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관선 (남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관선 (남쪽)은 장화역에서 가오슝역을 잇는 타이완 철도 노선이다. 일제강점기에 건설이 시작되어 1905년 장화 이남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1971년 전 구간 복선화, 1979년 전철화가 완료되었다. 현재 구간차, 구간쾌차, 대호 열차가 운행되며, 자강호, 거광호, 푸싱호 등의 열차가 투입된다. 주요 역으로는 장화역, 위안린역, 자이역, 타이난역, 가오슝역 등이 있으며, 타이완 고속철도 및 가오슝 첩운과의 연계성이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190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용산선
용산선은 1929년 용산역-가좌역 구간을 시작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일부로 운행되고 있으며, 용산역은 KTX 등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 대만 철로 관리국 - 북회선
북회선은 타이완 이란과 화롄 사이의 산악 지형을 지나는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 시대에 시작되었으나 1970년대에 재개되어 1979년 개통되었고, 현재는 타이완 동부 지역의 주요 교통 수단으로 기능하고 있다. - 대만 철로 관리국 - 구간차
타이완 철로 관리국에서 운행하는 구간차는 중·단거리 수송을 담당하며, 2006년부터 여러 등급의 열차를 통합하여 부르는 명칭으로 사용되기 시작했고, 첩운화 정책에 따라 통근형 전동차를 투입하여 수송력을 증대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이 운행되고 있다. - 대만의 철도 노선 - 북회선
북회선은 타이완 이란과 화롄 사이의 산악 지형을 지나는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 시대에 시작되었으나 1970년대에 재개되어 1979년 개통되었고, 현재는 타이완 동부 지역의 주요 교통 수단으로 기능하고 있다. - 대만의 철도 노선 - 핑둥선
핑둥선은 타이완 철로 관리국이 운영하며 가오슝시에서 핑둥현을 지나 팡랴오향까지 이어지는 철도 노선으로, 1941년 개통 이후 복선화, 전철화, 지하화 등의 업그레이드를 거쳐 현재 21개의 역이 운영되고 있다.
종관선 (남쪽)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명 | 종관선 (남단) |
노선색 | '#0008BD' |
![]() | |
기점 | 장화 역 |
종점 | 가오슝 역 |
역 수 | 41역 |
개업 | 1900년 11월 29일 |
완전 개통 | 1905년 3월 26일 |
소유자 | 타이완 철로 공사 |
운영자 | 타이완 철로 공사 |
노선 거리 | 188.9 km |
궤간 | 1,067 mm |
선로 수 | 복선 |
복선 구간 | 전선 |
전철화 구간 | 전선 |
전철화 방식 | 교류 25,000V・60Hz 가공 전차선 방식 |
![]() | |
중화권 정보 | |
제목 | 종관선 |
간체자 | 纵贯线 |
번체자 | 縱貫線 |
병음 | Zòngguàn xiàn |
통용 병음 | Jòngguàn siàn |
주음 부호 | ㄗㄨㄥˋ ㄍㄨㄢˋ ㄒㄧㄢˋ |
타이완어 | Chhiòng-koàn-soàⁿ |
객가어 백화자 | Chiúng-kon-sien |
일본어 | じゅうかんせん |
카타카나 | ゾングヮンシェン |
기타 정보 | |
노선 종류 | 간선 철도 |
상태 | 영업 중 |
기점 | 장화 역 (장화 현 장화 시) |
종점 | 가오슝역 (가오슝시 싼민 구) |
개통일 | 1905년 3월 26일 |
소유자 | 타이완 철로 관리국 |
운영자 | 소유자와 동일 |
영업 거리 | 본선 125.4 km, 전장 399.8 km |
궤간 | 1,067 mm (협궤) |
전철화 | 본선 전 구간 교류 25000 V |
2. 역사
종관선의 건설은 청나라 통치 시대 말기에 시작되었지만, 자금 부족으로 중단되었고 남부에서는 착수되지 못했다. 일제강점기에 타이완 총독부는 계획을 재개하고 남부 다거우 (현재의 가오슝시)에서 건설을 시작했다. 1900년 11월 29일 다거우 - 타이난 구간이 개통되었고, 1901년에는 타이난 - 선화 구간이 개통되는 등 순차적으로 연장되었으며, 1905년 3월 26일 장화 이남의 종관선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복선화는 1935년에 가오슝 - 타이난 구간이 완성되었고,[2] 줘수이시교/濁水溪橋 (縱貫線)중국어의 선로 증설로 1971년 6월 28일 전 구간 복선화가 완료되었다.[3] 1979년에는 전 구간 전철화가 완료되었다.[4]
21세기 이후 각지에서 타이철 첩운화에 따른 고가화 또는 지하화 사업이 진행되었다. 위안린역 주변 구간은 2014년 11월에 고가화가 완료되었고,[5] 가오슝 시내 구간은 2018년 10월 14일에 지하화가 완료되었다.[6] 2017년에는 타이난 시내 구간 지하화 공사가 시작되었고,[7] 2020년에는 자이시 시내 구간 고가화 공사가 착공되었다.[8] 장화시 시내에서도 고가화 사업 계획이 착수되고 있다.[9]
2. 1.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에 타이완 총독부는 청나라에서 자금 부족으로 중단되었던 종관선 건설 계획을 재개하고 남부 다거우 (현재의 가오슝시)에서 건설을 시작하였다. 1900년 11월 29일에 다거우 - 타이난 구간이 개통되었고, 1901년에는 타이난 - 선화 구간이 개통되는 등 순차적으로 연장되었다. 1905년 3월 26일에는 장화 이남 종관선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1935년에는 가오슝-타이난 구간의 복선화가 완료되었다.[2]2. 2. 전후
1971년 6월 28일, 줘수이시교의 선 증설로 종관선 전 구간 복선화가 완료되었다.[3] 1935년에는 가오슝 - 타이난 구간이 복선화되었다.[2] 1979년에는 전 구간 전철화가 완료되었다.[4]21세기 이후, 타이철 첩운화에 따라 각 지역에서 고가화 또는 지하화 사업이 진행되었다. 2014년 11월에는 위안린역 주변이 고가화되었고,[5] 2018년 10월 14일에는 가오슝 시내 구간이 지하화되었다.[6] 2017년에는 타이난 시내 구간 지하화가 착공되었으며,[7] 2020년에는 자이시 시내 구간 고가화가 착공되었다.[8] 장화시 시내에서도 고가화 사업 계획이 진행 중이다.[9]
2. 3. 현대
21세기 이후 각지에서 타이철 첩운화에 따른 고가화 또는 지하화 사업이 진행되었다. 위안린역 주변 구간은 2014년 11월에 고가화가 완료되었고[5], 가오슝 시내 구간은 2018년 10월 14일에 지하화가 완료되었다[6]. 2017년에는 타이난 시내 구간 지하화 공사가 시작되었고[7], 2020년에는 자이 시내 구간 고가화 공사가 착공되었다[8]. 장화 시내에서도 고가화 사업 계획이 착수되고 있다[9].종관선 건설은 청나라 통치 시대 말기에 시작되었지만, 자금 부족으로 중단되었고 남부에서는 착수되지 못했다. 일본 통치 시대에 타이완 총독부는 계획을 재개하고 남부 다거우 (현재의 가오슝)에서 건설을 시작했다. 1900년 11월 29일 다거우 - 타이난 구간이 개통되었고, 1901년에는 타이난 - 선화 구간이 개통되는 등 순차적으로 연장되었으며, 1905년 3월 26일 장화 이남의 종관선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복선화는 1935년에 가오슝 - 타이난 구간이 완성되었고[2], 줘수이시교/濁水溪橋 (縱貫線)중국어의 선로 증설로 1971년 6월 28일 전 구간 복선화가 완료되었다[3]. 1979년에는 전 구간 전철화가 완료되었다[4]。
3. 운행 형태
구간차(區間車])는 지역 주민들의 통근 및 단거리 이동을 위한 열차로, 장화시, 더우류시, 자이시, 타이난시, 가오슝시, 핑둥시 등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운행된다. 일부 구간차는 장화역~얼수이역 구간 (지지선 직통)에서 구간쾌차로 운행된다.
구간쾌차는 구간차보다 정차역이 적어 더 빠른 이동이 가능한 열차이다. 장화역~얼수이역 구간 (지지선 직통)을 운행한다.
는 장거리 이동 승객을 위해 운행하는 열차이다. 일반적으로 가오슝역·차오저우역~치두역·지룽역 구간을 운행하며, 일부 열차는 화롄역이나 타이둥역까지 운행한다. 남회선 직통 열차는 타이난역·신쭤잉역~화롄역·타이둥역 구간을 운행한다.
3. 1. 구간차
구간차는 지역 주민들의 통근 및 단거리 이동을 위한 열차로, 장화시, 더우류시, 자이시, 타이난시, 가오슝시, 핑둥시 등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운행된다. 일부 구간차는 장화역~얼수이역 구간 (지지선 직통)에서 구간쾌차로 운행된다.3. 2. 구간쾌차
구간쾌차는 구간차보다 정차역이 적어 더 빠른 이동이 가능한 열차이다. 장화역~얼수이역 구간 (지지선 직통)을 운행한다.3. 3. 대호 열차
대호 열차는 장거리 이동 승객을 위해 운행하는 열차이다. 일반적으로 가오슝역·차오저우역~치두역·지룽역 구간을 운행하며, 일부 열차는 화롄역이나 타이둥역까지 운행한다. 남회선 직통 열차는 타이난역·신쭤잉역~화롄역·타이둥역 구간을 운행한다.4. 차량
자강호(自強號), 거광호(莒光號), 구간차, 구간쾌차 등이 운행되고 있다.
- 자강호
- E1000 (푸시풀 방식)
- EMU300
- EMU1200
- TEMU2000 (푸유마호, 창화 ~ 더우류・가오슝 구간)
- 기동차 (타이난・신쭤잉 ~ 가오슝 구간)
- DR2900형 기동차
- DR3000형 기동차
- DR3100형 기동차
- 거광호(莒光號)/푸싱호 (주말과 다객기의 임시 열차)
- 구간차/구간쾌차
- EMU500
- EMU600
- EMU700
- EMU800
- DR1000형 기동차 (창화 ~ 얼수이 구간)
4. 1. 현재 사용 차량
자강호는 E1000형(푸시풀 방식), EMU300형, EMU1200형, TEMU2000형(푸유마호, 창화 ~ 더우류・가오슝 구간)을 운행한다. 타이난・신쭤잉 ~ 가오슝 구간에는 DR2900형 기동차, DR3000형 기동차, DR3100형 기동차가 운행된다.거광호(莒光號)/푸싱호는 주말과 성수기에 임시 열차로 운행된다.구간차/구간쾌차는 EMU500형, EMU600형, EMU700형, EMU800형이 운행되며, 창화 ~ 얼수이 구간에는 DR1000형 기동차가 운행된다.4. 2. 과거 사용 차량
자강호는 EMU100형을 사용하였다. 구간차는 EMU400형을 사용하였다.푸콰이차도 과거 사용된 차량이다.5. 역 목록
종관선 (남쪽) | |||||||||||
---|---|---|---|---|---|---|---|---|---|---|---|
번호 | 이름 | 중국어 이름 | Station Name | 다른 노선 | |||||||
149 | 장화 | 彰化 | Changhua | 타이중 선 해안선 | |||||||
--- | 남장화 | 南彰化 | South Changhua | style="text-align:center"| | |||||||
150 | 화탄 | 花壇 | Huatan | style="text-align:center"| | |||||||
227 | 다춘 | 大村 | Dacun | style="text-align:center"| | |||||||
151 | 위안린 | 員林 | Yuanlin | style="text-align:center"| | |||||||
152 | 융징 | 永靖 | Yongjing | style="text-align:center"| | |||||||
153 | 서터우 | 社頭 | Shetou | style="text-align:center"| | |||||||
154 | 톈중 | 田中 | Tianzhong | style="text-align:center"| | |||||||
155 | 얼수이 | 二水 | Ershui | 지지 선 | |||||||
156 | 린네이 | 林內 | Linnei | style="text-align:center"| | |||||||
157 | 스류 | 石榴 | Shiliu | style="text-align:center"| | |||||||
158 | 더우류 | 斗六 | Douliu | style="text-align:center"| | |||||||
159 | 더우난 | 斗南 | Dounan | style="text-align:center"| | |||||||
160 | 스구이 | 石龜 | Shigui | style="text-align:center"| | |||||||
161 | 다린 | 大林 | Dalin | style="text-align:center"| | |||||||
162 | 민슝 | 民雄 | Minxiong | style="text-align:center"| | |||||||
228 | 자베이 | 嘉北 | Jiabei | style="text-align:center"| | |||||||
163 | 자이 | 嘉義 | Chiayi | 아리산 삼림 철도 자이 버스 첩운 | |||||||
--- | 북회귀선 | 北回歸線 | Tropic of Cancer | style="text-align:center"| | |||||||
164 | 수이상 | 水上 | Shuishang | style="text-align:center"| | |||||||
165 | 난징 | 南靖 | Nanjing | style="text-align:center"| | |||||||
166 | 허우비 | 後壁 | Houbi | style="text-align:center"| | |||||||
167 | 신잉 | 新營 | Xinying | 바웅 선 | |||||||
168 | 류잉 | 柳營 | Liuying | style="text-align:center"| | |||||||
169 | 린펑잉 | 林鳳營 | Linfengying | style="text-align:center"| | |||||||
170 | 룽톈 | 隆田 | Longtian | style="text-align:center"| | |||||||
171 | 바린 | 拔林 | Balin | style="text-align:center"| | |||||||
172 | 산화 | 善化 | Shanhua | style="text-align:center"| | |||||||
282 | 난커 | 南科 | Nanke | style="text-align:center"| | |||||||
173 | 신스 | 新市 | Xinshi | style="text-align:center"| | |||||||
--- | 융캉 공업구 | 永康工業區 | Yongkang Industrial Park Service Center | style="text-align:center"| | |||||||
174 | 융캉 | 永康 | Yongkang | style="text-align:center"| | |||||||
226 | 다차오 | 大橋 | Daqiao | style="text-align:center"| | |||||||
175 | 타이난 | 臺南 | Tainan | style="text-align:center"| | |||||||
--- | 난썬 | 林森 | Linsen | style="text-align:center"| | |||||||
--- | 남타이난 | 南臺南 | South Tainan | style="text-align:center"| | |||||||
176 | 바오안 | 保安 | Bao'an | style="text-align:center"| | |||||||
281 | 런더 | 仁德 | Rende | style="text-align:center"| | |||||||
177 | 중저우 | 中洲 | 사룬 선 | ||||||||
178 | 다후 | 大湖 | Dahu | style="text-align:center"| | |||||||
179 | 루주 | 路竹 | Luzhu | style="text-align:center"| | |||||||
180 | 강산 | 岡山 | Gangshan | ■ 가오슝 첩운 홍선 | |||||||
181 | 차오터우 | 橋頭 | Qiaotou | ■ 가오슝 첩운 홍선 | |||||||
183 | 난쯔 | 楠梓 | Nanzi | style="text-align:center"| | |||||||
288 | 신쭤잉 | 新左營 | Xinzuoying | ■ 타이완 고속철도 ■ 가오슝 첩운 홍선 | |||||||
184 | 쭤잉 | 左營 | Zuoying | style="text-align:center"| | |||||||
--- | 네이웨이 | 內惟 | Neiwei | style="text-align:center"| | |||||||
--- | 가오슝 시 미술관 | 美術館 | Kaohsiung Museum | ■ 가오슝 첩운 서클 경전철 | |||||||
--- | 구산 | 鼓山 | Gushan | ■ 가오슝 첩운 서클 경전철 | |||||||
--- | 싼콰이춰 | 三塊厝 | Sankuaicuo | style="text-align:center"| | |||||||
185 | 가오슝 | 高雄 | Kaohsiung | 핑둥 선 ■ 가오슝 첩운 홍선 ■ 타이완 고속철도 | |||||||
5. 1. 타이완 철도 종관선 (남쪽)
종관선 (남쪽) | |||||||||||
---|---|---|---|---|---|---|---|---|---|---|---|
번호 | 이름 | 중국어 이름 | Station Name | 다른 노선 | |||||||
149 | 장화 | 彰化 | Changhua | 타이중 선 해안선 | |||||||
--- | 남장화 | 南彰化 | South Changhua | style="text-align:center"| | |||||||
150 | 화탄 | 花壇 | Huatan | style="text-align:center"| | |||||||
227 | 다춘 | 大村 | Dacun | style="text-align:center"| | |||||||
151 | 위안린 | 員林 | Yuanlin | style="text-align:center"| | |||||||
152 | 융징 | 永靖 | Yongjing | style="text-align:center"| | |||||||
153 | 서터우 | 社頭 | Shetou | style="text-align:center"| | |||||||
154 | 톈중 | 田中 | Tianzhong | style="text-align:center"| | |||||||
155 | 얼수이 | 二水 | Ershui | 지지 선 | |||||||
156 | 린네이 | 林內 | Linnei | style="text-align:center"| | |||||||
157 | 스류 | 石榴 | Shiliu | style="text-align:center"| | |||||||
158 | 더우류 | 斗六 | Douliu | style="text-align:center"| | |||||||
159 | 더우난 | 斗南 | Dounan | style="text-align:center"| | |||||||
160 | 스구이 | 石龜 | Shigui | style="text-align:center"| | |||||||
161 | 다린 | 大林 | Dalin | style="text-align:center"| | |||||||
162 | 민슝 | 民雄 | Minxiong | style="text-align:center"| | |||||||
228 | 자베이 | 嘉北 | Jiabei | style="text-align:center"| | |||||||
163 | 자이 | 嘉義 | Chiayi | 아리산 삼림 철도 자이 버스 첩운 | |||||||
--- | 북회귀선 | 北回歸線 | Tropic of Cancer | style="text-align:center"| | |||||||
164 | 수이상 | 水上 | Shuishang | style="text-align:center"| | |||||||
165 | 난징 | 南靖 | Nanjing | style="text-align:center"| | |||||||
166 | 허우비 | 後壁 | Houbi | style="text-align:center"| | |||||||
167 | 신잉 | 新營 | Xinying | 바웅 선 | |||||||
168 | 류잉 | 柳營 | Liuying | style="text-align:center"| | |||||||
169 | 린펑잉 | 林鳳營 | Linfengying | style="text-align:center"| | |||||||
170 | 룽톈 | 隆田 | Longtian | style="text-align:center"| | |||||||
171 | 바린 | 拔林 | Balin | style="text-align:center"| | |||||||
172 | 산화 | 善化 | Shanhua | style="text-align:center"| | |||||||
282 | 난커 | 南科 | Nanke | style="text-align:center"| | |||||||
173 | 신스 | 新市 | Xinshi | style="text-align:center"| | |||||||
--- | 융캉 공업구 | 永康工業區 | Yongkang Industrial Park Service Center | style="text-align:center"| | |||||||
174 | 융캉 | 永康 | Yongkang | style="text-align:center"| | |||||||
226 | 다차오 | 大橋 | Daqiao | style="text-align:center"| | |||||||
175 | 타이난 | 臺南 | Tainan | style="text-align:center"| | |||||||
--- | 난썬 | 林森 | Linsen | style="text-align:center"| | |||||||
--- | 남타이난 | 南臺南 | South Tainan | style="text-align:center"| | |||||||
176 | 바오안 | 保安 | Bao'an | style="text-align:center"| | |||||||
281 | 런더 | 仁德 | Rende | style="text-align:center"| | |||||||
177 | 중저우 | 中洲 | 사룬 선 | ||||||||
178 | 다후 | 大湖 | Dahu | style="text-align:center"| | |||||||
179 | 루주 | 路竹 | Luzhu | style="text-align:center"| | |||||||
180 | 강산 | 岡山 | Gangshan | ■ 가오슝 첩운 홍선 | |||||||
181 | 차오터우 | 橋頭 | Qiaotou | ■ 가오슝 첩운 홍선 | |||||||
183 | 난쯔 | 楠梓 | Nanzi | style="text-align:center"| | |||||||
288 | 신쭤잉 | 新左營 | Xinzuoying | ■ 타이완 고속철도 ■ 가오슝 첩운 홍선 | |||||||
184 | 쭤잉 | 左營 | Zuoying | style="text-align:center"| | |||||||
--- | 네이웨이 | 內惟 | Neiwei | style="text-align:center"| | |||||||
--- | 가오슝 시 미술관 | 美術館 | Kaohsiung Museum | ■ 가오슝 첩운 서클 경전철 | |||||||
--- | 구산 | 鼓山 | Gushan | ■ 가오슝 첩운 서클 경전철 | |||||||
--- | 싼콰이춰 | 三塊厝 | Sankuaicuo | style="text-align:center"| | |||||||
185 | 가오슝 | 高雄 | Kaohsiung | 핑둥 선 ■ 가오슝 첩운 홍선 ■ 타이완 고속철도 | |||||||
타이완 철도 종관선(남쪽)은 장화 역에서 가오슝역을 잇는 노선이다. 주요 역으로는 장화 역, 위안린 역, 자이 역, 타이난 역, 가오슝역 등이 있으며, 타이완 고속철도와 가오슝 첩운 홍선과의 연결성이 우수하다. 특히, 신쭤잉역에서는 타이완 고속철도와 가오슝 첩운 홍선 모두 환승이 가능하다.
참조
[1]
웹사이트
鐵路高架化>計畫內容
https://traffic.chia[...]
嘉義市政府交通處
2022-01-31
[2]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3]
뉴스
濁水溪鐵路雙軌線今日正式通車,該線雙軌鐵橋全部完成,解決列車擁擠誤點情形
https://das.nlpi.edu[...]
1971-06-28
[4]
서적
臺灣鐵路百週年紀念
臺灣鐵路管理局
[5]
뉴스
台湾鉄道の新「員林駅」開業
https://jp.rti.org.t[...]
RTI 台湾国際放送
2014-11-02
[6]
뉴스
「さようなら高雄駅」 仮設駅最終日にファン集まる=地下化完了/台湾
https://japan.focust[...]
中央社 フォーカス台湾
2018-10-14
[7]
뉴스
鉄道地下化工事で起工式 2022年の完成目指す/台湾・台南
https://japan.focust[...]
中央社 フォーカス台湾
2017-03-15
[8]
뉴스
嘉義鐵路高架正式動工!工程經費53.4億元 總長8.3公里
https://newtalk.tw/n[...]
新頭殼 newtalk
2020-07-08
[9]
웹사이트
彰化市鐵路高架化可行性研究
https://publicworks.[...]
彰化縣政府
2021-10-18
[10]
웹사이트
各站營業里程
https://www.railway.[...]
2018-10-10
[11]
웹사이트
各等級鐵路車站基本設施
https://www.rb.gov.t[...]
2018-10-26
[12]
뉴스
改善血汗 台鐵將增2860人
http://www.appledail[...]
台灣蘋果日報
2017-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