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망은 기원전 45년에 태어나 신나라를 건국한 인물이다. 그는 한나라의 외척으로 권력을 잡고, 고대 주나라의 이상을 실현하려 했으나, 화폐 개혁, 토지 개혁 등 현실성 없는 정책으로 실패했다. 결국 농민 반란과 흉노의 침입 속에 신나라는 멸망하고, 왕망은 23년에 사망했다. 그는 찬탈자이자 개혁가로 평가가 엇갈리며, 동시대의 평가와 후대의 재평가를 통해 다양한 시각으로 연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왕망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왕망 |
한자 | 王莽 |
자 | 거군 |
출생 | 기원전 45년 |
출생 장소 | 위군 원성 |
사망 | 23년 10월 6일 (67세) |
사망 장소 | 장안 |
가문 | 왕씨 |
왕조 | 신나라 |
배우자 | 왕황후 사황후 |
자녀 | 왕우 왕획 왕안 왕임 왕흥 왕광 왕황후 (효평황후) 왕엽 왕첩 |
아버지 | 왕만 |
어머니 | 거씨 |
재위 기간 | 9년 – 23년 |
연호 | 시작국 (9년–13년) 천봉 (14년–19년) 지황 (20년–23년) |
로마자 표기 | Wáng Mǎng |
간체 | 王莽 |
병음 | Wáng Mǎng |
광둥어 | Wong4 Mong5 |
월어 | Wòhng Móhng |
민어 | Ông Báng |
고대 중국어 | ɢʷaŋ maːŋʔ |
얼터네이트 네임 | Courtesy name |
얼터네이트 네임2 | 巨君 |
얼터네이트 네임2 로마자 표기 | Jùjūn |
신나라 황제 | |
재위 | 9년–23년 |
선대 황제 | 정안공 |
후대 황제 | 한 경시제 |
기타 정보 | |
통칭 | 시건국천제 |
2. 생애
왕망은 기원전 45년에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제나라 왕실의 후손으로, '왕'(王)은 왕실을 의미한다.l=king; royal중국어[4] 왕망의 아버지 왕만(王曼)은 성제 즉위 전에 사망하여 왕망은 후작이 될 기회를 얻지 못했다. 그러나 왕정군(王政君) 황태후는 과부가 된 왕망의 어머니 구씨(渠氏)를 황궁으로 불러 함께 살게 했다.
왕망은 황실과 가까웠지만 사촌들과 달리 검소하고 겸손한 생활을 했다. 그는 젊은 귀족 대신 젊은 유학자의 옷을 입었고, 어머니와 죽은 형의 가족을 잘 보살폈다. 또한 많은 사람들과 친구가 되었고 삼촌들을 성실하게 섬겼다.
양삭 3년(기원전 22년), 왕망의 삼촌이자 대장군인 왕봉이 병에 걸리자 왕망은 그를 간호했다. 왕봉은 죽기 전에 성제와 왕정군에게 왕망을 부탁했다. 이후 왕상과 왕근의 추천과 황태후가 된 왕정군의 후원으로 왕망은 순조롭게 출세했다. 왕정군의 언니의 아들인 순우장을 실각시키고 대사마가 되자 왕망의 세력은 크게 성장하여, 영시 원년(기원전 16년)에는 신도후(新都侯)에 봉해졌다.[19]
수화 2년(기원전 7년) 애제가 즉위하자 애제의 조모인 부태후와 어머니 정희(丁姬)와의 대립으로 대사마에서 파면되고, 2년 후에는 봉국인 신도로 쫓겨났다. 그러나 국정 복귀를 요구하는 청원이 많이 제출되어, 원수 원년(기원전 2년)의 일식을 계기로 장안으로 불려왔다.
원수 2년(기원전 1년) 애제가 죽자, 애제로부터 황제의 어새와 인장을 받았던 대사마 동현으로부터 어새와 인장을 강탈하고, 유간(중산왕 유간)이 평제로 즉위하자 다시 대사마가 되었다. 얼마 후 고문경학의 대가인 유흠을 비롯한 많은 유학자들을 불러들여, 유학과 길조에 근거한 정책을 실시했다. 그러나 민중의 지지를 얻기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았고, 차남 왕획(王獲)을 노비를 죽였다는 이유로 죄를 묻고, 장남 왕우(王宇)를 모략을 꾸몄다는 이유로 감옥에 가두어, 둘 다 자살로 몰고 갔다.
원시 4년(4년) 2월, 딸 왕씨를 평제의 황후로 책립하고, 같은 해 4월 재형·안한공(安漢公)이 되었다. 원시 5년 12월 16일(6년 2월 3일) 14세의 평제가 죽었는데, 평제의 사인에 대해서는 왕망이 독살했다는 기록도 있다.[20] 그러나 『한서』 본문에는 그러한 묘사가 없고, 평제가 어릴 때부터 병약했기 때문에 병사했을 가능성도 있다.
후계자로는 2세의 먼 친척인 유영을 세웠지만 황제가 아닌 황태자로 삼고, 자신이 섭정으로서 황제의 업무를 대행하기로 했다. 자신의 호칭을 "가황제"·"섭황제"로 하여 거의 황제와 동등한 대우를 받고, 거섭으로 개원하여 주공단의 고사에 따라 조정의 모든 일을 처리했다.
애장이라는 인물이 고조의 예언이라며 「금궤도(金匱圖)」와 「금책서(金策書)」를 위조해 바치자[85], 거섭 3년(8년), 왕망은 고조의 영혼에게 선양을 받았다고 하여 스스로 황제에 즉위하여 신 왕조를 열었다. 이후 유영을 정안공(定安公)에, 딸인 효평황후 왕씨를 정안공태후(定安公太后)에 봉하고 청주(靑州) 평원군의 군치(郡治) 평원현(平原縣)과 속현인 안덕현(安惪縣)[86], 탑음현(漯陰縣), 격현(鬲縣), 중구현(重丘縣)을 묶어서 정안공국(定安公國), 즉 정안국(定安國)으로 삼았으나, 그들을 장안의 명광궁(明光宮)을 정안관(定安館)이라 고쳐서 그곳에 살게 하였다. 이는 사실상 유폐였다. 왕망의 선양은 신화의 선양이 아닌, 역사상 최초의 선양이었지만 실상은 찬탈과 다름이 없었다. 태황태후로서 전국옥새를 맡고 있던 효원황태후 왕정군은 사자로서 옥새를 받으러 온 왕망의 사촌형제 왕순(王舜)에게 왕망에 대한 욕설을 퍼부었으나, 왕순이 옥새를 내어줄 것을 재촉하자 옥새를 내던지며 "나는 늙어 이제는 죽으나, 너희를 보니, 이제 집안이 주멸되겠구나!"(我老已死, 如而兄弟, 今族滅也!)라 한탄했다고 사서는 전한다.
주 시대의 치세를 이상으로 삼은 왕망은 《주례》[87]라는 책을 바탕으로 국가 정책을 실시했지만, 현실성이 결여된 각종 정책은 단기간에 파탄나고, 화폐 유통과 경제 활동도 정지되어 민중의 생활은 한조 말기 이상으로 곤궁해졌다. 또한 흉노나 선비 등 주변 민족과 고구려 등의 국가의 지도자의 칭호를 제멋대로 고치고, 특히 고구려왕의 칭호를 중화사상에 근거하는 모멸적인 명칭인 '''하구려후'''로 부르게 해 고구려와 충돌하였으며, 이는 이민족들의 반발과 관계 악화로 이어져 이를 토벌하고자 했지만 실패한다. 또한 전매제 강화도 실패하여 신의 재정은 빈곤해졌다.
18년 적미의 난이 일어나는 등, 생계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 농민들이 신 왕조에 맞서 잇따라 반란을 일으켰다. 남양에서 옹립된 유현을 토벌하기 위해 신나라가 보낸 100만 군대는 곤양 전투에서 경시제 휘하의 유수에게 패배했다. 이로 인해 각지에 군웅이 할거하여 대혼란에 빠졌다.[15] 신하들마저 배신하고, 장안에는 경시제의 군대가 입성했다. 왕망은 그 혼란 속에서 두오(杜吳)에게 살해당했다.[8] 그의 수급은 경시제가 있던 성으로 보내졌으며, 몸은 공을 세우려는 사람들이 달려들어 마구 찢어 흩어졌다고 한다.[16]
왕망의 죽음으로 신은 멸망하였다.
2. 1. 어린 시절
왕망은 기원전 45년에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제나라 왕실의 후손으로, '왕'(王)은 왕실을 의미한다.l=king; royal중국어[4] 왕망의 아버지 왕만(王曼)은 성제 즉위 전에 사망하여 왕망은 후작이 될 기회를 얻지 못했다. 그러나 왕정군(王政君) 황태후는 과부가 된 왕망의 어머니 구씨(渠氏)를 황궁으로 불러 함께 살게 했다.왕망은 황실과 가까웠지만 사촌들과 달리 검소하고 겸손한 생활을 했다. 그는 젊은 귀족 대신 젊은 유학자의 옷을 입었고, 어머니와 죽은 형의 가족을 잘 보살폈다. 왕망은 많은 사람들과 친구가 되었고 삼촌들을 성실하게 섬겼다.
왕망의 삼촌 왕봉(王鳳)이 병에 걸리자 왕망은 밤낮으로 그를 간호했다. 왕봉은 죽기 전 왕태후와 성제에게 왕망을 부탁했고, 왕망은 황실 시종(黃門郎)과 황실 근위대 부사령관(射聲校尉)으로 승진했다.
기원전 16년, 왕망은 신도후(新都侯)에 봉해지고 광록대부(光祿大夫)로 승진했다. 그는 재산을 모으지 않고 학자들을 지원하며 칭찬을 받았다.
왕망은 왕씨라는 아내 한 명만 두었다.[5] 그러나 이후 사건에서 알 수 있듯이, 왕망은 당시에도 아내에게 완전히 충실하지는 않았다.
성제는 삼촌들을 무장 총사령관(조정에서 가장 권력 있는 관리)으로 임명했다. 왕망은 왕근(王根)의 후계자 후보 중 한 명이었다. 다른 후보는 성제와 더 가까운 준유장(淳于長)이었다.
왕망은 준유장을 몰아내기 위해 계략을 썼다. 준유장이 폐위된 서황후에게 뇌물을 주고 복위를 약속했다는 증거를 수집하여 왕근과 왕태후에게 알렸다. 준유는 추방되었고, 그의 재산을 받은 왕립(王立)의 아들 왕융(王融)은 자살했다. 준유는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기원전 8년, 왕근은 사임하고 왕망을 후임으로 추천했다. 성제는 37세의 왕망을 무장 총사령관(大司馬)으로 임명했다.[6][7]
왕망은 패군의 진참(陳參)에게서 『예경』을 배웠다.[82] 조카 왕광(王光)을 양자로 삼아 친자식 이상으로 길렀는데, 이에 왕망의 아내가 불평했다고 한다.
양삭 3년(기원전 22년), 왕봉이 병들자 왕망은 그를 간호했다. 왕봉은 죽기 전 성제와 왕정군에게 왕망을 부탁했다. 왕상과 왕근의 천거와 왕정군의 후원으로 왕망은 출세했다. 왕정군의 언니의 아들인 순우장을 실각시키고 대사마가 되자 왕망의 세력은 더욱 커졌고, 영시 원년(기원전 16년) 신도후(新都侯)에 봉해졌다.[19]
2. 2. 권력 장악
양삭 3년(기원전 22년), 왕망의 삼촌이자 대장군인 왕봉이 병에 걸리자 왕망은 그를 간호하였다. 왕봉은 죽기 전에 성제와 왕정군에게 왕망을 부탁했다. 이후 왕상과 왕근의 추천과 황태후가 된 왕정군의 후원으로 왕망은 순조롭게 출세했다. 왕정군의 언니의 아들인 순우장을 실각시키고 대사마가 되자 왕망의 세력은 크게 성장하여, 영시 원년(기원전 16년)에는 신도후(新都侯)에 봉해졌다.[19]수화 2년(기원전 7년) 애제가 즉위하자 애제의 조모인 부태후와 어머니 정희(丁姬)와의 대립으로 대사마에서 파면되고, 2년 후에는 봉국인 신도로 쫓겨났다. 그러나 국정 복귀를 요구하는 청원이 많이 제출되어, 원수 원년(기원전 2년)의 일식을 계기로 장안으로 불려왔다.
원수 2년(기원전 1년) 애제가 죽자, 애제로부터 황제의 어새와 인장을 받았던 대사마 동현으로부터 어새와 인장을 강탈하고, 유간(중산왕 유간)이 평제로 즉위하자 다시 대사마가 되었다. 얼마 후 고문경학의 대가인 유흠을 비롯한 많은 유학자들을 불러들여, 유학과 길조에 근거한 정책을 실시했다. 그러나 민중의 지지를 얻기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았고, 차남 왕획(王獲)을 노비를 죽였다는 이유로 죄를 묻고, 장남 왕우(王宇)를 모략을 꾸몄다는 이유로 감옥에 가두어, 둘 다 자살로 몰고 갔다.
원시 4년(4년) 2월, 딸 왕씨를 평제의 황후로 책립하고, 같은 해 4월 재형·안한공(安漢公)이 되었다. 원시 5년 12월 16일(6년 2월 3일) 14세의 평제가 죽었는데, 평제의 사인에 대해서는 왕망이 독살했다는 기록도 있다.[20] 그러나 『한서』 본문에는 그러한 묘사가 없고, 평제가 어릴 때부터 병약했기 때문에 병사했을 가능성도 있다.
후계자로는 2세의 먼 친척인 유영을 세웠지만 황제가 아닌 황태자로 삼고, 자신이 섭정으로서 황제의 업무를 대행하기로 했다. 자신의 호칭을 "가황제"·"섭황제"로 하여 거의 황제와 동등한 대우를 받고, 거섭으로 개원하여 주공단의 고사에 따라 조정의 모든 일을 처리했다.
2. 3. 황제 즉위와 신나라 건국
애장이라는 인물이 고조의 예언이라며 「금궤도(金匱圖)」와 「금책서(金策書)」를 위조해 바치자[85], 거섭 3년(8년), 왕망은 고조의 영혼에게 선양을 받았다고 하여 스스로 황제에 즉위하여 신 왕조를 열었다. 이후 유영을 정안공(定安公)에, 딸인 효평황후 왕씨를 정안공태후(定安公太后)에 봉하고 청주(靑州) 평원군의 군치(郡治) 평원현(平原縣)과 속현인 안덕현(安惪縣)[86], 탑음현(漯陰縣), 격현(鬲縣), 중구현(重丘縣)을 묶어서 정안공국(定安公國), 즉 정안국(定安國)으로 삼았으나, 그들을 장안의 명광궁(明光宮)을 정안관(定安館)이라 고쳐서 그곳에 살게 하였다. 이는 사실상 유폐였다. 왕망의 선양은 신화의 선양이 아닌, 역사상 최초의 선양이었지만 실상은 찬탈과 다름이 없었다. 태황태후로서 전국옥새를 맡고 있던 효원황태후 왕정군은 사자로서 옥새를 받으러 온 왕망의 사촌형제 왕순(王舜)에게 왕망에 대한 욕설을 퍼부었으나, 왕순이 옥새를 내어줄 것을 재촉하자 옥새를 내던지며 "나는 늙어 이제는 죽으나, 너희를 보니, 이제 집안이 주멸되겠구나!"(我老已死, 如而兄弟, 今族滅也!)라 한탄했다고 사서는 전한다.주 시대의 치세를 이상으로 삼은 왕망은 《주례》[87]라는 책을 바탕으로 국가 정책을 실시했지만, 현실성이 결여된 각종 정책은 단기간에 파탄나고, 화폐 유통과 경제 활동도 정지되어 민중의 생활은 한조 말기 이상으로 곤궁해졌다. 또한 흉노나 선비 등 주변 민족과 고구려 등의 국가의 지도자의 칭호를 제멋대로 고치고, 특히 고구려왕의 칭호를 중화사상에 근거하는 모멸적인 명칭인 '''하구려후'''로 부르게 해 고구려와 충돌하였으며, 이는 이민족들의 반발과 관계 악화로 이어져 이를 토벌하고자 했지만 실패한다. 또한 전매제 강화도 실패하여 신의 재정은 빈곤해졌다.
2. 4. 반란과 최후
18년 적미의 난이 일어나는 등, 생계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 농민들이 신 왕조에 맞서 잇따라 반란을 일으켰다. 남양에서 옹립된 유현을 토벌하기 위해 신나라가 보낸 100만 군대는 곤양 전투에서 경시제 휘하의 유수에게 패배했다. 이로 인해 각지에 군웅이 할거하여 대혼란에 빠졌다.[15] 신하들마저 배신하고, 장안에는 경시제의 군대가 입성했다. 왕망은 그 혼란 속에서 두오(杜吳)에게 살해당했다.[8] 그의 수급은 경시제가 있던 성으로 보내졌으며, 몸은 공을 세우려는 사람들이 달려들어 마구 찢어 흩어졌다고 한다.[16]왕망의 죽음으로 신은 멸망하였다.
3. 평가
왕망에 대한 평가는 크게 두 가지 관점으로 나뉜다. 첫째는 중국 역사상 최초로 '찬탈'을 저지른 인물이라는 점에서 정치적, 인간적인 면모를 모두 비판적으로 보는 시각이다. 한서의 저자 반고는 「왕망전」에서 왕망의 외모, 성격, 행동을 묘사하며 그가 외모와 대인 관계에 집착하고, 신비주의적인 도참설을 이용해 자신의 지위를 정당화하려 했다고 평가했다. 또한 왕망 시대에 시행된 기이한 정책들을 언급하며 그를 간신의 전형으로 간주했다.[88] 고려 왕건이 후백제 견훤에게 보낸 답서나, 조선 중종실록에서 조광조를 비판하는 내용, 일본에서 소가노 이루카나 기소 요시나카를 왕망에 비유하는 것 등은 이러한 부정적 인식을 보여준다.
둘째는 왕망의 개혁 정치와 유교적 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시각이다. 왕망이 정한 황제 즉위 의식은 광무제 이후 역대 황제들에게 계승되었고, 전국에 유학 교육기관인 학(學) · 교(校)를 설치하여 유학 공부를 장려한 점은 높이 평가받는다. 신채호는 왕망이 고대 사회주의적인 정전법(井田法)을 실행하고, 한문화(漢文化)로 세계를 통일하려는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 그의 찬탈을 "동양 고대의 유일한 혁명"이라고 칭찬하기도 했다.
20세기 중국사 연구자 동진차는 왕망의 외모 묘사에 당시 사람들의 혐오가 엿보인다고 평했다.[28] 그는 왕망이 '이름'에 민감하여 잦은 지명 변경을 단행했고,[26] 귀신과 한 고조(유방(劉邦))의 영혼을 두려워하고 부명(符命)과 부서(符瑞)를 신봉했으며,[30] 유교의 예를 중시하여 형식주의에 빠졌고,[31] 정치 개혁에 대한 열의는 있었으나 독선적인 태도를 보였다고 지적했다.[32]
그러나 왕망은 유학적 교설의 제도화에 큰 공적을 세워 한나라의 "유교 국교화(國敎化)"에 기여했다는 평가도 받는다.[35] 그의 사회 정책 중 "왕전제(王田制)"는 균전제의 근원으로 주목받았으며,[36] 학교 제도를 정비하여 유학 보급과 지방 사회의 문화적 향상에 기여했다.[37] 명당(明堂)과 벽옹(辟雍)을 건설하고,[38] 천자칠묘제(天子七廟制)와 남북교사제(南北郊祀制) 문제에 결착을 본 것도 업적으로 평가된다.[41],[42]
왕망이 시행한 "선양(禪讓)" 의례는 후세에 평화로운 권력 이양 방식으로 자리 잡았고,[43] "신(新)"이라는 왕조 이름은 천하를 영유하는 칭호로 선언되어 후대 왕조에 영향을 미쳤다.[44] 왕망이 만든 유학적 제사, 예악 제도, 관료제의 골격은 청나라까지 계승되었으며,[45] 복고 정책의 일환으로 두 글자 이름을 금지한 정책은 왕망 멸망 후에도 영향을 미쳤다.[46]
4. 가계
왕망의 자녀는 다음과 같다. 효목황후 왕씨는 왕우, 왕획, 왕안, 왕림, 왕씨(한평제의 황후)를 낳았다.[17] 시첩 증질은 왕광과 왕엽을, 시첩 회능은 왕흥을, 시첩 개명은 왕첩을 낳았다.
왕망은 시건국 원년(9년)에 왕천을 공륭공(功隆公), 왕수를 공명공(功明公), 왕길을 공성공(功成公), 왕종을 공숭공(功崇公), 왕세를 공소공(功昭公), 왕리를 공저공(功著公)에 봉했다.
왕씨는 거섭 3년(8년) 정안공태후(定安公太后)에 봉해졌다가, 시건국 2년(10년) 황황실주(黃皇室主)로 칭호가 바뀌었다. 왕엽은 신 지황 2년(21년) 목수임(睦脩任)에, 왕첩은 목체임(睦逮任)에 봉해졌다.
5. 연호
왕망 |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
서력 (西曆) | 9년 | 10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간지 (干支) | 기사(己巳) | 경오(庚午) | 신미(辛未) | 임신(壬申) | 계유(癸酉) | 갑술(甲戌) | 을해(乙亥) | 병자(丙子) | 정축(丁丑) | 무인(戊寅) |
연호 (年號) | 시건국(始建國)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천봉(天鳳)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왕망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
서력 (西曆) | 19년 | 20년 | 21년 | 22년 | 23년 | |||||
간지 (干支) | 기묘(己卯) | 경진(庚辰) | 신사(辛巳) | 임오(壬午) | 계미(癸未) | |||||
연호 (年號) | 6년 | 지황(地皇) 원년 | 2년 | 3년 | 4년 |
6. 기타
왕망은 신나라를 건국하고 황제가 된 후, 주변 여러 부족과 국가들에 대해 강경책을 펼쳤다.
- 남서부 부족: 왕망은 남서부 부족(현대의 귀주성, 운남성, 남서부 사천성) 족장들의 왕 칭호를 후작으로 강등하고 새로운 인장을 만들었다. 이에 반발한 구정왕(句町王) 한(邯)은 신나라와 관계를 끊었다. 왕망은 주흠(周歆)에게 한을 죽이도록 명령했지만, 한의 형 승(承)이 반란을 일으켜 주흠을 죽이고 신나라 국경을 공격했다. 왕망은 렴단(廉丹)과 사웅(史熊)을 보내 진압하려 했으나, 식량 공급과 질병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
- 고구려: 왕망은 흉노 정벌에 고구려 군의 지원을 요청했으나, 고구려는 거부하고 신나라 국경 밖으로 진군했다. 왕망이 보낸 장군 연우(嚴尤)는 고구려 후작 추(騶)를 속여 살해하고, 고구려를 하구려(下句麗)로 낮춰 불렀다.[13] 이는 고구려의 반발을 사 신나라 북동부 지역에 대한 공격을 초래했다.
- 서역: 서기 10년, 후차사(後車師, 현재 창지 후이족 자치주의 일부) 왕 수치리(須置離)는 신나라 사신 접대 비용을 걱정하여 흉노로 도망가려 했다. 신나라 서역 장관 단흠(但欽)은 수치리를 처형했고, 수치리의 형 호란지(狐蘭之)는 흉노로 도망쳐 단흠을 공격했다. 서기 13년, 우손 사신을 대하는 과정에서 왕망은 소왕의 사신을 대왕의 사신보다 높게 대우하여 대왕을 모욕했다. 서역 왕국들은 연합하여 단흠을 죽이고 신나라에 대한 충성을 거부했다. 서기 16년, 왕망은 서역 왕국들을 다시 복종시키려 했으나 실패했다.
왕망은 뛰어난 인물들을 등용하고 검소한 생활을 하는 등 명성을 얻고자 노력했다. 어머니가 병들었을 때, 공경(公卿)과 열후(列侯)들의 부인들이 문병을 왔는데, 왕망의 아내는 무명 앞치마 차림으로 하녀로 오해받기도 했다.[39]
왕망은 예법을 중시하여 애제의 친어머니 정희(丁姬)에게 존호를 올린 동홍(董宏)을 탄핵하고, 애제의 친조모 부소의(傅昭儀/傅太后)의 자리를 태황태후(太皇太后) 왕정군 옆에 둔 것에 대해 부태후는 “藩妾( ‘藩’은 제후왕(藩王)인 정도왕(定陶王)의 어머니이고, ‘妾’은 과거 성제(成帝)의 측실이라는 의미)”이라며 자리를 따로 마련하게 했다. 이 일로 부태후의 노여움을 사 퇴직하게 되었다.( 綏和 2년(기원전 7년))[48][39]
남양군(南陽郡) 신도현(新都縣) 영지에서 조용히 지낼 때, 동생 왕획(王獲)이 노예를 살해하자 자살로 몰아넣을 정도로 엄격했다.[39]
영지에서 왕망은 남양태수(南陽太守)의 추천으로 공휴(孔休)를 신도후(新都侯)의 상(相)으로 맞이했다.[49] 왕망은 공휴에게 옥구(玉具)와 보검(寶劍)을 선물하려 했으나, 공휴는 받지 않았다. 왕망은 공휴 얼굴의 상처를 보고 옥으로 치료하라고 권했지만, 공휴가 계속 사양하자 망치로 옥을 부수어 주었다.[39]
왕망은 소설과 드라마 등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 2011년 역사 판타지 소설 《왓 오휴의 유령들 (The Ghosts of Watt O'Hugh)》에서 왕망은 칭찬받는 영웅적인 인물로 묘사된다.
- 중국 드라마 《천년의 사랑 (Love Weaves Through a Millennium)》에서 왕망은 주요 등장인물 중 한 명이며, 천상 (Chen Xiang)이 연기했다.
참조
[1]
문서
Wang Mang's biography in Book of Han
[2]
논문
Mountain of Fame: Portraits in Chinese Hist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3]
논문
Wang Mang, the Socialist Emperor of Nineteen Centuries Ago
http://dx.doi.org/10[...]
Springer
2023-03-12
[4]
서적
Book of Han
[5]
웹사이트
Wang Mang Biography: Xin Dynasty Emperor (45 BC–23 AD)
https://totallyhisto[...]
2024-12-17
[6]
문서
Zizhi Tongjian, vol. 32
[7]
문서
Zizhi Tongjian, vol. 32
[8]
서적
Columbia Chronologies of Asian History and Culture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9]
서적
Columbia Chronologies of Asian History and Culture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10]
서적
China's Public Finance: Reforms, Challenges, and Op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Encyclopedia of Antislavery and Abolition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7
[12]
논문
Materials on history of Dunhu group nomadic tribes
Science
[13]
서적
Book of Later Han
[14]
논문
Hume on the Science of Man
http://dx.doi.org/10[...]
2015-01-01
[15]
서적
Radiating impact of WTO on its members' legal system: the Chinese perspective
http://worldcat.org/[...]
Hague Academy of International Law
2011
[16]
논문
Wang Mang
https://www.academia[...]
2024-01-19
[17]
문서
He opposed Wang Mang and was thus killed
[18]
문서
She had an affair with Wang Lin
[19]
문서
新都侯国は南陽郡にある。
[20]
문서
東(2003)
[21]
문서
王莽伝中
[22]
문서
栗原(1960)
[23]
뉴스
魏志「東夷伝」における原初の北東アジア諸民族に関する論攷
http://id.nii.ac.jp/[...]
島根県立大学
2001-03-30
[24]
문서
容斎続筆、新学偽経考
[25]
문서
晋書 五行志
[26]
서적
漢書 王莽伝中
[27]
서적
漢書 王莽伝下
[28]
서적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29]
서적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30]
서적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31]
서적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32]
서적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33]
서적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34]
서적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35]
서적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36]
書籍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37]
書籍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38]
書籍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39]
典籍
漢書 王莽伝上
s:zh:漢書/卷099上
[40]
書籍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41]
書籍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42]
書籍
王莽―改革者の孤独
[43]
書籍
中華の成立:唐代まで シリーズ中国の歴史①
[44]
書籍
中華の成立:唐代まで シリーズ中国の歴史①
[45]
書籍
中華の成立:唐代まで シリーズ中国の歴史①
[46]
典籍
漢書 匈奴伝下
[47]
典籍
漢書 王莽伝上
[48]
書籍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49]
문서
王莽の領地を統治する正式に任命された官吏
[50]
典籍
漢書 王莽伝上
[51]
문서
王莽に従う主な人物
[52]
문서
烏珠留若鞮単于の母に関する記述
[53]
典籍
漢書 王莽伝上
[54]
문서
王莽の詔に関する記述
[55]
문서
新の五行思想と象徴
[56]
문서
火徳である漢の反乱の滅亡
[57]
典籍
論語 述而
[58]
문서
王莽の側室
[59]
典籍
文選 符命
[60]
書籍
王莽―改革者の孤独
[61]
典籍
論語 顔淵
[62]
書籍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63]
書籍
王莽―改革者の孤独
[64]
書籍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65]
書籍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66]
書籍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67]
書籍
河地(1970)
[68]
書籍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69]
書籍
西嶋(1997)
[70]
書籍
王莽 儒家の理想に憑かれた男
[71]
서적
王莽―改革者の孤独
[72]
서적
王莽―改革者の孤独
[73]
서적
王莽―改革者の孤独
[74]
서적
中華の成立:唐代まで シリーズ中国の歴史①
[75]
서적
中華の成立:唐代まで シリーズ中国の歴史①
[76]
문서
한서에 기록된 '莽'자
[77]
문서
왕망의 원적과 이거
[78]
문서
동평릉현의 변천
[79]
문서
왕망의 아들 왕광
[80]
문서
왕장의 성씨 변경
[81]
문서
왕망 황후의 장례와 능묘
[82]
문서
예경의 의미
[83]
문서
신도후의 봉국
[84]
문서
왕망의 즉위 후 행적
[85]
문서
왕망의 심복들
[86]
문서
안덕현의 위치 논쟁
[87]
문서
한서의 저작권 논쟁
[88]
문서
주초위왕 사건과 조광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