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안 로빈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안 로빈슨은 1903년 영국에서 태어나 1983년 사망한 영국의 경제학자이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하고, 불완전 경쟁 이론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으며, 1933년 저서 《불완전경쟁의 경제학》에서 '수요독점' 개념을 제시했다.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 이론》에 대한 지지와 설명을 공헌했고, 케임브리지 자본 논쟁의 주요 참여자였다. 말년에는 마르크스 경제학을 연구하고 자본주의를 비판했으며, 마오쩌둥주의에 경도되어 중국의 경제 발전에 희망을 품기도 했다. 그녀는 여러 차례 노벨 경제학상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수상하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임브리지 대학교 거턴 칼리지 교수 - 더글러스 노스
    더글러스 노스는 미국의 경제사학자이자 신제도주의 경제학의 선구자로, 1993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으며, 재산권, 거래비용, 제도의 역할과 경제 성장 간의 관계 연구, 역사적 맥락에서 신제도주의 이론을 적용한 경제사 연구에 기여했고, 국제 신제도경제학회를 공동 설립하는 등 경제학, 특히 신제도주의 경제학과 정치학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거턴 칼리지 교수 - 마르그레테 2세
    마르그레테 2세는 1972년 덴마크 여왕으로 즉위하여 2024년 1월 14일까지 재위했으며, 덴마크의 헌법적 역할과 공식 활동을 수행하고, 고고학, 예술,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졌으며, 2024년 1월 14일 퇴위하고 장남 프레데리크 10세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뉴넘 칼리지 교수 - 셜리 윌리엄스
    셜리 윌리엄스는 영국의 정치인으로 노동당, 사회민주당, 자유민주당에서 활동하며 교육 및 과학 장관, 가격 및 소비자 보호 장관, 교육부 장관 등을 역임하고 유럽 통합을 지지했으며, 2021년 사망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뉴넘 칼리지 교수 - 제시 노먼
    제시 노먼은 뮌헨 국제 음악 콩쿠르 우승 후 유럽에서 경력을 쌓기 시작해 세계적인 오페라 극장에서 주역을 맡고 다양한 레퍼토리를 선보이며 프랑스 혁명 200주년 기념 공연과 올림픽 개막식 등 주요 행사에서 노래를 불러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미국의 드라마틱 소프라노 가수이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거턴 칼리지 동문 - 마르그레테 2세
    마르그레테 2세는 1972년 덴마크 여왕으로 즉위하여 2024년 1월 14일까지 재위했으며, 덴마크의 헌법적 역할과 공식 활동을 수행하고, 고고학, 예술,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졌으며, 2024년 1월 14일 퇴위하고 장남 프레데리크 10세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거턴 칼리지 동문 - 사로지니 나이두
    인도의 나이팅게일로 불리는 사로지니 나이두는 시인이자 독립운동가, 여성운동가로서 인도 국민회의 최초 여성 의장과 인도 최초 여성 주지사를 역임하며 인도 독립 운동에 기여한 인물이다.
조안 로빈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73년의 조앤 로빈슨
본명조앤 바이올렛 모리스 (Joan Violet Maurice)
출생지서리, 잉글랜드
사망지케임브리지, 잉글랜드
학문 분야 및 경력
학문 분야화폐 경제학, 불완전 경쟁 이론, 경제 성장 이론
학교켄브리지 대학교
영향을 준 인물애덤 스미스, 칼 마르크스, 존 메이너드 케인스, 피에로 스라파, 미하우 칼레츠키
영향을 받은 인물아타나시오스 아시마코풀로스, 니콜라스 칼도어, Amit Bhaduri, Zenobia Knakiewicz
주요 업적
주요 업적조앤 로빈슨의 성장 모형
아모로소-로빈슨 관계
수요 독점 이론
수상
수상영국 학술원 회원 (FBA)
제자
박사 지도 학생아마르티아 센

2. 생애

조안 로빈슨은 육군 장교이자 작가인 프레데릭 모리스의 딸로 태어났으며, 남편 오스틴 로빈슨 역시 경제학자였다.

1933년 저서 《불완전경쟁의 경제학》에서 "수요독점(monopsony)"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수요독점은 노동 구매자에게 일반적으로 적용되는데, 고용주는 피고용인의 착취를 허용하고 근로자에게 한계 생산성보다 낮은 임금을 부여할 수 있다.[45] 로빈슨은 여성 노동자와 남성 노동자 간에 동일한 생산성을 가진 임금 격차를 설명하기 위해 이 개념을 사용했다.[46]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 이론》(1936)에 대한 지지와 설명에 공헌했으며, 특히 1936년과 1937년의 고용 영향을 다뤘다. 1931년 케인스 서커스의 핵심 멤버로 활동했고, 피에로 스라파의 영향을 받아 불완전 경쟁 이론을 확립했다.

이후 마르크스 경제학을 연구했으며, 미하우 칼레츠키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마르크스 이론을 평가하면서도 그 결함을 지적했고, 마르크스 이론을 "신앙"하는 마르크스주의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35][36][37]

케인스의 일반이론 발표 후에는 케인스 이론동학을 연구했으며, 미국폴 새뮤얼슨, 로버트 솔로 등과 논쟁을 벌였다. 또한 칼레츠키를 비롯한 마르크스 경제학자들의 케인스 이론 해석에 대해 평가를 내린 한편, 미국에서 주류가 된 IS-LM 분석과 신고전파 이론에 대해 비판했다.

1960년대에 피에로 스라파와 함께 케임브리지 자본 논쟁의 주요 참여자였다. 만년에는 마오쩌둥주의에 경도되어 중국 공산당의 지도하에 있는 중국의 경제 발전에 희망을 품었다.[39]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조안 바이올렛 모리스는 1903년 제2차 보어 전쟁 참전 군인이자 작가였던 프레더릭 모리스의 딸로 태어났으며, 형제자매 5명 중 셋째였다.[2]

케임브리지 대학교 걸턴 칼리지에서 경제학을 전공한[3] 그녀는 1925년에 졸업했지만, 당시 케임브리지 대학교는 1948년까지 여성에게 학위를 수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정식 학위를 받지는 못했다. 이듬해 경제학자 오스틴 로빈슨과 결혼하면서 조안 로빈슨으로 알려지게 되었다.[2]

결혼 직후 부부는 인도로 이주했고, 조안 로빈슨은 영국령 인도와 인도 번왕국 간의 관계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했다. 인도는 훗날 그녀의 연구 분야인 인도 및 개발 경제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2] 1928년 부부는 케임브리지로 돌아왔고, 1930년대 초 조안 로빈슨은 주니어 조교 강사로 강의를 시작했다.[4]

2. 2. 학문적 경력

1931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조교수가 되었다.[7] 1933년 《불완전경쟁의 경제학》을 출판하고, "수요독점(monopsony)"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수요독점은 노동 구매자에게 일반적으로 적용되는데, 고용주는 피고용인을 착취하여 한계 생산성보다 낮은 임금을 부여할 수 있다.[45] 로빈슨은 여성 노동자와 남성 노동자 간 동일한 생산성에 대한 임금 격차를 설명하기 위해 수요 독점 개념을 사용했다.[46]

피에로 스라파의 영향을 받아 불완전 경쟁 이론을 확립했다. 1931년 케인스 서커스의 핵심 구성원으로 활동했다. 1937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강사가 되었다.[6]

이후 마르크스 경제학을 연구했으며, 미하우 칼레츠키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1942년 《마르크스 경제학 에세이》를 출판했다. 마르크스 이론을 평가하면서도 그 결함을 다양한 관점에서 지적했으며, 마르크스 이론을 "신앙"으로 여기는 마르크스주의를 비판했다.[35][36][37]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일반이론 발표 후 케인스 이론동학을 연구했으며, 1956년 《자본 축적론》을 출판했다. 미국폴 새뮤얼슨, 로버트 솔로 등과 논쟁을 벌였다.

1958년 영국 학사원 회원이 되었다.[7] 1962년 뉴넘 칼리지 펠로우가 되었다.[7] 1965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정교수, 걸턴 칼리지 펠로우가 되었다.[7] 1979년 킹스 칼리지 최초의 여성 명예 펠로우가 되었다.[7]

2. 3. 케임브리지 자본 논쟁

1960년대에 피에로 스라파와 함께 케임브리지 자본 논쟁의 주요 참여자였다. 로빈슨은 폴 새뮤얼슨, 로버트 솔로 등 미국의 이른바 "케인스주의자"들과 논쟁을 벌였으며, IS-LM 분석과 신고전파 이론을 비판했다. 특히, 이들의 이론이 정책상의 편의성을 추구하여 본래의 케인스 및 서커스의 이론적 전제 조건을 쉽게 굽힘으로써 오히려 현실 세계에서의 이론적 타당성을 잃어버린 것을 격렬하게 비판하며, 그들을 "가짜 케인스주의자"(Bastard Keynesian)라고 불렀다.[38]

2. 4. 말년과 사상

로빈슨은 마르크스 경제학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고, 미하우 칼레츠키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마르크스 이론을 평가하면서도 그 결함을 다양한 관점에서 지적했으며, 마르크스 이론을 "신앙"하는 마르크스주의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비판했다.[35][36][37]

케인스의 일반이론 발표 후에는 케인스 이론동학을 연구했으며, 미국폴 새뮤얼슨, 로버트 솔로 등과 논쟁을 벌였다. 또한 칼레츠키를 비롯한 마르크스 경제학자들의 케인스 이론 해석에 대해 평가를 내린 한편, 미국에서 주류가 된 IS-LM 분석과 신고전파 이론에 대한 격렬한 비판자이기도 했다. 새뮤얼슨 등 이른바 "케인스주의자"들의 이론이 정책상의 편의성을 추구하여 본래의 케인스 및 서커스의 이론적 전제 조건을 쉽게 굽힘으로써 오히려 현실 세계에서의 이론적 타당성을 잃어버린 것을 비판하며, 그들을 "가짜 케인스주의자"(Bastard Keynesian)라고 불렀다.[38]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로빈슨은 전쟁 시기 국가 정부를 위한 몇몇 위원회에서 일했다. 이 기간 동안 소련과 중국을 방문하여 개발이 덜 된 개발 도상국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970년대 중반 인도 티루바난타푸람에 있는 개발 연구 센터(CDS)의 객원 연구원으로 활동했고,[8] 센터에서 공개 강연을 지원하기 위해 기금도 조성했다. 1982년 1월까지 센터를 자주 방문하여 센터의 모든 활동, 특히 학생 세미나에 참여했다. 로빈슨은 자신의 책 ''Selected Economic Writings''와 ''Introduction to Modern Economics''(존 이트웰과 공동 저술)의 로열티를 CDS에 기부했다.

로빈슨은 중국을 여러 차례 방문하여 ''중국: 경제적 관점''(1958), ''중국의 문화 대혁명''(1969), ''중국의 경제 관리''(1975; 3판, 1976) 등을 저술하고 문화 대혁명을 칭찬했다. 1964년 10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했고, 보고서 "코리안 미라클"에서 김일성의 "국가적 자긍심에 대한 한국인들의 강렬한 집중"과 "독재자라기보다는 메시아"라는 점을 들어 경제 성장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9] 한반도 분단에 대해서는 "조만간 이 나라는 남한을 사회주의로 흡수하여 재통일되어야 한다"라고 말했다.[10]

만년에는 마오쩌둥주의에 경도되어 중국 공산당의 지도하에 있는 중국의 경제 발전에 희망을 품었다.[39] 그녀는 마지막 10년 동안 "봄맞이 대청소"라는 에세이에서 표현했듯이 경제 이론을 개혁할 가능성에 대해 점점 더 비관적이 되었다.[11]

3. 주요 저작


  • 불완전 경쟁의 경제학(1933)
  • [https://archive.org/details/dli.ernet.524078 고용 이론에 관한 에세이](1937)
  • 마르크스 경제학 에세이(1942), 제2판 (1966)
  • "생산 함수와 자본 이론", 경제 연구 검토(1953)
  • 자본 축적(1956)
  • 경제 분석 연습(1960)
  • 경제 성장 이론에 관한 에세이(1962)
  • [https://archive.org/details/EconomicPhilosophy 경제 철학: 경제 사상의 발전에 관한 에세이](1962)
  • 자유와 필요: 사회 연구 입문(1970)
  • 경제 이단: 경제 이론의 몇 가지 구식 질문(1971)
  • 현대 경제학 입문(1973) (존 이트웰 공저)
  • 현대 경제학에 대한 기여(1978)
  • 현대 경제학에 대한 추가 기여(1980)

4. 학문적 영향 및 평가

조안 로빈슨은 불완전경쟁 시장, 자본 축적, 경제 성장 이론 등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1933년 저서 《불완전경쟁의 경제학》에서 '수요독점'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는데, 이는 노동 시장에서 고용주가 노동자에게 한계생산성보다 낮은 임금을 줄 수 있게 하여 노동 착취를 가능하게 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45] 로빈슨은 이 개념을 통해 여성 노동자와 남성 노동자 간의 임금 격차를 설명하기도 했다.[46]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 이론》을 지지하고 설명했으며, 1960년대에는 피에로 스라파와 함께 케임브리지 자본 논쟁을 주도하며 신고전파 경제학을 비판했다. 마르크스 경제학을 연구하고 자본주의를 비판하는 데에도 관심을 가졌으며, 미하우 칼레츠키의 영향을 받아 마르크스 이론을 평가하면서도 그 결함을 지적했다.[35][36][3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소련, 중국 등을 방문하며 개발도상국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특히 중국의 문화 대혁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제 발전을 김일성의 지도력과 "국가적 자긍심에 대한 한국인들의 강렬한 집중" 덕분이라고 평가했다.[9]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한반도 분단 상황에 대한 언급과 함께 논란의 여지가 있다.[10]

아마르티아 센, 조지프 스티글리츠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를 배출했으며, 인도 총리 만모한 싱의 경제 정책에도 영향을 미쳤다.

4. 1. 노벨 경제학상 관련 논란

로빈슨은 경제학에 기여했음에도 불구하고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지 못했다. 1975년에는 그녀가 경제학상을 받을 것으로 널리 예상되었으며, 레이첼 리브스는 그녀를 '노벨상을 받지 못한 가장 유명한 경제학자'라고 묘사했다.[24][25] 총 93명의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중 로빈슨보다 더 널리 인용된 수상자는 10명뿐이다.[26] 위원회가 로빈슨을 간과한 것은 그녀가 마오쩌둥주의 경제 정책을 공개적으로 지지했기 때문이라는 추측이 널리 퍼져 있지만, 다른 이들은 이는 대신 시상 위원회 내의 성차별주의 때문이라고 주장했다.[27][28]

조안 로빈슨은 14년 동안 여러 차례 노벨 경제학상 수상 후보로 거론되었지만, 수상하지 못하고 1983년에 사망했다.[40] 로빈슨은 정치적 성향이 너무 강해 수상을 거부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경제학상 수상을 놓쳤다는 추측도 있었다.[41] 심사위원장을 맡았던 아사르 린드벡은 "수상을 거부할 수 있었고, 주목받는 기회를 틈타 주류 경제학을 비판할 가능성도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42]

5. 어록


  • "경제학을 배우는 목적은 경제 문제에 대한 기성 대처법을 얻기 위함이 아니라, 그런 것을 받아 적어 경제를 논하는 자에게 속지 않기 위함이다."
  • "균형 경제학은 모랙과 같이 경제학도를 차례차례 제물로 삼아왔다."
  • "축척 1/1의 지도는 필요 없다(쓸모없다)" (현실은 복잡하므로, 단순화된 모델을 사용한 분석은 비현실적이고 의미가 없다는 비판에 대해)
  • 아돌프 히틀러는 케인스가 실업이 왜 일어나는지를 설명했을 때, 이미 실업 해결책을 발견했다.
  • "신조로서의 마르크스주의는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고, 또한 해나가고 있다. 다른 신조와 마찬가지로, 그것은 추종자들에게 영웅적인 헌신을 불러일으키고, 그들이 소름끼치는 죄를 범하도록 허용한다." "문제는 마르크스주의자들이 다른 많은 철학자들처럼 방법론교리로 바꿔버렸다는 것이다." "어떤 방법이 교리로 변형되는 순간, 그것은 근본적으로 쇠퇴해버린다."

참조

[1] 간행물 Register of Marriages for St George's, Hanover Square, January–March 1899
[2] 웹사이트 Joan Robinson {{!}} economist {{!}} blue plaques https://www.english-[...] 2024-04-11
[3] 뉴스 Prof. Joan Robinson Dies at 79; Cambrdige (sic) University Economist https://www.nytimes.[...] 1983-08-11
[4] 웹사이트 Robinson, Joan Violet (1903–1983) - Keir Armstrong https://carleton.ca/[...] 2024-04-09
[5] 서적 Joan Robinson and the America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7-05
[6] 웹사이트 From the History of the Faculty http://www.econ.cam.[...] 2018-04-30
[7] 논문 Joan Robinson and Indian Planning: An Awkward Relationship 2008-11-01
[8] 웹사이트 Centre For Development Studies http://www.cds.edu/r[...]
[9] 서적 North Korea: Beyond Charismatic Politic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2-03-12
[10] 서적 The Structure of Post-Keynesian Econom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12-31
[11] 간행물 https://books.google[...]
[12] 웹사이트 Robinson née Maurice, Joan Violet https://www.oxforddn[...] 2023-01-14
[13] 논문 Pigouvian Exploitation of Labor 1974-02
[14] 웹사이트 Notes on Monopsony Model of Gender Wage Gaps http://www.u.arizona[...] 2014-02-01
[15]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R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4-07-22
[16]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2-05-25
[17] 웹사이트 Apple's Scary Buying Power And The Woman Who Named It https://www.npr.org/[...] 2019-06-18
[18] 논문 Advisory Committee on Building Research 1945-05-12
[19] 간행물 In the Public Interest: Competition Policy and the Monopolies and Mergers Commission
[20] 뉴스 Indian Wins Nobel Award In Economics https://www.nytimes.[...] 1998-10-15
[21] 서적 A History of Economic Thought, 10th Edition https://books.google[...] S. Chand Publishing 2018
[22] 웹사이트 Autobiography https://www.nobelpri[...] Nobel Foundation 2002-12
[23] 웹사이트 Autobiography https://www.nobelpri[...] Nobel Foundation 1998
[24] 웹사이트 Robinson, Joan Violet (1903–1983) - Keir Armstrong https://carleton.ca/[...] 2024-04-09
[25] 서적 The Women Who Made Modern Economics Hachette UK
[26] 웹사이트 How the sexist ‘Nobel Prize’ in economics has warped the world - Prime https://primeeconomi[...] 2024-04-10
[27] 웹사이트 Joan Violet Robinson https://www.econlib.[...] 2024-04-09
[28] 웹사이트 How the sexist ‘Nobel Prize’ in economics has warped the world - Prime https://primeeconomi[...] 2024-04-10
[29] 서적 Who's who 1958 Adam & Charles Black limited 1958
[30] 웹사이트 Street Naming http://www.nwcambrid[...] 2015-01-29
[31] 웹사이트 Record number of women to be celebrated with English Heritage blue plaques in 2024 https://www.english-[...] 2024-04-09
[32] 뉴스 Joan Robinson: Economist remembered with blue plaque in Notting Hill https://www.bbc.com/[...] 2024-04-11
[33] 웹사이트 Subject societies https://www.girton.c[...] 2024-04-09
[34] 웹사이트 Mathematics Genealogy Project https://genealogy.ma[...]
[35] 문서 「An Essay on Marxian Economics(マルクス経済学についての一試論)」(1942),「マルクス主義経済学の検討」(1955)
[36] 논문 マルクス主義批判 同志社大学経済学会 1976
[37] 논문 ロビンソンとマルクス: 価値および剰余価値論を中心として http://id.nii.ac.jp/[...] 1996
[38] 서적 ジョーン・ロビンソン (マクミラン経済学者列伝) 一灯舎 2021
[39] 서적 朝日おとなの学びなおし 経済学 課題解明の経済学史 朝日新聞出版 2012
[40] 서적 ノーベル経済学賞の40年〈上〉-20世紀経済思想史入門 筑摩書房 2012
[41] 서적 ノーベル経済学賞の40年〈上〉-20世紀経済思想史入門 筑摩書房 2012
[42] 서적 ノーベル経済学賞の40年〈上〉-20世紀経済思想史入門 筑摩書房 2012
[43] 서적 資本理論とケインズ経済学 日本経済評論社 1988
[44] 논문 マルクス主義の何が生き残るか 1957
[45] 저널
[4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u.arizona[...] 2018-0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