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암흑시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암흑 시대'는 14세기 이탈리아 학자 페트라르카가 고대 로마 시대를 '빛'으로, 자신의 시대를 '암흑'으로 비유하며 처음 사용한 용어이다.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들은 역사를 고전 시대와 암흑 시대로 구분했으며, 종교 개혁과 계몽주의 시대를 거치며 부정적인 의미가 강화되었다. 현대 역사학계에서는 이 용어가 가치 판단을 내포하고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이유로 '초기 중세 시대'와 같은 중립적인 용어를 선호하며, 대중적으로는 기술적 미숙함이나 후진성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암흑시대 - 그리스 암흑기
그리스 암흑기는 미케네 문명 붕괴 후 기원전 1200년경부터 기원전 8세기까지의 시기로, 문자 기록 부족으로 '암흑기'라 불리지만 철기 기술 도입, 폴리스 형성, 알파벳 성립 등 중요한 변화와 혁신이 일어난 시기이며, 최근에는 '초기 철기 시대'로 재조명되고 있다. - 암흑시대 - 후기 청동기 시대의 붕괴
후기 청동기 시대의 붕괴는 기원전 1550년경부터 1200년경까지 이집트, 히타이트, 메소포타미아, 미케네 등 번성했던 고대 문명들이 복합적인 요인으로 쇠퇴하고 붕괴한 현상을 일컫는다. - 역사철학 - 역사철학강의
《역사철학강의》는 헤겔이 세계사를 이성의 발전 과정으로 보고 강의한 내용을 담은 책으로, 역사 발전 단계, 신정론적 관점, 자유의 발전, 역사 고찰 방법, 세계사적 개인, 국가, 민족 정신 등을 다루며 세계사를 정신이 자유를 획득해가는 과정으로 해석한다. - 역사철학 - 지각 (심리학)
지각은 감각 기관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뇌에서 처리하여 외부 환경의 사물에 대한 전체상을 형성하는 과정이며, 경험, 동기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중세 암흑시대 | |
---|---|
지리 정보 | |
용어 | |
정의 | 서유럽사에서 고대에서 중세로 넘어가는 시기의 역사학적 시기 구분 용어 |
기간 | 대략 서로마 제국 멸망 (476년)부터 11세기까지 일반적으로 5세기부터 10세기까지 |
다른 용어 | 초기 중세 시대 이주 시대 |
기원 | |
어원 | 페트라르카가 처음 사용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문화적 성취와 단절된 시기라는 의미 |
배경 | 르네상스 시대의 학자들이 중세를 폄하하기 위해 사용 계몽주의 시대에 더욱 확산 |
특징 | |
일반적 인식 | 문화적, 경제적 쇠퇴, 지적 암흑기 |
현대의 재평가 | 역사적 증거 부족 초기 중세 시대의 긍정적인 측면 강조 (예: 기술 발전, 예술 발전) "암흑 시대"라는 용어 사용에 대한 비판적 시각 증가 |
역사적 맥락 | |
서로마 제국 멸망 | 정치적 혼란, 사회 불안정 |
게르만족의 이동 | 문화 교류와 사회 변화 |
기독교의 확산 | 교육과 문화 보존에 기여 |
논쟁 | |
용어 사용의 문제점 | 부정적인 의미 내포 역사적 사실 왜곡 가능성 서유럽 중심적 시각 |
대안 용어 | 초기 중세 시대 |
문화 | |
문학 | 고전 문학의 보존 노력 새로운 문학 형식의 등장 |
예술 | 로마네스크 양식의 발전 |
건축 | 교회 건축의 활발한 건설 |
기술 | |
농업 기술 | 농업 생산량 증가를 위한 기술 혁신 |
군사 기술 | 군사 전술과 무기의 발전 |
경제 | |
교역 | 지역 교역의 활성화 |
농업 | 자급자족 경제의 중심 |
2. 용어의 기원과 역사
암흑 시대라는 용어는 1330년대 토스카나의 학자 페트라르카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15][18] 그는 빛과 어둠이라는 전통적인 은유를 사용하여, 고대 로마를 문화적 업적의 '빛'으로 보고, 자신이 살던 시대를 문화적 업적이 부족한 암흑 시대로 규정했다.[18]
이후 15세기에 역사가 레오나르도 브루니와 플라비오 비온도는 페트라르카의 시대 구분에 더 나은 시대를 추가하여 역사를 3단계로 나누었다. 이들은 쇠퇴했다고 여겨지는 시대를 묘사하기 위해 '중세 시대'라는 용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라틴어로 ''media tempestas''(1469) 또는 ''medium aevum''(1604)으로 표현되었다.[21]
2. 1. 페트라르카와 르네상스 인문주의자
페트라르카는 1330년대에 암흑 시대라는 개념을 처음 제시했다.[15][18] 그는 고대 로마 시대를 문화적 "빛"의 시대로, 그 이후 시대를 문화적 업적이 부족한 "어둠"의 시대로 보았다.[18] 그는 과거에 대해 "오류 속에서도 천재들이 빛났고, 그들의 눈은 아무리 '어둠'과 짙은 어둠에 '둘러싸여' 있었더라도 날카로웠다."라고 말했다.[19]페트라르카는 고대 로마와 고대 시대를 위대함의 표현으로 보았으며,[18] 유럽을 여행하며 고전 라틴어와 그리스어 텍스트를 재발견하고 재출판하는 데 힘썼다. 그는 라틴어를 이전의 순수함으로 되돌리고자 했다.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들은 이전 900년을 정체기로 보았으며, 역사는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세계의 여섯 시대의 종교적 관점이 아닌, 고전적 이상주의, 고전 문학, 고전 미술의 점진적인 발전을 통해 ''문화적''(또는 세속적) 관점에서 전개된다고 보았다.
페트라르카는 역사를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의 고전 시대와 그가 살고 있다고 생각한 암흑의 시대로 나누었다. 1343년경, 그의 서사시 ''아프리카''의 결론에서 그는 "나의 운명은 다양하고 혼란스러운 폭풍 속에서 사는 것이다. 그러나 내가 바라고 희망하는 대로 나보다 오래 살게 된다면, 아마도 더 나은 시대가 올 것이다. 이 망각의 잠은 영원히 지속되지 않을 것이다. 어둠이 흩어지면 우리 후손들은 이전의 순수한 광채로 다시 돌아올 수 있다."라고 썼다.[20]
2. 2. 종교 개혁과 바로니우스
16세기와 17세기의 종교 개혁 동안, 프로테스탄트는 가톨릭 교회 내부의 부패, 예를 들어 왕처럼 군림하는 교황, 유물 숭배, 방탕한 성직자, 제도화된 도덕적 위선 때문에 '중세 시대'가 암흑기였다는 생각을 퍼뜨렸다.[22]개신교에 대응하여 가톨릭은 특히 중세 성기를 사회적, 종교적 조화의 시기로 묘사하며, 전혀 '암흑'이 아니었다는 이미지를 만들었다.[23] 마그데부르크 백년사에 대한 가장 중요한 가톨릭의 응답은 추기경 체사레 바로니우스의 교회사 연대기였다. 바로니우스는 훈련된 역사가였으며, 그의 작품은 1911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이라고 묘사했고, 액턴은 이를 "지금까지 쓰여진 가장 위대한 교회 역사"로 평가했다.[25] ''교회사 연대기''는 기독교의 첫 12세기를 다루었으며, 1198년까지 1588년부터 1607년 사이에 12권으로 출판되었다. 바로니우스는 제10권에서 888년 카롤링거 제국의 종말[26]과 1046년 교황 클레멘스 2세 아래 그레고리 개혁의 첫 움직임 사이의 시기를 "암흑 시대"라는 용어로 만들었다.
바로니우스는 기록 부족으로 인해 시대를 '암흑'이라고 칭했다. 그가 언급한 "작가 부족"은 자크 폴 미뉴의 ''Patrologia Latina''에서 10세기(그가 '암흑'이라고 부른 시대의 중심)의 라틴 작가들의 작품을 담고 있는 권 수와 그 이전 및 이후 세기의 작가들의 작품을 담고 있는 권 수를 비교하면 알 수 있다. 9세기 34권에서 10세기 8권으로 급격한 감소가 있다. 11세기는 13권으로 어느 정도 회복세를 보이며, 12세기는 40권으로 9세기를 능가하며, 13세기는 26권에 불과하다.
2. 3. 계몽주의 시대
계몽주의 시대에는 많은 비판적 사상가들이 종교를 이성과 상반되는 것으로 보았다. 그들에게 중세, 즉 "신앙의 시대"는 이성의 시대와 정반대였다.[32] 바루흐 스피노자, 베르나르 르 보비에 드 퐁트넬, 이마누엘 칸트, 데이비드 흄, 토머스 제퍼슨, 토머스 페인, 드니 디드로, 볼테르, 사드 후작, 장자크 루소는 중세 시대를 종교에 지배된 사회적 퇴보의 시기로 비판했으며, 에드워드 기번은 ''로마 제국 쇠망사''에서 "암흑 시대의 쓰레기"에 대한 멸시를 표현했다.[33]2. 4. 낭만주의 시대
19세기 낭만주의 시대에는 계몽주의 시대의 중세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와는 달리, 중세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졌다. 호레이스 월폴이 시작한 고딕 리바이벌은 중세 시대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이는 기사도의 황금기에 대한 낭만적인 관점으로 이어졌다.[35] 중세는 프랑스 혁명의 과잉과 산업 혁명의 격변, 공리주의에 대비되는 사회적, 환경적 조화와 영적 영감을 주는 시기로 여겨졌다.[35] 이러한 낭만주의자들의 관점은 오늘날 축제와 행사에 여전히 나타난다. 낭만주의자들은 고중세를 이상화했으며, 이는 교회의 권력과 위신이 절정에 달했던 시기였다.3. 현대 학계의 사용
현대 역사학계에서는 '암흑시대'라는 용어가 가치 판단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 시기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이유로 사용을 지양하는 추세다. 1977년, 역사가 데니스 헤이는 "우리가 암흑 시대라고 부르는 활기찬 시대"에 대해 언급하기도 했다.[40] 2007년에 출판된 독일 문학사에 관한 책은 "암흑 시대"를 "무지하지만 인기 있는 표현 방식"으로 묘사했다.[41]
20세기 후반부터 다른 역사가들은 이 용어의 사용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10]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첫째, 학자들이 중립적인 의도로 사용하더라도 일반 독자들은 그렇게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
- 둘째, 20세기 학문의 발전으로 이 시대에 대한 이해가 높아져 더 이상 '암흑'이라고 부르기 어렵다.[45][10]
이러한 이유로, 많은 역사가들은 '암흑 시대'라는 표현 대신 다른 용어를 사용하거나, 아예 사용하지 않는다.[46][47] 1990년대까지 초기 중세 브리튼의 역사가들이 가끔 이 용어를 사용한 예가 있지만, 2020년 존 블레어, 스티븐 리폰, 크리스토퍼 스마트는 "고고학자와 역사가가 5세기에서 10세기를 '암흑 시대'라고 부르던 시대는 오래전에 지나갔으며, 그 기간 동안 생산된 물질 문화는 고도의 정교함을 보여준다."라고 언급했다.[50]
3. 1. 초기 중세 시대 용어 선호
대부분의 현대 역사학자들은 "암흑 시대"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초기 중세 시대와 같은 용어를 선호한다.[42][43] 그러나 오늘날 일부 역사가들이 이 용어를 사용할 때, "암흑 시대"는 해당 시대의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암흑 시대라는 용어가 중립적인 의미를 가지며, 이 시기의 사건들이 기록된 역사가 부족하여 우리에게 '어둡게' 보인다는 생각을 표현한다고 보는 역사가들도 있다.[10]3. 2. 암흑시대 용어의 의미 변화
개신교에 대응하여 가톨릭은 특히 중세 성기를 사회적, 종교적 조화의 시기로 묘사하는 반대 이미지를 개발했으며, 전혀 '암흑'하지 않았다.[23] 추기경 체사레 바로니우스는 교회사 연대기에서 기독교의 첫 12세기를 다루었으며, 1198년까지 1588년부터 1607년 사이에 12권으로 출판하였다. 바로니우스는 제10권에서 888년 카롤링거 제국의 종말[26]과 1046년 교황 클레멘스 2세 아래 그레고리 개혁의 첫 움직임 사이의 시기를 "암흑 시대"라는 용어로 만들었다.
바로니우스는 기록 부족으로 인해 시대를 '암흑'이라고 칭했다. 그가 언급한 "작가 부족"은 자크 폴 미뉴의 ''Patrologia Latina''에서 10세기(그가 '암흑'이라고 부른 시대의 중심)의 라틴 작가들의 작품을 담고 있는 권 수와 그 이전 및 이후 세기의 작가들의 작품을 담고 있는 권 수를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이 작가들 중 소수는 역사가였다.
바로니우스의 '암흑 시대'는 역사가들에게 충격을 준 것으로 보이며, 17세기에 이 용어가 다양한 유럽 언어로 퍼지기 시작하여 그의 원래 라틴어 용어 ''saeculum obscurumla''이 그가 적용한 기간에 사용되었다. 바로니우스를 따라 어떤 이들은 '암흑 시대'를 기록 부족을 가리키는 중립적인 의미로 사용했지만, 다른 이들은 이를 경멸적으로 사용했으며, 많은 현대 역사가들에게 이 용어의 신뢰를 떨어뜨린 객관성 부족으로 이어졌다.
"암흑 시대"라는 용어는 고고학, 역사학 및 문학 연구를 통해 이 시대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면서 20세기 중반부터 점점 더 의문을 제기받았다.[39] 대부분의 현대 역사가들은 "암흑 시대"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초기 중세 시대와 같은 용어를 선호한다. 그러나 오늘날 일부 역사가들이 이 용어를 사용할 때 "암흑 시대"는 시대의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42][43] 다른 사람들에게는 암흑 시대라는 용어는 중립적인 의미를 가지며, 이 시기의 사건들이 기록된 역사가 부족하여 우리에게 '어둡게' 보인다는 생각을 표현한다.[10]
그러나 20세기 후반부터 다른 역사가들은 이 용어의 비판적인 사용조차도 두 가지 주요 이유로 비판하게 되었다.[10] 첫째, 이 용어를 중립적인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지 의문이다. 학자들은 그렇게 의도할 수 있지만, 일반 독자는 그렇게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 둘째, 20세기 학문은 이 시대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여 현대의 관점에서 더 이상 '암흑'이라고 할 수 없을 정도로 발전했다.[45][10] 많은 역사가들은 이 표현이 암시하는 가치 판단을 피하기 위해 이 용어를 완전히 사용하지 않는다.[46][47]
4. 대중적 사용과 비판
"암흑 시대"라는 용어는 19세기 역사가들이 널리 사용했다. 야코프 부르크하르트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문화''에서 중세 '암흑 시대'와 르네상스를 대조적으로 묘사했다.[36] 옥스퍼드 영어 사전(OED)은 1894년에 "dark ages"를 "당시의 지적 암흑을 나타내는 용어"로 정의했다.[37]
그러나 20세기 중반부터 이 용어는 점점 더 의문을 제기받았다.[39] 1977년, 역사가 데니스 헤이는 "우리가 암흑 시대라고 부르는 활기찬 시대"에 대해 언급했다.[40] 2007년, 독일 문학사에 관한 책은 "암흑 시대"를 "무지하지만 인기 있는 표현 방식"으로 묘사했다.[41]
대부분의 현대 역사가들은 "암흑 시대"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초기 중세 시대와 같은 용어를 선호한다.[42][43] 그러나 일부 역사가들은 이 용어를 사용할 때, 시대의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문제를 설명하거나,[42][43] 이 시기의 사건들이 기록된 역사가 부족하여 '어둡게' 보인다는 중립적인 의미로 사용한다.[10]
20세기 후반부터는 이 용어의 비판적인 사용조차도 비판받게 되었다.[10] 학자들이 중립적으로 사용하더라도 일반 독자는 그렇게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는 점과, 20세기 학문의 발전으로 이 시대에 대한 이해가 높아져 더 이상 '암흑'이라고 부를 수 없다는 점이 그 이유이다.[45][10] 많은 역사가들은 가치 판단을 피하기 위해 이 용어를 완전히 사용하지 않는다.[46][47]
4. 1. 부정적 이미지와 오해
'암흑시대'라는 용어는 대중 매체나 일반 담론에서 흔히 후진성, 폭력, 무지 등을 상징하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체스터 대학교의 하워드 윌리엄스는 2021년 강연에서 "'암흑 시대'라는 표현은 학술 문헌 외에도 신문 기사나 미디어 논쟁 등에서 만연해 있다"라고 지적했다.[51][52] 이러한 인식은 중세 시대에 대한 편견을 강화할 수 있다.앤드루 B. R. 엘리엇은 대중 문화 속의 중세주의에 관한 저서(2017)에서 '암흑 시대'가 "일반적인 후진성 또는 기술적 미숙함을 의미"하는 용례로 가장 흔하게 사용되며, 특히 일상 및 정치적 담론에 굳건히 자리 잡았다고 언급했다.[53] 엘리엇에 따르면, 그 사용 이유는 종종 "진부한 중세주의"인데, 이는 "무의식적이고, 의도하지 않으며, 중세 시대를 언급할 의도가 거의 또는 전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 대신 여전히 종이에 의존하는 보험 산업을 '암흑 시대'에 있다고 표현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54]
데이비드 C. 린드버그는 과학과 종교 역사에서 '암흑 시대'가 "널리 퍼진 대중적 믿음에 따르면" "무지, 야만, 미신의 시대"로 묘사되며, "그 비난이 가장 흔하게 기독교 교회에 쏟아진다"고 주장한다.[57] 중세 역사가 매튜 가브리엘레는 이러한 관점을 대중 문화의 신화로 되풀이한다.[58] 앤드루 B. R. 엘리엇은 "중세/암흑 시대가 종교적 박해, 마녀 사냥, 과학적 무지와 동의어가 된 정도"를 언급한다.[59]
4. 2. 진보의 관점과 비판
17세기와 18세기 계몽주의 시대의 많은 비판적 사상가들은 중세를 종교에 지배된 사회적 퇴보의 시기로 보았다. 바루흐 스피노자, 베르나르 르 보비에 드 퐁트넬, 이마누엘 칸트, 데이비드 흄, 토머스 제퍼슨, 토머스 페인, 드니 디드로, 볼테르, 사드 후작, 장자크 루소 등은 중세를 이성의 시대와 정반대되는 "신앙의 시대"로 비판했다.[32] 에드워드 기번은 ''로마 제국 쇠망사''에서 "암흑 시대의 쓰레기"에 대한 멸시를 표현했다.[33]그러나 19세기 야코프 부르크하르트와 같은 역사가들은 중세 '암흑 시대'와 고대 문화 및 지적 업적을 부활시킨 르네상스를 대조적으로 묘사하면서 이 용어를 널리 사용했다.[36] 20세기 중반부터 '암흑 시대'라는 용어는 학계에서 점점 더 의문을 제기받았으며,[39] 1977년, 역사가 데니스 헤이는 "우리가 암흑 시대라고 부르는 활기찬 시대"에 대해 언급하기도 했다.[40]
현대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초기 중세 시대와 같은 용어를 선호하며, '암흑 시대'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42][43] 그러나 일부 역사가들은 이 용어를 중립적인 의미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이 시기의 사건들이 기록된 역사가 부족하여 '어둡게' 보인다는 생각을 표현한다.[10]
그럼에도 불구하고, 20세기 후반부터 많은 역사가들은 이 용어의 비판적인 사용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10] 이 용어를 중립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의문과, 20세기 학문의 발전으로 이 시대에 대한 이해가 높아져 더 이상 '암흑'이라고 부를 수 없다는 점이 그 이유이다.[45][10] 따라서 많은 역사가들은 가치 판단을 피하기 위해 이 용어의 사용을 완전히 지양한다.[46][47]
체스터 대학교의 하워드 윌리엄스는 '암흑 시대'라는 표현이 현대 민족주의, 식민주의, 제국주의자들이 현재의 정체성, 신념, 기원 신화에 대한 개념을 중심으로 역사적 신화를 전용하는 데 사용된다고 지적했다.[52]
앤드루 B. R. 엘리엇은 '암흑 시대'가 "일반적인 후진성 또는 기술적 미숙함을 의미"하는 비유로 사용되며, 이는 진보의 신화와 연결된다고 언급했다.[53] 조셉 테인터는 사회가 덜 복잡한 단계에서 더 복잡한 단계로 나아간다는 현대적 믿음 때문에 붕괴 과정에서 복잡성이 감소하면 비정상적이고 바람직하지 않다고 인식되는 '암흑 시대'에 대한 진정한 편견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16]
피터 S. 웰스는 ''야만인에서 천사로: 재고되는 암흑 시대''에서 "문화적 암울함과 무자비한 폭력의 시대가 아니라, 일반적으로 암흑 시대(5~9세기)로 알려진 세기는 역동적인 발전, 문화적 창의성, 장거리 네트워크의 시대였다"고 주장했다.[55]
데이비드 C. 린드버그는 '암흑 시대'가 "무지, 야만, 미신의 시대"로 묘사되며, 그 비난이 기독교 교회에 쏟아진다고 주장한다.[57] 앤드루 B. R. 엘리엇은 "중세/암흑 시대가 종교적 박해, 마녀 사냥, 과학적 무지와 동의어가 된 정도"를 언급한다.[59]
5. 한국사와의 비교 (추가 제안)
한국사에서 특정 시기를 '암흑시대'로 규정하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 일제강점기나 군사독재 시기를 '암흑시대'로 보는 관점도 있지만, 이 역시 다양한 역사적 평가가 존재한다.
참조
[1]
서적
Medieval And Renaissance Studies
Cornell University Press
[2]
서적
Humanists and Reformers: A History of the Renaissance and Reformation
Eerdmans
[3]
서적
Church History: Twenty Centuries of Catholic Christianity
https://archive.org/[...]
Paulist Press
[4]
서적
Annales Ecclesiastici
[5]
서적
The Dark Ages
https://archive.org/[...]
C. Scribner's Sons
[6]
간행물
Were the 'Dark Ages' Really Dark?
Aligarh Muslim University
2003
[7]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c.500-c.700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Cathedral, Forge, and Waterwheel: Technology and Invention in the Middle Ages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Publishers
[9]
서적
An Age of Tyrants: Britain and the Britons A.D. 400–600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0]
서적
Dictionary of the Middle Ages
Charles Scribner
[11]
웹사이트
The European Miracle
https://mises.org/da[...]
2006-11-30
[12]
웹사이트
The Myth of the 'Dark Ages' Ignores How Classical Traditions Flourished Around the World
https://www.smithson[...]
2023-09-05
[13]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4]
웹사이트
Definition of DARK AGE
https://www.merriam-[...]
2020-11-29
[15]
간행물
The Renaissance Myth
http://web.maths.uns[...]
2008-12-10
[16]
서적
Companion Encyclopedia of Archaeology
Routledge
[17]
간행물
The Dark Ages
2007-Spring
[18]
간행물
Petrarch's Conception of the 'Dark Ages'
Medieval Academy of America
[19]
문서
Apologia cuiusdam anonymi Galli calumnias
[20]
문서
Africa
[21]
서적
The global age: state and society beyond modernity
[22]
서적
The medieval experience: foundations of Western cultural singularity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3]
문서
The High Middle Ages
[24]
문서
History
[25]
문서
Lectures on Modern History
[26]
웹사이트
Storia della Chiesa
http://contemplativi[...]
2011-07-16
[27]
웹사이트
Prevailing Ignorance in the Western Church
http://www.ccel.org/[...]
2011-08-09
[28]
서적
Annales Ecclesiastici
[29]
문서
Charting the "Rise of the West": Manuscripts and Printed Books in Europe, A Long-Term Perspective from the Sixth through Eighteenth Centuries
[30]
서적
The History of the Reformation of the Church of England
[31]
서적
The History of the Reformation of the Church of England
[32]
서적
Introduction: Perspectives on the Medieval World
[33]
서적
The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34]
서적
Medievalism: The Middle Ages in Modern England
[35]
서적
A Dream of Order: The Medieval Ideal in Nineteenth-Century English Literatur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36]
서적
The Road from Eden: Studies in Christianity and Culture
Academica Press
[37]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 in England
Oxford English Dictionary
[38]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the British Monarchy (Oxford Illustrated Histories)
Oxford University Press
[39]
간행물
Dark Ages
Oxford University Press
[40]
서적
Annalists and Historians
Methuen
[41]
서적
Literary Transitions, 1300–1500: From Late Mediaeval to Early Modern
[42]
논문
Travel and Trade in the Dark Ages
2004
[43]
논문
Globalisation, Ecological Crisis, and Dark Ages
2002
[44]
서적
Plague and the End of Antiqu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웹사이트
Discovering Anglo-Saxon England
http://www.psupress.[...]
Penn State Press
[46]
웹사이트
Dark Ages
https://www.britanni[...]
[47]
서적
The Fate of Rome: Climate, Disease, and the End of an Empire (The Princeton History of the Ancient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48]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Dark Age Britain
Seaby
[49]
서적
Alfred the Great: War, Kingship and Culture in Anglo-Saxon England
Longman
[50]
서적
Planning in the Early Medieval Landscape
Liverpool University Press
[51]
웹사이트
Digging into the Dark Ages: Early Medieval Fake Histories and How to Combat Them
https://www1.chester[...]
2021-03-16
[52]
서적
Digging Into the Dark Ages
https://books.google[...]
Archaeopress Publishing Limited
[53]
서적
Medievalism, Politics and Mass Media: Appropriating the Middle Ages in the Twenty-First Century
Boydell & Brewer
[54]
논문
Review: Medievalism, Politics and Mass Media
https://www.journals[...]
2019-04
[55]
서적
Barbarians to Angels: The Dark Ages Reconsidered
https://archive.org/[...]
W. W. Norton
[56]
서적
Barbarians to Angels: The Dark Ages Reconsidered
https://archive.org/[...]
W. W. Norton
[57]
서적
When Science & Christianity Mee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8]
뉴스
Five myths about the Middle Ages
https://www.washingt[...]
2016-09-23
[59]
서적
Medievalism, Politics and Mass Media: Appropriating the Middle Ages in the Twenty-First Century
Boydell & Brewer
[60]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61]
웹사이트
Definition of DARK AGE
https://www.merriam-[...]
2021-03-15
[62]
서적
Medieval And Renaissance Studies
Cornell University Press
[63]
서적
Humanists and Reformers: A History of the Renaissance and Reformation
https://archive.org/[...]
Erdmans
[64]
서적
Church History: Twenty Centuries of Catholic Christianity
https://archive.org/[...]
Paulist Press
[65]
서적
Annales Ecclesiastici
[66]
서적
The Dark Ages
https://archive.org/[...]
C. Scribner's Sons
[67]
논문
Were the "Dark Ages" Really Dark?
Aligarh Muslim University
2003
[68]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c.500-c.700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69]
서적
An Age of Tyrants: Britain and the Britons A.D. 400–600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70]
서적
Dictionary of the Middle Ages
Charles Scribner
[71]
웹사이트
The European Miracle
https://mises.org/da[...]
2011-08-14
[72]
서적
Companion Encyclopedia of Archaeology
Routledge
[73]
저널
The Dark Ages
2007-03-01
[74]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75]
웹사이트
Definition of DARK AGE
https://www.merriam-[...]
2021-03-15
[76]
저널
The Renaissance Myth
http://web.maths.uns[...]
[77]
서적
Medieval And Renaissance Studies
Cornell University Press
[78]
서적
Humanists and Reformers: A History of the Renaissance and Reformation
Erdmans
[79]
서적
The Dark Ages
https://archive.org/[...]
C. Scribner's Sons
[80]
저널
Were the "Dark Ages" Really Dark?
Aligarh Muslim University
2003
[81]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c.500-c.700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82]
서적
Cathedral, Forge, and Waterwheel: Technology and Invention in the Middle Ages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Publishers
[83]
서적
An Age of Tyrants: Britain and the Britons A.D. 400–600
https://archive.org/[...]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84]
서적
Dictionary of the Middle Ages
Charles Scribner
[85]
웹인용
The European Miracle
https://mises.org/da[...]
2011-08-14
[86]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87]
웹인용
Definition of DARK AGE
https://www.merriam-[...]
[88]
저널
The Renaissance Myth
http://web.maths.uns[...]
[89]
서적
Companion Encyclopedia of Archaeology
Routledge
[90]
저널
The Dark Ages
2007-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