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갈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갈서는 조위와 서진 시대에 걸쳐 활약한 인물이다. 조위에서는 태산태수, 옹주자사 등을 역임했으며, 255년 관구검의 난 당시 동오의 손준 군을 격퇴하는 데 기여했다. 263년 촉 정벌에 참여하여 종회, 등애와 함께 지휘관으로 임명되었으나, 강유의 계략에 빠져 퇴각을 허용하고 종회의 모함으로 군세를 빼앗겼다. 서진 시대에는 태상과 위위를 지냈다. 그의 딸 제갈완은 서진 무제의 후궁이 되었으며, 후손들은 서진 조정에서 고위직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진 사람 - 육기
    육기는 동오 황실과 관련된 인물로, 오나라 멸망 후 서진에서 문인 관료로 활동하며 문학적 재능을 발휘했고, 팔왕의 난 시기에는 군 지휘관으로 활동하다 모함으로 처형당했다.
  • 서진 사람 - 석륵
    석륵은 갈족 출신으로 노예 생활과 산적 생활을 거쳐 유연의 한에 귀순한 뒤 세력을 키워 후조를 건국하고 화북 지역을 장악한 오호십육국 시대의 군주이다.
  • 조위 사람 - 반악
    반악은 서진 시대의 문인으로, 빼어난 문학적 재능과 외모로 명성을 얻었지만 사마륜의 쿠데타로 처형되었으며, 슬픔과 비애를 섬세하게 표현한 작품으로 태강문학을 이끌었다고 평가받는다.
  • 조위 사람 - 신헌영
    신헌영은 삼국시대 위나라와 서진 시대의 여성으로, 뛰어난 지혜와 통찰력으로 조비의 경솔함을 지적하고 고평릉 사변에서 동생을 도왔으며 종회의 반란을 예측하는 등 선견지명을 보였고, 그녀의 지혜와 덕망은 사마의에게 인정받았으며 검소한 생활 태도는 모범이 되었다.
제갈서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제갈서
원어 이름諸葛緒
직책위위 (衛尉)
태상 (太常)
관직 역임옹주자사 (雍州)
태산태수 (泰山)
출생지산동성沂南縣
자녀제갈충
제갈홍
친척제갈완 (손녀, 제갈충의 딸)
제갈전 (손자, 제갈완의 형)
제갈매 (손자, 제갈전의 동생)

2. 생애

제갈서는 낭야군 양도현(陽都縣) 출신으로, 현재의 산둥성 이난현에 해당한다. 그는 제갈근, 제갈량, 제갈탄 등과 같은 본관을 공유하여 먼 친척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55년, 위나라 장수 관구검문흠이 수춘(壽春, 현재의 안후이성 수현)에서 관구검과 문흠의 난을 일으켰을 때, 제갈서는 태산군(泰山郡, 현재의 산둥성 타이안시 일대)의 태수(太守)로 재직하고 있었다. 그는 태산군에서 군대를 이끌고 나와 섭정 사마사가 이끄는 위나라 군대를 지원하여 반란을 진압했다.

263년, 촉한을 공격하는 위의 촉 정벌에 참여하여 3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강유를 음평(陰平)의 다리에서 막아 양안관(陽安關)으로의 지원을 차단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러나 강유는 공한곡(孔函谷)을 통해 옹주를 공격하는 척했고, 이에 속은 제갈서는 군대를 음평에서 30 리 후퇴시켰다. 강유는 이 틈을 타 음평의 다리를 건넜고, 제갈서는 뒤늦게 이를 알고 강유를 막으려 했지만, 이미 하루가 늦었다. 이후 종회가 양안관에서 남쪽으로 진격하여 백수(白水)에 이르렀을 때, 등애는 제갈서와 합류하여 강유(江油)의 적 진지를 함께 공격하려 했지만, 제갈서는 이를 거부하고 백수로 이동하여 종회와 합류했다. 종회는 제갈서를 겁쟁이라고 비난하고, 그의 군대 지휘권을 빼앗아 포로로 옹주에 돌려보냈다.

2. 1. 조위 시기

정원 2년(255년), 관구검의 난을 틈타 동오의 승상 손준이 쳐들어오자, 태산태수로서 연주자사 등애의 지휘를 받아 여장 땅에서 손준 군을 저지했다.[18] 후에 옹주자사가 되어, 263년 종회, 등애와 함께 촉 정벌전의 대장이 되었다.[18]

등애는 답중에 주둔한 강유를 공격하는 한편, 제갈서는 음평 교두에 주둔하여 강유가 물러나 양안관을 구원하지 못하게 했다. 그러나 강유가 공함곡으로 빠져나와 북쪽으로 나아가 옹주를 공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이에 속아 30리나 후퇴하여 강유가 교두를 빠져나와 검각으로 퇴각하는 길을 열어주었다. 뒤늦게 추격했을 때에는 강유가 하루 전에 이미 교두를 나간 뒤였다. 등애가 음평 길로 나아가 강유성을 치려 하자, 이를 따르지 않고 백수관으로 가 종회와 합류했다. 이로 인해 종회의 고발을 받아 군세를 빼앗기고 도읍에 소환되었다.

2. 2. 서진 시기

서진 건국 후, 제갈서는 태상을 거쳐 위위를 역임하였다.[19] 사마염이 선양을 받아 황위에 오르고, 그의 어머니 왕원희황태후가 되자, 제갈서는 숭화궁(황태후 궁전)의 위위에 임명되었다.[16]

3. 가계


  • -|]]


제갈서는 최소한 두 아들을 두었는데, 정위를 역임한 제갈충(諸葛冲)과 제갈굉(諸葛厷)이다.[5]

제갈충의 딸 제갈완은 273년 봄에 사마염의 후궁(삼비 중 하나)으로 간택되었다.[6] 제갈완의 형제 제갈매는 후에 주목(周穆)의 여동생과 결혼했는데, 그들의 매형은 진 무제와 진 부인의 아들이자 사마탄의 아버지인 사마하였다.[7] 307년 2월 또는 3월에[8] 제갈매와 주목[9]은 모두 진 회제의 섭정인 사마월에게 사마탄을 황위에 앉히라고 조언했지만, 사마월은 그들의 제안에 격분하여 그들을 처형했다.[10]

제갈완의 오빠 제갈권은 311년 5월 5일에 왕연과 다른 많은 진나라 관리 및 황족들과 함께, 그해 4월 사마월의 사망 이후 석륵에 의해 살해되었다.[11] 제갈충의 아들 제갈전[17], 제갈매도 고관으로 승진했다. 제갈충과 그의 딸 제갈완, 그리고 그의 형제들에 대한 기록은 방현령 등이 저술한 『진서』 후비전에 실려있다.

참조

[1] 서적 Jin Shu
[2] 서적 Jin Shu
[3] 서적 Sanguozhi
[4] 서적 Sanguozhi
[5] 서적 Shishuo Xinyu
[6] 서적 Jin Shu
[7] 서적 Jin Shu
[8] 서적 Jin Shu 0307-02-19
[9] 문서
[10] 서적 Jin Shu
[11] 서적 Jin Shu
[12] 문서
[13] 문서
[14] 서적 삼국지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서적 삼국지
[19] 서적 진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