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 (조나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사는 조나라의 법률가이자 장군으로, 조나라 말기에 활약했다. 그는 토지세 징수원으로 시작하여, 평원군의 세금 체납 문제를 공정하게 처리하여 능력을 인정받아 국가 전체의 세금 징수원이 되었다. 진나라의 침략에 맞서 어여를 구원하는 과정에서 뛰어난 전략과 용병술을 발휘하여 '마복군'에 봉해졌다. 그는 장평대전 이전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조괄은 장평 전투의 지휘관이 되었으나 패배했다. 조사의 후손들은 '마복군'의 '마'를 성씨로 사용하였으며, 사마천은 그의 업적을 높이 평가하여 《사기》에 열전을 수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춘추 전국 시대의 장군 - 오기
오기는 중국 전국 시대의 군사 전략가이자 정치가로, 여러 나라에서 활약하며 군사적 업적을 세우고 초나라 재상으로 법가 개혁을 추진하여 부국강병을 이끌었으며, 《오자병법》을 저술했다. - 춘추 전국 시대의 장군 - 감무
감무는 중국 전국시대 진나라의 장군이자 정치가로, 혜문왕, 무왕, 소양왕 3대에 걸쳐 활약하며 군사적 공을 세웠으나, 참소를 받아 망명 후 위나라에서 생을 마감했다. - 기원전 3세기 중국 사람 - 장자
장자는 중국 전국 시대의 철학자로, 《장자》를 저술하여 개인의 자유와 무위자연의 삶을 추구했으며 노장사상으로 도교에 영향을 미쳤다. - 기원전 3세기 중국 사람 - 진 시황제
진 시황제는 중국 최초로 중국을 통일하고 황제 칭호를 사용한 인물로, 전국 통일 후 군현제 실시, 도량형과 문자 통일 등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를 구축했으나 분서갱유와 대규모 토목 공사, 불로불사 추구 등으로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하는 논쟁적인 인물이다. - 생몰년 미상 - 유급
유급은 전한 말기에 신양후에 봉해졌으나, 전한 멸망으로 작위를 잃은 유영의 아들이다. - 생몰년 미상 - 야스케
야스케는 16세기 일본에 기록된 최초의 아프리카인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특별한 대우를 받았으며, 혼노지의 변에서 함께 싸웠으나 이후 행적은 불확실하고,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소재로 활용된다.
조사 (조나라) | |
---|---|
기본 정보 | |
이름 | 조나라 사(奢) |
작위 | 마복군(馬服君) |
활동 시기 | 중국 전국 시대 |
국적 | 조나라 |
직업 | 장군, 관료 |
생애 | |
주요 업적 | 세금 징수관 시절 공평한 세금 징수 알여산 전투 승리 |
알여산 전투 | 진나라 군대 격파 조나라의 위기 극복 |
특징 | 군사적 재능 용병술에 능통 공평하고 청렴한 성품 |
평가 | |
사마천 평가 | 《사기》에서 염파, 인상여와 함께 언급, 조나라의 명신으로 평가 |
후대 평가 | 조나라를 지탱한 중요한 인물 중 하나로 인정받음 |
2. 생애
조사(趙奢)는 조나라에서 토지세 징수원으로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높은 지위는 아니었지만, 법에 따라 직무를 수행했다. 당시 유력 귀족이었던 조승이 세금을 내지 않자, 조사는 조승 가문의 관리 9명을 처형했다.[3] 조사는 조승에게 귀족으로서 법을 준수하고 모범을 보여야 한다고 꾸짖었다. 조승은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조사에게 사과한 후 조 혜문왕에게 추천했고, 조사는 국가 전체의 토지세 징수원으로 승진했다.
기원전 271년, 진나라가 한나라를 공격하면서 조나라 영토를 침범했다. 진나라 군대는 한단에서 멀리 떨어진 어여(閼與)에 접근했다. 염파는 어여를 포기할 것을 권했지만, 조사는 좁은 길에서 싸우는 것은 용감한 쪽이 이길 것이라고 주장했다.
조 혜문왕은 조사를 어여 구원군 사령관으로 임명했다. 조사는 군대를 가볍게 무장시키고 진나라 군대 후방에 도달했다. 진나라 군대는 포위될 것을 두려워하여 공격을 멈추고 조나라 군대에 집중했다. 조사는 군대를 산에 숨기고, 해질녘에 진나라 군대를 매복 공격하여 격파했다. 조 혜문왕은 조사를 마복(馬服) 지역의 행정관으로 임명하여 포상했다.[4]
조사는 이 승리 후 몇 년 만에 사망했다. 그의 아들 조괄은 장평 전투의 지휘관을 맡았으나 대패했다.
조사의 후손들은 마복(馬服)의 첫 글자인 "마"를 성씨로 채택했다.[4]
2. 1. 관료로서의 활약
조사는 본래 조나라 전부(田部)의 관리였다. 어느 날 조나라의 왕족인 평원군의 집에서 세금을 내지 않자, 조사는 법에 따라 평원군의 집에서 일하는 사람 9명을 죽였다. 이에 평원군이 분노하여 조사를 죽이려 하자, 조사는 오히려 평원군과 같은 귀한 공자의 집안이 법을 지키지 않으면 결국 조나라는 쇠약해져서 평원군이 누리고 있는 부유함도 소용이 없게 될 것이나, 법을 지켜서 조나라가 부강해지면 평원군 또한 지위가 높아지지 않겠느냐고 반박하였다. 평원군은 조사를 유능하게 여기고는 그를 조나라 왕에게 소개하였다. 이에 조나라 왕이 조사를 기용하여 나라의 세금을 다스리게 하자, 나라의 세금이 공정해져서 백성들이 부유해지고 국고가 충실해졌다.[9]조사는 높은 지위나 권력이 없었지만, 법에 따라 자신의 직무를 수행했다. 조승은 어떤 토지세도 납부하려 하지 않았는데, 조사는 조승을 직접 처벌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조승 가문의 회계를 담당하는 9명의 관리들을 체포하여 처형했다. 조승은 매우 화가 나서 조사를 죽이려 했다.[3]
그러나 조사는 조승에게 국가의 법을 준수하지 않는다고 꾸짖었다. 또한 조사는 조승에게 귀족으로서 법을 준수하고 침해하지 않도록 모범을 보여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국가는 멸망할 것이라고 상기시켰다. 조승은 자신이 잘못했음을 깨닫고 조사에게 사과했을 뿐만 아니라 통치자에게 그를 승진시키도록 추천했다. 그 후 조사는 국가 전체의 토지세 징수원으로 승진했다.
조사는 공평하게 세금을 부과했기 때문에 조나라 국민들은 풍족해지고, 국고는 충실해졌으며, 조나라의 국력은 증강되었다.
2. 2. 장군으로서의 활약
조사(趙奢)는 처음 조나라에서 토지세 징수원으로 일했다. 그는 높은 지위는 아니었지만 법에 따라 직무를 수행했다. 당시 유력 귀족이었던 조승이 세금을 내지 않자, 조사는 조승 가문의 관리 9명을 처형했다.[3] 조사는 조승에게 법을 준수하지 않는다고 꾸짖으며 귀족으로서 모범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조승은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조사에게 사과하고 그를 추천하여, 조사는 국가 전체의 토지세 징수원으로 승진했다.기원전 271년, 진나라가 한나라를 공격하면서 조나라 영토를 침범했다. 진나라 군대는 한단에서 멀리 떨어진 어여(閼與)에 접근했다. 염파는 어여를 포기할 것을 권했지만, 조사는 좁은 길에서 싸우는 것은 용감한 쪽이 이길 것이라고 주장했다.
조 혜문왕은 조사를 어여 구원군 사령관으로 임명했다. 조사는 군대를 가볍게 무장시키고 진나라 군대 후방에 도달했다. 진나라 군대는 포위될 것을 두려워하여 공격을 멈추고 조나라 군대에 집중했다. 조사는 군대를 산에 숨기고, 해질녘에 진나라 군대를 매복 공격하여 격파했다. 조 혜문왕은 조사를 마복(馬服) 지역의 행정관으로 임명했다.[4]
기원전 280년, 조사는 장군으로서 제의 맥구(麥丘)를 공격하여 공을 세웠다[6]。기원전 269년, 진(秦)나라 공손호양(公孫胡昜)이 조나라 알여(閼與)를 침공하자, 조사는 험한 길에서는 용감한 장수가 이긴다고 혜문왕을 설득하여 장군으로 임명되었다.[5] 조사는 한단에서 30리 떨어진 곳에 보루를 쌓고 진군을 멈추는 한편, 진나라 간첩을 후대하여 돌려보내는 등 진나라 군대의 방심을 유도했다. 이후 알여로 구원을 가 군사 허력의 진언을 받아들여 북산(北山)을 점거하고, 진나라 군대를 공격하여 패퇴시켰다.
조사는 혜문왕에게 큰 칭찬을 받고 염파, 인상여와 같은 지위로 승격되어 '''마복군'''에 봉해졌다. 진나라는 이 세 사람이 건재한 동안 조나라를 공격하지 못했다.
2. 2. 1. 맥구 전투
기원전 280년(혜문왕 19), 조사는 장수가 되어 제나라의 맥구(麥丘)를 공격하여 빼앗았다.[10]2. 2. 2. 연여 전투
기원전 269년, 진나라(秦)의 공손호양(公孫胡昜)이 한나라(韓)를 공격하기 위하여 조나라의 연여(閼與)를 공격했다. 혜문왕이 장군 염파에게 이를 구할 수 있겠느냐고 묻자, 염파는 "길이 좁아서 어렵습니다."라고 하였다. 다른 장수인 악승(樂乘)도 같은 말을 하였다. 그러나 조사는 "그곳은 길이 멀고 험하고 좁은 곳이라 비유하자면 두 마리의 쥐가 좁은 구멍 안에서 싸우는 것과 같으므로 용감한 자가 이깁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혜문왕은 조사를 장수로 삼아 연여를 구원하도록 하였다.[11] 위나라에서도 공자 구(咎)에게 정예병을 거느리고 안읍(安邑)에 주둔했다가 진나라를 협공하도록 하였다.[12]조나라 군대가 도읍인 한단으로부터 30리 정도 갔을 때에 조사는 군중에 명을 내리기를, "군대의 일에 대하여 간언하는 자는 죽일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때 진나라 군대는 무안(武安) 서쪽에 주둔하고 있었는데, 진나라 군대의 북소리와 함성소리가 무안성 안의 집들의 기와를 뒤흔들 정도였다. 군중의 척후병 한 사람이 무안을 속히 구해야 한다고 말하자 조사는 즉시 그를 참수하고는 보루를 단단히 쌓고 28일 동안 나가지 않았다. 진나라의 첩자가 돌아가서 진나라 장수에게 이를 보고하자, 진나라 장수는 "한단에서 30리를 떨어졌는데도 군대를 움직이지 않고 보루만 쌓고 있다고 하니, 연여는 이제 조나라의 땅이 아니다."라 하며 기뻐하였다.
진나라의 첩자가 돌아가자 조사는 군사들에게 갑옷을 벗게 하고는 속히 진군하여 1박 2일 만에 도착하였다. 조사가 곧 연여에서 50리 떨어진 곳에 활을 잘 쏘는 군사들을 배치하고 보루를 쌓자, 진나라 군대도 중무장을 하고 진군해왔다. 이때에 군사 중 한 사람이었던 허력(許歷)이 간언하기를, "진나라는 설마 조나라의 군사가 왔을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하고 있으니 그 기세가 사나울 것입니다. 장군께서는 힘을 집중하여 진지를 단단히 지키면서 기다려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반드시 패합니다."라고 하였으며 또한 "먼저 북산(北山)의 정상을 차지하면 이기고 늦게 도착하면 패합니다."라고 하였다. 조사는 허력을 벌하지 않고 그 말을 받아들여 진나라 군대보다 한발 앞서 산을 점령하였다. 조사가 곧 군대를 풀어 진나라 군대를 크게 격파하자, 진나라 군대는 연여의 포위를 풀고 달아났다.[13] 연여에서 패한 진나라가 방향을 바꾸어 위나라의 기(幾)를 공격하자 염파가 이를 구원하고 진나라 군대를 크게 무찔렀다.[14]
이 공로로 조사는 마복군(馬服君)의 칭호를 받았으며, 인상여 · 염파 등과 같은 반열에 오르게 되었다.[15]
2. 2. 3. 전단과의 논쟁
기원전 269년(혜문왕 30), 전단은 조사와 병법에 대해 논하면서, 조사가 주장하는 대규모 병력 운용에 반대하며 3만 명 정도의 군사로 충분하다고 주장하였다. 조사는 오나라(吳)의 간장검을 예로 들어, 강한 군대에 맞서려면 많은 병력이 필요하며, 옛날과 현재의 상황이 다르다고 반박하였다. 전단은 조사의 말에 수긍하였다.[16]2. 2. 4. 합종의 실패
기원전 268년, 진나라가 위나라의 회(懷)를 공격하여 빼앗았다.[17] 그러자 조나라, 제나라, 초나라 3국이 합종하였으나, 조사가 조나라 군대를 거느리고 제나라의 포녕(鮑佞) 등과 함께 회를 구원하러 갔을 때 진나라 군대가 철군하여 합종이 깨졌다. 이 때문에 3국의 군대가 곤경을 겪었다.[18]2. 2. 5. 평원군과의 논쟁
기원전 265년(효성왕 1), 제나라의 안평군 전단이 조나라 군사를 거느리고 연나라를 공격하여 중양(中陽)을 빼앗았다.[19] 당시 조나라 재상 평원군은 제나라에 전단을 장수로 보내주는 조건으로 제수(濟水) 동쪽의 3개 성과 57개 읍을 내주었다. 조사는 뒤늦게 이를 알고 평원군에게 차라리 자신을 보내 달라며 크게 화를 냈다. 조사는 안평군이 어리석다면 연나라를 당해내지 못할 것이며, 지혜롭더라도 굳이 조나라를 위해 전력으로 연나라와 싸우지 않을 것이라 주장하였다. 과연 조사의 예측대로, 그해 여름에 전단은 겨우 세 개의 작은 성만을 함락시켰을 뿐이었다.[20]조사는 원래 "전부의 관리"라고 불리는 전지의 징세관이었다. 어느 날, 세금을 납부하지 않은 평원군의 집안사람들을 엄하게 문책하여 소송을 진행하여 9명을 사형에 처했다. 이를 알고 격노한 평원군은 조사를 죽이려 했지만, 조사는 "그들은 사리사욕을 채우고 있었습니다. 저는 법에 따른 것뿐입니다. 법이 지켜지지 않으면 국가는 번영하지 못하고, 법을 가볍게 여기면 국가는 쇠퇴합니다. 그리고 왕족인 당신이 법을 지키지 않으면 도대체 누가 지킬 수 있겠습니까?"라고 조리 있게 반론하였다. 평원군은 오히려 조사의 용기와 식견을 인정하여 혜문왕에게 추천하였고, 조사는 조나라의 국세 관리를 맡게 되었다. 조사는 공평하게 세금을 부과했기 때문에 조나라 국민들은 풍족해지고 국고는 충실해졌으며, 조나라의 국력은 증강되었다.
2. 3. 죽음과 사후
조사는 장평대전이 벌어진 기원전 260년에는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21] 그의 아들 조괄은 어릴 적부터 병법에 능통했지만, 조사는 "병법은 말뿐이다. 전쟁은 생사를 건 것인데, 아무렇게나 논하고 있다"라며 조괄이 장수가 되면 조나라를 멸망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7] 조사는 아내에게도 조괄을 절대로 장수로 등용하지 말라는 유언을 남기고 죽었다.[7]그러나 장평 전투에서 효성왕은 진나라 재상 범저의 계략에 빠져 사령관 염파를 해임하고 조괄을 임명했다.[7] 조괄은 백기에게 대패하여 전사했고, 조나라 병사 40만 명이 생매장당하는 참극이 벌어졌다.[7] 조괄의 어머니는 남편의 유언에 따라 효성왕에게 조괄을 장수로 쓰지 말 것을 간청했고, 실패했을 때 책임을 묻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아냈기에 조괄의 일족은 멸망을 면했다.[7]
조사의 후손들은 마복(馬服)의 첫 글자인 "마"를 성씨로 삼았다.[4]
3. 후손
《후한서》에 따르면, 후한의 정치가였던 마원은 조사의 후손이다. 조사가 마복군(馬服君)에 봉해지자 그 자손들이 이를 성씨(氏)로 삼았다고 한다.[22]
광무제를 섬긴 장군 마원과 촉한의 마초는 조사의 후손이며, 마복군에서 마(馬)를 따서 성씨로 삼았다고 전해진다.[8]
4. 평가
전한 시대의 역사가 사마천은 《사기》의 염파인상여열전에서 염파, 인상여, 조사, 이목 등 조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명장들의 열전을 함께 묶어서 구성하였다.[1] 만화 및 애니메이션 킹덤에서 조사는 "초사"로 알려진 조나라의 대장군이었으며, "염파"와 "린상여"와 함께 조나라의 초기 "3대 천" 중 한 명이었다.[2]
참조
[1]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From the Origins of Civilization to 221 BC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Shiji
[4]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Family Names in Britain and Ireland
[5]
웹사이트
史記/卷081#附 趙奢
[6]
웹사이트
史記/卷043#趙惠文王
[7]
웹사이트
史記/卷081#奢子 括
[8]
웹사이트
新唐書/卷072下#馬
[9]
서적
《사기》 권81 염파인상여열전
[10]
서적
《사기》 권43 조세가
[11]
서적
《사기》 권5 진본기, 《사기》 권43 조세가, 《사기》 권81 염파인상여열전
[12]
서적
《전국책》 권20 조책3
[13]
서적
《사기》 권81 염파인상여열전
[14]
서적
《전국책》 권20 조책3
[15]
서적
《사기》 권43 조세가, 《사기》 권81 염파인상여열전
[16]
서적
《전국책》 권20 조책3
[17]
서적
《사기》 권5 진본기, 《사기》 권44 위세가
[18]
서적
《전국책》 권19 조책2
[19]
서적
《사기》 권43 조세가
[20]
서적
《전국책》 권21 조책4
[21]
서적
《사기》 권81 염파인상여열전
[22]
서적
《후한서》 권24 마원열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