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3기갑사단 (독일 국방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기갑사단은 1935년 독일 국방군에서 창설된 기갑사단으로, 베를린에 사령부를 두었다. 베르사유 조약으로 기갑부대 보유가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조약 폐기 후 창설된 세 기갑사단 중 하나였다. 스페인 내전, 오스트리아 병합, 폴란드 침공, 프랑스 침공, 바르바로사 작전 등 제2차 세계 대전 주요 전선에 참전했다. 특히 쿠르스크 전투에서 활약했으나, 이후 동부 전선에서 후퇴를 거듭하다가 1945년 오스트리아에서 미군에 항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국방군의 기갑사단 - 기갑교도사단
    기갑교도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의 정예 기갑사단으로, 주요 기갑학교 출신 병력과 최신예 전차 및 장비를 갖추고 노르망디 상륙 작전 등 주요 전투에 참전했으나 연합군에 패배하여 해체되었다.
  • 독일 국방군의 기갑사단 - 제1강하기갑사단 헤르만 괴링
    제1강하기갑사단 헤르만 괴링은 독일 공군 소속 정예 기갑 사단으로, 주요 전선에서 활약하며 전쟁 범죄에 연루되기도 했고, 이후 다른 사단과 통합되어 공수기갑군단으로 재편되었으나 동부 전선에서 궤멸적인 피해를 입었다.
  • 1938년 설립 - 허시 베어스
    허시 베어스는 초콜릿 제조업체 밀턴 허시가 설립한 북미에서 가장 오래된 프로 아이스하키팀 중 하나로, 1932년 창단되어 13회의 캘더컵 우승을 기록했으며 현재는 워싱턴 캐피털스의 AHL 제휴팀으로 활동하고 있다.
  • 1938년 설립 - 공주교육대학교
    공주교육대학교는 1938년 공주여자사범학교로 시작하여 초등교사 양성을 목표로 12개의 학부 과정을 운영하며, 교육대학원 및 국제 교류를 실시한다.
  • 1945년 폐지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35년간 지속된 시기로, 강제 병합, 경제적 착취, 정치적 억압, 문화적 동화 정책 등이 특징이며, 3·1 운동과 같은 독립 운동이 전개되었고, 위안부 문제 등 심각한 인권 유린이 있었으며, 현재까지도 다양한 논의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1945년 폐지 - 일본 제국 육군
    일본 제국 육군은 1871년부터 시작되어,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며 동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했고, 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 후 해체되어 육상자위대가 창설되었다.
제3기갑사단 (독일 국방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부대 정보
3rd and 20th Panzer Division 로고
부대 상징
명칭제3기갑사단
원어 명칭3. Panzer-Division
약칭3. PzDiv
존속 기간1935년 10월 15일 – 1945년 5월 8일
국가나치 독일
소속독일 국방군 육군
종류기갑
역할기갑전
규모사단
지휘 구조[[파일:Balkenkreuz.svg|20px]] 국방군
주둔지제3군관구: 베를린
별칭해당 없음
모토해당 없음
색상해당 없음
군가해당 없음
마스코트해당 없음
전투 및 작전
참전 전투폴란드 침공
벨기에 전투
프랑스 전투
바르바로사 작전
청색 작전
쿠르스크 전투
지휘관
주요 지휘관해당 없음
식별 부호
제2기갑사단 식별 부호
치타델레 작전 당시
제3기갑사단 로고
1943년 여름

2. 역사

제3기갑사단은 1935년 10월 15일[1] 제1기병사단(라이히스베어)과 제3기병사단(라이히스베어)의 일부 부대 및 기타 다양한 군 및 경찰 부대를 합쳐 편성되었으며, 베를린에 사령부를 두었다. 이는 당시 창설된 세 개의 기갑사단 중 하나였으며 (나머지 둘은 제1기갑사단제2기갑사단이었다),[2] 독일은 베르사유 조약을 통해 기갑부대 보유가 금지되었으나, 그해 초 조약을 폐기하고 기갑사단을 창설했다.[3][4]

당시 독일은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전차 개발이 크게 제한되어, 1935년 당시에는 기관총을 장착한 I호 전차 생산이 겨우 시작되었고, 2cm 포를 장착한 II호 전차는 시험 단계였다.[12][13]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일은 소련에서 몰래 전차를 개발하고 비밀 전차학교를 운영하는 등 조약을 위반해왔다.[3][4]

제3기갑사단 전차부대 일부는 I호 전차를 이끌고 스페인 내전에 파병된 콘도르 군단 지상군인 임카 전투단에 참가했다.[13] 또한 1938년 3월 오스트리아 합병에도 다른 기갑사단과 함께 참여했다.[4][13]

1939년 폴란드 침공에 참전했다. 폴란드 전역 당시 사단의 전차 전력은 다음과 같았다.[22]



1940년 프랑스 침공 및 1941년 소련 침공에 선두에서 참전했다.

1942년, 동부전선 코커서스까지 진격했으며, 1943년 쿠르스크 전투에서는 48 기갑군단 소속으서 11 기갑사단, 167 보병사단과 정예 기갑척탄병사단인 그로스도이칠란트 사단과 함께 싸웠다. 3 기갑사단은 주도권을 장악하고 소련군에 큰 피해를 입혔으며, 48 기갑군단의 우익을 보호했다. 쿠르스크에서 소련군의 반격 이후 3 기갑사단은 하르코프 방어에 실패하고 독일이 서쪽으로 밀려나면서 도망쳐야 했다. 1945년 초, 폴란드에서 헝가리로 이동한 3 기갑사단은 봄에 오스트리아로 다시 이동했고, 그곳에서 미군에게 항복했다.

2. 1.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제3기갑사단은 1935년 10월 15일[1] 제1기병사단(라이히스베어)과 제3기병사단(라이히스베어)의 일부 부대 및 기타 다양한 군 및 경찰 부대를 합쳐 편성되었으며, 베를린에 사령부를 두었다. 이는 당시 창설된 세 개의 기갑사단 중 하나였으며 (나머지 둘은 제1기갑사단제2기갑사단이었다),[2] 독일은 베르사유 조약을 통해 기갑부대 보유가 금지되었으나, 그해 초 조약을 폐기하고 기갑사단을 창설했다.[3][4]

당시 독일은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전차 개발이 크게 제한되어, 1935년 당시에는 기관총을 장착한 I호 전차 생산이 겨우 시작되었고, 2cm 포를 장착한 II호 전차는 시험 단계였다.[12][13]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일은 소련에서 몰래 전차를 개발하고 비밀 전차학교를 운영하는 등 조약을 위반해왔다.[3][4]

제3기갑사단 전차부대 일부는 I호 전차를 이끌고 스페인 내전에 파병된 콘도르 군단 지상군인 임카 전투단에 참가했다.[13] 또한 1938년 3월 오스트리아 합병에도 다른 기갑사단과 함께 참여했다.[4][13]

2. 2.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폴란드 침공에 참전했다. 폴란드 전역 당시 사단의 전차 전력은 다음과 같았다.[22]

제3기갑사단은 1939년 폴란드 침공에 참여하여 391대의 전차를 보유한, 당시 가장 많은 전차를 보유한 기갑사단이었다.[5] 북부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하며 포메라니아에서 출발하여 토룬을 거쳐 브레스트-리토프스크로 진격했다.[4]

1940년 5월, 제3기갑사단은 벨기에 전투에 참여하여 알베르트 운하를 경유하여 브뤼셀로 진격하고 프랑스로 진입했다.[6] 다른 독일 기갑사단과 마찬가지로 제3기갑사단도 1940년 후반에 2개 전차연대 중 하나를 다른 기갑사단 창설을 위해 넘겨주고 대신 보병연대를 편입했다.[6]

같은 해 이탈리아의 북아프리카 지원을 위해 리비아 파병을 준비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러나 1940년 10월 28일 그리스 침공으로 인해 히틀러에 의해 파병이 취소되었다. 대신 펠릭스 작전에 투입되었지만 작전 자체는 실행되지 않았다.[7]

1941년 6월 22일 시작된 소련 침공 작전인 바르바로사 작전에 제3기갑사단이 참여했다.[6] 초기에는 중앙 지역에서 진격했지만, 이후 남쪽으로 이동하여 키예프 전투에 참가했다. 그 후 모스크바 전투에 참여하여 툴라를 향해 진격했다. 1941년에서 1942년 겨울 소련의 반격이 시작되자 제3기갑사단은 예비 비상 병력으로 활동했고, 1942년 3월에는 하르키우 방어에 참여했다.

1942년 6월 동부 전선 남부 지역에서 독일군이 공격한 청색 작전에 참여하여 코커서스를 향해 진격했다. 처음에는 성공을 거두었지만, 결국 실패로 끝났고, 특히 모즈도크 전투에서 많은 사상자를 냈습니다. 로스토프 근처의 얼어붙은 아조프 해를 건너 겨우 포위망에서 벗어났다.[6]

1943년 쿠르스크 전투에서 3기갑사단은 48 기갑군단 소속으로 11 기갑사단, 167 보병사단과 정예 기갑척탄병사단인 그로스도이칠란트 사단과 함께 싸웠다. 3 기갑사단은 주도권을 장악하고 소련군에 큰 피해를 입혔으며, 48 기갑군단의 우익을 보호했다. 쿠르스크에서 소련군의 반격 이후 3 기갑사단은 하르코프 방어에 실패하고 독일이 서쪽으로 밀려나면서 도망쳐야 했다.

제3기갑사단은 쿠르스크 전투에 참여하여 벨고로드 서쪽에서 공격했다. 독일군의 실패 후 방어 및 후퇴 작전에 참여했고, 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동부 전선에 남아 우크라이나, 루마니아, 폴란드, 헝가리에서 싸웠다.[6] 1945년 초, 폴란드에서 헝가리로 이동한 3 기갑사단은 봄에 오스트리아로 다시 이동했고, 그곳에서 미군에게 항복했다. 대부분의 사단 병사들은 1945년 7월까지 포로 수용소에서 석방되었다.[8]

2. 2. 1. 폴란드 침공 (1939년)

1939년 폴란드 침공에 참전했다. 폴란드 전역 당시 사단의 전차 전력은 다음과 같았다.[22]

제3기갑사단은 1939년 폴란드 침공에 참여하여 391대의 전차를 보유한, 당시 가장 많은 전차를 보유한 기갑사단이었다.[5] 북부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하며 포메라니아에서 출발하여 토룬을 거쳐 브레스트-리토프스크로 진격했다.[4]

2. 2. 2. 프랑스 침공 (1940년)

1940년 5월, 제3기갑사단은 벨기에 전투에 참여하여 알베르트 운하를 경유하여 브뤼셀로 진격하고 프랑스로 진입했다.[6] 다른 독일 기갑사단과 마찬가지로 제3기갑사단도 1940년 후반에 2개 전차연대 중 하나를 다른 기갑사단 창설을 위해 넘겨주고 대신 보병연대를 편입했다.[6]

같은 해 이탈리아의 북아프리카 지원을 위해 리비아 파병을 준비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러나 1940년 10월 28일 그리스 침공으로 인해 히틀러에 의해 파병이 취소되었다. 대신 펠릭스 작전에 투입되었지만 작전 자체는 실행되지 않았다.[7]

2. 2. 3. 독소전쟁 (1941년 ~ 1945년)

1941년 6월 22일 시작된 소련 침공 작전인 바르바로사 작전에 제3기갑사단이 참여했다.[6] 초기에는 중앙 지역에서 진격했지만, 이후 남쪽으로 이동하여 키예프 전투에 참가했다. 그 후 모스크바 전투에 참여하여 툴라를 향해 진격했다. 1941년에서 1942년 겨울 소련의 반격이 시작되자 제3기갑사단은 예비 비상 병력으로 활동했고, 1942년 3월에는 하르키우 방어에 참여했다.

1942년 6월 동부 전선 남부 지역에서 독일군이 공격한 청색 작전에 참여하여 코커서스를 향해 진격했다. 처음에는 성공을 거두었지만, 결국 실패로 끝났고, 특히 모즈도크 전투에서 많은 사상자를 냈습니다. 로스토프 근처의 얼어붙은 아조프 해를 건너 겨우 포위망에서 벗어났다.[6]

1943년 쿠르스크 전투에서 3기갑사단은 48 기갑군단 소속으로 11 기갑사단, 167 보병사단과 정예 기갑척탄병사단인 그로스도이칠란트 사단과 함께 싸웠다. 3 기갑사단은 주도권을 장악하고 소련군에 큰 피해를 입혔으며, 48 기갑군단의 우익을 보호했다. 쿠르스크에서 소련군의 반격 이후 3 기갑사단은 하르코프 방어에 실패하고 독일이 서쪽으로 밀려나면서 도망쳐야 했다.

제3기갑사단은 쿠르스크 전투에 참여하여 벨고로드 서쪽에서 공격했다. 독일군의 실패 후 방어 및 후퇴 작전에 참여했고, 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동부 전선에 남아 우크라이나, 루마니아, 폴란드, 헝가리에서 싸웠다.[6] 1945년 초, 폴란드에서 헝가리로 이동한 3 기갑사단은 봄에 오스트리아로 다시 이동했고, 그곳에서 미군에게 항복했다. 대부분의 사단 병사들은 1945년 7월까지 포로 수용소에서 석방되었다.[8]

3. 부대 편제

1939년1941년1943년
valign=top |valign=top |valign=top |



제3기갑사단의 편성:[10]

1939년 – 폴란드1943년 – 동부 전선
width=50% |



다음은 제3기갑사단(독일 국방군)의 기본적인 편성 상태를 보여준다.[21]

3. 1. 1939년 (폴란드 침공)

제3기갑사단은 1939년 폴란드 침공 당시 제3기갑여단과 제3보병여단을 주축으로 편성되었다.[10] 제3기갑여단은 제5전차연대와 제6전차연대로 구성되었으며, 제3보병여단은 제32보병연대와 제3자동차보병대대를 포함하였다.[10] 그 외에도 제75포병연대, 제3정찰대대, 제39전차돌격대대, 제39공병대대, 제39통신대대, 제83보급대가 사단에 소속되어 있었다.[10]

제3기갑여단의 제5전차연대는 프랑스 침공 이후 제5경보병사단으로 개편되었으며, 이후 제21기갑사단으로 재편되었다.[10]

1939년 당시 제3기갑사단의 상세한 편제는 다음과 같다:

부대
3 저격여단 에버스발데
3 저격연대
* 1 저격대대
* 2 저격대대
3 오토바이저격대대
3 기갑여단 베를린
5 전차연대 뷘스도르프
* 1 전차대대
* 2 전차대대
6 전차연대 노이루핀
* 1 전차대대
* 2 전차대대
75 포병연대
* 1 포병대대
* 2 포병대대
3 자동차화 정찰대대
39 대전차대대
39 통신대
39 공병대대
39 사단 지원대


3. 2. 1943년 (동부 전선)

1943년, 제3기갑사단은 동부 전선에서 전투를 수행했다.[10] 주요 구성 부대는 다음과 같다:

  • 제6전차연대[10]
  • * 제1전차대대
  • * 제2전차대대
  • 제3기갑척탄병연대[10]
  • * 제1기갑척탄병대대
  • * 제2기갑척탄병대대
  • 제394기갑척탄병연대[10]
  • * 제1기갑척탄병대대
  • * 제2기갑척탄병대대
  • 제75포병연대[10]
  • * 제1포병대대
  • * 제2포병대대
  • * 제3포병대대
  • 제3기갑정찰대대[10]
  • 제314육군방공포대대[10]
  • 제543대전차대대[10]
  • 제39기갑통신대[10]
  • 제39기갑공병대대[10]
  • 제39사단지원대[10]

4. 시기별 배치 현황

wikitable

날짜군단집단군지역
1939년 9월19 군단4 군북부집단군폼메른, 폴란드
1939년 12월예비대6 군B 집단군니더라인
1940년 1월 - 1940년 5월예비대6 군B 집단군네덜란드, 벨기에
1940년 6월16 군단6 군B 집단군프랑스
1940년 7월 - 1940년 11월BdE--3 군관구 (독일)
1940년 12월 - 1941년 4월46 군단11 군C 집단군독일
1941년 월 - 1941년 6월3 군관구2 기갑집단-독일
1941년 7월 - 1941년 12월24 군단2 기갑집단중부집단군스몰렌스크, 키예프, 툴라
1942년 1월55 군단2 군중부집단군오렐
1942년 2월48 군단2 군중부집단군쿠르스크
1942년 3월예비대6 군남부집단군하리코프
1942년 4월17 군단6 군남부집단군하리코프
1942년 5월예비대OKH남부집단군하리코프
1942년 6월 - 1942년 7월40 군단6 군남부집단군돈강
1942년 8월 - 1943년 1월40 군단1 기갑군A 집단군코커서스, 테렉
1943년 2월-4 기갑군돈 집단군로스토프, 스탈리노
1943년 3월3 군단1 기갑군남부집단군미우스 강
1943년 4월 - 1943년 5월예비대1 기갑군남부집단군미우스 강
1943년 6월24 군단1 기갑군남부집단군미우스 강
1943년 7월48 군단4 기갑군남부집단군벨고로드
1943년 8월-켐프 전투단남부집단군하리코프
1943년 9월 - 1943년 10월3 군단8 군남부집단군드네프르강 (키예프)
1943년 11월24 군단4 기갑군남부집단군드네프르 (키예프)
1943년 12월3 군단8 군남부집단군체르카시
1944년 1월 - 1944년 2월48 군단8 군남부집단군체르카시
1944년 3월52 군단6 군A 집단군우만
1944년 4월40 군단6 군남우크라이나 집단군부크
1944년 5월40 군단6 군남우크라이나 집단군드니에스트르, Kishinev
1944년 6월 - 1944년 7월예비대6 군남우크라이나 집단군드니에스트르, Kishinev
1944년 8월48 군단4 기갑군북우크라니아 집단군바이셀, 바라노프
1944년 9월예비대2 군중부집단군나레브
1944년 10월23 군단2 군중부집단군나레브
1944년 11월 - 1944년 12월예비대2 군중부집단군나레브
1945년 1월72 군단6 군남부집단군헝가리
1945년 2월 - 1945년 3월3 군단6 군남부집단군헝가리
1945년 4월4 SS군단6 군남부집단군쉬타이어마르크
1945년 5월4 SS군단6 군오스트마르크 집단군쉬타이어마르크 (Steyr/Enns)


5. 역대 지휘관


  • 에른스트 페스만(Ernst Fessmann) 소장 (1935년 10월 15일 – 1937년 9월 30일)[9]
  • 레오 게이어 폰 슈베펜부르크(Leo Geyr von Schweppenburg) 중장 (1937년 10월 1일 – 1939년 10월 7일)[9]
  • 호르스트 슈툼프(Horst Stumpff) 중장 (1939년 10월 7일 – 1940년 9월)[9]
  • 프리드리히 쿤(Friedrich Kühn) 중장 (1940년 9월 – 1940년 10월 4일)[9]
  • 호르스트 슈툼프(Horst Stumpff) 중장 (1940년 10월 4일 – 1940년 11월 13일)[9]
  • 발터 모델(Walter Model) 중장 (1940년 11월 13일 – 1941년 10월 1일)[9]
  • 헤르만 브라이트(Hermann Breith) 중장 (1941년 10월 1일 – 1942년 10월 1일)[9]
  • 프란츠 베스토펜(Franz Westhoven) 중장 (1942년 10월 1일 – 1943년 10월 25일)[9]
  • 프리츠 바이어라인(Fritz Bayerlein) 중장 (1943년 10월 25일 – 1944년 1월 5일)[9]
  • 루돌프 랑(Rudolf Lang) 대령 (1944년 1월 5일 – 1944년 5월 25일)[9]
  • 빌헬름 필립스(Wilhelm Philipps) 중장 (1944년 5월 25일 – 1945년 1월 1일)[9]
  • 빌헬름 죄트(Wilhelm Söth) 소장 (1945년 1월 1일 – 1945년 4월 19일)[9]
  • 폴크마어 셰네(Volkmar Schöne) 대령 (1945년 4월 19일 – 1945년 5월 8일)[9]

참조

[1] 서적 Battistelli 2007
[2] 서적 Battistelli 2007
[3] 서적 Mitcham
[4] 서적 Mitcham
[5] 웹사이트 Orders of Battle – Heer Divisions including Heavy Panzer Battalions https://web.archive.[...] Historical Society of German Military History 2016-03-17
[6] 서적 Mitcham
[7] 서적 Ellis 2001
[8] 서적 Stoves
[9] 서적 Mitcham
[10] 웹사이트 Organizational History of the German Armored Formation 1939–1945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2016-06-15
[11] 서적 Battistelli 2007
[12] 서적 Mitcham
[13] 서적 Mitcham
[14] 웹사이트 Orders of Battle – Heer Divisions including Heavy Panzer Battalions https://web.archive.[...] Historical Society of German Military History 2016-03-17
[15] 서적 Ellis 2001
[16] 문서 페리키스 작전은 최종적으로 시행되지 않았다.
[17] 서적 Mitcham
[18] 웹사이트 Organizational History of the German Armored Formation 1939–1945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2016-04-22
[19] 서적 Mitcham
[20] 서적 Stoves
[21] 서적 Mitcham
[22] 웹사이트 achtungpanzer.com http://www.achtungp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