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리스 암흑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 암흑기는 기원전 1200년경 미케네 문명의 붕괴 이후 약 400년간 이어진 시기를 지칭한다. 이 시기에는 미케네 문명의 붕괴와 함께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쇠퇴를 겪었으며, 도리아인의 침입, 해양 민족의 이동 등 다양한 원인이 제기되었다.

암흑 시대는 철기 시대의 도래와 함께 토기 양식의 변화, 알파벳 도입 등 문화적 변화를 겪었으며, 레프칸디 유적과 같은 곳에서는 미케네 문화의 흔적을 엿볼 수 있다. 기원전 8세기에는 호메로스의 서사시가 등장하고, 페니키아인과의 교류를 통해 알파벳이 보급되면서 폴리스가 형성되는 등 고대 그리스 문명의 부흥이 시작되었다. 이 시기에는 영웅 숭배가 나타나는 등 미케네 문화의 유산이 계승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암흑시대 - 중세 암흑시대
    중세 암흑시대는 시대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어 왔으며, 르네상스 시기에는 부정적으로 평가되었으나 낭만주의 시대에 재평가되었고, 현대 학계에서는 비판적 시각이 존재하지만 대중 문화에서는 후진성을 의미하는 용례로 사용된다.
  • 암흑시대 - 후기 청동기 시대의 붕괴
    후기 청동기 시대의 붕괴는 기원전 1550년경부터 1200년경까지 이집트, 히타이트, 메소포타미아, 미케네 등 번성했던 고대 문명들이 복합적인 요인으로 쇠퇴하고 붕괴한 현상을 일컫는다.
  • 철기 시대 그리스 - 신통기
    《신통기》는 헤시오도스가 지은 서사시로, 우주의 기원과 신들의 탄생, 크로노스에서 제우스로 이어지는 3대 교체 신화와 프로메테우스 신화를 다루며 후대 문학과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철기 시대 그리스 - 헤라클레이다이
    헤라클레이다이는 그리스 신화 영웅 헤라클레스의 후손으로, 도리스인과 함께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침공하여 스파르타, 코린토스, 아르고스, 마케도니아 등지에 왕조를 세우고 세력을 확장했으며,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작품에도 등장한다.
그리스 암흑기
개요
시기기원전 1200년경–기원전 800년경
지역그리스 본토 및 에게해
특징정착지 파괴 및 사회경제 시스템 붕괴
이전 시대미케네 문명, 미노아 문명
다음 시대고대 그리스
상세 정보
다른 이름그리스 암흑기
주요 유적지(정보 없음)
참고"암흑시대"라는 용어가 내포하는 부정적인 의미로 인해 "초기 철기 시대"라는 중립적인 용어가 선호됨.
역사적 맥락
시기 구분그리스 청동기 시대 후기 붕괴 이후
주요 사건미케네 문명 쇠퇴
문자 사용 중단
인구 감소
물질 문화 쇠퇴
문화적 특징
도기프로토게오메트릭 양식 (Prōtogeōmetrikḗ epochḗ)
기하학 양식 (Geōmetrikḗ epochḗ)
용어 관련
대안 용어그리스 초기 철기 시대

2. 미케네 문명의 붕괴와 암흑 시대의 시작

기원전 1200년의 대재앙으로 히타이트가 붕괴하고 이집트 신왕국이 쇠퇴하는 등 동지중해 전역에 큰 혼란이 발생하면서, 그리스미케네 문명 역시 붕괴했다.[23]

청동기 시대 붕괴 (기원전 1200년경) 동지중해 지도


미케네 문명이 붕괴하면서 거대한 궁전 건축, 금은 세공품, 상아 세공 등 번영을 상징하던 요소들이 사라지고 조잡한 촌락만이 남게 되었다.[24] 경제 및 재분배 시스템의 붕괴와 함께 선형 문자 B도 사라졌다.[5] 붕괴 원인에 대해서는 도리아인의 침입, 해양 민족의 약탈, 지진, 기후 변화, 내부 갈등 등 다양한 가설이 제기되었으나,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다.[22]

미케네 궁전은 기원전 1200년경부터 쇠퇴하여 수십 년 후에는 궁정 권위와 행정을 거부하는 도시 내부 갈등으로 종말을 맞이했다. 보이오티아 지역에서는 오르코메노스, 글라, 테베와 같은 미케네 폴리스 간의 분쟁도 있었다. 궁전 중심지가 붕괴되면서 기념비적인 석조 건물과 벽화 제작이 중단되고, 무역 연결도 끊어졌다. 조직화된 국가 군대, 왕, 관리, 재분배 시스템도 사라졌다.

새롭게 등장한 분열되고 지역적이며 자율적인 문화는 문화적, 미적 일관성이 부족했고, 원시 기하학 양식의 도기는 이전보다 단순한 선과 곡선이 특징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미케네 문명의 붕괴는 급작스러운 사건이 아니라 점진적인 쇠퇴 과정이었으며, 아티카, 팔리오카스트로(Paliokastro) 등 일부 지역에서는 궁전 붕괴 이후에도 번영한 촌락 유적이 발견되었다.[27] 또한, 키프로스 섬에서는 미케네 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느낄 수 있는 마・팔리오카스트로 유적 등이 존재한다.[30]

2. 1. 도리아인의 침입과 해양 민족

전통적인 학설에 따르면, 도리아인이 발칸반도를 남하하여 그리스 본토 남부, 펠로폰네소스반도, 크레타, 소아시아 남서부에 정착하면서 미케네 문명이 붕괴했다고 보았다. 투키디데스는 『역사』에서 트로이 전쟁 80년 후 도리스인들이 헤라클레스의 후손들과 함께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점령했다고 기록했다.[34] 헤로도토스의 『역사』와 투키디데스의 『역사』에 따르면, 도리아인들은 '헤라클레스의 후손'을 자처하며 남하했다고 한다. 과거에는 도리아인의 침입으로 철기가 그리스에 도입되고, 토기 양식과 장례 제도의 변화가 일어났다고 여겨졌다.[35]

그러나 '해양 민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인구 이동으로 인한 재앙 발생설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또한, 도리아인의 이동 경로, 기원, 정착지 등에 대한 명확한 증거가 부족하여, 도리아인의 침입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38]

2. 2. 암흑 시대에 대한 새로운 시각

일부 학자들은 '그리스 암흑기'라는 용어 자체가 부적절하다고 주장하며, 비문이 부족했던 시대(따라서 "암흑기")의 고고학적 증거 부족은 역사의 사실이 아닌, 우연한 발견의 결과라고 본다.[19] 이들은 "'''초기 철기 시대'''"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20] 또한, 암흑 시대의 존재 자체를 의문시하는 의견도 있다.[21]

Peter James (historian)|피터 제임스영어는 저서 『암흑의 수 세기 - 구세계 고고학의 전통적인 연대기 편성에 대한 도전 -』[47]에서 이집트 제3중간기의 연대기 오류를 지적하며, 기원전 1200년부터 기원전 700년까지의 기간이 실제보다 부풀려졌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집트 연대기에 의존하는 에게 해 세계의 연대기에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보았다.[21][48]

제임스는 미케네 문화 붕괴 후 암흑 시대를 거쳐 문화가 부흥했을 때, 데로스 섬의 아르테미스 신전에서 발견된 상아 세공품이나 토기 및 프레스코화에 그려진 전차처럼 미케네적인 문화 요소가 부활한 점을 지적한다. 그는 미케네 시대와 고전 시대의 시기를 가깝게 하면 이러한 현상을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49]

제임스의 주장은 이집트 학자들과 그리스 연대기 학자들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지만,[48] 그가 제기한 의문점들은 높게 평가받고 있다.[50]

3. 암흑 시대의 사회와 문화

그리스 암흑 시대에 그리스는 씨족 집단과 가구(오이코스)를 중심으로 조직된 독립적인 지역들로 나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훗날 폴리스의 기원이 되었다.[6] 대부분의 그리스인들은 고립된 농가나 작은 정착지에서 생활했다.[6] 각 가구의 주요 경제 자원은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토지(클레로스)였으며, 이것이 없으면 남자는 결혼할 수 없었다.[6]

펠로폰네소스의 니코리아 발굴 결과, 기원전 1150년에 버려졌던 청동기 시대 도시가 기원전 1075년경 작은 마을로 다시 나타났다. 약 40가구가 살았으며, 농경지와 방목지가 풍부했다.[6] 기원전 10세기 메가론 잔해는 족장의 집으로 추정되며,[6] 종교적, 공동 식량 저장소 역할도 했을 가능성이 있다.

원형 무덤은 초기 철기 시대 테살리아크레타에서 발견되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일반적이지 않다. 화장은 아티카에서, 매장은 아르고스 평원에서 일반적이었다.[6] 아르고스나 크노소스 같은 미케네 궁전 유적지 일부는 계속 사용되었고, 다른 유적지는 1~2세대 동안 확장되었다가 버려졌다. 이는 개인적 카리스마에 기반한 불안정한 "큰 사람 사회 조직"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6]

암흑 시대에도 고위층은 존재했지만, 그들의 생활 수준은 마을의 다른 사람들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6] 아티카, 에우보이아, 중앙 크레타 같은 일부 지역은 경제적으로 더 빨리 회복되었지만, 일반 그리스인들의 삶은 수세기 동안 비교적 변함없이 농업, 직조, 금속 가공, 도기 제작을 하며 유지되었으나 생산량은 감소하고 지역적인 스타일로 현지에서 사용되었다.

3. 1. 레프칸디 유적의 중요성

에우보이아 섬의 레프칸디는 후기 청동기 시대에 번성했던 정착지로,[12] 미케네 문화 붕괴 이후 빠르게 회복되었다. 1981년 묘지 발굴팀은 그리스에서 가장 큰 기원전 10세기 건물인 헤론을 발견했다.[14]

이 건물은 길이 50m, 폭 10m의 길고 좁은 형태로, 내부에 두 개의 묘지 구덩이가 있었다. 한 구덩이에는 말 4마리가, 다른 구덩이에는 철제 무기를 가진 채 화장된 남성과 금 장신구로 치장된 여성이 안치되어 있었다.[15] 남성의 유골은 키프로스에서 제작된 청동 단지에 담겨 있었고, 단지 가장자리에는 사냥 장면이 새겨져 있었다. 여성은 금 코일, 반지, 금 흉갑, 가보 목걸이, 200~300년 전 키프로스 또는 근동 지역에서 제작된 목걸이, 상아 손잡이 단검을 착용하고 있었다. 말들은 희생된 것으로 보이며, 일부는 입에 철제 재갈을 물고 있었다.

이 건물이 매장을 위해 세워졌는지, 아니면 "영웅"이나 지역 족장이 화장된 후 그의 집에 매장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곧 철거된 건물의 잔해는 벽 위로 원형 둔덕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었다. 기원전 820년경까지 공동체의 부유한 구성원들은 건물 동쪽 끝 가까이에 화장되어 매장되었다. 80여 개 이상의 추가 매장에서 발견된 수입품들은 레프칸디의 지속적인 엘리트 전통을 보여준다.

레프칸디 유적에서는 키프로스나 근동에서 제작된 금속 제품, 에우보이아에서 사용되던 알파벳을 사용한 그리스어 문장이 새겨진 항아리 등이 발견되어, 당시 그리스가 동방과 교류했음을 보여준다.[52]

4. 철기 시대의 도래와 문화적 변화

기원전 13세기 말, 그리스에 철기로 보이는 "검은 금속"이 등장했지만,[38] 철기 기술이 즉시 보급된 것은 아니었다.

암흑 시대의 도기는 이전 시대보다 단순하고 기하학적인 양식으로 변화했다. 아테네케라메이코스 묘역에서는 원기하학 문양기, 초기 기하학 문양기, 중기 기하학 문양기, 후기 기하학 문양기 등 다양한 양식의 토기가 발견되었다.

시대연대 (기원전)특징
초기 원기하학 문양기1050–1000년단순하고 기하학적인 양식
중기 원기하학 문양기1000–950년
후기 원기하학 문양기950년 - 900년
초기 기하학 문양기900년 - 850년
중기 기하학 문양기850–800년중동과의 교류 재개
후기 기하학 문양기800년-토기에 인물상 등장



중기 기하학 문양기부터 그리스는 중동과의 교류를 재개했으며, 후기 기하학 문양기에는 토기에 인물상이 그려지기 시작했다.

아티카에서 발견된 기하학 문양 토기


후기 기하학 문양기의 암포라에 그려진 인물상

5. 암흑 시대의 종말과 그리스 문명의 부흥

기원전 8세기, 호메로스서사시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가 성립되면서 암흑 시대는 종말을 맞이했다. 이 서사시들의 성립은 '기원전 8세기의 르네상스'라고 불리는 그리스 문명의 결정적인 분기점이었다.[78] 페니키아인과의 교류를 통해 그리스인들은 알파벳을 받아들였고, 이는 그리스어뿐만 아니라 프리기아어와 동지중해의 다른 언어를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다. 알파벳의 보급은 법률 정비와 폴리스 성립에 기여했으며,[84][85] 그리스 사회는 궁전 중심 사회에서 광장(아고라) 중심 사회로 변화했다.

기원전 8세기 이후, 급격한 인구 증가, 목축에서 농업으로의 전환, 각지의 성역 성립 등과 함께 폴리스가 형성되었고,[88] 이를 기반으로 고대 그리스 문명이 번성하게 되었다.

5. 1. 암흑 시대의 유산: 영웅 숭배

암흑 시대를 통해 계승되어 온 미케네 문화의 요소 중 하나는 영웅 숭배였다. 영웅 숭배는 미케네 시대의 토로스 무덤, 암실 무덤에서 행해진 제사로,[87] 호메로스의 서사시와 관련이 있다는 학설이 유력하다.[87]

6. 국제 관계와 한국의 관점

기원전 1200년경, '기원전 1200년의 대재앙'이라 불리는 사건으로 동지중해 세계는 혼란에 빠졌다. 히타이트 제국은 붕괴했고, 이집트 신왕국은 쇠퇴했으며, 그리스 지역에서는 미케네 문명이 몰락했다.[23] 이러한 강대국들의 몰락은 해양 민족의 활동과 그리스 내부의 이동 및 분쟁을 야기했고, 이는 새로운 정치 질서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한국의 관점에서 이 시기를 살펴보면, 강대국의 쇠퇴와 새로운 세력의 등장, 그리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혼란과 재편이라는 역사적 패턴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은 한반도의 역사에서도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고조선의 멸망 이후 여러 국가가 등장하고 경쟁했던 상황은 미케네 문명의 붕괴 이후 그리스에서 폴리스라는 독특한 정치 체제가 발전한 과정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역사적 유사성은 국제 관계의 역동성과 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교훈을 제공한다. 특히, 외부의 위협과 내부의 변화에 대응하여 새로운 정치, 사회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은 주목할 만하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History of Greece http://www.hellenicf[...] 2024-04-21
[2] Webarchive The Dark Ages of Ancient Greece https://brewminate.c[...] Martin, Thomas R. 2019-10-03
[3] Webarchive The Dark Ages of Ancient Greece https://brewminate.c[...] Martin, Thomas R. 2019-10-03
[4] Webarchive ‘I would walk 500 miles and I would walk 500 more’... https://www.academia[...] Middleton, Guy D. 2018
[5] Webarchive The Early Greek Dark Age and Revival in the Near East http://www.perseus.t[...] Martin, Thomas R. 1996
[6] 간행물 "Social Diversity in Dark Age Greece" James Whitley, The Annual of the British School at Athens 1991
[7] 간행물 Whitley 1991
[8] 서적 Early Cyprus V. Karageorghis 2002
[9] 간행물 "Exports of Attic protogeometric pottery and their identification by non-analytical means" R.W.V. Catling, Annual of the British School at Athens 1998
[10] 학술지 Some Evidence of Religious Continuity in the Greek Dark Age https://www.jstor.or[...] 2023-11-15
[11] 서적 The Cypro-Phoenician Pottery of the Iron Age N. Schreiber 2003
[12] 웹사이트 Excavations at Lefkandi: Publications http://lefkandi.clas[...] 2016-01-04
[13] 문서 The candidates and their opponents are noted in Fox|2008|p=51 note 23.
[14] 서적 Lefkandi II: the Protogeometric Building at Toumba, Part 2. The Excavation, Architecture and Finds M. R. Popham, P. G. Calligas, and L. H. Sackett 1993
[15] 서적 Ancient Greece and Rome Edward Bispham, Thomas Harrison, Brian A. Sparkes 2006
[16] 문서 デイヴィス(2000)、p.162
[17] 문서 周藤 (1997-a)、p.174
[18] 문서 周藤 (1997-a)、pp.174-175
[19] 문서 キャンプ、フィッシャー(2004)、p.88
[20] 문서 周藤(2006)、p.84
[21] 문서 周藤 (1997-a)、p.189
[22] 문서 モアコット (1998)、p.31
[23] 문서 周藤 (1997-a)、p.175
[24] 문서 キャンプ、フィッシャー(2004)、p.85
[25] 문서 キャンプ、フィッシャー(2004)、p.79
[26] 문서 周藤(2006)、p.86
[27] 문서 周藤(2006)、pp.85-86
[28] 문서 モアコット (1998)、p.36
[29] 문서 周藤(2006)、p.85
[30] 문서 周藤 (1997-b)、pp.47-48
[31] 문서 自由国民社(1991)、p.21
[32] 문서 モアコット (1998)、pp.28-29
[33] 문서 村川 (1934)、pp.40-41
[34] 문서 トゥキュディデス(2000)、p.15
[35] 문서 キャンプ、フィッシャー(2004)、p.80
[36] 문서 モアコット(古代ギリシア)
[37] 문서 キャンプ、フィッシャー(図説古代ギリシア)
[38] 문서 ブローデル(地中海)
[39] 문서 ブローデル(地中海)
[40] 문서 モアコット(古代ギリシア)
[41] 문서 ブローデル(地中海)
[42] 문서 伊藤・木村(西洋古代史研究入門)
[43] 문서 周藤(古代ギリシア)
[44] 문서 キャンプ、フィッシャー(図説古代ギリシア)
[45] 문서 キャンプ、フィッシャー(図説古代ギリシア)
[46] 문서 周藤(ギリシア考古学)
[47] 문서 Centuries of Darkness: A Challenge to the Conventional Chronology of Old World Archaeology
[48] 문서 モアコット(古代ギリシア)
[49] 문서 周藤(ギリシア考古学)
[50] 문서 周藤(ギリシア考古学)
[51] 문서 キャンプ、フィッシャー(図説古代ギリシア)
[52] 문서 キャンプ、フィッシャー(図説古代ギリシア)
[53] 문서 キャンプ、フィッシャー(図説古代ギリシア)
[54] 문서 レベック(ギリシア文明)
[55] 문서 キャンプ、フィッシャー(図説古代ギリシア)
[56] 문서 レベック(ギリシア文明)
[57] 문서 モアコット(古代ギリシア)
[58] 문서 伊藤・木村(西洋古代史研究入門)
[59] 문서 周藤・村田(ギリシアを知る辞典)
[60] 문서 周藤・村田(ギリシアを知る辞典)
[61] 문서 伊藤・木村(西洋古代史研究入門)
[62] 문서 ブローデル(地中海)
[63] 문서 ブローデル(地中海)
[64] 문서 デイヴィス(ヨーロッパ)
[65] 문서 ブローデル(地中海)
[66] 문서 周藤(ギリシア考古学)
[67] 문서 J. N. Coldstream
[68] 문서 周藤(ギリシア考古学)
[69] 문서 周藤(ギリシア考古学)
[70] 문서 レベック(ギリシア文明)
[71] 서적 周藤(古代ギリシア) 2006
[72] 서적 周藤(ギリシア考古学) 1997
[73] 서적 周藤(古代ギリシア) 2006
[74] 서적 周藤(ギリシア考古学) 1997
[75] 서적 レベック(ギリシア文明) 2006
[76] 서적 周藤(図説ギリシア) 1997
[77] 서적 モアコット(古代ギリシア) 1998
[78] 서적 周藤(古代ギリシア) 2006
[79] 서적 周藤(図説ギリシア) 1997
[80] 서적 周藤(図説ギリシア) 1997
[81] 서적 周藤(図説ギリシア) 1997
[82] 서적 ブローデル(地中海) 2008
[83]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84]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85]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86] 서적 キャンプ、フィッシャー(図説古代ギリシア) 2004
[87] 서적 周藤(図説ギリシア) 1997
[88] 서적 古山他(西洋古代史料集)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