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화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화시는 대만 중부에 위치한 현할시로, 대만 원주민 바부자족의 취락 '포아소아'에서 유래했다. 청나라 시대에 장화현으로 설치되었고, 일본 통치 시기에는 타이중현 장화청으로 개편되었다가 1933년 장화시로 승격되었다. 1945년 대만 광복 이후 성할시가 되었다가 1950년 현할시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른다. 장화시는 평야 지형을 가지며, 기후는 아열대 기후의 영향을 받는다. 주요 교통 시설로는 타이완 철로관리국 종관선과 국도 1호선, 3호선 등이 있으며, 장화역이 위치해 있다. 교육 시설로는 국립 장화 사범대학, 건국과기대학 등이 있으며, 팔괘산 대불, 장화 예술회관 등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현할시 - 타이둥시
타이둥시는 타이완 타이둥현의 현청 소재지로, 비난시 충적평야에 위치하며, 푸유마족과 아미족의 농경 생활 지역으로 '비남'으로 불리다 시로 승격되었고, 현재는 농업, 어업, 관광업이 발달했으며 다양한 교육기관과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헝가리 데브레첸과 자매 도시 관계이다. - 대만의 현할시 - 화롄시
화롄시는 타이완 화롄현의 현할시로, 스페인 금광 개발 이후 한족 농민들이 정착하여 발전했으며, 1945년 중화민국 국민당 정부에 반환된 후 화롄 시로 개칭되었고, 타이완 원주민 인구가 가장 많은 도시이며, 철도, 공항, 항만을 통해 교통이 이루어지고, 타로코 협곡 등 관광 명소가 있으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장화현의 행정 구역 - 시후진
시후진은 중화민국 장화 현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32.0592km²의 면적에 2023년 3월 기준 54,033명이 거주하며, 중산고속도로 등이 지나고 과거 설탕 제조의 중심지였던 곳이다. - 장화현의 행정 구역 - 위안린시
위안린시는 중화민국 장화현 동부에 위치하며, 청나라 시대부터 개발되어 대만의 행정 구역 개편 과정을 거쳐 2015년 시로 승격되었고, 12만 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하며 철도, 고속도로 등의 교통 시설과 흥현서원 등의 관광 명소를 갖춘 곳이다.
장화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공식 명칭 | 장화 시 |
현지 명칭 | 중국어(정체): 彰化市 |
기타 명칭 | 쇼카 |
별칭 | 반선성 (竹城) |
지리 좌표 | 북위 24° 04' 동경 120° 32' |
국가 | 중화민국 |
상위 행정 구역 | 장화 현 |
행정 구역 종류 | 현할시 |
시장 | 린스셴 |
면적 | 65.68 km² |
인구 | 226,564명 (2023년 3월 기준)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지리 | |
위치 | 장화 현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 73개 리(里), 1,340개 린(鄰) |
역사 | |
옛 이름 | 반선(半線), 황계(磺溪)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500 |
전화 지역 번호 | 04 |
상징 | |
시의 나무 | 지정되지 않음 |
시의 꽃 | 지정되지 않음 |
시의 새 | 지정되지 않음 |
이미지 | |
![]() | |
![]() | |
![]() |
2. 역사
장화시는 옛 대만 원주민 평포족 바부자족의 취락 '포아소아'가 있던 곳으로, 1684년부터 푸젠성 해안 거주민들이 이주하기 시작했다. 1723년 저라현 중부에 현을 설치하면서 '장화현'으로 명명되었고, 이것이 장화 지명의 첫 등장이 된다. 장화는 대륙과 가깝고 루강이 무역 요충지였기 때문에 현의 정치, 문화, 상업 중심지 역할을 했다.
1895년 일본 제국에 할양된 후, 장화는 타이추현 쇼카청으로 개편되었다가 타이추청과 합병하여 타이추 지청이 설치되었다. 1920년 쇼카군 설치로 장화라는 행정구역명이 부활했고, 1933년 쇼카가, 난카쿠장, 오타케장이 합병하여 쇼카시가 탄생했다.
1945년 타이완 광복 이후, 장화시는 타이완성의 성할시로 지정되었다. 1951년 12월 1일 현할시로 강등되어 장화현의 현청 소재지가 되었다.
2. 1. 명칭의 유래
장화시는 옛날 대만 원주민 평포족 바부자족의 취락인 '포아소아'가 있었고 대만어음으로 '半線'로 나타냈다. 저라현에 속하고 있었다. 후에 청 정부가 현창황화(顕彰皇化)라는 의미를 담아 창화(彰化)로 개칭했다.[1]1684년, 복건 연해 거주민이 이곳으로 이주를 시작했으며, 1723년에는 저라현의 중부 100여 리의 땅에 현을 설치할 때 '창화현'으로 명명되었고 이것이 장화라는 지명의 첫 등장이 된다.[1]
2. 2. 청나라 통치 시기
장화는 옛날 대만 원주민 평포족 바부자족의 취락인 '포아소아'가 있었고 대만어음으로 '半線'로 나타냈다. 저라현에 속하고 있었다. 후에 청 정부가 현창황화(顕彰皇化)라는 의미를 담은 창화(彰化)로 개칭했다.[1]1684년, 복건 연해 거주민이 이곳으로 이주를 시작했으며, 1723년 주이귀의 반란 이후 저라현의 중부 100여리의 땅에 현을 설치할 때에 '창화현'으로 명명되었고 이것이 장화라는 지명의 첫 등장이 된다.[1] 장화는 대륙에 가깝고 또 루강이 무역의 요충지였기 때문에 현의 정치 문화, 상업 중심지로서의 지위를 차지했다.[1] 17세기 후반부터 19세기 후반까지 이 지역은 타이완 중부의 주요 도시 정착지 중 하나였다.[1]
2. 3. 일본 통치 시기
1895년 타이완이 일본 제국에 할양된 후, 장화는 타이추현 쇼카청으로 개편되었고, 이후 타이추청과 합병해 타이추 지청이 설치되었다. 1920년에는 쇼카군이 설치되어 장화가 행정구역명으로 부활했다. 1933년 쇼카가, 난카쿠장, 오타케장의 합병으로 쇼카시가 탄생했다.[1]2. 3. 1. 역대 시장 (일본 통치 시기)
근대 장화시의 기원은 일제강점기에 있으며, 1897년 臺中縣|타이추 켄일본어 아래에서 장화시를 공식적인 현청 소재지로 만들었다. 이 시대에 일본어 발음인 '쇼카'가 "Changwha, Changhwa, Changhoa, Chanhue, Chan-hua, Tchanghoua"라는 "중국식 표기"와 함께 사용되었다.[1]1901년에는 지방 행정 단위인 彰化廳|쇼카 쵸일본어가 설립되었으나, 1909년에 臺中廳|타이추 쵸일본어와 통합되었다. 1920년, 쇼카는 새로운 타이추 현 아래에서 통치되었다. 1933년, Ōtake Village|오타케 촌일본어과 Nankaku Village|난카쿠 촌일본어이 쇼카 읍과 합병되어 쇼카 시로 승격되었다.
대 | 성명 | 취임 년도 | 퇴임 년도 | 비고 |
---|---|---|---|---|
1 | 사토 후사키치 | 1933년 12월 | 1935년 8월 | |
2 | 고야마 마사사부로 | 1935년 8월 | 1936년 12월 | |
3 | 야스아키 사다쿠마 | 1936년 12월 | 1939년 4월 | |
4 | 고지마 타케시 | 1939년 4월 | 1940년 10월 | |
5 | 고지마 타케시 | 1940년 10월 | 1941년 1월 | |
6 | 오이 마타지 | 1941년 1월 | 1944년 1월 |
2. 4. 중화민국 시기
1945년 타이완 광복 이후, 중화민국에 의해 '''장화시'''는 타이완성의 성할시로 지정되었다. 1951년 12월 1일 현할시로 강등되어 장화현의 현청 소재지가 되었다.초대 시장은 잠정 시장인 석석훈이었으며, 이후 위담명, 왕일린, 진석경이 시장직을 역임했다. 1951년 지방 자치제가 실시되면서 시장 선거가 시작되었고, 두시구이가 초대 및 2대 시장으로 선출되었다. 이후 라이통야오, 왕산, 라이즈텅, 왕샤오이 등이 시장직을 이어갔다.
2. 4. 1. 역대 시장 (중화민국 시기)
대 | 성명 | 취임년 | 퇴임년 | 비고 |
---|---|---|---|---|
잠정 | 석석훈 | 1945년 | 1945년 | |
1 | 위담명 | 1945년 | 1945년 11월 26일 | |
2 | 왕일린 | 1945년 11월 26일 | 1948년 4월 2일 | |
3 | 진석경 | 1948년 4월 2일 | 1950년 10월 21일 |
대 | 성명 | 당적 | 재직 기간 | 비고 |
---|---|---|---|---|
1 | 두시구이 | 1951년 7월 2일 - 1954년 7월 1일 | ||
2 | 두시구이 | 1954년 7월 1일 - 1957년 7월 1일 | ||
3 | 라이통야오 | 1957년 7월 1일 - 1960년 1월 17일 | ||
4 | 라이통야오 | 1960년 1월 17일 - 1964년 3월 1일 | ||
5 | 왕산 | 중국 국민당 | 1964년 3월 1일 - 1968년 3월 1일 | |
6 | 라이즈텅 | 1968년 3월 1일 - 1973년 4월 1일 | ||
7 | 왕샤오이 | 1973년 4월 1일 - 1977년 12월 30일 | ||
8 | 왕샤오이 | 1977년 12월 30일 - 1982년 3월 1일 | ||
9 | 천쥔칭 | 1982년 3월 1일 - 1986년 3월 1일 | ||
10 | 천원텅 | 1986년 3월 1일 - 1990년 3월 1일 | ||
11 | 예만잉 | 무소속 | 1990년 3월 1일 - 1994년 3월 1일 | |
12 | 예만잉 | 무소속 | 1994년 3월 1일 - 1998년 3월 1일 | |
13 | 천제 | 중국 국민당 | 1998년 3월 1일 - 2002년 3월 1일 | |
14 | 원궈밍 | 중국 국민당 | 2002년 3월 1일 - 2006년 3월 1일 | |
15 | 원궈밍 | 중국 국민당 | 2006년 3월 1일 - 2010년 3월 1일 | |
16 | 추젠푸 | 민주진보당 | 2010년 3월 1일 - 2014년 12월 25일 | |
17 | 추젠푸 | 민주진보당 | 2014년 12월 25일 - 2018년 12월 25일 | |
18 | 린스셴 | 민주진보당 | 2018년 12월 25일 - |
장화시는 평야가 많지만, 타이완의 중앙산맥에 의해 두 부분으로 나뉜다. 하나는 남동 지역에, 다른 하나는 북서 지역에 위치한다. 북동 지역은 평평하지만, 여름철 태풍으로 인한 토양 침식의 영향을 자주 받아 거주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3. 지리
장화시의 연평균 기온은 22.4°C이며, 7월이 가장 덥고 1월이 가장 춥다. 연간 강수량은 1723.4mm이며, 6월이 가장 비가 많이 오고 11월이 가장 건조하다. 강수량은 해안선에 가까워질수록 서쪽으로 감소한다. 위도와 경도는 북위 24도 04분 동경 120도 32분이다.[3]
3. 1. 기후
장화시(다춘)의 기후는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균 기온 및 강수량, 1995년부터 현재까지의 극값을 기준으로 관측되었다. 월별 평균 기온, 최고 기온, 최저 기온, 강수량, 강수 일수, 습도, 일조 시간 등 다양한 기후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3]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 | 21.6°C | 22.3°C | 24.2°C | 27.3°C | 30°C | 32°C | 33.2°C | 32.5°C | 31.9°C | 29.9°C | 27.2°C | 23.4°C |
평균 기온 (℃) | 16.4°C | 17.1°C | 19.5°C | 23°C | 25.9°C | 27.8°C | 28.9°C | 28.4°C | 27.5°C | 24.8°C | 21.9°C | 18.2°C |
평균 최저 기온 (℃) | 12.8°C | 13.5°C | 16°C | 19.5°C | 22.6°C | 24.7°C | 25.5°C | 25.4°C | 24.3°C | 21.4°C | 18.3°C | 14.5°C |
최고 기온 기록 (℃) | 30.3°C | 33.6°C | 33.8°C | 34.1°C | 36°C | 36.7°C | 39.2°C | 36.9°C | 37.1°C | 36.1°C | 33.6°C | 31.9°C |
최저 기온 기록 (℃) | 3.8°C | 5.2°C | 4°C | 10°C | 15.5°C | 17.8°C | 22.5°C | 22.7°C | 17.2°C | 14.7°C | 8.2°C | 5.1°C |
평균 강수량 (mm) | 27.8mm | 51.4mm | 62.8mm | 93.8mm | 187.3mm | 260.5mm | 216.9mm | 243.5mm | 104.6mm | 19.9mm | 21.3mm | 27.1mm |
평균 강수 일수 | 4.4 | 5.4 | 6.7 | 7.1 | 8.6 | 10.3 | 8.8 | 10.2 | 5.3 | 2.6 | 3.0 | 3.6 |
평균 상대 습도 (%) | 79.0 | 79.8 | 80.1 | 81.5 | 82.6 | 82.0 | 79.8 | 82.8 | 80.5 | 77.8 | 78.6 | 77.1 |
평균 일조 시간 | 171.8 | 150.2 | 161.0 | 161.8 | 189.5 | 198.1 | 228.6 | 208.7 | 207.7 | 215.5 | 167.1 | 165.3 |
3. 2. 행정 구역
방위 | 촌(村) / 리(里) |
---|---|
남 | 옌핑리(延平里), 젠바오리(建寶里), 광난리(光南里), 난야오리(南瑤里), 화양리(華陽里), 융성리(永生里), 난싱리(南興里), 제서우리(介壽里), 청궁리(成功里), 옌허리(延和里), 타오위안리(桃源里), 다퉁리(大同里), 장안리(長安里), 둥싱리(東興里), 푸안리(福安里), 시안리(西安里), 화베이리(華北里) |
서 | 룬핑리(崙平里), 스퉁리(石桐里), 민취안리(民權里), 우취안리(吳權里), 시스리(西勢里), 난메이리(南美里), 핑허리(平和里), 시싱리(西興里), 중샤오리(忠孝里), 샹양리(向陽里), 좐야오리(磚磘里), 완서우리(萬壽里), 중취안리(忠權里), 난안리(南安里), 푸구이리(富貴里), 둥팡리(東方里), 창러리(長樂里), 중양리(中央里) |
북 | 싱싱리(興北里), 양밍리(陽明里), 신이리(信義里), 완안리(萬安里), 중정리(中正里), 광화리(光華里), 샤푸리(下廍里), 민성리(民生里), 중산리(中山里), 궈산리(國聖里), 싱베이리(新北里), 광푸리(光復里), 룽산리(龍山里), 원화리(文化里), 신화리(新華里), 융푸리(永福里) |
동 | 아이리(愛里), 허탸오리(河皀里), 주중리(竹中里), 싼춘리(三村里), 푸산리(福山里), 샹산리(香山里), 푸톈리(福田里), 자둥리(茄苳里), 구이리(桂里), 스파이리(石牌里), 주샹리(竹巷里), 타이펑리(台鳳里), 중좡리(中庄里), 콰이관리(快官里), 톈중리(田中里), 다주리(大竹里), 궈성리(國盛里), 안시리(安溪里), 뉴푸리(牛埔里), 자난리(茄南里), 바오부리(寶部里), 푸싱리(復興里) |
4. 정치
장화시에는 장화현 정부와 장화현 의회가 있다.
5. 경제
장화시는 장화현에서 더 발전된 지역 중 하나로, 1970년대부터 산업화가 진행되어 왔다. 이는 장화시의 공장 증가와 농지의 감소로 나타난다. 1992년 여론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3.2%가 서비스업, 42.4%가 제조업에 종사했으며, 농업 또는 어업에 종사하는 비율은 14.4%에 불과했다.
6. 교육
창화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는 청나라 시대인 172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본 행정부 역시 창화시의 교육 시스템을 개선했다. 창화시에는 15개의 초등학교, 7개의 중학교, 7개의 고등학교, 2개의 전문학교/대학교가 있다.
6. 1. 대학교

6. 2. 고등학교
창화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는 청나라 시대인 172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본 행정부 역시 창화시의 교육 시스템을 개선했다. 창화시에는 고등학교가 7개 있다.학교 이름 |
---|
국립 장화 고등학교 |
국립 장화 여자 고급 중학교 |
현립 장화 예술 고급 중학교 |
국립 장화 상업 고등학교 |
국립 장화 사범대학 부속 공업직업고등학교 |
선델 고등학교 (ZDVS) |
칭청 고등학교 (CCH) |
- 참고: 원문에 있던 학교 목록 중 고등학교가 아닌 학교는 제외하고, 고등학교 목록을 표로 정리했습니다. 또한, 중복되는 학교 이름(장화 여자 고등학교, 국립 장화 고급 중학교, 사립 정성 고급 중학교)은 원문에서 중복 표기 오류로 판단, 한번만 표기했습니다.
6. 3. 도서관

- 창화시립도서관
7. 교통
타이완 철로관리국 종관선이 지나며, 장화 기차역은 시내에 있는 유일한 타이완 철도청 역이다. 국도 1호선은 장화시를 타이중시와 연결하며, 두 도시 간 통근자들의 주요 노선 중 하나이다. 국도 3호선은 장화에서 국도 1호선과 교차하며 성도 74호선과 연결된다.
종류 | 노선 명칭 | 기타 |
---|---|---|
철도 | 종관선 | 장화역 |
국도 | 국도 1호선 (중산고속도로) | 장화 나들목(IC) 장화 분기점(JCT) |
국도 | 국도 3호선 (포모사 고속공로) | 콰이관 분기점(JCT) |
성도 | 타이1선 | |
성도 | 타이1병선 | |
성도 | 타이14선 | |
성도 | 타이14병선 | |
성도 | 타이19선 | |
성도 | 타이74선 | 동서향 쾌속공로 장빈타이중선 |
성도 | 타이74갑선 | 장화 동외환도 |
7. 1. 철도
장화 기차역은 장화시에 있는 유일한 타이완 철도청 역이다.[1]
종류 | 노선 명칭 | 기타 |
---|---|---|
철도 | 종관선 | 장화역 |
7. 2. 도로
타이완 철로관리국 종관선이 지난다. 장화 기차역은 장화시에 있는 유일한 타이완 철도청 역이다.국도 1호선은 장화시를 타이중시와 연결하며, 두 도시 간 통근자들의 주요 노선 중 하나이다. 국도 3호선은 장화에서 국도 1호선과 교차하며 성도 74호선과 연결된다.
종류 | 노선 명칭 | 기타 |
---|---|---|
국도 | 국도 1호선 (중산고속도로) | 장화 나들목(IC) 장화 분기점(JCT) |
국도 | 국도 3호선 (포모사 고속공로) | 콰이관 분기점(JCT) |
성도 | 타이1선 | |
성도 | 타이1병선 | |
성도 | 타이14선 | |
성도 | 타이14병선 | |
성도 | 타이19선 | |
성도 | 타이74선 | 동서향 쾌속공로 장빈타이중선 |
성도 | 타이74갑선 | 장화 동외환도 |
8. 관광
- 1895년 팔괘산 항일 순국열사 기념관[6]
- 항일 순국열사 기념 공원
- 팔괘산 대불
- 팔괘산 문학 보도(八卦山文學步道)
- 팔괘산 은교(八卦山銀橋)
- 장화 예술회관
- 장화 공자묘
- 장화 현립 미술관
- 장화 철도병원
- 장화 무덕전
- 장화 기차고
- 고월 민속관(古月民俗館)
- 화양 공원(華陽公園)
- 신정 노가(新町老街)
- 개화사
- 라이호 기념관
- 전통 남북 음악 및 극장 박물관
- 남요궁
- 국립 장화 생활 예술 센터
- 홍모정(紅毛井)
- 청춘지천
- 성왕사
- 원청궁
- 원청관 민예관(元清觀民藝館)
- 팔괘산 풍경구
- 장화 불로천
- 장화 홍모정
- 장화 관제묘
- 장화 서문 복덕사
- 정광불묘
- 장화 경안궁
- 회충사
- 절효사
- 장읍성황묘
- 장화 이춘원 곡관
- 장화 예술관 (구 장화시 공회당)
- 소서가
- 은행산
9. 자매 도시
10. 기타 사건
2002년 5월 25일, 중화항공 611편이 공중에서 산산조각 났다. 비행기 잔해 일부가 장화시에 떨어졌다.
11. 저명한 출신 인물
- 요한나 시퍼 (1967년 출생, "요한나"로 알려짐), 만화가 및 단편 소설 작가
참조
[1]
서적
The Island of Formosa, Past and Present : history, people, resources, and commercial prospects : tea, camphor, sugar, gold, coal, sulphur, economical plants, and other productions
https://archive.org/[...]
Macmillan
[2]
웹사이트
Get to Know Changhua City
http://www.changhua.[...]
2017-03-03
[3]
웹사이트
農業氣象觀測網監測系統 : 臺中農改(72G600)
https://agr.cwa.gov.[...]
Central Weather Administration
2024-09-26
[4]
웹사이트
National Changhua University of Education - NCUE
http://www.education[...]
[5]
웹사이트
Chienkuo Technology University, Changhua 建國科技大學
http://www.tealit.co[...]
[6]
웹사이트
1895 Baguashan Anti-Japanese Martyrs' Museum - - Attractions - Travel in Changhua County
http://tourism.chcg.[...]
[7]
뉴스
Changhua
http://news.bbc.co.u[...]
BBC
[8]
뉴스
225 die in China Airlines crash
http://findarticles.[...]
The Independent
[9]
웹사이트
府令 / 臺灣總督府令第47號 / 州、廳ノ位置、管轄區域及郡市ノ名稱、管轄區域
https://dl.ndl.go.jp[...]
官報
1920-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