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악엽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악엽병은 산악 지형에서의 전투를 전문으로 하는 군 병과를 의미한다. 이들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란데스쉬첸 연대에서 유래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알펜코르프의 전통을 이어받았다. 산악엽병은 에델바이스 휘장을 사용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국방군과 무장친위대에서 다수의 부대가 창설되어 활약했다. 현대에는 독일 연방군에 제23 산악엽병 여단이 존재하며, 극한 기상 조건, 동계전, 시가지 전투, 북극, 산악 및 사막 지형에서의 전투를 수행한다. 산악엽병은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 다양한 국가에서 운용되고 있으며, 각국마다 고유한 특징과 전통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악병 - 산악병대장
    산악병대장은 독일 국방군의 병과대장 계급 중 하나로, 산악병 부대를 지휘하는 장성급 장교에게 부여되었으며, 에델바이스 계급장으로 식별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군사사 - 니더란데 국가판무관부
    니더란데 국가판무관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이 네덜란드를 점령하여 설치한 행정 기구로, 아르투어 자이스-잉쿠아르트가 제국 총독으로 민정을 실시하며 네덜란드를 나치즘에 동화시키려 했으나, 연합군의 해방으로 종결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군사사 - 라인란트 진주
    라인란트 진주는 제1차 세계 대전 후 비무장화된 독일 라인란트 지역에 대한 독일의 재무장으로, 히틀러는 이를 통해 베르사유 조약을 위반하고 유럽의 세력 균형을 변화시켜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이어지는 긴장을 고조시켰다.
산악엽병
개요
종류보병
역할산악전
동계전
스키 전투
규모대대 ~ 사단
별칭에델바이스 군인
애칭산악 사냥꾼
역사
기원1915년 5월
창설 국가독일 제국
관련 전쟁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코소보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독일 연방군
활동 시기1956년 – 현재
소속독일 연방군
규모사단
현재 부대제23산악보병여단
제230산악보병대대
상징
에델바이스 휘장
에델바이스 휘장
상징에델바이스
기타
주요 인물페르디난트 쇠르너
에두아르트 디틀
루트비히 크뤼벨
베르너 폰 브라운
관련 항목제1산악사단
제2산악사단
제3산악사단
제5산악사단
제6산악사단
제7산악사단
제8산악사단
제9산악사단
제10산악사단

2. 역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산악엽병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3개 ''란데스쉬첸'' 연대에서 유래되었다. 현대 독일의 산악엽병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알펜코르프의 특정 전통을 이어받고 있다. 두 나라의 산악엽병은 모두 1907년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에 의해 오스트리아-헝가리 ''란데스쉬첸'' 연대의 상징으로 제정된 에델바이스 휘장을 공유한다. 이 병사들은 에델바이스를 군복 칼라에 착용했다. 알펜코르프가 1915년 5월부터 이탈리아군에 맞서 오스트리아 남부 전선에서 ''란데스쉬첸''과 함께 복무했을 때, ''란데스쉬첸''은 에델바이스 휘장을 그들에게 수여함으로써 ''알펜코르프'' 병사들을 기렸다.[1]

1916년 스키와 설상 위장을 한 독일 제국 병사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국방군무장친위대는 소매와 모자에 에델바이스 휘장을 달아 식별되는 산악 보병 부대를 창설했다.[1] 이 사단들은 경무장되었으며, 운송 수단의 상당 부분은 노새가 담당했다. 일반 보병보다 자동 화기는 적었지만, MG 34 또는 MG 42 기관총 사수에게는 더 많은 탄약이 지급되었다.[3] VZ.33 소총을 기반으로 한 G33/40 마우저 소총 등 특수 장비도 제작되었다.[4] 산악엽병은 베저 운동, 은여우 작전, 백금 여우 작전, 북극 여우 작전 및 북극광 작전을 포함한 많은 작전에 참여했다. 또한 코카서스 전투, 크레타 침공, 발칸 전역, 고딕 선, 프랑스 보주 지역에서의 전투에도 참전했다.

1942년 말 코카서스 전투 중의 산악엽병 부대


1956년 분데스베어 창설과 함께 산악 보병은 서독 육군의 독특한 병과로 부활했다. 2001년까지 이들은 제1 산악사단으로 편성되었으나, 냉전 종식에 따른 분데스베어 감축의 일환으로 해체되었다.[5] 후속 부대는 바트 라이헨할에 사령부를 두고 있는 제23 산악엽병 여단이며, 2008년부터는 "제23 산악엽병 여단 ''바이에른'' (바이에른주)"으로 불린다. 2020년 중반, 이 여단의 병력은 약 5,300명이었다.[6]

독일 산악 부대의 전통적인 상징인 에델바이스가 표시된 제23 산악엽병 여단 배지.


오늘날 오스트리아군 산악엽병의 전통은 서부 오스트리아의 제6 산악 여단이 계승하고 있다.

특수 훈련을 받은 스위스 산악 부대는 1892년 제3군단 창설과 함께 스위스 육군의 일부가 되었다.[9] 1967년에는 안데르마트에 중앙 산악 전투 학교가 개설되었다.[10]

2. 1. 기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산악엽병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3개 ''란데스쉬첸'' 연대에서 유래되었다. 현대 독일의 산악엽병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알펜코르프의 특정 전통을 이어받고 있다. 두 나라의 산악엽병은 모두 1907년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에 의해 오스트리아-헝가리 ''란데스쉬첸'' 연대의 상징으로 제정된 에델바이스 휘장을 공유한다. 이 병사들은 에델바이스를 군복 칼라에 착용했다. 알펜코르프가 1915년 5월부터 이탈리아군에 맞서 오스트리아 남부 전선에서 ''란데스쉬첸''과 함께 복무했을 때, ''란데스쉬첸''은 에델바이스 휘장을 그들에게 수여함으로써 ''알펜코르프'' 병사들을 기렸다.[1]

2. 2.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국방군무장친위대는 소매와 모자에 에델바이스 휘장을 달아 식별되는 산악 보병 부대를 창설했다.[1]

이 사단들은 경무장되었으며, 운송 수단의 상당 부분은 노새가 담당했다. 일반 보병보다 자동 화기는 적었지만, MG 34 또는 MG 42 기관총 사수에게는 더 많은 탄약이 지급되었다.[3] VZ.33 소총을 기반으로 한 G33/40 마우저 소총 등 특수 장비도 제작되었다.[4]

산악엽병은 베저 운동, 은여우 작전, 백금 여우 작전, 북극 여우 작전 및 북극광 작전을 포함한 많은 작전에 참여했다. 또한 코카서스 전투, 크레타 침공, 발칸 전역, 고딕 선, 프랑스 보주 지역에서의 전투에도 참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독일 국방군 육군과 무장친위대는 산악엽병 부대를 강화했지만, 이들 사단의 질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예를 들어 제1 산악 사단(1. Gebirgsdivision)은 엘리트 부대로 분류되었지만, 제13SS무장산악사단 한자르(크로아티아 제1)는 전투에서 신뢰성이 떨어지는 부대로 평가받았다.

2. 2. 1. 국방군 산악 사단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국방군과 무장친위대는 소매와 모자에 에델바이스 휘장을 착용하여 식별되는 다수의 산악 보병 부대를 창설했다.[1]

이 사단들은 경무장되었으며, 운송 수단의 상당 부분은 노새에 의해 제공되었다. 그들은 일반 보병보다 적은 수의 자동 화기를 장비했지만, MG 34 또는 MG 42 기관총 사수에게는 일반 보병보다 더 많은 탄약이 지급되었다.[3] 그들을 위해 VZ.33 소총을 기반으로 한 G33/40 마우저 소총을 포함한 특수 장비가 제작되었다.[4]

산악 보병은 베저 운동, 은여우, 백금 여우, 북극 여우 및 북극광 작전을 포함한 많은 작전에 참여했다. 그들은 또한 코카서스, 크레타 침공, 발칸 전역, 고딕 선, 그리고 프랑스 보주 지역에서의 전투에 참전했다.

  • 제1 산악사단(나중에는 제1 ''국민 산악'' 사단)
  • 제2 산악사단
  • 제3 산악사단
  • 제4 산악사단
  • 제5 산악사단
  • 제6 산악사단
  • 제7 산악사단(이전에는 제99 경보병 사단)
  • 제8 산악사단(이전에는 제157 사단, 제157 예비 사단, 제157 산악사단)
  • 제9 산악사단(이전에는 그림자 사단 ''슈타이어마르크'' 및 zbV 140 사단)
  • 제188 산악사단(이전에는 제188 사단, 제188 예비 산악사단)

2. 2. 2. 무장친위대 산악 사단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무장친위대는 다수의 산악 보병 부대를 창설했다. 이 부대들은 소매와 모자에 에델바이스 휘장을 착용하여 식별되었다.[1]

이 사단들은 경무장되었으며, 운송 수단의 상당 부분은 노새에 의해 제공되었다. 그들은 일반 보병보다 적은 수의 자동 화기를 장비했지만, MG 34 또는 MG 42 기관총 사수에게는 일반 보병보다 더 많은 탄약이 지급되었다.[3] 그들을 위해 VZ.33 소총을 기반으로 한 G33/40 마우저 소총을 포함한 특수 장비가 제작되었다.[4]

산악 보병은 베저 운동, 은여우, 백금 여우, 북극 여우 및 북극광 작전을 포함한 많은 작전에 참여했다. 그들은 또한 코카서스, 크레타 침공, 발칸 전역, 고딕 선, 그리고 프랑스 보주 지역에서의 전투에 참전했다.

무장친위대 산악 사단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제6 SS 산악 사단 "노르트"
  • 제7 SS 의용 산악 사단 "프린츠 오이겐"
  • 제13 무장 SS 산악 사단 "한자르" (제1 크로아티아)
  • 제21 무장 SS 산악 사단 "스칸데르베그" (제1 알바니아)
  • 제23 무장 SS 산악 사단 "카마" (제2 크로아티아)
  • 제24 무장 SS 산악 사단 "카르스트예거"

2. 3. 현대

1956년 분데스베어가 창설되면서 산악 보병은 서독 육군의 독특한 병과로 부활했다. 2001년까지 이들은 '''제1 산악사단'''으로 편성되었으나, 냉전 종식에 따른 분데스베어 감축의 일환으로 해체되었다.[5] 후속 부대는 바트 라이헨할에 사령부를 두고 있는 '''제23 산악엽병 여단'''이며, 2008년부터는 "제23 산악엽병 여단 ''바이에른'' (바이에른주)"으로 불린다. 2020년 중반, 이 여단의 병력은 약 5,300명이었다.[6]

오늘날 오스트리아군 산악엽병의 전통은 서부 오스트리아의 '''제6 산악 여단'''이 계승하고 있다.

특수 훈련을 받은 스위스 산악 부대는 1892년 제3군단 창설과 함께 스위스 육군의 일부가 되었다.[9] 1967년에는 안데르마트에 중앙 산악 전투 학교가 개설되었다.[10]

2. 3. 1. 독일



1956년 분데스베어 창설과 함께 산악 보병은 서독 육군의 독특한 병과로 부활했다. 2001년까지 이들은 제1 산악사단으로 편성되었으나, 냉전 종식에 따른 군축으로 해체되었다.[5] 후속 부대는 바트 라이헨할에 사령부를 둔 제23 산악엽병 여단이다. 이 부대의 대대는 독일의 유일한 고산 지역인 북부 알프스 산맥과 접해 있는 바이에른 남부에 배치되어 있다. 2008년부터 이 부대는 바이에른 주와 ''산악엽병'' 간의 긴밀한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공식적으로 "제23 산악엽병 여단 ''바이에른'' (바이에른주)"으로 불린다.

2020년 중반, 분데스베어 공식 웹사이트는 이 여단의 병력이 약 5,300명이라고 밝혔다.[6]

독일 산악엽병의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다.

  • 극한 기상 조건에서의 전투
  • 동계전
  • 시가지 전투
  • 북극, 산악 및 사막 지형에서의 전투


2024년 4월 1일 현재, 여단 편성은 다음과 같다.

부대위치비고
-- 제23 산악엽병 여단[8]바트 라이헨할
제23 산악엽병 여단 참모 및 통신 중대바트 라이헨할
제230 산악 군용 운반 동물 작전 및 훈련 센터
바트 라이헨할
제231 산악엽병 대대
바트 라이헨할Bv206S 장비
제232 산악엽병 대대
비쇼프스비젠Bv206S 장비
제233 산악엽병 대대
미텐발트Bv206S 장비
제23 산악 정찰 중대퓌센
제23 산악 공병 중대잉골슈타트
제23 산악 보급 중대바트 라이헨할, 미텐발트
산악 및 동계 전투 훈련 기지
미텐발트제23 산악엽병 여단 소속 아님



제23 산악엽병 여단은 소위 안정화 부대의 일부이기 때문에 포병은 배속되어 있지 않다. 박격포 지원은 각 산악 보병 대대의 ''Schwere Jägerkompanie'' (중보병 중대)에서 제공한다.

Bv 206S 구급차. 206S는 독일 산악 보병의 표준 수송 차량이다.


산악 보병 대대는 5개 중대 약 900명의 병사로 구성된다. 한 개 중대는 참모 및 지원 임무를 담당하며, "호흐게비르크스예거추크"(고산 전투 및 정찰을 위한 특수 소대)를 갖추고 있다. 세 개 중대는 전형적인 산악 보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른 한 개 중대는 비젤 장갑차를 갖춘 중장비 중대로, 박격포 지원, 대전차 방어, 20mm 기관포를 이용한 지원 사격을 수행한다. 세 개의 산악 보병 대대 중 두 개는 Hägglund 206S를, 한 개는 GTK 복서를 장비하고 있다.

게비르크스예거(Gebirgsjäger, 산악 보병) 장비 (선택):

2. 3. 2. 오스트리아

오늘날 오스트리아 산악 보병의 전통은 서부 오스트리아의 '''제6 산악 여단'''이 계승하고 있다.[1]

오스트리아군의 현역 산악엽병 부대 목록 (2013년 기준)
부대위치
제6 산악 여단압삼
제6 참모대대 (본부 대대)인스브루크
제23 예거대대 (산악 보병 대대)블루데쉬
제24 예거대대 (산악 보병 대대)리엔츠
제26 예거대대 (산악 보병 대대)슈피탈
제2 공병대대 (전투 공병 대대)잘츠부르크


2. 3. 3. 스위스

특수 훈련을 받은 스위스 산악 부대는 1892년 제3군단 창설과 함께 스위스 육군의 일부가 되었다.[9] 1967년에는 안데르마트에 중앙 산악 전투 학교가 개설되었다.[10]

3. 특징 및 전통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산악엽병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3개 ''란데스쉬첸'' 연대에서 유래되었다. 현대 독일의 산악엽병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알펜코르프의 특정 전통을 이어받고 있다. 두 나라의 산악엽병은 모두 1907년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에 의해 오스트리아-헝가리 ''란데스쉬첸'' 연대의 상징으로 제정된 에델바이스 휘장을 공유한다. 이 병사들은 에델바이스를 군복 칼라에 착용했다. 알펜코르프가 1915년 5월부터 이탈리아군에 맞서 오스트리아 남부 전선에서 ''란데스쉬첸''과 함께 복무했을 때, ''란데스쉬첸''은 에델바이스 휘장을 그들에게 수여함으로써 ''알펜코르프'' 병사들을 기렸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국방군과 무장친위대는 소매와 모자에 에델바이스 휘장을 착용하여 식별되는 다수의 산악 보병 부대를 창설했다.[1] 이 사단들은 경무장되었으며, 운송 수단의 상당 부분은 노새에 의해 제공되었다. 그들은 일반 보병보다 적은 수의 자동 화기를 장비했지만, MG 34 또는 MG 42 기관총 사수에게는 일반 보병보다 더 많은 탄약이 지급되었다.[3] 그들을 위해 VZ.33 소총을 기반으로 한 G33/40 마우저 소총을 포함한 특수 장비가 제작되었다.[4]

1956년 Bundeswehr가 창설되면서 산악 보병은 서독 육군의 독특한 병과로 부활했다. 2001년까지 이들은 '''제1 산악사단'''으로 편성되었으며, 냉전 종식에 따른 분데스베어 감축의 일환으로 해체되었다.[5] 후속 부대는 Bad Reichenhall에 사령부를 두고 있는 '''제23 산악엽병 여단'''이다. 2008년부터 이 부대는 바이에른 주와 ''산악엽병'' 간의 긴밀한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공식적으로 "제23 산악엽병 여단 ''바이에른'' (바이에른주)"으로 불린다. 2020년 중반, 분데스베어 공식 웹사이트는 이 여단의 병력이 약 5,300명이라고 밝혔다.[6]

독일 산악엽병이 특징적인 옷과 부츠를 착용한 정복을 입고 있다.


회색 산악모를 착용한 독일 연방군 육군 병사. "Wache"(바헤)라고 적힌 완장은 경계 근무를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산악 보병 부대는 왼쪽 측면에 에델바이스가 있고 줄기가 앞쪽으로 향한 회색 모자('Bergmütze')를 착용한다.[7] 이는 베레모를 착용하는 다른 모든 독일군 병사들과, 에델바이스의 줄기가 뒤쪽을 향하는 오스트리아군과 구별된다. 전통적인 알프스 산악 등반 복장('Berganzug')을 기반으로 한 정복은 표준적인 독일군 주류 제복과도 다르며, 경량 회색 스키 블라우스('Skibluse'), 검은색 고삐 바지('Keilhose') 또는 특히 여름 기간 동안에는 무릎 길이의 반바지('kniebundhose')는 니커보커스와 유사하고, 발목 높이의 등산 부츠('Bergstiefel') 또는 다용도 등산 스키 부츠로 구성된다.

독일 ''게비르크스예거''는 전통적으로 매우 돈독한 전우애와 뚜렷한 군기를 공유한다. 또한 일상적인 근무 중 장교와 병사 간의 비교적 격식 없는 관계에서 볼 수 있는 특별한 규율에 대한 인식이 있다. 산악엽병대 병사는 에델바이스를 왼쪽에 단 회색모자(산악모)를 착용하며, 이는 다른 모든 독일군 병사가 착용하는 베레모나 약모와 구별된다. 전통적인 스키복을 기반으로 한 군복 또한 표준적인 독일군 군복과는 다르며, 스키 재킷, 스트레치 트라우저 및 스키 부츠로 구성되어 있다. 근위 저격대 행진곡("Kaiserjägermarschde" 1914년)은 독일 및 오스트리아 산악엽병대의 전통적인 군대 행진곡이다.

4. 기타 산악 부대

참조

[1] 서적 Alpine Elite: German Mountain Troops of World War II Jane's Publishing
[2] 서적 Alpine Elite: German Mountain Troops of World War II Jane's Publishing
[3] 간행물 Some Notes on German Mountain Warfare http://www.lonesentr[...] 1944-03
[4] 서적 Mauser Military Rifles of the World Gun Digest Books
[5] 웹사이트 Treaty on the Final Settlement with Respect to Germany, article 3(2) http://usa.usembassy[...]
[6] 웹사이트 Heer https://www.bundeswe[...] 2020-09-15
[7] 서적 Dienstvorschriften Nr. 14/97. Bezug: Anzugordnung für die Soldaten der Bundeswehr. ZDv 37/10 http://doczz.com.br/[...]
[8] 웹사이트 Gebirgsjägerbrigade 23 - Organisation https://www.bundeswe[...] Deutsches Heer 2024-06-08
[9] 문서 Heinrich Wirz: ''100 Jahre Gebirgsarmeekorps 3 (1892–1992)''. In: ''Schweizer Soldat'', Nr. 6, 1992.
[10] 서적 Unser Alpenkorps, ''chapter on Die Nachkriegszeit'' Switzerland
[11] 웹사이트 Colorado National Guard Soldiers to hone mountain skills at Vail https://www.army.mil[...] US Army 2020-1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