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석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석병은 주석이 낮은 온도에서 붕괴되는 현상으로, 백색 주석이 회색 주석으로 변하면서 부피가 팽창하여 발생한다. 이 현상은 주석으로 만들어진 물체가 분말로 변하는 결과를 초래하며, 자가 촉매 반응으로 인해 일단 시작되면 빠르게 진행된다. 과거에는 나폴레옹 군대의 단추가 이로 인해 손상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었으나, 이는 도시 전설로 여겨진다. 최근에는 RoHS 규제 등으로 인해 납 대신 주석을 사용하면서 전자 제품에서 주석병 문제가 다시 발생하고 있으며, 합금을 통해 이를 방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식 - 황화물
    황화물은 황이 다른 원소와 결합한 화합물로, 금속 황화물, 황화광물, 유기 황화물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반도체 특성, 안료, 촉매 등으로 활용되지만 부식성과 유해성을 지니기도 한다.
  • 부식 - 도장 (제조)
    도장(제조)은 장식적 기능과 보호 기능을 갖는 표면 처리 기술로, 다양한 공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성능과 특성은 평가 방법을 통해 분석된다.
  • 주석 - 주석 (원소)
    주석(Sn)은 청동기 시대부터 사용된 은백색 금속 원소로, 이산화 주석 형태로 존재하며 구리와 합금하여 청동을 만들고, 땜납, 양철, 합금, 화합물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주석 - 양철
    양철은 철의 부식 방지를 위해 주석을 얇게 입힌 강판으로, 납땜이 용이하고 무독성이어서 식품 용기에 안전하며, 미려한 외관을 가져 식품 포장재, 전자 부품, 장식용품 등에 사용된다.
  • 상전이 - 녹는점
    녹는점은 고체가 액체로 변하는 온도로, 물질의 순도 확인 및 소재 개발에 활용되며, 압력, 불순물, 결정 구조 등의 영향을 받는다.
  • 상전이 - 승화 (화학)
    승화는 고체가 액체 상태를 거치지 않고 기체로 직접 변하는 물리적 변화 과정으로, 드라이아이스나 요오드와 같은 물질에서 나타나며 동결건조, 지문 검출, 고순도 물질 정제 등에 활용된다.
주석병
개요
이름주석병
다른 이름주석 페스트, 틴 페스트, 석회병
원인저온에 의한 상전이
영향주석 제품의 붕괴
발병 조건섭씨 13.2도 이하의 온도, 촉매제 존재
상세 정보
설명주석이 저온에서 다른 동소체로 변환되어 부서지기 쉬운 회색 물질로 변하는 현상
관련 물질주석
회색 주석 (α-Sn)
흰색 주석 (β-Sn)
영향주석 제품의 붕괴
파이프 오르간 부식
과거 군대의 겨울 장비 문제
화학적 정보
화학 반응식Sn(백색) ⇄ Sn(회색)
결정 구조 변화정방정계 → 다이아몬드 입방 구조
예방
합금다른 금속과의 합금을 통해 전이 온도 저하
보관 온도섭씨 13.2도 이상 유지

2. 동소체 변환

주석은 온도에 따라 구조가 다른 여러 동소체로 존재할 수 있다. 특히 13.2°C를 경계로 하여, 이 온도 이하에서는 은백색의 연성 금속인 β형(백색 주석)이 점차 부서지기 쉬운 비금속성 α형(회색 주석)으로 변하는 상변화가 일어난다.[7] 이 과정에서 부피가 약 27% 증가하여 주석으로 만들어진 물체가 파괴될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주석병(Tin pest)이라고 부른다.[18] 주석병은 특정 조건에서 시작되며, 한번 시작되면 스스로 촉매 역할을 하여 빠르게 확산되는 특징이 있다.[7][18]

2. 1. 변환 조건

순수한 주석은 13.2°C 이하의 온도에서 동소체 변환을 겪는다. 이 온도 아래에서는 은색의 연성을 가진 금속성 동소체인 β형 ''백색 주석''이 부서지기 쉬운 비금속성 α형 ''회색 주석''으로 변한다. α형 주석은 다이아몬드 입방 구조를 가진다.

이 변환은 높은 활성화 에너지 때문에 시작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게르마늄이나 이와 유사한 형태 및 크기의 결정 구조를 가진 물질이 존재하거나, 약 -30°C 정도의 매우 낮은 온도에 노출되면 변환이 촉진된다.[7]

β형에서 α형으로 변환될 때 부피가 약 27% 크게 증가하며 연성이 사라진다. 이러한 부피 팽창과 취성 변화는 주석으로 만들어진 물체(예: 단추, 파이프 오르간의 파이프 등)가 가루처럼 부서지는 현상을 일으킨다. 중세 유럽에서는 서늘한 기후 때문에 파이프 오르간의 주석 파이프가 이 현상으로 손상되는 경우가 관찰되었다.[18] 마치 전염병처럼 주변으로 퍼져나가는 모습 때문에 사람의 페스트에 빗대어 주석병(Tin pest) 또는 스즈 페스트라는 이름이 붙었다.[7]

이 변환 과정은 자가 촉매 반응의 특성을 가진다. 즉, 일단 변환이 시작되면 그 과정 자체가 촉매 역할을 하여 반응 속도를 더욱 빠르게 만든다. 따라서 주석병이 발생한 부분은 주변의 다른 주석 부분의 변환을 유도하여 결국 전체가 붕괴될 수 있다.[7][18]

2. 2. 변환 과정

순수한 주석은 13.2°C 이하의 온도에서 동소체 변환을 겪는다. 이 온도 아래에서는 은색의 연성 금속인 β형 '백색 주석'이 취성이 있는 비금속인 α형 '회색 주석'으로 변하게 된다. α-주석은 다이아몬드와 유사한 입방 구조를 가진다.

이 변환은 높은 활성화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즉시 시작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게르마늄과 같이 유사한 형태와 크기의 결정 구조를 가진 물질이 존재하거나, 온도가 약 -30°C 정도로 매우 낮아지면 변환이 촉진된다.

β-주석에서 α-주석으로 변환될 때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부피가 약 27%나 크게 증가한다는 점이다. 또한, 금속의 특징인 연성을 잃고 부서지기 쉬운 성질로 변하기 때문에, 주석으로 만들어진 물체(예: 단추, 파이프)는 이 과정에서 가루처럼 부스러지는 현상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을 마치 전염병과 같다고 하여 주석병(Tin pest)이라고 부른다.[7]

주석병은 자가 촉매 반응의 성격을 띤다. 즉, 한번 변환이 시작된 부분은 주변의 다른 주석 부분의 변환을 더욱 가속화시킨다. 따라서 주석병이 발생하면 빠르게 전체로 퍼져나가며, 저온에 노출된 주석 물체는 결국 완전히 붕괴될 수 있다.

중세 유럽에서는 서늘한 기후 때문에 교회파이프 오르간에 사용된 주석 파이프가 주석병으로 인해 손상되는 사례가 관찰되기도 했다. 이 현상이 마치 페스트처럼 번져나간다고 해서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18]

2. 3. 자가 촉매 반응

주석이 β형 백색 주석에서 α형 회색 주석으로 변환될 때 발생하는 부피 팽창과 취성 증가는 주석 물체의 분해로 이어진다. 이 분해 과정은 자가 촉매 반응의 특성을 띤다.[7] 즉, 한번 주석 페스트가 시작되면, 그 변환 자체가 촉매 역할을 하여 주변의 다른 주석 부분에서도 변환이 더 쉽게 일어나도록 촉진한다.

이러한 자가 촉매 작용 때문에 주석 페스트는 일단 발생하면 반응 속도가 점차 빨라지며, 마치 전염병처럼 빠르게 확산되는 경향을 보인다. "주석 역병의 존재는 더 많은 주석 역병을 유발한다"는 말처럼, 변환된 α형 주석이 주변의 β형 주석의 변환을 유도하여 연쇄적인 분해를 일으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저온 환경에 노출된 주석 물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붕괴될 수 있다. 중세 유럽에서는 서늘한 기후 때문에 파이프 오르간의 주석 파이프가 주석 페스트로 인해 손상되는 사례가 관찰되기도 했다.[18]

3. 역사적 사례

역사적으로 주석병(Tin pest) 현상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몇 가지 유명한 사례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례들이 실제로 주석병 때문에 발생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예로 나폴레옹의 1812년 러시아 원정 실패 원인 중 하나로 병사들의 주석 단추가 혹한에 부서졌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19] 하지만 이는 명확한 증거가 부족하여 도시 전설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으며[19], 당시 군복 단추 재질이나 주석병 발생에 필요한 시간 등을 고려할 때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는 반론이 제기된다.[20][21]

또 다른 사례는 1910년 영국의 극지 탐험가 로버트 스콧남극점 탐험이다. 스콧 탐험대가 비축해 둔 등유 통이 비어 있었던 원인으로 주석병이 지목되기도 했다.[21] 하지만 이 역시 단순히 납땜 품질이 불량했기 때문이라는 반론이 존재한다.

이처럼 역사적 사건과 주석병을 연결하는 이야기들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과학적인 검증이나 명확한 증거가 부족한 경우가 많아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3. 1. 스콧 남극 탐험대

1910년 영국의 극지 탐험가 로버트 스콧은 최초로 남극점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나, 노르웨이 탐험가 로알 아문센에게 경쟁에서 뒤처졌다. 스콧 탐험대는 남극의 혹독한 환경 속에서 도보로 이동하며, 사전에 경로상에 비축해 둔 식량과 등유 저장소를 찾아 나섰다.

1912년 초, 탐험대가 첫 번째 비축 지점에 도착했을 때 등유가 사라진 것을 발견했다. 주석으로 납땜하여 밀봉된 등유 통조림이 비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 주석병이 지목되기도 한다.[11][21] 하지만 이후 회수된 등유 통조림을 주석 연구소에서 분석한 결과, 주석병의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8][13]

한편, 남극의 다른 지역에서는 80년 이상 된 오래된 주석 통조림이 양호한 상태로 발견된 사례가 있어, 단순히 스콧 탐험대가 사용했던 통조림의 납땜 품질이 낮았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3. 2. 나폴레옹 군대의 단추

나폴레옹 군대가 1812년 러시아 원정 당시 혹독한 러시아 겨울 추위 속에서 고전한 이유 중 하나로, 병사들의 군복 단추가 주석병으로 인해 부서져 옷을 제대로 여미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있다.[9][19] 하지만 이는 단추가 실제로 고장 났다는 명확한 증거가 없어 도시 전설로 여겨지며, 침공 실패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보기는 어렵다.[9][19]

당시 군복 단추는 일반적으로 사병의 경우 뼈로, 장교는 황동으로 만들어졌다.[10][20] 설령 주석 단추가 사용되었다 하더라도, 실제로는 불순물이 섞여 있어 순수한 주석보다 낮은 온도에 더 강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1] 실험실 연구에 따르면 순수한 주석이 낮은 온도에서 주석병으로 심각한 손상을 입기까지는 약 18개월이 걸리는데, 이는 나폴레옹의 침공 기간보다 훨씬 긴 시간이다.[11][21]

물론 원정에 참여한 일부 연대에서는 주석 단추를 사용했을 수도 있으며, 당시 러시아의 기온은 -40°C까지 떨어질 정도로 매우 낮았다.[9][19] 그럼에도 불구하고, 혹독한 원정에서 살아남은 수많은 병사들의 기록이나 증언 어디에서도 단추 문제로 고통받았다는 언급은 찾아보기 힘들다.[9][19]

이러한 '주석 단추 붕괴설'은 1868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세관 창고에 있던 주석 덩어리가 붕괴된 사건[12][13]이나 1860년대 러시아 육군 창고에서 양철 단추가 부서진 사례[22], 그리고 식량 부족 등으로 인해 남루한 모습이 된 나폴레옹 군대의 절망적인 상황[14][23] 등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이야기일 가능성이 높다.[9][19] 비록 단추 문제가 직접적인 패배 원인은 아니었을지라도, 극한의 환경에서 군수품의 품질과 관리가 병사들의 생존과 전투력 유지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여지는 있다.

4. 현대의 주석 페스트

2006년 유럽 연합의 유해 물질 제한 지침(RoHS) 규제와 미국 캘리포니아 등 여러 지역에서의 사용 제한 조치로 인해, 과거 주석/납 합금을 사용하던 전자 제품 제조업체들이 순수 주석이나 주석 기반 합금을 사용하게 되면서 주석 페스트 문제가 다시 발생하고 있다.[15]

특히 전기·전자 부품의 리드선 등에 순수 주석 도금을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났는데, 이는 저온 환경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순수 주석은 저온에서 전기 전도성이 없는 형태로 변형되어 부서지고 떨어져 나갈 수 있으며, 이후 온도가 상승하면 다시 전도성을 띠면서 예기치 않은 단락을 유발하여 전자 기기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간헐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15]

주석 페스트는 안티몬이나 비스무트와 같은 특정 금속을 소량 첨가하여 합금을 만들면 예방할 수 있다.[15]

4. 1. RoHS 규제와 주석 사용 증가

주석병에 걸린 녹인 주석을 잉곳 몰드에 붓는 모습. 록 아일랜드 병기창 합동 제조 및 기술 센터, 일리노이주 록 아일랜드, 2017년.


2006년 유럽 연합의 유해 물질 제한 지침(RoHS) 채택과 미국 캘리포니아주 사용 금지 등 여러 지역에서 유사한 규제가 도입되면서, 과거에 줄어들었던 주석 페스트 문제가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15] 이 규제들은 전자 제품 등에서 유해 물질인 납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 인해 이전에는 납과 주석을 섞은 합금 땜납을 사용하던 많은 제조업체들이 순수 주석이나 주석을 기반으로 한 합금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특히, 일부 전기·전자 부품의 리드선을 순수 주석으로 도금하는 경우가 늘어났다. 순수 주석은 13.2°C 이하의 저온 환경에 노출되면 동소 변태를 일으켜 전기 전도성이 없는 α-주석(회색 주석)으로 변할 수 있다. 이 α-주석은 부서지기 쉬워 리드선 표면에서 떨어져 나갈 수 있다. 이후 온도가 다시 상승하면, 떨어져 나간 α-주석 입자는 다시 전기 전도성을 가진 β-주석(백색 주석)으로 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미세한 주석 입자들이 부품 내부를 떠돌아다니며 예기치 않은 단락을 일으켜 전자 기기의 오작동이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간헐적으로 발생할 수 있어 원인 파악을 더욱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15]

주석 페스트 발생을 막기 위해 주석에 소량의 다른 금속을 첨가하여 합금을 만드는 방법이 사용된다. 안티몬(Sb)이나 비스무트(Bi)와 같이 전기 양성도가 높은 금속 또는 반금속을 첨가하면 주석의 상 변화를 억제하여 저온에서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돕는다.[15]

4. 2. 전자 제품에서의 문제점



2006년 유럽 연합의 유해 물질 제한 지침(RoHS) 채택과 미국 캘리포니아 사용 금지 등 여러 지역의 유사한 규제로 인해, 과거에 사용되던 주석/납 합금 대신 순수 주석이나 주석 기반 합금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주석병 문제가 다시 부각되었다.[15]

특히 전기 및 전자 부품의 리드선 등에 순수 주석 도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저온 환경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순수 주석 도금은 저온에 노출되면 α-변형인 '회색 주석'으로 변할 수 있다. 회색 주석은 전기 전도성이 없으며 부서지기 쉬워 리드선에서 떨어져 나갈 수 있다. 이후 온도가 다시 상승하면, 떨어진 주석 입자들은 전기 전도성을 가진 β-변형 '백색 주석'으로 되돌아간다. 이 과정에서 떨어진 주석 가루가 주변 회로와 접촉하여 전기적 단락을 일으키거나, 부품 자체의 연결 불량을 유발하여 장비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주석 가루가 기기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간헐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주석병 문제는 주석에 소량의 전기 양성 금속 또는 반금속(예: 안티몬 또는 비스무트)을 첨가하여 합금을 만들면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원소들은 주석의 상 변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4. 3. 예방 및 해결 방안



2006년 유럽 연합의 유해 물질 제한 지침(RoHS) 채택과 미국 캘리포니아 사용 금지 등 여러 규제로 인해 주석병 문제가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15] 이는 과거에 주석과 납의 합금을 사용하던 많은 제조업체들이 규제로 인해 순수한 주석이나 주석 기반 합금으로 전환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일부 전기 및 전자 부품의 리드선은 순수 주석으로 도금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순수 주석 도금은 저온 환경에 노출되면 전기 전도성이 없는 α-주석(회색 주석)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 변형된 주석은 부서지기 쉬워 리드선에서 떨어져 나갈 수 있다. 이후 온도가 다시 상승하면, 떨어져 나간 주석 입자들이 전도성을 가진 β-주석(백색 주석)으로 되돌아가면서 주변 회로와 접촉하여 전기적 단락을 일으킬 수 있다. 이는 전자기기의 오작동이나 고장의 원인이 되며, 주석 분말 입자가 기기 내부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문제가 간헐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15]

주석병을 예방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주석에 소량의 다른 금속을 첨가하여 합금을 만드는 것이다. 특히 안티몬이나 비스무트와 같이 전기 양성 금속 또는 반금속을 첨가하면 주석의 상 변화를 억제하여 저온에서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돕는다.[15]

5. 추가 정보 (선택 사항)

(내용 없음)

5. 1. 주석 페스트 연구 현황

(내용 없음)

참조

[1] 보고서 Problems With Pure Tin Coatings https://nepp.nasa.go[...] NASA 1997
[2] 학술지 Does low-temperature pest management cause damage? Literature review and observational study of ethnographic artifacts https://cool.cultura[...] 2003
[3] 서적 The Organ Yearbook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Virginia 1992
[4] 서적 Handbook of Material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Springer 2019
[5] citation A Tin Pest Failure 2009-10
[6] 웹사이트 Tin Pest Control http://www.npl.co.uk[...] 2020-05-05
[7] 서적 Tin The Rosen Publishing Group 2009
[8] 간행물 Historic food cans opened 1957
[9] 서적 The Last Alchemist in Paris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Nature's Building Blocks: an A-Z Guide to the Ele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2011-10-01
[11] 뉴스 Did tin disease contribute to Napoleon's defeat in Russia? http://www.straightd[...] 2008-05-02
[12] 학술지 Ueber eigenthumlich modificirtes Zinn https://zenodo.org/r[...]
[13] 학술지 History of Tin Pest:the Museum Disease https://www.tandfonl[...] 1991-06
[14] 서적 Napoleons Fatal March on Moscow Harper Perennial
[15] conference Lead-free Electronics; Impact for Space Electronics http://nepp.nasa.gov[...] NASA 2010-06-22
[16] citation A Tin Pest Failure 2009-10
[17] 웹사이트 Tin Pest Control http://www.npl.co.uk[...]
[18] 서적 Tin The Rosen Publishing Group 2009
[19] 서적 The Last Alchemist in Paris Oxford University Press
[20] 서적 Nature's Building Blocks: an A-Z Guide to the Ele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2011-10-01
[21] 뉴스 Did tin disease contribute to Napoleon's defeat in Russia? http://www.straightd[...] 2008-05-02
[22] 학술지 Ueber eigenthumlich modificirtes Zinn https://zenodo.org/r[...]
[23] 서적 Napoleons Fatal March on Moscow Harper Perenni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