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SS의용산악사단 프린츠 오이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7SS의용산악사단 프린츠 오이겐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의 무장친위대에 소속된 산악 사단이다. 유고슬라비아 침공 이후 바나트 지역의 독일계 주민(폴크스도이체)을 중심으로 편성되었으며, 사보이 공자 오이겐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주로 발칸 반도에서 대(對)파르티잔 작전에 투입되었으며, 코파오니크 작전, 슈바르츠 작전 등에 참여했다. 이 과정에서 민간인 학살 등 다수의 전쟁 범죄를 저질렀으며, 종전 후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에 항복한 후 병력 대부분이 처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장친위대 산악사단 - 친위대 제13무장산악사단 한트샤르
친위대 제13무장산악사단 한트샤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가 보스니아 무슬림을 주축으로 창설하여 크로아티아 독립국 내 파르티잔 진압 작전에 투입되었으며, 창설 배경, 반란, 잔혹 행위 등으로 악명을 떨치다 전쟁 후 구성원들이 전범 재판에 회부되거나 아랍-이스라엘 전쟁에 참전하기도 했다. - 무장친위대 산악사단 - 제6SS산악사단 노르트
제6SS산악사단 노르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에 소속되어 동부 및 서부 전선에서 활동하다가 1945년 독일 항복과 함께 해산된 산악 사단이었다. - 무장친위대의 사단 - 슈츠슈타펠
슈츠슈타펠은 나치 독일의 핵심 조직으로, 히틀러 경호 부대에서 시작하여 힘러 지휘 아래 권력을 휘두르며 나치 정권의 범죄에 깊이 관여, 전후 범죄 단체로 규정되어 해체되었다. - 무장친위대의 사단 - 친위대 제13무장산악사단 한트샤르
친위대 제13무장산악사단 한트샤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가 보스니아 무슬림을 주축으로 창설하여 크로아티아 독립국 내 파르티잔 진압 작전에 투입되었으며, 창설 배경, 반란, 잔혹 행위 등으로 악명을 떨치다 전쟁 후 구성원들이 전범 재판에 회부되거나 아랍-이스라엘 전쟁에 참전하기도 했다. - 1941년 설립 - 미국 육군 항공대
미국 육군 항공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급격히 성장하여 최대 규모의 병력과 항공기를 보유했던 미합중국 육군의 항공전 부대였으나, 1947년에 미국 공군으로 재편되었다. - 1941년 설립 - 청주교육대학교
1941년 청주사범학교로 설립된 청주교육대학교는 국립대학교로서, 1963년 폐교 후 1984년 4년제 대학으로 재개교하여 초등교원 양성에 힘쓰고 있으며, 교육연수원, 평생교육원, 부설초등학교 등의 부속기관을 두고 있다.
제7SS의용산악사단 프린츠 오이겐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명칭 | 제7SS의용산악사단 "프린츠 오이겐" |
원어 명칭 | 7. SS-Freiwilligen Gebirgs-Division "Prinz Eugen" (독일어) |
별칭 | 프린츠 오이겐 |
표어 | "Vorwärts, Prinz Eugen!" (전진하라, 프린츠 오이겐!) |
복무 기간 | 1942년 – 1945년 |
소속 | 무장친위대 |
유형 | 산악엽병 |
역할 | 대게릴라전, 산악전 |
규모 | 사단 |
지휘부 | |
주요 지휘관 | 아르투르 플렙스 카를 폰 오버캄프 오토 쿰 아우구스트 슈미트후버 |
전투 및 작전 참가 | |
주요 전투 | 제2차 세계 대전 코파오니크 작전 화이트 작전 블랙 작전 쿠겔블리츠 작전 뢰셀슈prung 작전 |
휘장 | |
![]() | |
기사 철십자 훈장 수훈자 | |
참모부 | 오토 쿰 아르투르 펠프스 |
제1SS산악엽병연대 프린츠 오이겐 | 하인리히 페테르젠 |
제2SS산악엽병연대 | 베른하르트 디트셰 |
제14SS의용산악엽병연대 | 프란츠요제프 크롬볼츠 |
제7SS산악수색분견대 프린츠 오이겐 | 에게르트 노이만 |
제1007SS돌격포분견대 프린츠 오이겐 | 하리 팔레타 |
각주 | ": 제2SS기갑사단에서 기사십자 수훈 및 곡엽 추가}}" ": 제5SS산악군단에서 곡엽 추가}}" |
2. 역사
2. 1. 편성 (1941-1942)
1941년 4월 6일 추축국의 유고슬라비아 침공, 점령, 해체 이후, 국방군은 중부 세르비아, 코소보 북부 (코소브스카 미트로비차 주변), 바나트를 군정 하에 두었다. 이 사단은 1941년 말, 침공 이후 독일어를 사용하는 도나우 슈바벤인의 바나트 자치 지역의 ''셀브스트슈츠''(Selbstschutz, 자위대)에서 처음으로 형성되었다. 이 부대는 사보이 공자 오이겐의 이름을 따서 ''프린츠 오이겐''이라고 명명되었다. 그는 합스부르크 제국의 뛰어난 군사 지도자였으며,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바나트와 베오그라드를 1716-18년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에서 해방시켰다. 사단의 조직에서 핵심 인물은 세르비아의 상급 친위대 및 경찰지도자, ''SS-오베르그루펜퓌러 운트 제너럴로이트난트 데어 폴리차이''(경찰 장군) 아우구스트 마이즈너였다.초기의 ''폴크스도이체''의 급증 이후, 자원 입대는 줄어들었고, 새로운 부대는 사단 규모에 미치지 못했다. 따라서 1941년 8월, 친위대는 자원 방식을 버리고, 베오그라드의 SS 법원의 호의적인 판결을 받은 후, 독일 제국인이 아닌 바나트의 모든 ''폴크스도이체''에게 의무 군사 복무를 부과했는데, 이는 최초의 사례였다. 강제 징병의 이유 중 하나는 초기 모집 이후 사단에 지원한 자원병의 수가 실망스러울 정도로 적었기 때문이었다(5,000명 이하).[2] 사단은 이름상 "자원"으로 남아 있었지만, 징집된 민족 독일인 중 부대에 적극적으로 입대하려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2] 국가지도자-SS 하인리히 힘러는 ''폴크스도이체''의 희망은 무의미하다고 발표했으며, 발칸 독일인과 관련하여 SS 징병 책임자 고틀로프 베르거는 "''kein Mensch [kümmert] [sich ja] darum, was wir unten mit unseren Volksdeutschen tun''"(우리 민족 독일인들을 가지고 남부에서 우리가 무엇을 하든 아무도 신경 쓰지 않는다)라고 언급했다.[2]
발칸의 민족 독일인들은 무력했고, SS 징병에 반대할 수 없었다. 민족 독일인들이 부대에서 복무하려 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1943년 보스니아에서 발생한 사단의 173명의 크로아티아계 독일인의 반란으로 나타났는데, 혼혈인들이 독일어를 하지 못했고, 그 결과 상급자들에게 학대를 받았다. 이들 중 다수는 다양한 이유로 크로아티아 국방군에서 복무하는 것을 선호했다. 힘러가 이 문제에 개인적으로 개입했다.[3]

1942년, 판체보에 주둔한 이 부대는 산악 사단으로 선포되었다. 병력은 상당량의 비표준 독일 무기를 지급받았고, ZB-53과 같은 체코슬로바키아 기관총과 프랑스 경전차와 같은 노획 장비를 사용했다. 그들은 10.5 cm 게비르그하우비체 40 곡사포와 7.5 cm 게비르그게슈츠 36 산포와 같은 훌륭한 독일제 산악 포병을 받았다. 사단이 창설되었을 때, 발칸반도에 반(反)파르티잔 산악 사단으로 배정되었다.
1942년, 주로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헝가리, 루마니아의 민족 독일인의용병을 중심으로 의용 산악엽병 사단으로 편성되었지만, 장비는 반드시 독일군 정식 장비가 아니었고, 체코제 기관총이나 프랑스제 전차 등을 지급받은 부대도 있었다. 사단의 준비가 완료되자, 파르티잔 활동이 격렬한 발칸 반도에 투입되었다.
1942년 10월, 이 사단은 세르비아의 코파오니크 산, 고치 산, 야스트레바츠 산에서 체트니크를 상대로 코파오니크 작전이라는 이름의 독일-불가리아 대 게릴라 공세를 이끌었다. 이 작전은 메이저 드라구틴 케세로비치가 지휘하는 유고슬라비아 조국군의 라시나 군단을 파괴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그 본부는 크리바 레카 마을에 위치해 있었다.[4] 1942년 10월 초, 이 사단은 크랄레보, 우지체, 이바니차, 차차크, 라슈카, 코소브스카 미트로비차, 노비 파자르 등 세르비아 남서부에 배치되었다. 1942년 10월 5일, 사단장 아르투어 플렙스는 독일군과 불가리아군에게 적을 섬멸하라고 명령했다. 2만 명의 무장하고 훈련된 병력이 4방향에서 1,500명의 세르비아 게릴라를 포위하는 포괄적인 공격이 계획되었다. 이 작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새로 창설된 SS 사단의 첫 군사 작전을 참관하기 위해, 히믈러가 독일 점령 지역인 크랄레보를 직접 방문했다. 히믈러는 1942년 10월 15일부터 18일까지 크랄레보에 머물면서 사단을 시찰했다. 독일군과 불가리아군은 1942년 10월 12일 새벽, 네 방향에서 체트니크 영토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5] 그러나 케세로비치는 그의 부대에게 더 작은 분대로 재편성하여 기동과 침투를 쉽게 하도록 명령했고, 라시나 군단은 추축군의 포위망에서 탈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단의 첫 번째 주요 작전은 실패로 끝났다. 독일군과 불가리아군은 체트니크 자유 영토를 정리했지만(그리고 그 과정에서 세르비아 민간인에 대한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 체트니크는 점령군의 손길이 닿지 않는 곳으로 성공적으로 철수했다. ''프린츠 오이겐''은 다음으로 이바르 강 동쪽 산맥의 세르비아-몬테네그로 국경에서 대 게릴라 활동에 참여했다. 사단은 이바르 강(Ibar River) 동쪽의 산악 지대에 있는 세르비아 - 몬테네그로 국경에서 활동을 시작했으며, 이후 이탈리아군과 함께 자그레브 - 카를로바츠 지구에서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이끄는 파르티잔을 소탕하는 바이스(Weiß) 작전에 종사했지만, 파르티잔은 공격을 회피하여 작전은 실패로 끝났다. 1942년5월, 전 유고슬라비아군 드라자 미하일로비치 장군이 이끄는 체트니크를 소탕하는 슈바르츠 작전(Operation Schwarz)에 종사했다.
2. 2. 발칸 반도에서의 작전 (1942-1945)
1942년 10월, 사단은 세르비아에서 드라구틴 케세로비치가 지휘하는 체트니크를 상대로 코파오니크 작전을 실시했다.[4] 이 작전은 크리바 레카에 본부를 둔 유고슬라비아 조국군의 라시나 군단을 파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4] 10월 초, 사단은 크랄레보, 우지체, 이바니차, 차차크, 라슈카, 코소브스카 미트로비차, 노비 파자르 등 세르비아 남서부에 배치되었다.[5] 아르투어 플렙스 사단장은 2만 명의 병력으로 1,500명의 세르비아 게릴라를 포위 공격하도록 명령했다.[5] 하인리히 힘러는 새로 창설된 SS 사단의 첫 군사 작전을 참관하기 위해 크랄레보를 방문하여 10월 15일부터 18일까지 사단을 시찰했다.[5] 그러나 케세로비치는 부대를 소규모 분대로 재편성하여 포위망을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5]사단의 첫 주요 작전은 실패로 끝났지만, 이후 이바르 강 동쪽 산맥의 세르비아-몬테네그로 국경에서 대 게릴라 활동에 참여했다. 이후 크로아티아의 자그레브-카를로바츠 지역에서 제4차 대파르티잔 공세 (작전 바이스)에 참여하여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지휘하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을 격퇴하려 했으나, 대부분의 파르티잔이 주 공격을 피하면서 작전은 실패했다. 작전 바이스 I에서 사단은 카를로바츠 지역에서 유고슬라비아 민족 해방군 (NOVJ)에 맞서 1월 29일 파르티잔의 비공식 수도인 비하치를 점령했다. 작전 바이스 II에서는 서부 보스니아에서 헤르체고비나의 모스타르 지역으로 진격했으며, 사라예보 북서쪽에도 부대를 배치했다.

1943년 5월 15일부터 6월 15일까지, ''프린츠 오이겐''은 제5차 대파르티잔 공세 (작전 슈바르츠)에 참여하여 약 20,000명의 티토의 주력을 보스니아 남동부의 젤렌고라 산에 고립시키려 했다.[6][7][8][9] 사단은 아드리아 해와 이탈리아 점령 알바니아로의 파르티잔 진격을 막고 포위망의 남동쪽 부분을 봉쇄한 후 북쪽으로 진격하여 파르티잔 부대를 격파하는 임무를 받았다.[10] 5월 20일부터 11일 동안 샤브니크를 점령하여 ''돌격대지도자'' 디에체와 지휘관 플렙스는 기사십자 철십자 훈장을 받았다.[10] 수테스카 강 왼쪽 제방을 방어하던 사단의 두 개 대대는 NOVJ 제1 달마티아 타격 여단과 제5 몬테네그로 여단의 공격을 받아 제엔티슈테에서 밀려났으나, 야간 전투를 통해 위치를 회복하고 파르티잔 부대를 격파했다.[11] 작전 슈바르츠에서 사단은 총 613명의 손실을 입었다.[12]

1943년 8월, 사단은 제15 산악 군단에 배속되었고, 이탈리아 항복 후 달마티아 해안으로 보내져 현지 이탈리아군을 무장 해제했다.[13] 티토의 군대가 달마티아 해안의 대부분을 장악했지만, 16일간의 전투에서 사단은 NOVJ 부대를 격퇴하고 9월 29일 스플리트를 재점령하여 저항하는 이탈리아군을 항복시켰다. 10월, 사단은 오미쉬, 플로체, 비오코보에서 작전 란트슈투름에 참여했다. 스플리트와 비오코보 해안가 전투에서 ''프린츠 오이겐''은 1,582명의 손실을 입었다.
1943년 10월 22일, 사단은 제7 SS 의용 산악 사단 ''프린츠 오이겐''으로 개칭되었다. 11월, V SS 산악 군단에 배속되어 달마티아에서 쿠겔블리츠 및 슈네스투름에 참여했다.[13] 1944년 1월, 발트라우스 작전에 참여했고, 5월 25일에는 일곱 번째 대 유격대 공세 (뢰셀스프룽 작전)에 참여하여 티토를 사살하거나 체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4] 이 작전에는 500 SS 강하엽병 대대와 브란덴부르크 연대가 참여했다.[14]
5월, 6월, 7월에 걸쳐 ''프린츠 오이겐''은 자유 사냥 작전, 로즈 작전, 소방대 작전에서 더 많은 작전을 수행했다. 8월 12일부터 30일 사이에는 루베찰 작전에 참여하여 몬테네그로에서 슈마디야와 서부 세르비아로 진격하려는 NOVJ 부대의 공세를 막는 것을 목표로 했다.
9월, 소련 붉은 군대가 발칸 반도로 진격했고, 사단은 니시 지역에서 불가리아군, 소련군, NOVJ 연합군과의 방어 전투에서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9월 21일, 아르투어 플렙스 초대 사단장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사단의 다음 작전은 베오그라드 공세에 맞서 크랄레보 교두보를 방어하는 것이었고, 이는 E 집단군이 그리스와 에게해에서 독일군 35만 명의 후퇴를 가능하게 할 통로를 여는 데 필수적이었다.
11월 초, 제21 무장 친위대 산악사단 ''스칸데르베그''는 해산되었고, 잔여 병력은 ''프린츠 오이겐''의 제14 연대에 통합되어 ''스칸데르베그'' 명예 칭호를 받았다.[13] 1945년 1월, 사단은 부코바르에서 소비에트 적군과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과의 전투를 거듭했다. 1945년 4월, 사단은 크로아티아까지 후퇴했고, 5월 10일, 슬로베니아의 첼레로 후퇴하여 11일에 티토 파르티잔에게 항복했다. 항복한 사단 병사 1,600명이 총살당하거나, 통신대 보조 여성은 몸이 말뚝에 꿰여 살해당했다.
2. 3. 종전과 해체 (1945)
1945년 1월, 이 사단은 크로아티아의 오토크와 부코바르에서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을 상대로 작전을 수행했다. 2월에는 비로비티차 지역에서 유고슬라비아 교두보를 상대로 한 작전 베어울프에 참여했다. 같은 해 1월, 부코바르에서 소비에트 적군과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과의 전투를 거듭했다.1945년 4월, "프린츠 오이겐"은 크로아티아를 거쳐 퇴각하면서 보스니아에서 오스트리아로 철수를 계속했다. 보스니아로부터의 철수는 그 후에도 이어져, 사단은 크로아티아까지 후퇴했다. 5월 10일, 이 사단은 슬로베니아의 첼레로 이동했다. 거기서 5월 11일, 독일의 항복으로 유럽에서 제2차 세계 대전이 공식적으로 종전된 지 3일 만에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에 항복했다. 항복한 사단 병사 1,600명이 총살당하거나, 통신대 보조 여성은 몸이 말뚝에 꿰여 살해당했다.
유고슬라비아군에 포로로 잡힌 "프린츠 오이겐"의 모든 병력은 이후 살해되었다. 대부분은 재판 없이 대량 처형되었으며, 항복 직후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되었다. 이 살해 행위는 처벌받지 않았으며, 티토가 포로를 수용소에 구금하고 전범을 심사하라는 엄격한 지침에 정면으로 반하여, 현지 유고슬라비아 사령관들의 명령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2010년, 약 2,000명의 "프린츠 오이겐" 병사의 유해가 포함된 대규모 매장지가 슬로베니아 브레지체 마을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이 병사들은 옷이 벗겨지고 전화선으로 묶인 채 총살되었으며, 1945년 5월 22일, 즉결 처분으로 참호에 매장되었다. 많은 병사들의 가족들은 동유럽 전역에서 독일어를 사용하는 인구의 인종 청소 과정에서 유고슬라비아군에 의해 사망한 수만 명의 현지 민간인 중 일부였다.
의도적인 파괴로 추정되는 이 사단의 전쟁 일지 손실은 사단 자체와 더 넓은 유고슬라비아 전역에 대한 역사 기록에 상당한 공백을 초래했다.
3. 전쟁 범죄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무장친위대는 전쟁 포로 살해 및 점령 국가에서 자행된 잔혹 행위 등 전쟁 범죄와 반인도적 범죄에 연루되어 범죄 조직으로 판결받았다. 다만, 징집되어 개인적으로 범죄를 저지르지 않은 사람들은 예외였다.
제7SS의용산악사단 프린츠 오이겐은 잔혹 행위로 악명이 높았다. 1946년 8월 6일, 뉘른베르크 재판에서는 "제7SS 사단, ''프린츠 오이겐''은 잔혹함으로 유명하다"고 언급되며, 이들이 세르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등지를 지나며 불길과 황폐, 무고한 민간인 시체를 남겼다고 지적했다.
1942년 9월, SS 프린츠 오이겐 부대원들은 로고즈나 산의 마을에서 세르비아 민간인 18명을 살해하고, 밀을 훔치고 강제 노동을 시켰다. 10월에는 코파오니크 작전 중 민간인에게 보복하고 여러 마을을 불태웠으며, 크리바 레카 마을에서는 120명의 민간인이 교회에 갇혀 불에 타 죽었다. 코파오니크의 다른 마을과 고치 산의 마을에서도 민간인 학살이 자행되었다.
1942년 12월, 블라제보 등 여러 마을에서 민간인 29명이 살해되고 가옥 40채가 불탔다. 아릴레 근처 브레코보에서는 무기 발견을 이유로 11명이 처형되고 시청 등이 불탔다. 토폴라에서는 파르티잔 지원 혐의로 30명 이상이 체포, 고문, 처형되었다. 1943년 1월, 포제가 남쪽에서 12명이 체포되어 11명이 처형되었다.
1943년 1월, 바이스 I 작전 중 카를로바츠 지역에서 민간인 276명이 살해되었다. 2월에는 369(크로아티아) 보병 사단 등과 함께 그르메치를 공격하여 민간인을 학살했다. 바이스 II 작전 중 레사노브치 근처에서 난민 행렬을 공격하여 수백 명의 희생자가 발생했다. 전후 조사에 따르면, 이 작전들에서 3,370명의 민간인이 살해되고 1,722명이 강제 수용소로 이송되었다.
1943년 5월 말과 6월 초, 슈바르츠 작전 중 돌리 피브스키 학살에서 다수의 민간인과 전쟁 포로가 살해되었다. 두브, 부코바크 등 보스니아 및 세르비아 마을 주민들이 체포되어 돌리 피브스키 마을에서 살해되었으며, 희생자 수는 약 400명에서 522명에 이른다.
1943년 7월 12일, 로팀랴에서 66명, 코슈티차에서 68명의 민간인이 살해되었는데, 이들 중 상당수는 15세 미만이었다.
1943년 9월, 스플리트 방향 진격 중 이모스키, 시니 등지에서 크로아티아 마을 주민 230명이 살해되었다. 스플리트 점령 후에는 이탈리아 장교 48명과 장군 3명이 처형되었다. 11월에는 시니에서 인질 25명이 처형되었다.
1944년 3월, 카메슈니차 근처 마을에서 1,525명의 민간인이 살해되었다. 1944년 7월, 드라웅게르 작전 이후 벨리카에서 약 550명의 세르비아 마을 주민이 학살당했다.
몬테네그로의 닉시치 지역에서도 파르티잔 소탕 작전 중 잔혹 행위가 자행되었다. 이들은 만나는 모든 것을 불태우고 살해, 약탈했으며, 특히 여성, 노인, 어린아이를 가리지 않고 학살했다. 조사 결과 121명(대부분 여성)이 끔찍한 방식으로 처형되었으며, 여기에는 60~92세 노인 30명과 6개월~14세 어린이 29명이 포함되었다.
4. 사단장
다음은 사단을 지휘한 장교들이다.
- 아르투어 푈프스 (1942년 1월 30일 – 1943년 5월 15일)''무장SS의 SS-그루펜퓌러이자 중장''
- 카를 폰 오버캄프 (1943년 5월 15일 – 1944년 1월 30일)''무장SS의 SS-브리게데퓌러이자 소장''
- 오토 쿰 (1944년 1월 30일 – 1945년 1월 20일)''무장SS의 SS-브리게데퓌러이자 소장''
- 아우구스트 슈미트후버 (1945년 1월 20일 – 1945년 5월 8일)''무장SS의 SS-브리게데퓌러이자 소장''
사단의 네 명의 사령관 중 한 명(푈프스)은 전투에서 전사했으며, 두 명은 벨그라드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1947년에 처형되었으며, 네 번째(쿰)는 다하우 수용소의 벽을 넘어 도주하여 유고슬라비아로의 인도를 피할 수 있었다.
5. 부대 구성
사단 참모부는 사단 본부와 지원 부대로 구성되었다.
제7SS의용산악사단 프린츠 오이겐은 다음과 같은 주요 전투 부대로 구성되었다.
- 제7 SS 의용 산악엽병 연대
- 제14 SS 의용 산악엽병 연대 "스칸데르베르크"
- 제7 SS 의용 산악포병 연대
- 제7 SS 의용 산악 정찰 대대 (mot)
- 제7 SS 전차 대대
- 제7 SS 대전차포de 대대
- 제7 SS 산악 공병 대대
- 제7 SS 산악 대공포 대대
- 제7 SS 자전거 대대
- 제7 SS 기병 대대
- 제7 SS 산악 통신 대대
- 제7 SS 산악 예비 대대
이 외에도, 사단은 의무, 수의, 종군 기자, 야전 헌병, 정비, 보급, 군수, 군사 지질 등 다양한 지원 부대를 보유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다음과 같이 부대 편제가 변경되었다.
- 제7SS 의용 산악 연대 13 "아르투어 플렙스"(SS-Volunteer-''Gebirgsjäger''-Regiment 13 ''Artur Phleps'')
- 제7SS 의용 산악 연대 14 "스칸데르베그"(SS-Volunteer Gebirgsjäger-Regiment 14 ''Skanderbeg'')
- 제7SS 의용 산악 포병 연대(SS-Volunteer ''Gebrigs'' Artillery Regiment 7)
- 제7SS 의용 산악 정찰 대대(기동)(SS-Volunteer ''Gebirgs''-Reconnaissance Battalion (mot) 7)
- 제7SS 전차 대대(SS-''Panzer''-Battalion 7)
- 제7SS 산악 대전차 대대(SS-''Gebirgs''-Panzerjägerde Battalion 7)
- 제7SS 돌격포 대대(SS-''Sturmgeschutz'' Battalion 7)
- 제7SS 산악 공병 대대(SS-''Gebirgs''-Pionier-Battalion 7)
- 제7SS 방공 대대(SS-''Flak'' Battalion 7)
- 제7SS 자전거 정찰 대대(SS-''Radfahr''-Reconnaissance Battalion 7)
- 제7SS 기병 대대(SS-Cavalry Battalion 7)
- 제7SS 오토바이 대대(SS-Motorcycle Battalion 7)
- 제7SS 산악 통신 대대(SS-''Gebirgs''-Signals Battalion 7)
- 제7SS 예비 대대(SS-Reserve Battalion 7)
- 제7SS 의무 대대(SS-Medical Battalion 7)
- 제7SS 의용 산악 수의 중대(SS-Volunteer ''Gebirgs'' Veterinary Company 7)
- 제7SS 의용 산악 종군 기자 소대(SS-Volunteer ''Gebirgs'' War Reporter Platoon 7)
- SS 선전반(SS-Propaganda-''Zug'')
- 제7SS 야전 헌병대(SS-''Feldgendarmerie''-Troop 7)
- 제7SS 정비 중대(SS-''Werkstatt''-Company 7)
- 제7SS 보급 중대(SS-''Nachshub''-Company 7)
- 제7SS 예비 대대(SS-Reserve Battalion 7)
- 제7SS 군수 대대(SS-''Wirtschafts''-Battalion 7)
- 제7SS 군사 지질 대대(SS-Wehrgeologisches-Battalion 7)
참조
[1]
문서
Official designation in German language as to "Bundesarchiv-Militärarchiv" in Freiburg im Breisgau
Wehrmacht and Waffen-SS
[2]
논문
Mutiny in the Balkans: Croat Volksdeutsche, the Waffen-SS and Motherhood
East European Quarterly
2002
[3]
논문
Mutiny in the Balkans: Croat Volksdeutsche, the Waffen-SS and Motherhood
East European Quarterly
2002
[4]
문서
The Chetniks were a threat to the Germans because they were able to break the German road communications and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war materiel intended for Erwin Rommel's forces in the Second Battle of El Alamein—through the Morava−Vardar valley. Losses were inflicted on Keserovićev's detachments and the local population by the constantly pursuing enemy forces.
[5]
문서
German combat group "North" marched to the top of Željin, and a secondary group to the top of Kavalj. Combat group "South" conducted a comprehensive movement in the area around Gobelja, located 17 km northwest of Raška. Combat group "West" concentrated its forces in the valley 5 km from Banje. Combat group "East" took a position west of Brus.
[6]
서적
Yugoslavia as History: Twice There Was a Count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7]
서적
The history of Serbia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2
[8]
서적
Waffen-SS, Volume 7 de World War II Arsenal Series
Merriam Press
1999
[9]
서적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 Volume 2; Volume 5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10]
서적
VORWÄRTS, PRINZ EUGEN! – Geschichte der 7. SS-Freiwilligen-Division "Prinz Eugen"
Munin-Verlag, Coburg
1978
[11]
서적
PRVA DALMATINSKA PROLETERSKA BRIGADA
Vojnoizdavački zavod, Beograd
1986
[12]
문서
NARA records, T-314, roll 560, frame 750–751
[13]
서적
German Order of Battle: Panzer, Panzer Grenadier, and Waffen SS divisions in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Stackpole Books
2007
[14]
서적
Vorwärts, Prinz Eugen!: Geschichte d. 7. SS-Freiwilligen-Division "Prinz Eugen"
https://books.google[...]
Munin
1978
[15]
서적
Balkan Genocides: Holocaust and Ethnic Cleansing in the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1-10-16
[16]
뉴스
Massengrab in Slowenien entdeckt: Eine eineinhalb Meter starke Schicht von Skeletten
https://www.faz.net/[...]
2010-11-11
[17]
웹사이트
Serbia site bears on Germans' plight
https://www.latimes.[...]
2008-06-29
[18]
서적
Partisanenkrieg in Jugoslawien 1941–1944
Verlag E.S. Mittler & Sohn GmbH
[19]
서적
German Minorities in Europe: Ethnic Identity and Cultural Belonging
https://books.google[...]
Berghahn
2015-06-22
[20]
웹사이트
The trial of German major war criminal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Military Tribunal sitting at Nuremberg Germany
https://avalon.law.y[...]
[21]
뉴스
'Genocide' Controversy Erupts over WWII Massacres in Montenegro
https://balkaninsigh[...]
2021-07-28
[22]
웹사이트
Trials of German Major War Criminals: Volume 20
http://www.nizkor.or[...]
nizkor.org
2015-06-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