상을 보였으며, 아버지의 할머니인 풍원의 손에서 자랐다.[13]

기원전 7년, 유자가 2세였을 때 아버지 유흥이 사망하자 중산(지금의 바오딩)의 왕위를 계승했다.[12] 그는 계속해서 심장 질환을 앓았고, 할머니 풍태후는 많은 의사를 고용하고 자주 신에게 기도했다. 기원전 6년, 애제는 사촌의 병환 소식을 듣고 어의와 시중 장유(張由)를 중산으로 보냈으나, 장유의 정신 질환과 거짓 고발로 인해 풍태후가 자살하고 풍씨 일족이 몰살당하는 비극이 벌어졌다. 어린 유자는 목숨을 건졌다.[15][16]

기원전 1년, 애제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태황태후 왕정군과 왕망은 유자를 황제로 옹립하였다.[18] 즉위 후, 조정의 실권은 왕망이 장악했고, 왕망은 자신의 정적들을 숙청하고 평제의 외척 세력을 억제했다.[18] 2년(서기), 왕망은 자신의 딸을 평제와 결혼시켜 자신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하려 했다.

왕망은 주나라 제도를 모방하여 자신의 권위를 높이고, 주공단과 같은 성스러운 섭정으로 인정받고자 했다.[20] 1년에는 '안한공(安漢公, 한나라를 안전하게 만든 공작)'으로 책봉되었다.[18] 또한, 백성을 달래기 위해 여러 정책을 시행하여 제국에서 가장 강력한 인물이 되었다.

서기 3년, 왕망의 아들 왕우는 아버지의 독재에 반대하여 평제의 외척인 위씨 가문과 함께 왕망을 제거하려는 음모를 꾸몄으나 실패하고, 위씨 가문은 숙청되었다.[29]

기원후 5년, 평제는 14세의 나이로 미앙궁에서 사망했다.[38] 평제의 죽음에 대해서는 왕망이 독살했다는 설이 널리 퍼져 있다.[39][40] 하지만, 평제가 병약했다는 기록도 있어, 독살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41]

3. 1. 어린 시절

평제는 기원전 9년에 중산효왕 유흥과 위희 사이에서 태어났다.[11] 아버지 유흥은 원제의 막내 아들이자 성제의 동생이었다. 평제는 심장 질환을 앓고 있었는데, 이로 인해 혈액 순환에 문제가 생겨 입술과 사지가 파랗게 변하는 증상이 나타났다. 그는 아버지의 할머니인 풍원의 손에서 자랐다. 풍원은 원제의 후궁이었으며, 유흥의 제후국에서 태후의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13]

기원전 7년, 평제가 2세였을 때 아버지 유흥이 사망하자, 평제는 중산(지금의 바오딩)의 왕위를 계승했다.[12] 그는 계속해서 심장 질환을 앓았고, 할머니 풍태후는 많은 의사를 고용하고 자주 신에게 기도했다.

기원전 6년, 애제는 사촌의 병환 소식을 듣고 어의와 시중 장유(張由)를 중산으로 보내 평제를 치료하게 했다. 그러나 장유는 정신 질환(아마도 양극성 장애)을 앓고 있었고, 중산에 도착하자 갑자기 분노하며 그곳을 떠나 수도 장안으로 돌아갔다. 그는 돌아와 자신의 행동에 대해 해명을 명받자, 풍태후가 마법을 사용하여 애제와 그의 할머니 부태후를 저주하고 있다는 거짓 이유를 지어냈다.[15] 부태후와 풍태후는 원제의 후궁이었을 때 서로 연애 경쟁 관계였으며, 부태후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풍태후를 공격하기로 결심했다. 조사 결과, 풍태후는 자살했고, 총 17명의 풍씨 일족이 조사 결과로 사망했다. 당시 어린 평제는 목숨을 건졌다.[16]

3. 2. 즉위 과정

기원전 1년 6월, 사촌 형인 애제가 후사 없이 붕어하자, 태황태후 왕정군과 왕망중산왕이었던 유기자를 새로운 황제로 옹립하였다.[18] 당시 9세였던 평제의 즉위 직후, 평제의 이름으로 대사령을 내리고, "작은 악행으로 유능한 인물이 방해받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대사령 이전의 일은, 앞으로는 주상하지 않도록 하라"는 조서를 발표하였다.[19] 조정의 실권은 태황태후 왕정군과 대사마 왕망이 장악했다.

왕망은 정치를 독점하고자 성제의 황후였던 조비연, 동현의 일족과 애제의 외척이었던 정씨·부씨 등을 면관시켰다.[18] 또한 평제의 외척 세력이 조정에서 강력한 잠재적 경쟁자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 평제의 삼촌들의 작위를 임시 제후(關內侯)로 제한하고, 그의 어머니 위씨를 "중산 소공주"(“소공”은 형왕의 사후 시호)로 격하시켰으며, 평제의 세 누이들만을 군(君)으로 책봉했다. 더불어 위씨 일가와 평제의 누이들이 장안으로 가서 그를 만나지 못하도록 하고, 중산국에 머물도록 명령했다.

2년(서기), 휘(避諱)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평제의 이름을 간(衎)으로 바꾸었다. 기(己)와 자(子)가 흔히 사용되는 글자였기 때문이다. 같은 해, 왕망은 자신의 딸을 평제와 결혼시켜 자신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하려 했다.

3. 3. 왕망의 섭정과 권력 강화

왕망은 전한 평제가 즉위한 직후부터 섭정으로서 실권을 행사했다. 그는 주나라의 제도를 모방하여 자신의 권위를 높이고, 주공단과 같은 성스러운 섭정으로 인정받고자 했다. 이를 위해 자신에 대한 인물 숭배를 조장했다.[20] 1년에는 정치적 동맹자들을 통해 자신의 충성심과 업적을 태황태후 왕정군에게 설득하게 하여, '안한공(安漢公, 한나라를 안전하게 만든 공작)'으로 책봉되었다.[18]

왕망은 불만을 품은 귀족과 백성을 달래기 위해 과거 황족과 제후의 후손들에게 제후 작위를 회복시키고, 퇴직 관리들을 위한 연금 제도를 시행하고, 세금을 감면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또한 봉신국들을 매수하여 하늘의 축복의 징표로 여겨지는 희귀한 동물들을 한나라에 바치도록 했다. 이러한 칭송 속에서 왕망은 태황태후 왕정군을 설득하여 중요한 국가적 결정을 자신이 내리도록 하여, 제국에서 가장 강력한 인물이 되었다.

왕망은 평제의 외척 세력(위씨 가문)이 조정에서 강력한 경쟁자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 평제의 삼촌들의 작위를 임시 제후(關內侯)로 제한하고, 그의 어머니 위씨를 "중산 소공주"로 격하시켰다. 평제의 세 누이들만을 군(君)으로 책봉했다. 또한 위씨 일가와 평제의 누이들이 장안으로 가서 평제를 만나지 못하도록 하고, 중산에 머물도록 명령했다.

2년에는 휘(避諱)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평제의 이름을 간(衎)으로 바꾸었다. 같은 해, 왕망은 자신의 딸을 평제와 결혼시켜 자신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하려 했다. 처음에는 적합한 귀족 영애들을 선택하는 과정을 시작했지만, 이후 자신의 딸을 고려하지 말아 달라고 태황태후 왕에게 청원한 후, 백성들의 청원 운동을 통해 자신의 딸을 황후로 선택해 달라고 요청했다. 결국 태황태후 왕은 왕망의 딸을 황후로 삼도록 명령했다.[31]

3. 4. 왕우의 음모와 위씨 가문 숙청

왕망의 아들 왕우는 아버지의 독재와 개인 숭배에 반대했다. 그는 평제가 성장한 후 왕씨 가문이 반발을 받을 것을 우려하여 평제의 외척인 위씨 가문과 손을 잡았다. 서기 3년, 왕우는 스승 오장, 매부 여관 및 위씨 가문과 함께 왕망의 독재를 무너뜨릴 음모를 꾸몄다. 이들은 왕망을 압박하기 위해 초자연적인 사건을 조작하고, 오장이 왕망에게 위씨 가문에게 권력을 넘기도록 설득하려 했다.[29]

왕우는 여관에게 왕망의 저택 문에 피를 뿌리도록 지시했으나, 여관은 왕망의 경비병에게 발각되었다. 왕망은 왕우를 체포했고, 왕우는 자살했으며, 그의 아내는 처형되었다. 왕망은 이 사건을 기회로 위씨 가문 전체를 숙청했지만, 위 소의는 제외했다. 오장은 허리가 잘린 후 거열형을 당했다.[29]

왕망은 이 사건을 기회로 정적들을 제거했다. 왕우와 여관의 공모자들을 고문하여 그들이 언급한 사람들을 체포하고 처형하거나 자살하게 했다. 이 숙청에는 원제의 누이 경무장공주, 왕망의 삼촌 왕립, 사촌 왕인 등이 포함되었다. 왕망은 왕태후에게는 이들이 병으로 죽었다고 거짓말을 했다. 이 사건 이후 왕망의 권력은 절대적이 되었다.[29]

3. 5. 죽음과 독살설

기원후 5년, 평제는 14세의 나이로 미앙궁에서 사망했다.[38] 평제의 죽음에 대해서는 왕망이 독살했다는 설이 널리 퍼져 있다.

안사고가 주석을 단 《한서》 〈평제기〉에 따르면, 《한주》[39]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평제가 성장하면서 어머니 위희의 일족이 왕망에게 살해당한 것에 대해 원망하고 미워했다. 왕망은 자신이 멀리 여겨지고 있다는 것을 알고 평제를 살해하려 했다. 왕망은 납일 제사 때, 초주(산초 등을 조제한 술)를 평제에게 바쳤는데, 술 속에 독을 넣었다. 그래서 후에 왕망을 공격한 적의의 격문에는 '왕망은 효평황제(평제)를 침살(독살)했다'고 쓰여 있다. 사마광의 《자치통감》에서도 이와 유사한 《한주》의 의견을 채택하여 왕망이 평제를 독살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40]

하지만, 《한서》 〈평제기〉, 〈원후전〉, 〈왕망전〉에는 그러한 내용이 전혀 기록되어 있지 않다.

동진은 평제가 어릴 때부터 병을 앓았다는 기술이 《한서》 〈외척전〉의 풍소의전에 있고, 《후한서》 〈성양공왕 유지전〉에는 '태후(원후)도 고령이고, 제(평제)도 어려서 병약하다'라고 전해지고 있다는 점을 들어, 평제가 병약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41] 평제의 독살은 확실하지 않으며, 궁중에서 일어난 일이라 진상 규명은 불가능하다고 결론 내리고 있다.[41]

왕망은 평제가 독의 영향으로 고통받자 신들에게 비밀 청원을 써서 평제 대신 자신의 목숨을 바치겠다고 제안하고 청원을 봉인했다. 역사학자들은 왕망이 평제가 독살에서 회복될 경우, 이를 이용하여 독살에 대한 자신의 연루를 해명하고, 후세에 자신의 충성심을 증명하는 증거를 남기려 했다고 추정한다.

평제가 죽은 후, 유자가 황제로 선택되었지만, 실제로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왕좌는 몇 년 동안 비어 있었다. 왕망은 섭정 황제로 활동하다가 서기 8년에 한나라 왕위를 찬탈하고 신나라를 건국했다.

4. 연호

평제원년2년3년4년5년
서력
(西曆)
1년2년3년4년5년
간지
(干支)
신유(辛酉)임술(壬戌)계해(癸亥)갑자(甲子)을축(乙丑)
연호
(年號)
원시(元始)
원년
2년3년4년5년


5. 평가

평제는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왕망의 꼭두각시 황제로서 실권이 없었다. 평제의 치세는 왕망의 권력 장악과 전한 멸망의 전조를 보여주는 시기였다. 평제의 죽음은 왕망의 신나라 건국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6. 기타

평제의 능은 셴양의 저우링 구역에 위치해 있다. 무덤은 초라한 표지판과 낮은 울타리만으로 구분되는 들판에 있다. 울타리는 등반을 막는 데 효과적이지 못하여 언덕 위아래로 닳은 길이 나 있다.

참조

[1] 기타
[2] 기타
[3] 기타 Bielenstein (1986)
[4]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https://books.google[...] Routledge
[5] 한서
[6] 한서
[7] 기타
[8] 한서
[9] 한서
[10] 한서
[11] 한서
[12] 한서
[13] 한서
[14] 한서
[15] 한서
[16] 한서
[17] 한서
[18] 한서
[19] 한서
[20] 서적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21] 한서
[22] 한서
[23] 서적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24] 한서
[25] 한서
[26] 한서
[27] 한서
[28] 한서
[29] 한서
[30] 서적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31] 기타
[32] 서적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33] 한서
[34] 한서
[35] 서적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36] 서적 漢書王莽伝上
[37] 서적 漢書王莽伝上
[38] 서적 漢書王莽伝上
[39] 서적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40] 서적 漢書平帝紀 https://zh.wikisourc[...]
[41] 서적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42] 서적 漢書外戚伝下 https://zh.wikisourc[...]
[43] 서적 漢書平帝紀 https://zh.wikisourc[...]
[44] 서적 漢書平帝紀 https://zh.wikisourc[...]
[45] 서적 漢書王莽伝上 https://zh.wikisourc[...]
[46] 문서 유명
[4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