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륙회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륙회의는 1774년부터 1781년까지 미국 13개 식민지의 대표들이 모여 열린 회의체로, 제1차와 제2차 대륙회의, 그리고 연합회의로 구성된다. 제1차 대륙회의는 영국의 식민지 정책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고, 제2차 대륙회의는 미국 독립 전쟁을 이끌었으며 독립 선언과 연합 규약을 채택했다. 연합회의는 연합 규약에 따라 운영되었으나, 중앙 정부의 권한 부족으로 인해 1787년 필라델피아 회의를 통해 미국 헌법을 제정하고 미국 의회로 대체되었다. 대륙회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 헌법의 민주 공화주의 원칙에도 영향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륙회의 - 연합규약
    연합규약은 미국 독립 혁명 중 채택되어 1781년부터 1789년까지 미국의 헌법 역할을 한 최초의 연방 규약이었으나, 중앙 정부의 권한이 약해 1787년 새로운 미국 헌법으로 대체되었다.
  • 대륙회의 - 미국 독립선언
    1776년 7월 4일 제2차 대륙 회의에서 채택된 미국 독립선언은 영국으로부터 13개 식민지가 독립된 주권 국가임을 선언하고, 토머스 제퍼슨이 초안을 작성하여 존 로크의 자연권 사상에 기초, 생명, 자유, 행복 추구권을 천명하며 정부의 권리 침해에 대한 국민의 저항권(혁명권)을 명시한 문서이다.
  • 필라델피아의 역사 - 사우스웨스트 항공 1380편 엔진 폭발 사고
    사우스웨스트 항공 1380편 엔진 폭발 사고는 2018년 보잉 737-700 항공기에서 팬 블레이드 파손으로 엔진 덮개가 파손되고 객실 창문이 손상되어 급감압이 발생, 1명의 사망자와 8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으며, NTSB 조사 결과 팬 블레이드의 저주기 피로 균열이 주요 원인으로 밝혀져 FAA의 안전 권고가 발표되는 계기가 되었다.
  • 필라델피아의 역사 - 미국철학학회
    1743년 벤저민 프랭클린 등이 실용 지식 증진을 목표로 설립한 미국철학학회는 미국의 학술 단체로서, 학술지 발행, 연구 지원, 수상 등을 통해 철학 연구와 학문적 교류를 장려하고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건축물들을 사용한다.
  • 미국 독립 혁명 - 보스턴 차 사건
    보스턴 차 사건은 1773년 영국 동인도 회사의 차 수입에 반대하여 보스턴 시민들이 차 상자를 바다에 버린 사건으로, 미국 독립 전쟁의 도화선이 되었다.
  • 미국 독립 혁명 - 브라운 대학교
    브라운 대학교는 1764년 로드아일랜드에서 설립된 미국 독립 이전 9개의 식민지 대학 중 하나로, 학생 중심의 개방형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프로비던스 시내에 캠퍼스를 두고 저명한 동문을 배출했다.
대륙회의

2. 제1차 대륙회의 (1774년)

영국의 강압적인 정책, 특히 '참을 수 없는 법'에 대한 식민지들의 반발이 커지면서, 1774년 조지아 식민지를 제외한 13개 식민지 12곳이 제1차 대륙회의를 개최했다. 조지아 식민지아메리카 원주민과의 전투로 불안정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영국의 도움이 절실했기 때문에 대표를 파견하지 않았다.[34]

제1차 대륙 회의에는 조지 워싱턴, 패트릭 헨리, 존 애덤스,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의 새뮤얼 애덤스, 펜실베이니아 식민지의 조지프 갤러웨이, 존 디킨슨 등 56명의 대표가 참석했다.[4] 버지니아 식민지 출신의 페이튼 랜돌프가 의장을 맡았다.

벤자민 프랭클린은 1년 전에 회의 개최를 제안했지만, 영국 해군의 보스턴 항 봉쇄와 보스턴 차 사건에 대한 징벌적인 강압법 통과 이후에야 식민지들이 설득되었다. 회의에서 대표들은 영국에 대한 대륙 협회의 경제 보이콧을 조직하고 국왕 청원서를 통해 청원권을 요구했다.

대부분의 대표들은 영국으로부터의 독립보다는 국왕과 의회의 공정한 행동을 원했다. 펜실베이니아와 뉴욕 식민지 대표들은 영국과의 해결책을 모색하라는 지시를 받았지만, 다른 식민지들은 식민지 권리를 우선시하며 영국과의 입법적 평등을 추구하는 측과 독립을 선호하는 측으로 나뉘었다.

2. 1. 배경

카펜터스 홀


1774년 조지아 식민지를 제외한 영국의 북아메리카 13개 식민지 대표들이 제1차 대륙 회의를 열게 된 배경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했다.

1754년 프랑스-인디언 전쟁이 발발하면서 영국령 아메리카 식민지들은 처음으로 연합의 필요성을 느꼈다. 1754년 6월 18일부터 7월 11일까지 뉴욕주 올버니에서 열린 올버니 회의에는 7개 식민지 대표가 참석했고, 벤자민 프랭클린은 식민지 연합을 제안했지만 거부되었다. 그러나 이 회의는 식민지 간 협력의 중요성을 일깨웠다.

인지세법은 식민지들의 강력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인지법에 반대하여 뉴욕, 보스턴, 필라델피아 상인들은 영국 상품 불매 운동을 벌였고, 여러 식민지 대표들은 인지세법 회의를 열어 권리와 불만 선언을 발표했다. 결국 영국 정부는 1766년 3월 인지법을 폐지했다.

이후 타운젠드 법(1767~1768년)과 차 법(1773년)은 식민지 주민들의 분노를 더욱 키웠고, 보스턴 학살(1770년)과 보스턴 차 사건(1773년 12월)[2], 서퍽 결의안(1774년 9월)[3]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을 겪으며 식민지들은 영국의 압력에 공동 대응할 필요성을 절감했고, 통신 위원회를 통해 제1차 대륙 회의를 기획하게 되었다. 회의 장소는 식민지 중심부에 위치한 펜실베이니아 연방의 필라델피아에 있는 카펜터스 홀로 정해졌다.

2. 2. 회의 진행

1774년 9월 5일부터 10월 26일까지 펜실베이니아 필라델피아의 카펜터스 홀에서 회의가 개최되었다. 페이턴 랜돌프가 의장을 맡았고, 찰스 톰슨이 서기관을 맡았다.[35] 톰슨은 연합회의가 해산되고 미국 의회가 성립될 때까지 서기관직을 계속 수행했다.

버지니아의 패트릭 헨리는 이미 식민지 정부가 해체된 것으로 간주하고 새로운 통치 체제를 요구했다.[36] 반면, 펜실베이니아 대표 조지프 갤러웨이는 영국과의 화해를 촉구하며, 어느 정도 권위를 가진 미국의 회의체를 설립하고 영국의 정책 실행은 그 회의체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는 단결 방안을 제안했다.[36] 존 제이와 에드워드 러틀엣지 등 보수파는 갤러웨이의 제안을 지지했으나,[37] 갤러웨이는 이후 미국 왕당파에 합류했다.

2. 3. 주요 성과

1774년에 열린 제1차 대륙회의에서는 두 가지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첫 번째는 10월 20일에 채택된 '동맹 결의'(연대 결의)이다. 이 결의는 1774년 12월 1일부터 영국 상품을 불매하고, 수출도 중단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38] 서인도 제도에는 영국 상품 수입 중단에 동의하지 않으면 상품을 불매하겠다는 압력을 가하기로 했다.[39] 이 불매 운동은 성공하여 1775년 영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전년의 3% 수준까지 떨어졌다. 동맹 규약의 실행을 위해 각 식민지에는 감시 검사 위원회가 설치되었으며, 이 규정은 뉴욕을 제외한 모든 참여 식민지 의회에서 승인되었다.[40] 또한, 〈참을 수 없는 법〉이 철회되지 않으면 1775년 9월 10일 이후 영국에 대한 수출을 중단하기로 결의했다.[38]

두 번째 성과는 1775년 5월 10일에 제2차 대륙회의를 개최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제1차 대륙회의에 대표를 보낸 식민지 외에도 퀘벡, 프린스에드워드 아일랜드, 노바스코샤, 조지아, 동플로리다, 서플로리다에도 초대장을 보냈다. 조지아는 1775년 7월에 대표단을 합류시켰다.[41]

3. 제2차 대륙회의 (1775년 - 1781년)

1775년 4월 19일 렉싱턴 콩코드 전투미국 독립 전쟁의 포문이 열린 직후, 1775년 5월 10일 필라델피아에서 13개 식민지의 대표자들이 모여 제2차 대륙회의를 개최했다.

제2차 대륙회의는 사실상 전시 정부 역할을 수행했다.[6] 초기에는 무기고 점령, 영국 관리 추방, 보스턴 시 포위 등 즉흥적인 군사 행동이 주를 이루었다. 1775년 6월 14일 대륙군을 창설하고, 다음 날 조지 워싱턴을 총사령관으로 임명했다.[42] 7월 6일에는 〈대의의 선언〉을 승인하여 무장 봉기의 정당성을 주장했다.[43] 7월 8일 올리브 가지 청원을 통해 영국 왕 조지 3세에게 화해를 시도했지만, 왕은 이를 거부했다.

대륙회의는 명확한 법적 권한은 없었지만,[44] 국가의 기능을 수행하며 대사 임명, 조약 체결, 군대 조직, 장군 임명, 유럽 차관 도입, 지폐(컨티넨탈) 발행 등을 담당했다. 그러나 세금 징수 권한이 없어 각 주에 자금, 물자, 군대를 요청해야 했고, 일부 주는 이를 무시하기도 했다.

1776년에 들어서면서 대륙회의는 독립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1776년 5월 10일에는 혁명 정부 수립을 권고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고, 5월 15일에는 영국에 대한 충성 맹세를 포기하라는 내용의 서문을 추가했다. 7월 2일 리 결의안이 통과되면서 독립을 선언했고, 7월 4일 미국 독립 선언을 채택했다.

1777년 9월 말, 영국군이 필라델피아를 점령하자 대륙회의는 요크로 이동했다. 1777년 11월 17일, 1년 이상의 논의 끝에 연합 규약을 채택하여 각 주에 비준을 요청했다. 각 주는 1표씩 투표권을 가졌으며, 1781년 3월 1일 메릴랜드의 비준으로 연합 규약이 발효되었다.

대륙회의는 1781년 3월 1일 해산되었고, 다음 날 같은 구성원으로 연합 회의가 소집되었다.

제2차 대륙회의 주요 활동
날짜사건
1775년 4월 19일렉싱턴 콩코드 전투 발발
1775년 5월 10일제2차 대륙회의 개최
1775년 6월 14일대륙군 창설
1775년 6월 15일조지 워싱턴 대륙군 총사령관 임명
1775년 7월 6일대의의 선언 승인
1775년 7월 8일올리브 가지 청원 영국 왕에게 전달 (영국 왕 거부)
1776년 7월 2일리 결의안 통과 (독립 선언)
1776년 7월 4일미국 독립 선언 채택
1777년 9월영국군 필라델피아 점령, 대륙회의 요크로 이동
1777년 11월 17일연합 규약 채택
1781년 3월 1일연합 규약 발효, 대륙회의 해산 및 연합 회의 소집



존 트럼불의 그림 '독립 선언'. 대륙회의에서 독립 선언 초안 제출을 묘사했다.

3. 1. 초기 활동

1775년 5월 10일 필라델피아에서 제2차 대륙 회의가 개최되었다.[6] 존 핸콕이 의장으로 선출되었다.[42] 회의는 미국 독립 전쟁 상황에 직면하여 군사 동맹의 의사 결정 주체가 되었다.

1775년 6월 14일, 대륙회의는 조지 워싱턴을 총사령관으로 하는 대륙군을 창설했다.[42] 다음날 워싱턴이 총사령관에 임명되었다. 7월 6일에는 〈대의의 선언〉을 승인하여 무장 봉기의 명분을 밝혔다.[43] 7월 8일에는 올리브 가지 청원을 영국 왕 조지 3세에게 보냈으나, 왕은 수령을 거부했다.

3. 2. 독립 선언

1776년 6월 7일, 버지니아 식민지 출신의 리처드 헨리 리는 대륙회의에 식민지 독립 결의안을 제출하면서, 외국과의 동맹 체결과 새로운 독립 주 연합 계획 마련을 촉구했다. 그는 “독립만이 외국과의 동맹을 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며, 영국의 식민지로 남아있는 이상은 어떤 유럽 국가도 관심을 가지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5] 7월 2일, 《리 결의안》으로 알려진 독립 결의안이 통과되었다. 이후 의회는 이 결의의 공식적인 해석에 주목했고, 7월 4일 〈미국독립선언〉을 채택하여 곧바로 간행했다. 미국독립선언은 8월 2일에 서명되었다.[6]

6월 11일, 독립을 정당화하는 선언문 작성을 위해 5인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위원회는 버지니아 식민지 출신 토머스 제퍼슨, 매사추세츠 식민지 출신 존 애덤스, 펜실베이니아 식민지 출신 벤자민 프랭클린, 코네티컷 식민지 출신 로저 셔먼, 뉴욕 식민지 출신 로버트 R. 리빙스턴으로 구성되었다.[7]

3. 3. 연합 규약 채택

1777년 11월 17일, 1년 이상 논의한 끝에 대륙회의는 ‘델로스 동맹’에 비견되는 〈연합규약〉을 통과시켜 각 주(State)의 비준을 위해 송부했다.[9] 큰 주는 발언권을 원했지만, 전제 정치를 두려워한 작은 주는 이를 무효화했다. 토머스 제퍼슨이 제안한 상원은 각 주를 대표하고, 하원은 각 주민을 대표하는 안은 부결됐다. (유사한 제안은 후에 미국 헌법에 채택되었다.) 작은 주의 주장대로 각 주가 각각 1표를 얻었다. 대륙회의는 이 규약을 각 주에서 최대한 빨리 비준하도록 재촉했지만, 모든 주에서 비준을 마칠 때까지 3년 반이 걸렸다.[9] 1777년 12월 16일에 버지니아가 연합 규약을 비준한 첫 번째 주가 되었고, 1781년 2월 2일에 메릴랜드가 비준하여 마지막 주가 되었다.

3. 4. 전쟁 수행과 외교

대륙회의는 세금을 징수할 권한이 없어 전쟁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었다. 각 주에 자금, 물자, 군대를 요청해야 했지만, 일부 주는 이러한 요청을 무시하기도 했다.[6] 이러한 재정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대륙회의는 외교적 노력을 통해 전쟁 수행에 필요한 지원을 확보하려 했다.

실리어스 딘을 프랑스에 파견하여 재정적, 군사적 지원을 요청했다.[5] 벤자민 프랭클린 또한 프랑스 주재 대사로서 프랑스로부터 대출을 확보하고, 약 6,000명의 프랑스 군 파병과 콩트 드 그라스 휘하의 대규모 프랑스 함대를 버지니아와 노스캐롤라이나 해안에 파견하도록 설득하는 데 성공했다.[12] 이 프랑스 함대는 요크타운 포위전에서 영국군이 보급품과 증원군을 받지 못하도록 봉쇄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2]

1783년에는 파리 조약을 통해 영국으로부터 미국의 독립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9] 이 조약은 파리에서 미국과 영국 외교관들 간의 협상을 통해 체결되었으며, 이후 영국 의회에서 비준되었다.[9]

4. 연합회의 (1781년 - 1789년)

Articles of Confederation|연합 규약영어은 1781년 3월 1일 13개 식민지 모두 비준하여 발효되었으며, 이에 따라 제2차 대륙 회의는 연합 규약 의회가 되었다.[9] 연합 규약 의회는 공식적으로 "결집된 연합의 미국"으로 불렸으며, 여러 주에서 온 대표들로 구성된 단원제 기구였다. 연합 규약의 기본 원칙은 각 주의 독립과 주권을 보존하는 것이었다. 연합 규약에 의해 수립된 약한 중앙 정부는 이전 식민지들이 국왕과 의회에 속한다고 인정한 권한만을 받았다.[10] 의회는 전쟁 선포, 조약 체결, 주 간 분쟁 해결 권한을 가졌으며, 돈을 빌리거나 인쇄할 수 있었지만, 과세 권한은 없었다.[9]

평화 시기에 연합 규약 의회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중요하고 오래 지속된 업적을 남겼다.[11]


  • 1787년 서북부 조례 통과: 펜실베이니아 서쪽과 오하이오 강 북쪽 토지에 대한 여러 주의 영유권 주장을 포기시키고, 서북부 영토 전체에 대한 미국 연방 정부 통제를 확립하여 새로운 주를 창설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 영토는 오하이오, 미시간, 인디애나, 일리노이, 위스콘신, 그리고 미네소타의 일부 주로 분할되었다.
  • 1786년 애나폴리스 회의에서 1787년 5월 필라델피아에서 추가 회의를 소집하여 연합 규약을 수정하고 정부 형태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안하기로 합의했다. 그 결과 1787년 필라델피아 회의가 개최되었다.


연합 규약 하에서 연합 규약 의회는 개별 주가 결정 사항을 준수하도록 강제할 힘이 거의 없었다. 각 주의 지도자들은 주 정부에서 봉사하는 것을 선호했기 때문에 대륙 의회는 정족수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미국 헌법이 채택되면서 연합 규약 의회는 미국 의회로 대체되었다.

연합 규약 의회는 연방 정부를 위한 행정 구조를 수립하여 재정, 전쟁, 외교의 3개 부서를 구성했다. 로버트 모리스가 재정 감독관으로 선택되었고, 프랑스 정부로부터 대출을 확보했다.

프랑스 주재 대사였던 벤자민 프랭클린은 대출을 확보하고, 프랑스가 약 6,000명의 군대를 미국에 파견하며 콩트 드 그라스 휘하의 대규모 프랑스 전함을 버지니아와 노스캐롤라이나 해안에 파견하도록 설득했다. 이 프랑스 전함들은 콘월리스 경의 영국군이 보급품, 증원군, 탈출을 받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요크타운 포위전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2]

재무부 장관인 로버트 모리스는 의회가 1781년 12월 31일에 북아메리카 은행을 설립하도록 설득했다. 북아메리카 은행은 프랑스가 빌려준 돈으로 부분적인 소유권을 얻었으며, 대영 제국과의 전쟁 자금 조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조지 워싱턴너새니얼 그린의 연합군은 프랑스 육군 및 해군의 도움을 받아 1781년 10월 요크타운 전투에서 영국군을 격파했고, 콘월리스 경은 평화를 요청하며 그의 모든 군대를 워싱턴 장군에게 항복해야 했다.

1783년, 미국인들은 파리에서 영국 외교관들과 협상을 거쳐 파리 조약을 1783년 9월 3일에 서명함으로써 대영 제국으로부터 미국의 독립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파리 조약은 이후 영국 의회에서 비준되었다.[9]

1781년 3월 1일, 13개 주가 모두 연합 규약을 비준함에 따라 대륙 회의는 연합 회의가 되었다.

5. 대륙회의의 조직과 구성

대륙회의는 영국 의회나 식민지 의회와는 다른 방식으로 조직되었다. 영국 의회와 식민지 의회는 강력한 의장과 상임 위원회를 두었고, 행정 권력은 영국 군주 또는 식민지 총독이 가지고 있었다. 반면 대륙회의는 1765년 인지세법 회의에 기반을 두어 조직되었다. 이 회의에 참석했던 9명의 대표가 1774년 제1차 회의에도 참석하여 대륙회의와 이후 연합 회의의 방향에 영향을 미쳤다.[13]

대륙회의는 외교 및 군사 문제 등 일반적으로 영국 국왕 평의회가 보유한 권한을 가졌지만, 세금 부과 및 무역 규제 권한은 의회가 아닌 각 주에 유보되었다. 의회는 주 정부에 조례를 시행할 공식적인 방법이 없었고, 대표들은 출신 주 의회에 책임을 지고 직접 보고했다.[13]

대표들은 토론 감시, 질서 유지, 회의록 관리, 문서 및 서한 게시와 전달을 위해 의장을 선출했다. 1776년 식민지들이 독립을 선언하고 연합한 후, 의장은 국가 원수 역할을 했으나, 그 직위는 "강력하기보다는 명예로웠다".[14] 의회는 서기, 필경사, 문지기, 메신저 및 군목도 선출했다.

의회 규칙은 각 대표에게 토론권과 발언에 대한 공개 접근을 보장했다. 각 주가 동등한 입장을 유지하도록 조례에 대한 투표는 주별로 한 표씩 행사했다. ''찬성'' 또는 ''반대'' 투표 전 각 주 대표단 내에서 예비 투표를 해 과반수 투표로 안건에 대한 주의 투표를 결정했고, 동점인 경우 주의 투표는 분할로 표시되어 집계되지 않았다.

대표 교체율은 연평균 37%,[15] 회기별 39%로 높았다.[16] 343명의 대표 중 55%(187명)만이 12개월 이상 참석했고,[15] 25명만이 35개월 이상 근무했다.[17] 이는 임기 제한 정책 때문으로, 연합 의회 단계에서 "어떤 대표도 6년 이내에 3년 이상 봉사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18] 회의 참석 인원은 유동적이었으며, 1774년부터 1788년 사이에 평균 35.5명이 참석했다.[19]

5. 1. 제1차 및 제2차 대륙회의에 참가한 식민지 및 대표

식민지대표
뉴햄프셔너새니얼 폴섬, 존 설리번
매사추세츠만존 애덤스, 새뮤얼 애덤스, 토머스 쿠싱, 로버트 트리트 페인
로드아일랜드스티븐 홉킨스, 새뮤얼 워드
코네티컷사일러스 딘, 엘리펄렛 다이어, 로저 셔먼
뉴욕존 올솝, 제임스 듀안, 존 제이, 필립 리빙스턴, 아이작 로, 사이먼 보럼, 존 해링, 헨리 위스너, 윌리엄 플로이드
뉴저지스티븐 크레인, 존 드 하트, 제임스 킨세이, 윌리엄 리빙스턴, 리처드 스미스
펜실베이니아에드워드 비들, 존 딕킨슨, 조지프 갤러웨이, 찰스 험프리스, 토머스 미플린, 존 모턴, 새뮤얼 로즈, 조지 로스
델라웨어토머스 맥킨, 조지 리드, 시저 로드니
메릴랜드새뮤얼 체이스, 로버트 골즈보로, 토머스 존슨, 윌리엄 파카, 매튜 틸먼
버지니아리처드 블랜드, 벤자민 해리슨 5세, 패트릭 헨리, 리처드 헨리 리, 에드먼드 펜들턴, 페이튼 랜돌프, 조지 워싱턴
노스캐롤라이나리처드 캐스웰, 조지프 휴스, 윌리엄 후퍼
사우스캐롤라이나크리스토퍼 개즈던, 토머스 린치 주니어, 헨리 미들턴, 에드워드 랏지, 존 랏지
조지아제1차 대륙회의에는 불참, 제2차 대륙회의에는 1775년 7월부터 라이먼 홀을 포함한 대표단 파견[49][50]


6. 대륙회의의 역사적 평가와 유산

대륙회의는 독립 전쟁을 성공적으로 이끌고 새로운 국가를 건설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지만, 그 효율성에 대해서는 다양한 평가가 존재한다. 제임스 매디슨은 대륙회의의 강제력 부족을 비판했지만,[20] 다른 학자들은 대륙회의가 당시의 제약 조건 속에서도 중요한 업적을 달성했다고 평가한다.[23][24]

조지 워싱턴은 의회가 군인들의 급여와 연금을 제대로 지급하지 않는 것에 대해 불만을 표했지만, 의회가 결국 "완전한 정의"를 실현할 것이라고 믿었다.[20] 매디슨은 1787년 ''정치 체제의 문제점''에서 대륙회의의 강제력 부재를 강하게 비판하며, 연방 헌법의 필요성을 역설했다.[20]

1980년대 정치학자 캘빈 질슨과 릭 윌슨은 대륙회의의 규범, 규칙, 제도적 구조가 기관의 실패에 책임이 있다고 분석했다.[21][22] 그러나 역사학자 리처드 P. 매코믹은 매디슨의 판단이 "새로운 중앙 정부를 만들려는 열망"에서 비롯된 것이며, 연합 의회의 권한이 모호했지만 무효는 아니었다고 지적했다.[23][24]

벤자민 어빈은 대륙회의가 저항 운동을 강화하고 미국 독립의 의미를 부여하는 전통을 만들었다고 평가했다.[25] 닐 올슨은 대륙회의가 강력한 당파적 계층 구조 없이도 많은 업적을 달성했으며, 특히 결함을 인식하고 이를 대체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27][29]

대륙회의의 경험은 이후 미국의 정치 제도, 특히 연방주의와 권력 분립 원칙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대륙회의는 민주주의와 공화주의 이념을 실현하고, 독립과 자유를 쟁취한 중요한 역사적 사례이다.

6. 1. 한국과의 관계 및 한국적 관점

대륙회의는 일제강점기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 특히 3·1 운동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과정은 대륙회의의 경험과 유사한 측면이 많다. 대륙회의의 독립 선언과 연합규약 제정은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에게 민족자결주의와 민주 공화주의 이념을 고취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초기 헌법 제정 과정에서, 대륙회의의 연합규약과 미국 헌법은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되었다. 대한민국 헌법에 명시된 국민 주권, 권력 분립, 민주 공화정의 원칙은 대륙회의의 정신과 그 맥락을 같이한다. 한국은 대륙회의와 마찬가지로, 연합 규약의 한계를 극복하고 강력한 중앙 정부를 수립하기 위한 헌법 개정 과정을 거쳤다.

참조

[1] 서적
[2] 웹사이트 The Boston Tea Party https://www.libertar[...] Cato Institute 2012-01-17
[3] 웹사이트 Suffolk Resolves, 1774 https://www.american[...] R.Squared Communications 2019-04-27
[4] 서적
[5] 서적
[6] 웹사이트 Milestones: 1776–1783 – Office of the Historian https://history.stat[...] 2021-10-13
[7] 서적
[8] 서적
[9] 웹사이트 Confederation Congress http://ohiohistoryce[...] Ohio History Connection 2019-04-27
[10] 서적
[11] 서적 Beginnings
[12] 서적 His Excellency: George Washington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간행물 Continental Congress Routledge
[21] 문서
[22] 문서
[23] 간행물 Ambiguous Authority: The Ordinances of the Confederation Congress, 1781–1789 1997-10
[24] 문서
[25] 서적 Clothed in Robes of Sovereignty: The Continental Congress and the People Out of Doors Oxford University Press
[26] 문서
[27] 문서
[28] 간행물 Journals of the Continental Congres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9] 문서
[30] 서적 Ratification: The People Debate the Constitution, 1787–1788 Simon & Schuster 2010
[31] 서적 Ratification: The People Debate the Constitution, 1787–1788 Simon & Schuster 2010
[32] 서적 The Origin and Growth of the American Constitution https://books.google[...]
[33] 문서 Continental Congress
[34] 서적 A Leap in the Dark Oxford University Press
[35] 서적 Jefferson's America, 1760-1815 Rowman & Littlefield
[36] 서적 The Foundations of American Nationality American Book Company.
[37] 서적 Great Debates in American Hist: From the Debates in the British Parliament on the Colonial Stamp Current Literature Pub. Butts.
[38] 서적 Common Sense Penguin Classics
[39] 서적 Ketchum
[40] 서적 Launitz-Schurer
[41] 서적 Journals of the Continental Congress, 1774–1789 http://memory.loc.go[...]
[42] 서적 Revolutionary America, 1763-1815
[43] 웹사이트 Find Documents: Results http://colet.uchicag[...]
[44] 웹사이트 Bancroft, Ch. 34, p.353 http://www.hti.umich[...]
[45] 서적 Miller (1948)
[46] 서적 Continental Congress
[47] 서적 Continental Congress
[48] 서적 Baron of Beacon Hill
[49] 서적 Journals of the Continental Congress, 1774–1789 http://memory.loc.go[...]
[50] 서적 ibid. http://memory.loc.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