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차 대륙회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차 대륙회의는 1774년 9월 5일부터 10월 26일까지 필라델피아에서 13개 식민지 중 조지아를 제외한 12개 식민지의 대표들이 모여 열린 회의이다. 영국 동인도 회사의 차 조례와 보스턴 차 사건 이후 영국 의회의 강경 대응에 대한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개최되었으며, 미국 독립 전쟁을 이끄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회의에서는 불매 운동을 결의하고, 다음 해에 다시 회의를 열기로 결정하는 등 영국의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결정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4년 13개 식민지 - 참을 수 없는 법
    1774년 영국 의회가 보스턴 차 사건에 대한 대응으로 제정한 참을 수 없는 법은 식민지 자치권 제한과 영국 정부 권한 강화를 목적으로 보스턴 항구 폐쇄, 매사추세츠 정부 통제, 재판 장소 변경, 군대 주둔, 퀘벡 영토 확장 등을 포함하며 식민지 주민들의 반발을 야기하여 미국 독립 전쟁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 1774년 13개 식민지 - 병영법
    병영법은 영국군을 식민지 병영과 공공 주택에 수용하도록 규정한 법률로, 1765년과 1774년에 제정되었으며, 식민지 의회의 반발과 미국 독립 선언의 불만 사항으로 이어져 미국 헌법 수정 제3조에 영향을 미쳤다.
  • 대륙회의 - 연합규약
    연합규약은 미국 독립 혁명 중 채택되어 1781년부터 1789년까지 미국의 헌법 역할을 한 최초의 연방 규약이었으나, 중앙 정부의 권한이 약해 1787년 새로운 미국 헌법으로 대체되었다.
  • 대륙회의 - 미국 독립선언
    1776년 7월 4일 제2차 대륙 회의에서 채택된 미국 독립선언은 영국으로부터 13개 식민지가 독립된 주권 국가임을 선언하고, 토머스 제퍼슨이 초안을 작성하여 존 로크의 자연권 사상에 기초, 생명, 자유, 행복 추구권을 천명하며 정부의 권리 침해에 대한 국민의 저항권(혁명권)을 명시한 문서이다.
  • 미국의 역사 - 대공황
    1929년 미국 월스트리트 증권 시장 붕괴로 시작된 대공황은 전 세계적인 경제 위기로, GDP 감소, 산업 생산 붕괴, 높은 실업률 등을 야기했으며 국제 무역 감소, 금융 시스템 붕괴, 금본위제, 보호무역주의 정책 등이 심화시켜 각국 정부가 다양한 정책으로 대응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종식되어 경제 이론, 정책, 사회, 정치, 문화 전반에 걸쳐 큰 변화를 가져왔다.
  • 미국의 역사 - 이란-콘트라 사건
    이란-콘트라 사건은 1980년대 레이건 행정부에서 미국이 이란에 무기를 판매하고 그 수익금을 니카라과의 콘트라 반군에게 불법 지원한 정치 스캔들이다.
제1차 대륙회의 - [의회]에 관한 문서
개요
1774년 제1차 대륙회의
1774년 제1차 대륙회의
명칭제1차 대륙회의
종류단원제 의회
참가자13개 식민지 중 12개 식민지 대표 56명
시작일1774년 9월 5일
종료일1774년 10월 26일
이전인지세법 회의
이후제2차 대륙회의
의장페이턴 랜돌프(1774년 10월 22일까지)
헨리 미들턴
서기찰스 톰슨
회의 장소필라델피아 카펜터스 홀
배경
원인영국의 식민지 정책에 대한 불만 증가
목적식민지 권리 회복 및 영국과의 관계 재정립 모색
주요 결정 사항
대륙 협회 결성영국 상품 불매 운동 전개
국왕에게 청원서 제출식민지의 불만을 전달하고 해결 촉구
다음 회의 소집 결정상황 변화에 따라 추가적인 대응 논의
영향
미국 독립 혁명의 발발식민지 간의 단결을 강화하고 영국과의 갈등 심화
제2차 대륙회의 개최독립 선언 및 미국 건국으로 이어짐

2. 배경

1773년, 재정 위기에 처한 영국 동인도 회사를 구제하기 위해 영국의회는 차 조례를 제정했다. 이 조례는 동인도 회사가 식민지에 직접 를 판매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나, 이는 식민지 상인들의 거센 반발을 샀다. 특히 보스턴에서는 1773년 12월 16일, 자유의 아들들을 중심으로 한 시위대가 항구에 정박 중이던 동인도 회사 선박의 차 상자를 바다에 버리는 보스턴 차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영국 정부는 1774년 3월, 보스턴 항구 조례를 포함한 여러 강압적인 법령을 제정하여 보스턴 항구를 폐쇄하고 식민지의 자치권을 제한하는 등 강경하게 대응했다. 영국의 이러한 조치는 매사추세츠뿐만 아니라 다른 식민지에도 큰 위기감을 불러일으켰고, 공동 대응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결국, 조지아주를 제외한 12개 식민지 대표들은 영국의 정책에 대한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필라델피아에 모이기로 결정했으며, 이것이 제1차 대륙회의가 개최되는 직접적인 배경이 되었다.

2. 1. 보스턴 차 사건과 영국의 강경 대응

1773년, 영국 동인도 회사는 심각한 재정난으로 파산 위기에 직면했다. 이 문제를 타개하기 위해 영국 정부와 의회는 런던 창고에 쌓여 있던 막대한 양(약 771만kg)의 를 식민지에 직접 판매하여 재고를 처리하고 회사의 자금난을 해소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영국 의회는 차 조례(Tea Act)를 제정했다. 이 조례는 영국 동인도 회사에게 식민지 차 무역 독점권을 부여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는 정상적인 경로를 통해 차를 수입하던 식민지 상인들, 특히 밀수입으로 이익을 얻던 존 핸콕과 같은 인물들의 격렬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1773년 12월 16일 밤, 차 조례에 대한 불만이 극에 달하자 새뮤얼 아담스 등이 이끄는 자유의 아들들 소속 회원들은 보스턴 항에 정박해 있던 영국 동인도 회사의 선박에 실려 있던 7.5만달러 어치의 상자를 모두 바다에 던져버렸다. 이 사건은 보스턴 차 사건(Boston Tea Party)으로 알려져 있으며, 식민지의 영국에 대한 저항 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 되었다.

보스턴 차 사건 소식에 영국 정부와 의회는 분노했고, 식민지에 대한 강경책으로 대응했다. 1774년 3월, 영국 의회는 일련의 '강압 법률'(Intolerable Acts) 중 첫 번째 법안인 보스턴 항구 조례(Boston Port Act)를 통과시켰다. 이 법은 보스턴 시민들이 바다에 버려진 차 값을 모두 배상(약 9750GBP)할 때까지 해군을 동원하여 보스턴 항구를 폐쇄하는 것을 골자로 했다. 이러한 영국의 강압적인 조치는 매사추세츠뿐만 아니라 다른 식민지 주민들의 분노까지 격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결국, 조지아주를 제외한 12개 식민지 대표들은 영국의 강압적인 조치에 공동으로 대응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필라델피아에서 회합을 갖기로 결정했는데, 이것이 바로 제1차 대륙회의가 소집되는 직접적인 배경이 되었다.

2. 2. 식민지 대표들의 필라델피아 회동

1773년 영국 동인도 회사는 심각한 재정 위기에 직면했고, 영국 정부는 이를 타개하기 위해 런던 창고에 쌓여있던 약 약 771만kg에 달하는 상자를 미국 식민지에 판매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영국의회는 차 조례를 통과시켰는데, 이는 식민지 상인들, 특히 존 핸콕과 같은 인물들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1773년 12월 16일 밤, 새뮤얼 아담스 등이 이끄는 자유의 아들들 단원들은 보스턴 항에 정박 중이던 영국 동인도 회사 선박에 실린 약 7.5만달러 상당의 차 상자들을 바다에 던져버렸다. 이 사건은 보스턴 차 사건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한 보복 조치로 1774년 3월, 영국 의회는 보스턴 항구를 폐쇄하고 피해액인 9750GBP를 배상할 때까지 해군을 동원해 봉쇄하는 내용을 담은 강압적인 법령을 제정했다. 영국의 이러한 강경책은 식민지 전체의 분노를 샀고, 사태는 더욱 악화되었다. 결국 조지아주를 제외한 12개 식민지의 대표들이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필라델피아에 모였다. 이 회의가 바로 제1차 대륙회의이며, 이후 미국 독립 전쟁을 이끌어가는 중요한 기구로 발전하게 된다.

3. 대륙회의

1773년 영국 동인도 회사의 차 판매 독점권 부여에 반발하여 발생한 보스턴 차 사건 이후, 영국 의회1774년 3월 보스턴 항구법 등 식민지를 통제하기 위한 강압적인 조치를 취했다. 이러한 영국의 강경 대응은 식민지들의 큰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공동 대응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조지아 식민지를 제외한 12개 식민지 대표들이 필라델피아에 모여 대책을 논의하기 위한 회의를 소집했다.

이 회의는 1774년 9월 5일부터 10월 26일까지 필라델피아의 카펜터스 홀에서 열렸으며,[2] 훗날 제1차 대륙회의로 불리게 된다. 이 회의는 미국 독립 전쟁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다. 회의의 주요 목적은 영국 의회의 부당한 조치에 대한 식민지의 공동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식민지의 권리와 자유를 확인하는 것이었으나, 구체적인 방법론과 목표를 두고 대표들 사이에서는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5][6]

3. 1. 대표 선출 및 구성

1774년 9월 5일부터 10월 26일까지 필라델피아의 카펜터스 홀에서 13개 식민지 중 12개 식민지 대표들이 참석하여 회의가 열렸다. 대표들은 각 식민지의 주민, 식민지 의회 또는 통신 위원회에 의해 선출되었다.[2] 조지아 식민지에서는 로열리스트(왕당파)의 정서가 애국자의 견해보다 우세하여 즉시 혁명 대열에 합류하지 않았고, 이듬해 제2차 대륙 회의에 대표를 파견했다.[3]

회의 첫날 페이턴 랜돌프가 의장으로 선출되었으나, 건강 악화로 10월 22일 사임하자 헨리 미들턴이 남은 기간 동안 의장직을 이어받았다. 필라델피아 통신 위원회의 지도자였던 찰스 톰슨은 회의 서기로 선출되었다.[4] 회의에서는 참가자들의 평등을 보장하고 자유로운 토론을 장려하기 위한 규칙들이 채택되었다.[2]

3. 2. 다양한 입장과 대립

회의에 참석한 대표들은 회의의 목적에 대해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조셉 갤러웨이, 존 디킨슨, 존 제이, 에드워드 럿지와 같은 온건파 대표들은 영국 의회가 식민지에 부과한 부당한 조치들을 철회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정책을 만드는 것을 회의의 주된 임무로 여겼다.[5] 이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당면한 문제들에 대한 합리적인 해결책을 찾고, 식민지와 대영 제국 간의 관계를 회복하여 화해하는 것이었다.[5]

반면, 패트릭 헨리, 로저 셔먼, 새뮤얼 애덤스, 존 애덤스 등 급진파 대표들은 식민지가 가진 권리와 자유를 명확히 선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5] 이들은 영국 의회의 권한 남용이라고 판단되는 행위들을 끝내고, 식민지 헌장과 영국 헌법에 보장된 권리를 지키는 것을 최종 목표로 삼았다.[5]

이러한 입장 차이는 구체적인 주장으로 이어졌다. 로저 셔먼은 영국 의회가 식민지에 대해 입법권을 행사하는 것 자체를 부정했다.[6] 패트릭 헨리는 더 나아가 기존의 식민지 정부들이 이미 효력을 잃었다고 주장하며, 대륙회의가 대영 제국으로부터 독립된 완전히 새로운 정부 체제를 만들어야 한다고 믿었다.[6]

이러한 급진적인 주장들과 달리, 온건파인 조셉 갤러웨이는 영국과의 타협을 모색하며 "갤러웨이의 연합 계획"을 제안했다.[6][7] 이 계획은 미국에 독자적인 입법 기관을 설립하고, 대영 제국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법률에 대해 동의할 수 있는 일정한 권한을 부여하자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6]

3. 3. 대륙회의의 주요 결정: 선언 및 결의안

결국 타협의 목소리가 승리했다. 독립을 요구하는 대신, 제1차 대륙 회의는 대륙 협회를 발의하고 서명했으며, 선언 및 결의안에서 1774년 12월 1일부터 발효되는 영국 상품에 대한 불매 운동(보이콧)을 촉구했다. 1774년 10월 20일 의회가 선언 및 결의안에 서명한 후, 비수출(non-exportation)을 수용하고 12월 1일부터 노예 수입 금지를 계획했는데, 이는 실제로 미국의 노예 무역이 공식적으로 종료되기 33년 전에 이루어진 결정이었다.[8]

4. 대륙회의의 성과와 영향

제1차 대륙회의의 주요 성과는 영국 상품에 대한 불매 운동(보이콧)을 결의하고 이를 실행에 옮긴 것이다. 1774년 12월 1일부터 시작된 이 불매 운동은 영국 의회가 식민지에 부과한 강압적인 법률들을 철회할 때까지 지속하기로 합의되었다.[9] 이러한 움직임에 발맞춰, 노스캐롤라이나 식민지 에던턴에서는 여성 51명이 에던턴 티 파티라는 자체 조직을 결성하여 영국 상품 대신 식민지 자체 상품 생산에 주력하기로 결의하는 등 자발적인 참여도 이어졌다.[10] 대륙회의는 더 나아가 서인도 제도의 영국 식민지들에게도 불매 운동 동참을 요구하며, 이에 응하지 않을 경우 해당 지역 상품까지 불매하겠다고 압박했다.[11]

이러한 노력은 상당한 성과를 거두어, 1775년 영국의 대식민지 상품 수출액은 전년 대비 97%나 급감하는 결과를 낳았다.[9] 불매 운동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각 식민지에는 감시 및 검사 위원회가 조직되어 합의 사항 준수 여부를 철저히 감독했다. 또한, 만약 영국이 강압적인 법률들을 폐지하지 않는다면 1775년 9월 10일부터는 영국으로의 상품 수출까지 중단하기로 합의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9]

뉴욕 식민지를 제외하고[12] 회의에 참여한 모든 식민지의 입법부는 대륙회의의 이러한 결정들을 공식적으로 승인했다. 불매 운동 자체는 성공적으로 실행되었지만, 1775년 4월 렉싱턴 콩코드 전투가 발발하며 영국과의 전면적인 무력 충돌이 시작되면서, 불매 운동을 통해 영국의 식민지 정책 변화를 유도하려던 계획은 사실상 무산되었다.

한편, 대륙회의는 식민지의 요구 사항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다음 해에 제2차 대륙회의를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회의에 참여하지 않았던 퀘벡 식민지,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 노바스코샤, 조지아 식민지, 동플로리다, 서플로리다 등 다른 북아메리카 식민지들에게 캐나다 거주민에게 보내는 편지를 보내 차기 회의 참여를 독려했다.[13] 이들 중 조지아만이 유일하게 제2차 대륙회의에 대표단을 파견했다.

5. 참여 대표

조지아를 제외한 12개 식민지에서 총 56명의 대표가 참여했다.[2] 참여한 대표 중에는 훗날 미국 독립 전쟁과 건국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 인물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매사추세츠 만의 존 애덤스새뮤얼 애덤스, 버지니아조지 워싱턴패트릭 헨리 등이 있다.

아래는 각 식민지에서 파견된 대표들의 명단이다.

식민지이름
뉴햄프셔너새니얼 폴섬; 존 설리번
매사추세츠 만존 애덤스;[14] 새뮤얼 애덤스; 토머스 쿠싱; 로버트 트리트 페인
로드아일랜드스티븐 홉킨스; 새뮤얼 워드
코네티컷사이러스 딘; 엘리펄렛 다이어; 로저 셔먼
뉴욕존 앨솝; 사이먼 보럼; 제임스 듀안; 윌리엄 플로이드; 존 해링; 존 제이;[14] 필립 리빙스턴; 아이작 로; 헨리 위스너
뉴저지스티븐 크레인; 존 드 하트; 제임스 킨지; 윌리엄 리빙스턴; 리처드 스미스
펜실베이니아에드워드 비들; 존 딕킨슨; 조지프 갤러웨이; 찰스 험프리스; 토머스 미플린; 존 모턴; 새뮤엘 로즈; 조지 로스
델라웨어토머스 맥킨; 조지 리드; 시저 로드니
메릴랜드새뮤얼 체이스; 로버트 골즈보로; 토머스 존슨; 윌리엄 파카; 매튜 틸먼
버지니아리처드 블랜드; 벤자민 해리슨; 패트릭 헨리; 리처드 헨리 리; 에드먼드 펜들턴; 페이턴 랜돌프; 조지 워싱턴[14]
노스캐롤라이나리처드 캐스웰; 조지프 휴스; 윌리엄 후퍼
사우스캐롤라이나크리스토퍼 개즈던; 토머스 린치 주니어; 헨리 미들턴; 에드워드 럿지; 존 럿지[14]
출처:[2]


참조

[1] 서적 Landmark Legislation 1774–2012: Major U.S. Acts and Treaties http://knowledge.sag[...] CQ Press 2014
[2] 웹사이트 First Continental Congress: Proceedings of the First Continental Congress http://www.ushistory[...] Independence Hall Association 2019-04-30
[3] 백과사전 Revolutionary War in Georgia https://www.georgiae[...] Georgia Humanities and th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019-04-30
[4] 서적 Jefferson's America, 1760–1815 Rowman & Littlefield
[5] 웹사이트 A constitutional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http://www.constitut[...] D. Appleton-Century Company 2014-08-27
[6] 서적 The Foundations of American Nationality https://archive.org/[...] American Book Company.
[7] 서적 Great Debates in American Hist: From the Debates in the British Parliament on the Colonial Stamp https://archive.org/[...] Current Literature Pub. Co
[8] 간행물 Free Trade, Sovereignty, and Slavery: Toward an Economic Interpretation of American Independence https://af.booksc.eu[...] 2011
[9] 서적 Common Sense Penguin Classics
[10] 서적 Women in the American Revolution: gender, politics, and the domestic world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2019
[11] 문서 Ketchum, p. 262
[12] 문서 Launitz-Schurer p. 144
[13] 서적 The Rise of the Republic of the United States https://archive.org/[...] Little, Brown, and Company 2019-04-30
[14] 웹사이트 Continental Congress https://www.history.[...] A&E Television Networks 2019-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