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암흑시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교 암흑 시대는 16세기에 체사레 바로니우스가 교황의 부도덕 시대를 지칭하며 처음 사용한 용어이다. 이 시기는 867년부터 1049년까지로, 교황청이 로마 귀족 가문인 테오필락티 가문의 영향력 아래 있었으며, 특히 테오도라와 마로지아 등의 여성들이 교황 선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시기에는 교황의 부패와 세속적인 권력 다툼이 심화되었으며, 1012년부터는 테오필락티 가문 출신 교황이 즉위하는 투스쿨룸 교황 시대가 이어졌다. 1059년 교황 니콜라오 2세의 선출과 그레고리오 개혁을 통해 종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의 중세사 - 미라빌리아 우르비스 로마이
《미라빌리아 우르비스 로마이》는 중세 시대 로마의 역사, 건축물, 유적, 기독교 성지 등에 대한 정보를 담은 가이드북으로, 여러 필사본을 통해 내용이 추가 및 수정되었으며, 르네상스 시대 새로운 저작물의 등장과 19세기 고고학자의 관심을 통해 로마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았다. - 로마의 중세사 - 시체 재판
시체 재판은 897년 교황 스테파노 6세가 이미 사망한 교황 포르모소의 시신을 교회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한 정치적 의도가 강한 재판으로, 권력 투쟁과 교황청의 도덕적 타락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 암흑시대 - 그리스 암흑기
그리스 암흑기는 미케네 문명 붕괴 후 기원전 1200년경부터 기원전 8세기까지의 시기로, 문자 기록 부족으로 '암흑기'라 불리지만 철기 기술 도입, 폴리스 형성, 알파벳 성립 등 중요한 변화와 혁신이 일어난 시기이며, 최근에는 '초기 철기 시대'로 재조명되고 있다. - 암흑시대 - 중세 암흑시대
중세 암흑시대는 시대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어 왔으며, 르네상스 시기에는 부정적으로 평가되었으나 낭만주의 시대에 재평가되었고, 현대 학계에서는 비판적 시각이 존재하지만 대중 문화에서는 후진성을 의미하는 용례로 사용된다. - 10세기 기독교 - 보고밀파
보고밀파는 10세기 초 마케도니아 지역에서 발생한 영지주의적 사회 종교 운동으로, 불가리아의 사회적, 종교적 상황과 파울리키아노파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교회 제도와 물질주의에 반대하는 이원론적 우주론을 가지고 발칸 반도에 확산되어 후대 종교 운동과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 10세기 기독교 - 키예프 루스의 기독교화
키예프 루스의 기독교화는 9세기에서 10세기에 걸쳐 키예프 루스에서 기독교를 받아들인 과정으로, 블라디미르 1세에 의해 988년 공식적인 기독교 국교화로 절정에 달해 키예프 루스의 문화, 정치, 종교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종교 암흑시대 | |
---|---|
개요 | |
이름 | 암흑 시대 |
라틴어 | Saeculum obscurum |
별칭 | 교황 창부 정치, 창부 정치, 매춘부 통치 |
시기 | 904년 ~ 964년 |
지역 | 이탈리아, 특히 로마 |
영향 | 교황의 권위 약화, 도덕적 타락, 정치적 혼란 |
배경 | |
주요 원인 | 로마 귀족 가문의 권력 다툼 교황 선출 과정의 부패 여성들의 정치적 영향력 증가 |
관련 사건 | 세르지오 3세의 교황 즉위 마로치아의 권력 장악 요한 11세, 요한 12세 등 부패한 교황들의 등장 |
주요 인물 | |
교황 | 세르지오 3세 아나스타시오 3세 란도 요한 10세 레오 6세 스테파노 7세 요한 11세 레오 7세 스테파노 8세 마리노 2세 아가피토 2세 요한 12세 |
귀족 | 테오필락트 1세 마로치아 테오도라 알베리코 1세 알베리코 2세 |
평가 및 영향 | |
긍정적 평가 | 교황청 개혁의 필요성 대두 |
부정적 평가 | 교황의 권위 실추, 교회 도덕성 하락, 사회 혼란 |
역사적 의의 | 교황권 약화와 세속 권력의 강화 |
기타 | |
관련 용어 | 포르노크라시 (Pornocracy) |
2. 역사적 배경
Saeculum obscurumla(암흑 시대)은 16세기 이탈리아의 추기경이자 역사가인 체사레 바로니우스가 그의 저서 ''교회 연대기''에서 교황의 부도덕이 심했던 특정 시기를 지칭하며 처음 사용한 용어이다.[1] 바로니우스는 동시대 작가인 크레모나의 리우트프란트의 기록 등을 참고했으며, 반종교 개혁 시기의 관점에서 10세기 초 교황청의 상황을 비판적으로 묘사했다. 이러한 평가는 후대, 특히 개신교 진영에 영향을 주었다.
이 시기를 비판적으로 조명하는 과정에서 "포르노크라시"(Pornokratiede)와 같은 용어들이 19세기 독일 신학자들에 의해 사용되기도 했다.[2] 역사가 윌 듀런트는 867년부터 1049년까지의 기간을 교황청 역사상 가장 암울했던 시기, 즉 "nadir영어"(최저점)로 평가하기도 했다.[3]
2. 1. 용어의 기원
Saeculum obscurum|사엑룸 옵스큐럼la(암흑 시대)이라는 용어는 16세기 이탈리아의 추기경이자 역사가인 체사레 바로니우스가 그의 저서 ''교회 연대기''에서 교황의 부도덕 시대를 지칭하며 처음 사용했다.[1] 바로니우스는 이 시대를 기록하기 위해 동시대 작가인 크레모나의 리우트프란트 주교의 기록을 주요 자료로 활용했다. 그는 성직자 부패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높아지던 반종교 개혁 시기에 활동했으며, 10세기 초 교황청에 대한 그의 부정적인 묘사는 이후 개신교 작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포르노크라시(Pornocracy, Pornokratiede, 그리스어 ''pornokratiā'', "창녀의 통치"), 헤타에로크라시("애첩의 정부"), 그리고 매춘부의 통치(Hurenregimentde)와 같은 용어들은 19세기 독일의 개신교 신학자들에 의해 만들어졌다.[2]
역사가 윌 듀런트는 867년부터 1049년까지의 시기를 "교황청의 nadir"(최저점)라고 평가했다.[3]
2. 2. 시대 구분
Saeculum obscurum|사엑룸 옵스쿠룸la(암흑 시대)이라는 용어는 16세기 이탈리아의 추기경이자 역사가인 체사레 바로니우스가 그의 저서 ''교회 연대기''에서 교황의 부도덕 시대를 지칭하며 처음 사용하고 규정했다.[1] 바로니우스는 이 시대의 역사를 기록하는 데 동시대 작가인 크레모나의 리우트프란트 주교를 주요 자료로 삼았다. 바로니우스는 성직자 부패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진 반종교 개혁 시기에 글을 썼다. 10세기 초 교황청에 대한 그의 묘사는 개신교 작가들에 의해 지속되었다.
"포르노크라시"(Pornokratie|포르노크라티de, 그리스어 ''pornokratiā'', "창녀의 통치"), 헤타에로크라시("애첩의 정부"), 그리고 매춘부의 통치(Hurenregiment|후렌레기멘트de)라는 용어는 19세기에 독일의 개신교 신학자들에 의해 만들어졌다.[2]
역사가 윌 듀런트는 867년부터 1049년까지의 시기를 "교황청의 nadir|네이더영어"(최저점)라고 지칭했다.[3]
3. 테오필락티 가문의 교황 지배
테오필락티 가문은 테오필락트의 후손으로, 로마 귀족 사회에서 판사, 베스타라리우스, 공작, 집정관, 원로원 의원, 군사령관 등 중요한 직책을 맡았다.[4] 특히 테오필락트의 아내 테오도라와 딸 마로지아는 개인적인 관계와 정치적 수완을 통해 교황 선출을 비롯한 로마의 종교 문제 전반에 걸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이들의 영향력 아래 여러 교황이 선출되었으며, 이 시기는 교황권이 세속 권력, 특히 로마 귀족 가문에 의해 좌우되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3. 1. 여성들의 영향력
테오필락티 가문은 테오필락트의 후손으로, 로마 귀족 사회에서 '판사'(iudex), 베스타라리우스, '가장 영광스러운 공작'(gloriosissimus dux), 집정관, 원로원 의원, '군사령관'(magister militum)과 같은 중요한 직책들을 역임했다.[4] 테오필락트의 아내 테오도라와 딸 마로지아는 음모, 불륜, 결혼 등을 통해 교황 선출과 로마의 종교 문제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5]마로지아는 15세 때 45세였던 교황 세르지우스 3세의 첩이 되었고, 이후에도 여러 연인과 남편을 두었다.[6] 920년경부터 972년까지 활동한 리우트프란트 오브 크레모나는 그의 저서 ''안타포도시스 시베 레스 페르 에우로팜 게스테'' (958–962)에서 마로지아가 자신의 아들 요한(교황 세르지우스 3세가 아버지라는 소문이 있었음)을 교황 요한 11세로 만들었다고 기록했다. 리우트프란트는 또한 마로지아가 당시 남편 토스카나의 가이를 통해 전 애인이었던 교황 요한 10세(테오도라가 임명했던 인물)를 살해하도록 주선했으며, 이는 자신이 선호하는 인물을 교황 레오 6세로 세우기 위함이었다고 주장했다.[7] 교황 요한 10세는 이미 마로지아에 의해 투옥되어 대중 앞에서 사라진 상태였기에, 레오 6세가 선출되기 전에 그가 확실히 사망했는지에 대한 기록은 없다.
테오도라와 마로지아는 이 시기 교황들에게 큰 영향력을 미쳤다. 특히 로마의 정치적 실권자로서 그들은 새로운 교황을 선출하는 데 실질적인 통제력을 행사했다. 이 시대, 즉 '사쿨룸 옵스쿠룸'(Saeculum obscurum|사쿨룸 옵스쿠룸la, 어두운 시대)에 대한 많은 주장은 크레모나의 주교였던 리우트프란트의 기록에서 비롯되었다. 리우트프란트는 교황 요한 12세를 폐위시킨 주교 회의에 참여했으며, 교황 선출에 대한 로마 귀족 사회의 통제에 반대하는 정치적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린지 브룩은 리우트프란트의 기록에 대해 다음과 같이 지적한다.
우리는 10세기의 연대기 작가 중 가장 논쟁적이었던 크레모나의 리우트프란트의 글에 대해 특히 신중해야 한다. 그는 부활한 서 로마 제국을 홍보하기 위한 자신만의 의제를 가지고 있었다. ...
이 시대의 모든 교황, 또는 심지어 대부분의 교황을 세속적이고 부패한 인물로 묘사하는 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을 것이다. 남아있는 문서(그리고 명백한 공백이 존재한다)는 많은 사람들이 유능한 행정가였고 어렵고 위험한 시대에 능숙한 외교관이었음을 분명히 한다. 일부는 개혁가였으며 성직 매매와 같은 부끄러운 관행을 근절하려 했다. 다른 이들은 로마의 교회와 궁전을 재건하고 복원하도록 명령했다 ... 오히려 그들의 정권이 포르노크라시라는 명칭을 얻게 된 것은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의 선출 방식과 로마 귀족 사회와의 공생 관계이다.[8]
3. 2. 비판적 시각
테오필락티 가문은 테오필락트의 후손으로, 로마 귀족 사회에서 중요한 직책들을 맡으며 영향력을 행사했다.[4] 특히 테오필락트의 아내 테오도라와 딸 마로지아는 여러 방법을 통해 교황 선출과 로마의 종교 문제에 깊숙이 관여했다.[5]마로지아는 15세 때 45세였던 교황 세르지우스 3세의 첩이 되었고, 이후에도 여러 연인과 남편을 두었다.[6] 그녀는 자신의 아들 요한(아버지가 세르지우스 3세라는 소문이 있었다)을 교황 요한 11세로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크레모나의 리우트프란트(약 920년–972년)는 그의 저서 ''안타포도시스''(958–962)에서 마로지아가 당시 남편 토스카나의 가이를 통해 전 애인이었던 교황 요한 10세(원래 테오도라에 의해 임명됨)를 살해하고, 자신이 선호하는 인물을 교황 레오 6세로 세웠다고 주장했다.[7] 다만 교황 요한 10세는 마로지아에 의해 투옥된 상태였으므로, 레오 6세가 선출되기 전에 사망했는지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
테오도라와 마로지아는 이 시대의 교황들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특히, 로마의 정치적 통치자로서 그들은 새 교황 선출에 실질적인 통제권을 가지고 있었다. Saeculum obscurum|사에쿨룸 옵스쿠룸la에 대해 제기된 많은 내용은 크레모나의 주교인 리우트프란트의 역사에서 비롯되었다. 리우트프란트는 교황 요한 12세를 폐위시킨 '주교 회의'에 참여했으며, 교황 선출에 대한 로마 귀족 사회의 통제에 반대하는 정치적 적이었다. 린지 브룩은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 우리는 10세기의 연대기 작가 중 가장 논쟁적이었던 크레모나의 리우트프란트의 글에 대해 특히 신중해야 한다. 그는 부활한 서 로마 제국을 홍보하기 위한 자신만의 의제를 가지고 있었다. ...
: 이 시대의 모든 교황, 또는 심지어 대부분의 교황을 세속적이고 부패한 인물로 묘사하는 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을 것이다. 남아있는 문서(그리고 명백한 공백이 존재한다)는 많은 사람들이 유능한 행정가였고 어렵고 위험한 시대에 능숙한 외교관이었음을 분명히 한다. 일부는 개혁가였으며 성직 매매와 같은 부끄러운 관행을 근절하려 했다. 다른 이들은 로마의 교회와 궁전을 재건하고 복원하도록 명령했다 ... 오히려 그들의 정권이 포르노크라시라는 명칭을 얻게 된 것은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의 선출 방식과 로마 귀족 사회와의 공생 관계이다.[8]
4. 암흑 시대의 교황 목록
교황 | 재위 기간 | 비고 |
---|---|---|
교황 세르지우스 3세 | 904–911 | 마로치아의 연인으로 추정 |
교황 아나스타시우스 3세 | 911–913 | |
교황 란도 | 913–914 | |
교황 요한 10세 | 914–928 | 테오도라(어머니)의 연인으로 추정, 마로치아에 의해 살해되었다고 전해짐 |
교황 레오 6세 | 928–928 | |
교황 스테파노 7세 | 928–931 | |
교황 요한 11세 | 931–935 | 마로치아의 아들, 교황 세르지우스 3세의 아들로 추정 |
교황 레오 7세 | 936–939 | |
교황 스테파노 8세 | 939–942 | |
교황 마리노 2세 | 942–946 | |
교황 아가페토 2세 | 946–955 | |
교황 요한 12세 | 955–964 | 마로치아의 손자 (그녀의 아들 스폴레토의 알베리코 2세의 아들) |
5. 테오필락티 가문 가계도
- 투스쿨룸 백작 테오필락트 1세 Theophylactus I|테오필락투스 1세la (864–924) ∞ 테오도라 Theodora|테오도라la
- * 마로치아 Marozia|마로치아la (890–937)
- ** 관계: 스폴레토의 알베리크 1세 Albericus I Spoletensis|알베리쿠스 1세 스폴레텐시스la (925년 사망)
아들: 스폴레토의 알베리크 2세 Albericus II Spoletensis|알베리쿠스 2세 스폴레텐시스la (905–954) ∞ 비엔의 알다 Alda de Vienne|알다 드 비엔프랑스어
* 아들: 투스쿨룸 백작 그레고리오 1세 Gregorius I Comes Tusculanus|그레고리우스 1세 코메스 투스쿨라누스la ∞ 마리아 Maria|마리아la
** 아들: 투스쿨룸 백작 알베리크 3세 Albericus III Comes Tusculanus|알베리쿠스 3세 코메스 투스쿨라누스la (1044년 사망)
*** 아들: 투스쿨룸 백작 그레고리오 2세 Gregorius II Comes Tusculanus|그레고리우스 2세 코메스 투스쿨라누스la
*** 아들: '''교황 베네딕토 9세''' Papa Benedictus IX|파파 베네딕투스 9세la (1032–1048년 교황)
*** 아들: 로마 공작 페트로 Petrus Dux Romanorum|페트루스 둑스 로마노룸la
*** 아들: 가이우스 Gaius|가이우스la
*** 아들: 옥타비아누스 Octavianus|옥타비아누스la
** 아들: '''교황 베네딕토 8세''' Papa Benedictus VIII|파파 베네딕투스 8세la (1012–1024년 교황)
** 아들: '''교황 요한 19세''' Papa Ioannes XIX|파파 요안네스 19세la (1024–1032년 교황)
* 아들: '''교황 요한 12세''' Papa Ioannes XII|파파 요안네스 12세la (955–964년 교황)
* 아들: 데오다투스 Deodatus|데오다투스la 또는 다비드 David|다비드la
** 아들 ''(추정)'': '''교황 베네딕토 7세''' Papa Benedictus VII|파파 베네딕투스 7세la (974-983년 교황)
- ** 관계 ''(추정)'': '''교황 세르지오 3세''' Papa Sergius III|파파 세르기우스 3세la (904–911년 교황)
아들: '''교황 요한 11세''' Papa Ioannes XI|파파 요안네스 11세la (931–935년 교황)
- ** 결혼: 이탈리아의 휴 Ugo d'Italia|우고 디탈리아it (887-948)
- * 테오도라 Theodora II|테오도라 2세la ∞ 요한 Ioannes|요안네스la (집정관, 후일 주교)
- ** 아들: '''교황 요한 13세''' Papa Ioannes XIII|파파 요안네스 13세la (965-972년 교황)
아들: 크레센티우스 장로 Crescentius Maior|크레센티우스 마이오르la
6. 투스쿨룸 교황 시대 (1012-1059)
1012년까지 크레센티 가문 출신 교황들이 연이어 등장했으나, 이후 투스쿨룸 가문(테오필락티 가문)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자신들의 가문 사람들을 교황 자리에 앉히는 경우가 잦아졌다. 이 시기를 투스쿨룸 교황 시대라고 부른다.
교황명 | 재위 기간 | 가문 관계 |
---|---|---|
교황 베네딕토 8세 | 1012년–1024년 | 투스쿨룸 백작 그레고리오 1세의 아들 |
교황 요한 19세 | 1024년–1032년 | 투스쿨룸 백작 그레고리오 1세의 아들 |
교황 베네딕토 9세 | 1032년–1044년, 1045년, 1047년–1048년 | 알베리코 3세의 아들 |
대립 교황 베네딕토 10세 | 1058년–1059년 | 알베리코 3세의 아들 |
특히 교황 베네딕토 9세는 교황직을 자신의 대부인 교황 그레고리오 6세에게 돈을 받고 파는 전례 없는 일을 벌이기도 했다. 하지만 베네딕토 9세는 곧 마음을 바꿔 라테라노 궁전을 무력으로 점거하고 1047년부터 1048년까지 세 번째로 교황직에 오르는 혼란을 야기했다.
이러한 투스쿨룸 가문의 교황 세습 시대는 1054년의 대분열이라는 교회의 큰 사건 이후 5년 만인 1059년, 교황 니콜라오 2세가 선출되면서 막을 내렸다. 니콜라오 2세는 소바나의 힐데브란트의 도움을 받아, 투스쿨룸 가문이 내세운 대립 교황 베네딕토 10세를 소규모 전쟁 끝에 로마에서 축출하고 교황권을 안정시켰다.
힐데브란트는 1073년 교황 그레고리오 7세로 선출되어 그레고리오 개혁을 주도했다. 이 개혁은 교황의 권위와 독립성을 크게 높였으며, 세속 권력으로부터 교회를 분리하려는 중요한 시도였다. 이러한 교황권 강화는 약 20년 후 제1차 십자군 원정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7. 암흑 시대의 종식과 그레고리오 개혁
1012년 이후 크레센티 가문 출신 교황들의 시대가 끝나고, 테오필락티 가문(투스쿨룸 가문)이 다시 교황 선출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했다. 이 가문은 여러 차례 자신들의 아들을 교황으로 내세웠다.
- 교황 베네딕토 8세 (1012년–1024년): 투스쿨룸 백작 그레고리오 1세의 아들
- 교황 요한 19세 (1024년–1032년): 투스쿨룸 백작 그레고리오 1세의 아들
- 교황 베네딕토 9세 (1032년–1044년, 1045년, 1047년–1048년): 투스쿨룸 백작 알베리코 3세의 아들
- 대립 교황 베네딕토 10세 (1058년–1059년): 투스쿨룸 백작 알베리코 3세의 아들. 그는 작은 규모의 전쟁 이후 로마에서 쫓겨났다.
특히 교황 베네딕토 9세는 자신의 종교적 대부였던 교황 그레고리오 6세(1045년–1046년)에게 교황직을 팔아넘기는 일까지 벌였다. 이후 베네딕토 9세는 마음을 바꿔 라테라노 궁전을 점령하고 1047년부터 1048년까지 세 번째로 교황 자리에 오르기도 했다.
이러한 투스쿨룸 가문 출신 교황들의 시대는 1054년의 대분열이 일어난 지 5년 후인 1059년, 교황 니콜라오 2세가 선출되면서 막을 내렸다. 니콜라오 2세는 대립 교황 베네딕토 10세에 맞서 소바나의 힐데브란트의 도움을 받았다. 힐데브란트는 훗날 1073년에 교황 그레고리오 7세로 선출되었으며, 교황의 권력과 독립성을 크게 강화시킨 그레고리오 개혁을 주도했다. 이 개혁은 약 20년 뒤 제1차 십자군이 일어나는 배경 중 하나가 되기도 했다.
참조
[1]
서적
Church history: twenty centuries of Catholic Christianity
https://archive.org/[...]
Paulist Press.
[2]
간행물
Pornocracy
Routledge
[3]
서적
The Age of Faith
Simon and Schuster
[4]
논문
Papal chronology in the eleventh century
[5]
간행물
Ricerche per la storia di Rome e del papato al. sec. X
[6]
서적
Unzipped: The Popes Bare All: A Frank Study of Sex and Corruption in the Vatican
American Atheist Press
[7]
서적
For the glory of God
Princeton University Press
[8]
논문
Popes and pornocrats: Rome in the early middle ages
http://fmg.ac/phocad[...]
Foundation for Medieval Genealogy
20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