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선의 연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의 연호는 조선 시대와 대한제국 시기에 사용된 연호를 설명한다. 조선은 명나라의 연호를 사용하다가 병자호란 이후 청나라의 연호를 사용했으며, 대한제국 시기에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했다. 조선 시대에는 명나라의 홍무, 영락, 선덕 등의 연호와 청나라의 숭덕, 순치, 강희 등의 연호를 사용했으며, 대한제국에서는 개국, 건양, 광무, 융희 등의 연호를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 소론
    소론은 조선 후기 서인에서 분파된 정치 세력으로, 윤증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남인에 대한 온건한 입장과 왕위 계승 문제에 있어 노론과 대립했으며, 강화학파를 형성하는 등 독자적인 학풍을 이루었다.
  • 조선 - 경신환국
    경신환국은 1680년 숙종 때 서인이 유악 사건과 삼복의 변을 계기로 남인을 몰아내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으로, 서인이 요직을 차지하며 조선 정계가 서인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조선의 연호
조선 연호
연호 시작1392년
연호 종료1897년
연호 목록
태조개국(開國)
세종영락(永樂) (명나라 연호 사용)
문종선덕(宣德) (명나라 연호 사용)
단종정통(正統) (명나라 연호 사용)
세조천순(天順) (명나라 연호 사용)
예종성화(成化) (명나라 연호 사용)
성종성화(成化), 홍치(弘治) (명나라 연호 사용)
연산군홍치(弘治), 정덕(正德) (명나라 연호 사용)
중종정덕(正德), 가정(嘉靖) (명나라 연호 사용)
인종가정(嘉靖) (명나라 연호 사용)
명종가정(嘉靖) (명나라 연호 사용)
선조융경(隆慶), 만력(萬曆) (명나라 연호 사용)
광해군만력(萬曆), 천계(天啓) (명나라 연호 사용)
인조숭정(崇禎) (명나라 연호 사용)
효종숭정(崇禎) (명나라 연호 사용)
현종강희(康熙) (청나라 연호 사용)
숙종강희(康熙) (청나라 연호 사용)
경종옹정(雍正) (청나라 연호 사용)
영조건륭(乾隆) (청나라 연호 사용)
정조건륭(乾隆), 가경(嘉慶) (청나라 연호 사용)
순조가경(嘉慶), 도광(道光) (청나라 연호 사용)
헌종도광(道光) (청나라 연호 사용)
철종함풍(咸豐) (청나라 연호 사용)
고종동치(同治), 광서(光緖), 건양(建陽)
대한제국광무(光武)

2. 조선 시대의 연호

개국기년(開國紀年)법으로 원년을 조선이 개국된 해인 1392년으로 삼는 기년법건양建陽고종 33년개국504년(1895년) 11월 17일(음력)을 건양원년(1896년) 1월 1일(양력)로 개정광무光武고종 34년 - 고종 44년10월 12일, 대한제국 선포와 동시에 개원(改元)융희隆熙순종 1년 - 순종 4년-



건양 1년은 바로 태양력을 사용한 첫 해를 말한다.

다만 조선왕조실록 고종실록에서는 1876년부터 개국기년에 따라 “조선개국 485년”으로 기록하고 있다.

2. 1. 명나라 연호

연호한자사용 기간비고
홍무洪武태조 1년 - 태조 7년의 연호
건문建文정종 1년 - 태종 2년-
영락永樂태종 3년 - 세종 6년-
홍희洪熙세종 7년-
선덕宣德세종 8년 - 세종 17년-
정통正統세종 18년 - 세종 31년-
경태景泰세종 32년 - 세조 2년-
천순天順세조 3년 - 세조 10년-
성화成化세조 11년 - 성종 18년-
홍치弘治성종 19년 - 연산군 11년-
정덕正德연산군 12년 - 중종 16년-
가정嘉靖중종 17년 - 명종 22년-
융경隆慶선조 1년 - 선조 5년-
만력萬曆선조 6년 - 광해군 12년-
천계天啓광해군 13년 - 인조 6년-
숭정崇禎인조 7년 - 인조 15년-


2. 2. 청나라 연호

조선명나라의 연호를 사용하다가 1637년 병자호란 이후 청나라의 연호를 사용했다. 병자호란에서 패전한 인조는 청나라와 굴욕적인 강화 조약을 맺고, 청나라의 연호인 숭덕을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한동안 '숭정' 연호가 계속 쓰였다.

이후 조선청나라순치, 강희, 옹정, 건륭, 가경, 도광, 함풍, 동치, 광서 등의 연호를 사용했다.

연호한자사용 기간비고
숭덕崇德인조 15년 - 인조 21년병자호란을 거치며 항복의 조건으로 청의 연호를 사용하기 시작.
순치順治인조 22년 - 현종 2년
강희康熙현종 3년 - 경종 2년
옹정雍正경종 3년 - 영조 11년
건륭乾隆영조 12년 - 정조 19년
가경嘉慶정조 20년 - 순조 20년
도광道光순조 21년 - 철종 1년
함풍咸豐철종 2년 - 철종 12년
동치同治철종 13년 - 고종 11년
광서光緖고종 12년 - 고종 31년


3. 대한제국의 연호

조선이 개국된 해인 1392년을 원년으로 삼는 기년법인 개국기년(開國紀年)법에 따른 독자 연호이다. 고종 31년부터 사용되었다. 다만 조선왕조실록 고종실록에서는 1876년부터 개국기년에 따라 “조선개국 485년”으로 기록하고 있다.

3. 1. 개국 (開國)

조선이 개국된 해인 1392년을 원년으로 삼는 기년법인 개국기년(開國紀年)법에 따른 독자 연호이다. 고종 31년부터 사용되었다. 다만 조선왕조실록 고종실록에서는 1876년부터 개국기년에 따라 “조선개국 485년”으로 기록하고 있다.

3. 2. 건양 (建陽)

3. 3. 광무 (光武)

광무(光武)는 고종 34년부터 고종 44년까지 사용된 연호이다. 1897년 10월 12일, 대한제국 선포와 동시에 개원(改元)하였다.

3. 4. 융희 (隆熙)

융희(隆熙)는 순종 1년부터 순종 4년까지 사용된 연호이다.

4. 조선 및 대한제국 기년법과 서력기원 대조표

원칙적으로 새 왕이 즉위한 해는 그대로 전왕의 연호를 사용했고, 즉위한 다음 해를 원년으로 계산하였다.

그러나 시조인 '''태조'''나 정변(반정)에 의해 즉위한 '''세조''', '''중종''', '''인조'''의 경우는 즉위년이 곧 원년이 되었다. 그밖에 1907년 대한제국 '''순종'''이 즉위하면서 순종 즉위년을 융희원년(隆熙元年, 순종원년)으로 삼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헤이그 특사 파견을 구실 삼아 일제가 고종을 강제 퇴위시켜 정상적인 황위 계승이 되지 못한 사례이다.

서기조선기년법서기조선기년법서기조선기년법
1392년태조 원년1544년중종 39년1776년영조 52년
1398년태조 7년1545년인종 원년1777년정조 원년
1399년정종 원년1546년명종 원년1800년정조 24년
1400년정종 2년1567년명종 22년1801년순조 원년
1401년태종 원년1568년선조 원년1834년순조 34년
1418년태종 18년1608년선조 41년1835년헌종 원년
1419년세종 원년1609년광해군 원년1849년헌종 15년
1450년세종 32년1623년광해군 15년, 인조 원년1850년철종 원년
1451년문종 원년1649년인조 27년1863년철종 14년
1452년문종 2년1650년효종 원년1864년고종 원년
1453년단종 원년1659년효종 10년1893년고종 30년
1455년단종 3년, 세조 원년1660년현종 원년1894년개국 503년, 고종 31년
1468년세조 14년1674년현종 15년1895년개국 504년, 고종 32년
1469년예종 원년1675년숙종 원년1896년개국 505년, 건양 원년, 고종 33년
1470년성종 원년1720년숙종 46년1897년광무 원년, 개국 506년, 고종 34년
1494년성종 25년1721년경종 원년1898년광무 2년, 고종 35년
1495년연산군 원년1724년경종 4년1907년광무 11년, 고종 44년, 융희 원년, 순종 원년
1506년연산군 12년, 중종 원년1725년영조 원년1910년융희 4년, 순종 4년


4. 1. 왕위 계승과 즉위년 원년

원칙적으로 새 왕이 즉위한 해는 그대로 전왕의 연호를 사용했고, 즉위한 다음 해를 원년으로 계산하였다.

그러나 시조인 '''태조'''나 정변(반정)에 의해 즉위한 '''세조''', '''중종''', '''인조'''의 경우는 즉위년이 곧 원년이 되었다. 그밖에 1907년 대한제국 '''순종'''이 즉위하면서 순종 즉위년을 융희원년(隆熙元年, 순종원년)으로 삼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헤이그 특사 파견을 구실 삼아 일제가 고종을 강제 퇴위시켜 정상적인 황위 계승이 되지 못한 사례이다.

서기조선기년법서기조선기년법서기조선기년법
1392년태조 원년1544년중종 39년1776년영조 52년
1398년태조 7년1545년인종 원년1777년정조 원년
1399년정종 원년1546년명종 원년1800년정조 24년
1400년정종 2년1567년명종 22년1801년순조 원년
1401년태종 원년1568년선조 원년1834년순조 34년
1418년태종 18년1608년선조 41년1835년헌종 원년
1419년세종 원년1609년광해군 원년1849년헌종 15년
1450년세종 32년1623년광해군 15년, 인조 원년1850년철종 원년
1451년문종 원년1649년인조 27년1863년철종 14년
1452년문종 2년1650년효종 원년1864년고종 원년
1453년단종 원년1659년효종 10년1893년고종 30년
1455년단종 3년, 세조 원년1660년현종 원년1894년개국 503년, 고종 31년
1468년세조 14년1674년현종 15년1895년개국 504년, 고종 32년
1469년예종 원년1675년숙종 원년1896년개국 505년, 건양 원년, 고종 33년
1470년성종 원년1720년숙종 46년1897년광무 원년, 개국 506년, 고종 34년
1494년성종 25년1721년경종 원년1898년광무 2년, 고종 35년
1495년연산군 원년1724년경종 4년1907년광무 11년, 고종 44년, 융희 원년, 순종 원년
1506년연산군 12년, 중종 원년1725년영조 원년1910년융희 4년, 순종 4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