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준금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준금속(metalloid)은 금속과 비금속의 중간 성질을 보이는 원소로, 명확한 정의가 없어 어떤 원소를 준금속으로 분류할지는 기준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붕소, 규소, 게르마늄, 비소, 안티몬, 텔루륨이 준금속으로 인정받으며, 셀레늄, 폴로늄, 아스타틴도 포함되기도 한다. 준금속은 전기 음성도, 이온화 에너지, 밴드 구조, 공간 충진율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되며, 금속과 비금속의 성질을 혼합하여 나타낸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합금, 반도체, 의약품, 유리, 난연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준금속 - 텔루륨
    텔루륨은 은백색의 금속성 광택을 가진 부서지기 쉬운 반금속 원소로, 광전도성을 보이며 셀레늄, 황과 유사한 화학적 성질을 나타내고 구리 정련 부산물로 얻어져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되지만, 텔루륨과 그 화합물은 경미한 독성을 지닌 희귀 원소이다.
  • 준금속 - 붕소
    붕소는 준금속 원소로 붕사나 붕산염 형태로 존재하며 다이아몬드 다음으로 높은 경도를 지니고, 두 가지 안정 동위원소를 가지며, 높은 중성자 흡수율로 원자력 산업과 암 치료에 사용되고, 다양한 화합물 형태로 여러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며, 식물의 필수 영양소이지만 과량 섭취 시 독성을 나타낸다.
  • 주기율표 - 14족 원소
    14족 원소는 최외각 전자 4개를 가지며 탄소, 규소, 저마늄, 주석, 납, 플레로븀으로 구성되고 원자번호 증가에 따라 비금속에서 금속으로 변하는 경향을 보이며 탄소는 유기화합물 골격, 규소는 지각에서 풍부, 주석과 납은 금속 자원, 플레로븀은 짧은 반감기를 갖는다.
  • 주기율표 - 에카
    에카는 멘델레예프가 주기율표에서 미발견 원소를 예측하기 위해 사용한 명명법으로, 알려진 원소 아래 위치할 원소를 "에카 + 위쪽 원소 이름"으로 칭했으며, 이는 주기율표의 정확성을 입증하는 증거가 되었고 현재도 일부 사용되며 주기율표 발전 이해에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갖는다.
  • 화학에 관한 - 칼륨
    칼륨은 은백색의 무른 알칼리 금속으로 반응성이 매우 높고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전해질이며, 비료 생산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물과의 격렬한 반응 및 폭발성 과산화물 생성 가능성으로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하며, 자연계에 세 가지 동위원소로 존재한다.
  • 화학에 관한 - 파울리 배타 원리
    파울리 배타 원리는 1925년 볼프강 파울리가 제시한 양자역학 원리로, 동일한 페르미온은 동일한 양자 상태에 존재할 수 없으며, 원자의 전자 배치, 화학 결합, 천체 특성 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준금속
지도
기본 정보
정의금속과 비금속의 중간 성질을 갖는 화학 원소
특징금속과 비금속의 성질을 모두 가짐
반도체로 사용
전도성이 좋지 않음
결정 구조를 가짐
분류 기준
일반적인 분류붕소
규소
저마늄
비소
안티모니
텔루륨
자주 언급되는 분류폴로늄
아스타틴
덜 자주 언급되는 분류셀레늄
드물게 언급되는 분류탄소
알루미늄
기타 언급되는 분류수소
질소

산소

염소
브로민
아이오딘
비스무트
갈륨
주석

탈륨
논쟁점
분류의 어려움명확한 금속-비금속 경계 부재
화학적 성질의 연속성
결정 구조, 전기 전도도, 화학적 성질 등 다양한 기준 사용
관점 차이화학자마다 다른 분류를 제시
출처에 따른 다른 분류
참고사항준금속으로 분류되는 원소의 수는 출처에 따라 7개에서 9개까지 다양하게 언급됨
추가 정보
반도체준금속은 반도체의 주요 구성 물질
규소 반도체가 대표적
금속-비금속 구분선주기율표에서 금속과 비금속을 나누는 계단 모양 선의 모호성
다른 용어반금속
준금속 원소
semi-metal (영어)
metalloid (영어)
로마자 표기반금속: ban'geumsok
준금속: jun'geumsok
semi-metal: semi-metal
metalloid: metalloid

2. 정의 및 분류

준금속은 금속과 비금속의 중간 성질을 가지거나, 두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어 명확하게 분류하기 어려운 원소이다.

안티몬(Sb)의 단체


일반적으로 다음 6가지 원소가 준금속으로 분류된다.[558][559][656][657][658][659]

  • 붕소(B)
  • 규소(Si)
  • 게르마늄(Ge)
  • 비소(As)
  • 안티몬(Sb)
  • 텔루르(Te)


이 외에도, 종종 셀레늄(Se), 폴로늄(Po), 아스타틴(At)이 준금속으로 분류되기도 한다.[559][660][661] 붕소는 단독으로 또는 규소와 함께 준금속에서 제외되기도 하며,[662][663] 텔루르 역시 자주 제외된다.[664] 또한, 안티몬, 폴로늄, 아스타틴을 준금속에 포함하는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경우도 있다.[559][665][666]

준금속은 금속과 비금속 사이에서 모호한 완충 지대를 형성하는 분류 기준으로 설명된다. 준금속이라는 용어에는 보편적으로 합의된 엄격한 정의가 없으므로, 어떤 원소가 준금속에 포함되는지는 분류 기준에 따라 달라진다. 주기율표에서 금속 원소에서 비금속 원소로 갈수록 원소의 성질이 연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준금속 분류를 위한 표준 기준이 부족하다는 것이 반드시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며, 그 연속적인 변화의 부분을 다루는 준금속이라는 집합은 원소 분류라는 목적에 잘 부합한다.

2. 1. 판단 기준

준금속은 금속과 비금속의 중간 성질을 가지거나, 두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어 명확하게 분류하기 어려운 원소이다. 이는 문헌에서 일관되게 인용되는 준금속의 일반적인 정의이다.[2],[3],[4],[5]

대부분의 원소는 금속과 비금속의 성질을 혼합하여 가지고 있으며,[8] 어떤 성질이 더 두드러지는지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9] 예를 들어, 은 혼합된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여전히 "금속의 왕"으로 인정받는다. 금은 높은 전기 전도도, 양이온 형성과 같은 금속적 거동 외에도 다음과 같은 비금속적 거동을 보인다.[10]

  • 표준 전극 전위표에서 가장 높은 전극 전위를 갖는다.
  • 금속 중에서 세 번째로 높은 이온화 에너지를 갖는다.
  • 가장 높은 전자 친화도를 갖는다.
  • 2.54의 전기 음성도는 금속 중 가장 높으며 일부 비금속보다 높다.
  • Au 아우리드 음이온을 형성하여 할로겐처럼 작용한다.
  • "금 친화성"으로 알려진 경향을 때때로 보이며, 자신과 결합하는 경향이 있다.


금속적 또는 비금속적 성질이 충분히 명확하게 우세하지 않은 경계에 있는 원소만 준금속으로 분류된다.[13]

붕소, 규소, 게르마늄, 비소, 안티몬, 텔루르는 일반적으로 준금속으로 인정된다.[14] 저자에 따라 셀레늄, 폴로늄, 아스타틴 중 하나 이상이 때때로 목록에 추가되기도 한다.[15]

준금속에 대한 널리 받아들여지는 정의나 주기율표를 금속, 준금속, 비금속으로 나누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36] 평균적으로 준금속 목록에는 7개의 원소가 포함된다. 개별적인 분류 방식은 공통점을 공유하고 애매하게 정의된[41] 경계에서 다릅니다.

전기음성도와 같은 단일 정량적 기준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44] 준금속의 전기음성도 값은 1.8 또는 1.9에서 2.2까지이다.[45]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준금속의 충진 효율은 34%에서 41% 사이이다.

원소이온화 에너지
(kcal/mol)
이온화 에너지
(kJ/mol)
전기음성도띠 구조
붕소1918012.04반도체
규소1887871.90반도체
게르마늄1827622.01반도체
비소2269442.18준금속
안티몬1998312.05준금속
텔루르2088692.10반도체
평균1998322.05
일반적으로 준금속으로 인정되는 원소들과 그 이온화 에너지(IE);[34] 전기음성도(EN, 수정된 폴링 척도); 및 전자 띠 구조[35](주변 조건에서 가장 열역학적으로 안정적인 형태).



다른 저자들은 원자 전도도[60] 또는 벌크 배위수에 의존하기도 한다.[61]

준금속은 약 200 kcal/mol(837 kJ/mol)의 이온화 에너지와 약 2.0에 가까운 전기음성도 값을 가진다. 또한 준금속은 일반적으로 반도체이지만, 안티몬과 비소는 금속에 가까운 전기 전도도를 가진다.

금속과 비금속의 경계에 있는 원소들은 항상 준금속으로 분류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과 비금속 사이의 결합 유형을 결정하는 규칙을 설정하는 데 이진 분류가 용이할 수 있다.[73]

2. 2. 기준 기반

준금속은 금속과 비금속의 중간 성질을 가지거나, 두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어 명확하게 분류하기 어려운 원소이다. 대부분의 원소는 금속과 비금속의 성질을 모두 가지며, 어떤 성질이 더 두드러지는지에 따라 분류된다.[9] 금속 또는 비금속 성질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경계 영역의 원소들이 준금속으로 분류된다.[13]

붕소, 규소, 게르마늄, 비소, 안티몬, 텔루르는 일반적으로 준금속으로 분류된다.[14] 때때로 셀레늄, 폴로늄, 아스타틴이 준금속 목록에 추가되기도 한다.[15] 붕소는 단독으로 또는 규소와 함께 준금속에서 제외되기도 하며,[16] 텔루르를 준금속으로 간주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17] 안티몬, 폴로늄, 아스타틴을 준금속에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는 이견이 존재한다.[18]

수소,[20] 베릴륨,[21] 질소,[22] ,[23] ,[24] 아연,[25] 갈륨,[26] 주석, 아이오딘,[27] ,[28] 비스무트,[17] 라돈[29] 등 다른 원소들도 때때로 준금속으로 분류된다. '준금속'이라는 용어는 금속 광택과 전기 전도도를 가지면서 양쪽성인 원소(예: 비소, 안티몬, 바나듐, 크롬, 몰리브데넘, 텅스텐, 주석, , 알루미늄)에도 사용된다.[30] p-블록 금속이나[31] 금속과 합금을 만들거나[32] 성질을 변화시킬 수 있는 비금속(예: 탄소, 질소)도[33] 준금속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준금속의 정의나 주기율표를 금속, 준금속, 비금속으로 나누는 통일된 기준은 없다.[36] Hawkes는[37] 여러 시도에서 문제점을 발견하며 특정 정의를 내리는 것이 가능한지 의문을 제기했다. Sharp는[38] 어떤 원소를 준금속으로 분류하는 것은 "임의적"이라고 언급했다.

준금속의 수와 종류는 분류 기준에 따라 달라진다. Emsley는[39] 게르마늄, 비소, 안티몬, 텔루르 4가지를 준금속으로 인정했다. James 외[40]붕소, 탄소, 규소, 셀레늄, 비스무트, 폴로늄, 모스코븀, 리버모륨을 포함하여 12가지를 열거했다. 여러 목록에는 평균적으로 7개의 원소가 포함된다. 개별적인 분류는 공통점을 공유하면서도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은 경계에서 차이를 보인다.

전기 음성도와 같은 단일 기준이 사용되기도 하는데,[44] 준금속은 1.8 또는 1.9에서 2.2 사이의 전기음성도 값을 갖는다.[45] 충진 효율(결정 구조에서 원자가 차지하는 부피 비율)이나 Goldhammer–Herzfeld 기준 비율도 사용된다.[46]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준금속의 충진 효율은 34%에서 41% 사이이다. 원자 반지름의 세제곱을 몰 부피로 나눈 값과 거의 같은 Goldhammer–Herzfeld 비율은[54] 원소의 금속성을 측정하는 간단한 방법이며, 인식된 준금속의 비율은 약 0.85에서 1.1이며 평균 1.0이다.[56]

다른 저자들은 원자 전도도[60] 또는 벌크 배위수[61] 등의 기준을 사용하기도 한다.

과학에서 분류의 역할에 대한 논문에서 Jones는 "[계급]은 일반적으로 두 개 이상의 속성으로 정의된다"고 언급했다.[62] Masterton과 Slowinski는[63] 일반적으로 준금속으로 인정되는 6가지 원소를 설명하기 위해 세 가지 기준을 사용했다. 즉, 준금속은 약 200kcal/mol (837kJ/mol)의 이온화 에너지와 약 2.0에 가까운 전기음성도 값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반도체이지만 안티몬과 비소(물리적 관점에서 준금속)는 금속에 가까운 전기 전도도를 갖는다고 설명했다. 셀레늄폴로늄은 이 기준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있으며, 아스타틴의 상태는 불확실하다.

Vernon은 준금속을 표준 상태에서 (a) 반도체 또는 준금속의 전자 띠 구조, (b) 중간 정도의 제1 이온화 포텐셜(약 750kJ/mol~1000kJ/mol), (c) 중간 정도의 전기음성도(1.9~2.2)를 갖는 화학 원소로 제안했다.[66]

원소이온화 에너지
(kcal/mol)
이온화 에너지
(kJ/mol)
전기음성도띠 구조
붕소1918012.04반도체
실리콘1887871.90반도체
게르마늄1827622.01반도체
비소2269442.18준금속
안티몬1998312.05준금속
텔루륨2088692.10반도체
평균1998322.05
일반적으로 준금속으로 인정되는 원소들과 그 이온화 에너지(IE);[34] 전기음성도(EN, 수정된 폴링 척도); 및 전자 띠 구조[35](주변 조건에서 가장 열역학적으로 안정적인 형태).



일반적으로 원소는 화학적, 물리적 성질에 따라 금속 또는 비금속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일부 원소는 중간적인 성질을 가지거나,[530] 두 가지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531] 그 특성에 따른 분류가 어렵다.[532][533] 따라서 이러한 원소는 종종 준금속으로 분류된다. 준금속을 나타내는 metalloid라는 단어는 라틴어 ''metallum''(금속)과 그리스어 ''oeides''(모양이나 외관이 유사하다는 의미)에서 유래했다.[534][535] 한국어로는 준금속 외에 준금속[536], 아금속[537], 또는 그대로 메탈로이드[538]라고도 불린다. 준금속은 금속과 비금속 사이에서 모호한 완충 지대를 형성하는 분류 기준으로 설명된다.

3. 주기율표에서의 위치

일반적인 주기율표. 준금속은 연두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준금속은 주기율표에서 금속과 비금속 사이의 경계선 양쪽에 위치한다. 이 경계선은 다양한 형태로 여러 주기율표에 나타난다. 경계선의 왼쪽 아래에 있는 원소들은 일반적으로 금속적 성질이 증가하고, 오른쪽 위에 있는 원소들은 비금속적 성질이 증가한다.[426] 일반적인 계단 형태로 나타낼 때, 각 주기에서 가장 높은 임계 온도를 갖는 원소들(Li, Be, Al, Ge, Sb, Po)은 경계선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67]

준금속의 대각선 배열은 유사한 성질을 가진 원소들이 수직 에 위치하는 경향에 대한 예외를 나타낸다.[68] 이와 관련된 현상은 다른 대각선 유사성에서도 볼 수 있는데, 특히 리튬-마그네슘, 베릴륨-알루미늄, 붕소-규소 사이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유사성은 탄소-, 질소-, 그리고 세 개의 d-블록 계열로 확장된다고 주장되기도 한다.[69]

이러한 예외는 핵전하의 경쟁적인 수평 및 수직 경향으로 인해 발생한다. 주기를 따라 이동하면서 핵전하원자 번호와 함께 증가하고 전자의 수도 증가한다. 핵전하가 증가함에 따라 외각 전자에 대한 추가적인 인력은 더 많은 전자를 갖는 것의 차폐 효과보다 일반적으로 크다. 따라서 원자는 불규칙성이 있지만 크기가 작아지고, 이온화 에너지는 증가하며, 주기에서 강한 금속 원소에서 약한 금속 원소, 약한 비금속 원소, 강한 비금속 원소로 점진적인 성질 변화가 나타난다.[70] 주족을 따라 내려가면, 증가하는 핵전하의 효과는 추가 전자가 원자핵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그 효과가 상쇄된다. 원자는 일반적으로 크기가 커지고, 이온화 에너지는 떨어지며, 금속적 성질은 증가한다.[71] 결과적으로 금속-비금속 전이 영역의 위치는 족을 따라 내려갈수록 오른쪽으로 이동하고,[68] 주기율표의 다른 곳에서도 유사한 대각선 유사성이 나타난다.[72]

준금속으로 분류되는 원소의 분포와 인식 현황
1212131415161718
HHe
LiBeBCNOFNe
NaMgAlSiPSClAr
KCaZnGaGeAsSeBrKr
RbSrCdInSnSbTeIXe
CsBaHgTlPbBiPoAtRn
FrRaCnNhFlMcLvTsOg
주기율표의 1~2족과 12~18족을 보여주는 발췌본과 금속과 비금속 사이의 경계선. 백분율은 준금속 목록 목록에 나오는 중간 출현 빈도. 산발적으로 인식되는 원소는 준금속의 범위가 때때로 매우 넓게 설정됨을 보여줌. 준금속 목록 목록에는 나와 있지 않지만, 준금속으로 지정하는 것에 대한 개별적인 언급은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음(본 문서에서 인용됨).



금속과 비금속을 구분하는 경계선의 개념은 적어도 1869년 이전의 문헌에서 기술되어 있다.[797] 1891년, 워커는 금속과 비금속의 경계로 주기율표에 사선을 그어 "도표화"한 것을 발표했다.[798] 1906년, 알렉산더 스미스는 그의 매우 영향력 있는[799] 교과서 ''Introduction to General Inorganic Chemistry''에서 비금속을 나머지 원소와 분리하는 지그재그 선을 주기율표에 포함시켰다.[800]

1923년, 미국의 화학자인 호러스 그로브스 데밍은 그의 저서 ''General Chemistry: An elementary survey''에서 금속과 비금속을 분리하는 계단형 선을 단주기율표(멘델레예프의 주기율표)와 각 족을 18열로 나열한 일반적인 주기율표 각각에 포함시켰다.[801] 1928년, 머크는 당시 미국 학교에서 널리 보급되었던 데밍의 18열 주기율표 배포를 준비했고, 1930년대까지는 데밍의 주기율표가 화학 핸드북과 백과사전에 실리게 되었다. 그것은 또한 사전트 웰치 사에 의해 오랫동안 배포되었다.[802][803][804]

일부 저자들은 금속과 비금속의 경계선에 접해 있는 원소를 준금속으로 분류하지 않고, 대신 예를 들어 경계선 왼쪽에 접한 원소는 ''약간의 비금속적 성질을 보이는'', 반대로 오른쪽에 접한 원소는 ''약간의 금속적 성질을 보이는'' 등으로 주석을 달았다.[780] 이러한 짝을 이룬 분류는 금속과 비금속 사이의 결합 종류를 결정하기 위한 간단한 규칙을 확립하기 쉽게 할 수 있다.[548] 다른 저자들은 일부 원소를 준금속으로 분류하는 것이 ''준금속은 주기율표상의 경계선에서 갑자기 하나로 변하는 것이 아니라, 그 성질이 점진적으로 변해간다는 것을 강조한다''는 점을 제시했다.[805] 때때로 금속과 비금속 사이의 경계선은 금속과 준금속, 그리고 준금속과 비금속을 각각 나누는 두 개의 경계선으로 간주되기도 한다.[805][806]

일부 주기율표에서는 금속과 비금속의 형식적인 경계선이 없더라도 준금속 원소를 구분한다. 이 경우 경계선 대신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이어지는 사선 띠 또는 넓은 영역[807]과 같이 나타내며, 그것은 비소 주변에 집중되어 있다. 멘델레예프는 ''금속과 비금속 사이에 명확한 경계를 긋는 것은 불가능하며, 그 사이에는 여러 가지 중간적인 물질이 존재한다''는 견해를 제시했다.[808] 몇몇 다른 출처는 경계선의 혼란이나 모호성을 주목하고[809][810], 외관상 불확정적임을 시사하고[811], 그 타당성에 대한 반론의 근거를 제시하고[548], 그리고 그것이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논쟁이 되거나, 또는 대략적인 성질로서의 논평이 이루어졌다.[559][812][813] 데밍 자신도 이 경계선을 정확하게 그을 수 없다는 점을 주목했다.[814]

4. 성질

준금속은 금속과 비금속의 성질을 모두 가지거나, 그 중간 성질을 가지고 있어 명확하게 분류하기 어려운 원소이다.

붕소(B), 규소(Si), 게르마늄(Ge), 비소(As), 안티몬(Sb), 텔루르(Te)는 일반적으로 준금속으로 인정된다.[14] 셀레늄(Se), 폴로늄(Po), 아스타틴(At)도 종종 준금속으로 분류된다.[15]

게르마늄은 전형적인 준금속으로, 금속 광택을 보인다.


준금속은 보통 금속처럼 보이지만 비금속과 비슷한 성질을 많이 가지고 있다. 물리적으로는 광택이 나는 부서지기 쉬운 고체이며, 중간 정도의 전기 전도도를 가진다. 전자 띠 구조는 준금속 또는 반도체 형태이다. 화학적으로는 (약한) 비금속처럼 행동하며, 중간 정도의 이온화 에너지와 전기음성도 값을 가진다. 양쪽성 또는 약산성의 산화물을 형성한다.

준금속이라는 용어는 보편적으로 합의된 정의가 없으며,[558][559] 각 원소의 분류는 "임의적"이라고 여겨진다.[560]

준금속의 이온화 에너지, 전기음성도, 띠 구조[34][35]
원소이온화 에너지
(kcal/mol)
이온화 에너지
(kJ/mol)
전기음성도띠 구조
붕소1918012.04반도체
규소1887871.90반도체
게르마늄1827622.01반도체
비소2269442.18준금속
안티몬1998312.05준금속
텔루르2088692.10반도체
평균1998322.05


4. 1. 금속 및 비금속과의 비교

준금속은 금속과 비금속 중간의 성질을 가지며, 명확하게 분류하기 어려운 원소들이다. 이들은 주기율표에서 금속과 비금속 사이에 위치하며, 두 가지 주요 범주의 특징을 일부 공유한다.[2][3][4][5]

대부분의 원소는 금속과 비금속의 성질을 혼합하여 가지고 있으며,[8] 어떤 성질이 더 두드러지는지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9] 금속적 또는 비금속적 성질이 충분히 명확하게 우세하지 않은 경계에 있는 원소만 준금속으로 분류된다.[13]

일반적으로 붕소(B), 규소(Si), 게르마늄(Ge), 비소(As), 안티몬(Sb), 텔루르(Te)가 준금속으로 인정된다.[14] 때때로 셀레늄(Se), 폴로늄(Po), 아스타틴(At)이 추가되기도 한다.[15]

다음 표는 준금속, 금속, 비금속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비교한 것이다.[81]

금속, 준금속 및 비금속의 성질
물리적 성질금속준금속비금속
형태고체 (일부 예외: Ga, Hg 등)고체[84]대부분 기체[85]
외관광택 있음광택 있음[84]다양함
소성탄성, 연성, 전성취성[86]취성
전기 전도도양호-높음중간-양호[88]불량-양호
띠 구조금속 (Bi = 반금속)반도체 또는 반금속 (As, Sb)[91]반도체 또는 절연체[92]
화학적 성질금속준금속비금속
일반적인 화학적 거동금속적비금속적[93]비금속적
이온화 에너지낮음중간[94]높음
전기음성도낮음2에 가까움[96]높음
금속과 혼합될 때합금 형성합금 형성 가능[100]이온성 또는 침입형 화합물 형성
산화물염기성-산성양쪽성 또는 약산성[101]산성



준금속은 일반적으로 금속처럼 보이지만, 물리적, 화학적 성질은 금속과 비금속 사이의 중간적인 특징을 보인다. 예를 들어, 준금속은 부서지기 쉽고, 전기 전도도는 중간 정도이며, 화학적으로는 약한 비금속처럼 행동한다.

5. 응용

준금속은 순수한 형태로는 너무 부서지기 쉬워 구조적인 용도로 사용하기 어렵다.[102] 그러나 준금속과 그 화합물은 합금, 생물학적 작용제 (독성학적, 영양학적, 의학적), 촉매, 난연제, 유리 (산화물 및 금속), 광학 저장 매체 및 광전자, 화약, 반도체 및 전자 제품에 사용된다.

구리-게르마늄 합금(Copper-germanium alloy) 펠릿. 은(silver)과 결합하면 변색에 강한 스털링 실버(argentium sterling silver)가 된다.


; 합금

영국의 금속학자 세실 데시(Cecil Desch)는 금속간 화합물의 초기 역사를 기술하면서, "특정 비금속 원소는 금속과 명확하게 금속적 성질을 가진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원소는 합금의 구성에 포함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104] 필립스(Phillips)와 윌리엄스(Williams)는 실리콘, 게르마늄, 비소, 안티모니와 B 금속의 화합물은 "아마도 합금으로 분류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라고 제안했다.[105]

가벼운 준금속들 중에서는, 전이 금속과의 합금이 잘 알려져 있다. 붕소는 ''n'' > 2인 경우 M''n''B 조성의 금속과 금속간 화합물과 합금을 형성할 수 있다.[106] 페로붕소 (붕소 15%)는 강철에 붕소를 첨가하는 데 사용되며, 니켈-붕소 합금은 용접 합금과 공학 산업용 침탄 조성의 성분이다. 실리콘과 의 합금과 알루미늄의 합금은 각각 철강 산업과 자동차 산업에서 널리 사용된다. 게르마늄은 많은 합금을 형성하며, 가장 중요한 것은 귀금속과의 합금이다.[107]

무거운 준금속들도 같은 경향을 보인다. 비소는 백금구리를 포함한 금속과 합금을 형성할 수 있다.[108] 또한 구리와 그 합금에 부식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며,[109] 마그네슘에 첨가했을 때도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110] 안티모니는 귀금속을 포함한 합금 형성제로 잘 알려져 있다. 안티모니의 합금으로는 주석 (최대 20% 안티모니가 포함된 주석 합금)과 활자금속 (최대 25% 안티모니가 포함된 납 합금)이 있다.[111] 텔루륨은 페로텔루륨 (텔루륨 50~58%)으로 철과, 텔루륨 구리 (텔루륨 40~50%)로 구리와 쉽게 합금을 형성한다.[112] 페로텔루륨은 강철 주조에서 탄소 안정제로 사용된다.[113] 준금속으로 덜 인식되는 비금속 원소 중 셀레늄은 페로셀레늄 (셀레늄 50~58%) 형태로 스테인리스강의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된다.[114]

; 생물학적 작용제



일반적으로 준금속으로 인정받는 여섯 가지 원소는 모두 독성, 영양 또는 약효를 가지고 있다.[116] 비소와 안티몬 화합물은 특히 독성이 강하며, 붕소, 규소, 그리고 아마도 비소는 필수 미량 원소이다. 붕소, 규소, 비소, 안티몬은 의학적 용도가 있으며, 게르마늄과 텔루륨도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 붕소는 살충제[117]와 제초제[118]에 사용된다. 필수 미량 원소이다.[119] 붕산으로서 소독제, 항진균제 및 항바이러스제 특성을 지닌다.[120]
  • 규소는 고독성 설치류 살상제인 실라트란에 존재한다.[121] 장기간 이산화규소 먼지를 흡입하면 폐의 치명적인 질병인 규폐증이 발생한다. 규소는 필수 미량 원소이다.[119] 실리콘 젤은 심한 화상 환자에게 흉터 감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122]
  • 게르마늄 염은 장기간 섭취하면 인체와 동물에 해로울 수 있다.[123] 게르마늄 화합물의 약리 작용에 대한 관심이 있지만 아직 허가된 의약품은 없다.[124]
  • 비소는 악명 높은 독약이며, 극미량으로는 필수 원소일 수도 있다.[125]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양측은 "비소 기반의 재채기와 구토 유발제…를 사용하여 적군 병사들이 가스 마스크를 벗도록 강제한 다음 겨자 가스 또는 포스겐을 두 번째 일제 사격으로 발사했다."[126] 고대부터 매독 치료를 포함하여 약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항생제 개발 이전에 사용되었다.[127] 비소는 또한 인간 아프리카 트리파노소마증 또는 수면병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품인 멜라르소프롤의 구성 요소이다. 2003년, 삼산화비소 (상표명 트리세녹스)는 혈액과 골수암인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로 재도입되었다.[127] 음용수 중 비소는 폐암과 방광암을 유발하지만 유방암 사망률 감소와 관련이 있다.[128]
  • 금속성 안티몬은 비교적 독성이 없지만 대부분의 안티몬 화합물은 독성이 있다.[129] 두 가지 안티몬 화합물인 스티보글루콘산나트륨과 스티보펜은 구충제로 사용된다.[130]
  • 원소 텔루륨은 특별히 독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지만, 텔루르산나트륨 2g을 투여하면 치명적일 수 있다.[131] 소량의 공기 중 텔루륨에 노출된 사람들은 고약하고 지속적인 마늘 냄새를 풍긴다.[132] 이산화텔루륨은 지루성 피부염 치료에 사용되었고, 다른 텔루륨 화합물은 항생제 개발 이전에 항균제로 사용되었다.[133] 앞으로는 세균 내성으로 인해 효과가 없어진 항생제를 대체하기 위해 이러한 화합물이 필요할 수 있다.[134]


준금속으로 덜 인식되는 원소 중 베릴륨과 납은 독성으로 유명하며, 비산납은 살충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135] 황은 가장 오래된 살균제 및 살충제 중 하나이다. 인, 황, 아연, 셀레늄, 요오드는 필수 영양소이며, 알루미늄, 주석, 납도 그럴 수 있다.[125] 황, 갈륨, 셀레늄, 요오드, 비스무트는 의학적 용도가 있다. 황은 여전히 여드름이나 요로 감염과 같은 질환에 널리 사용되는 설폰아마이드 약물의 구성 성분이다.[136] 질산갈륨은 암의 부작용 치료에 사용되며,[137] 방사성의약품인 시트르산갈륨은 염증이 있는 신체 부위의 영상화를 용이하게 한다.[138] 셀레늄황화물은 의약 샴푸와 다색한선과 같은 피부 감염 치료에 사용된다.[139] 요오드는 다양한 형태의 소독제로 사용된다. 비스무트는 일부 항균제의 성분이다.[140]

; 촉매

삼불화붕소와 삼염화붕소는 유기 합성 및 전자 제품 분야에서 균일 촉매로 사용되며, 삼브롬화붕소는 디보란 제조에 사용된다.[141] 일부 전이 금속 촉매에서 독성이 있는 인 리간드를 대체할 수 있는 무독성 붕소 리간드가 연구되고 있다.[142] 실리카황산은 유기 반응에 사용된다.[143] 이산화게르마늄은 용기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플라스틱 생산에서 촉매로 사용되기도 하지만,[144] 삼산화안티몬이나 삼초산안티몬과 같은 저렴한 안티몬 화합물이 식품 및 음료의 안티몬 오염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같은 목적으로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145][146] 삼산화비소는 천연가스 생산에서 이산화탄소 제거를 촉진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셀렌산과 텔루르산도 마찬가지이다.[147] 셀레늄은 일부 미생물에서 촉매 역할을 한다.[148] 텔루르, 이산화텔루르, 사염화텔루르는 500 °C 이상에서 탄소의 공기 산화에 대한 강력한 촉매이다.[149] 산화흑연은 이민 및 그 유도체의 합성에서 촉매로 사용될 수 있다.[150] 활성탄과 알루미나는 천연가스에서 황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촉매로 사용되어 왔다.[151] 티타늄이 도핑된 알루미늄은 산업용 화학 물질 생산에 사용되는 귀금속 촉매의 대체재로 제안되었다.[152]

; 난연제

붕소, 규소, 비소, 안티모니 화합물은 난연제로 사용되어 왔다. 붕사 형태의 붕소는 적어도 18세기부터 섬유 난연제로 사용되어 왔다.[153] 실리콘, 실란, 실세스퀴옥산, 실리카, 규산염과 같은 규소 화합물은 독성이 더 강한 할로겐화 제품의 대안으로 개발된 것들도 있으며, 플라스틱 재료의 난연성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154] 아비산나트륨이나 비산나트륨과 같은 비소 화합물은 목재용 난연제로 효과적이지만, 독성 때문에 사용 빈도가 줄었다.[155] 삼산화 안티모니는 난연제이다.[156] 수산화알루미늄은 1890년대부터 목재 섬유, 고무, 플라스틱 및 섬유 난연제로 사용되어 왔다.[157] 수산화알루미늄 외에도, 예를 들어 유기인산염과 같은 인계 난연제의 사용량이 현재 다른 주요 난연제 유형보다 많다. 이들은 붕소, 안티모니 또는 할로겐화 탄화수소 화합물을 사용한다.[158]

; 유리 형성제

순수 이산화규소 유리에 삼산화붕소 또는 이산화게르마늄과 같은 첨가제를 넣어 감도를 높인 광섬유


B2O3, SiO2, GeO2, As2O3, Sb2O3 산화물은 쉽게 유리를 형성한다. TeO2도 유리를 형성하지만, 이는 매우 빠른 냉각 속도[159]가 필요하거나 불순물을 첨가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결정 형태가 된다.[159] 이러한 화합물은 화학, 가정 및 산업용 유리 제품[160]과 광학 장치[161]에 사용된다. 삼산화붕소는 유리섬유 첨가제[162]로 사용되며, 낮은 열팽창 계수로 인해 실험실 유리 제품과 가정용 오븐 용기[163]에 널리 사용되는 붕규산 유리의 구성 요소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일반적인 유리는 이산화규소로 만들어진다.[164] 이산화게르마늄은 유리섬유 첨가제로 사용되며 적외선 광학 시스템[165]에도 사용된다. 삼산화비소는 유리 산업에서 탈색제 및 정제제 (기포 제거)[166]로 사용되며, 삼산화안티몬도 마찬가지이다.[167] 이산화텔루르는 레이저와 비선형 광학[168]에 응용된다.

비정질 금속 유리는 일반적으로 구성 요소 중 하나가 붕소, 탄소, 규소, 인 또는 게르마늄과 같은 준금속 또는 "준금속에 가까운" 원소일 때 가장 쉽게 제조된다.[169] 매우 낮은 온도에서 증착된 박막을 제외하고, 최초로 알려진 금속 유리는 1960년에 보고된 Au75Si25 조성의 합금이었다.[171] Pd82.5P6Si9.5Ge2 조성의 금속 유리는 2011년에 보고되었으며,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강도와 인성을 가지고 있다.[172]

인, 셀레늄, 납은 준금속으로 덜 인식되지만 유리에도 사용된다. 인산염 유리는 기존의 규산염 유리의 이산화규소(SiO2) 대신 오산화인(P2O5) 기질을 갖는다. 예를 들어 나트륨 램프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173] 셀레늄 화합물은 탈색제로 사용될 수도 있고 유리에 붉은색을 더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174] 전통적인 납 유리로 만들어진 장식 유리는 적어도 30%의 산화납(II)(PbO)를 함유하며, 방사선 차폐에 사용되는 납 유리는 최대 65%의 PbO를 함유할 수 있다.[175] 납 기반 유리는 전자 부품, 에나멜, 밀봉 및 유약 재료, 태양 전지에도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비스무트 기반 산화물 유리는 이러한 많은 응용 분야에서 납을 대체하는 덜 유독한 재료로 등장했다.[176]

; 광학 저장 매체 및 광전자

게르마늄 안티몬 텔루륨(GeSbTe) ("GST 합금")과 은 및 인이 도핑된 Sb₂Te ("AIST 합금")의 다양한 조성은 상변화 물질의 예로, 재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와 상변화 메모리 장치에 널리 사용된다. 열을 가하면 비정질 (유리질) 상태와 결정 상태 사이를 전환할 수 있다. 광학적 및 전기적 특성의 변화는 정보 저장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177] GeSbTe의 미래 응용 분야에는 "나노미터 크기의 픽셀을 가진 초고속, 완전 고체 디스플레이, 반투명 '스마트' 안경, '스마트' 콘택트 렌즈 및 인공 망막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178]

; 화약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준금속들은 불꽃놀이 응용 분야 또는 관련 특성을 가지고 있다. 붕소와 실리콘은 흔히 볼 수 있으며,[180] 금속 연료와 비슷하게 작용한다.[181] 붕소는 불꽃놀이 점화제 (다른 점화가 어려운 조성물을 점화하기 위해)와 일정한 속도로 연소되는 지연 조성물에 사용된다.[182] 탄화붕소는 연막탄, 신호탄 및 불꽃놀이에서 더 독성이 강한 바륨 또는 육염화에탄 혼합물을 대체할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확인되었다.[183] 실리콘은 붕소와 마찬가지로 점화제 및 지연 혼합물의 성분이다.[182] 도핑된 게르마늄은 가변 속도의 테르밋 연료로 작용할 수 있다. 삼황화비소(As2S3)는 예전 해군 신호등에 사용되었고,[185] 불꽃놀이에서 흰색 별을 만들고,[186] 노란색 연막 혼합물과 점화제 조성물에 사용되었다.[187] 삼황화안티몬(Sb2S3)은 백색광 불꽃놀이와 섬광 및 소리 혼합물에서 발견된다.[187] 텔루륨은 지연 혼합물과 뇌관 점화제 조성물에 사용되어 왔다.[188]

탄소, 알루미늄, 인, 셀레늄은 이러한 경향을 이어간다. 탄소는 흑색화약에서 불꽃놀이 로켓 추진제, 폭발 충전제, 효과 혼합물, 군용 지연 퓨즈 및 점화기의 구성 요소이다.[189] 알루미늄은 일반적인 불꽃놀이 성분이며,[180] 광과 열을 발생시키는 능력으로 널리 사용되며,[191] 테르밋 혼합물에도 포함된다.[192] 인은 연막탄 및 소이탄, 종이 캡 (장난감 총에 사용), 파티 팝퍼에서 발견될 수 있다.[193] 셀레늄은 텔루륨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되어 왔다.[188]

; 반도체 및 전자 제품

반도체 기반 전자 부품. 왼쪽부터 트랜지스터, 집적 회로, LED가 있다.


일반적으로 준금속 (또는 그 화합물)으로 인식되는 모든 원소는 반도체 또는 고체 전자 산업에 사용되어 왔다.[194]

붕소의 일부 특성은 반도체로서의 사용을 제한했다. 녹는점이 높고, 단결정을 얻기가 비교적 어렵고, 제어된 불순물을 도입하고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195]

실리콘은 주요 상업용 반도체이며, 현대 전자 제품 (표준 태양 전지 포함)[196] 및 정보 통신 기술의 기반을 형성한다.[197] 이는 20세기 초 반도체 연구가 "흙의 물리학"으로 간주되어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다고 여겨졌음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진 것이다.[198]

저마늄은 반도체 장치에서 실리콘으로 대체로 대체되었는데, 실리콘이 더 저렴하고, 더 높은 작동 온도에서 더 강하며, 마이크로 전자 제작 공정 중에 작업하기가 더 쉽기 때문이다.[199] 저마늄은 여전히 반도체 실리콘-저마늄 "합금"의 구성 요소이며, 특히 무선 통신 장치에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합금은 저마늄의 더 높은 캐리어 이동성을 활용한다.[199] 2013년에 그램 단위의 반도체 저마난의 합성이 보고되었다. 이것은 그래핀과 유사하게 수소로 종결된 저마늄 원자의 원자 두께 시트로 구성된다. 실리콘보다 10배 이상, 저마늄보다 5배 이상 빠르게 전자를 전도하며, 광전자 및 감지 응용 분야에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200] 2014년에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용량을 두 배 이상 증가시키는 저마늄 와이어 기반 양극의 개발이 보고되었다.[201] 같은 해에 Lee 등은 전자적 용도를 가질 만큼 충분히 큰 결함 없는 그래핀 결정을 저마늄 기판에서 성장시키고 제거할 수 있음을 보고했다.[202]

비소와 안티몬은 표준 상태에서는 반도체가 아니다. 둘 다 III-V형 반도체 (예: GaAs, AlSb 또는 GaInAsSb)를 형성하는데, 여기서 원자당 평균 원자가 전자 수는 14족 원소와 같지만 직접 띠 간격을 갖는다. 이러한 화합물은 광학 응용 분야에 적합하다.[203] 안티몬 나노결정은 리튬 이온 배터리를 더 강력한 나트륨 이온 배터리로 대체할 수 있게 할 수 있다.[204]

표준 상태에서 반도체인 텔루르는 주로 II/VI형 반도체 칼코겐화물의 구성 요소로 사용된다. 이러한 물질은 전자 광학 및 전자 장치에 응용된다.[205] 텔루르화 카드뮴 (CdTe)은 높은 변환 효율, 낮은 제조 비용 및 1.44 eV의 큰 띠 간격으로 인해 광범위한 파장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태양 전지 모듈에 사용된다.[196] 셀레늄과 안티몬으로 합금된 텔루르화 비스무트 (Bi2Te3)는 냉동 또는 휴대용 발전에 사용되는 열전 장치의 구성 요소이다.[206]

붕소, 실리콘, 저마늄, 안티몬, 텔루르[213]와 같은 다섯 가지 준금속은 (적어도 39가지의 다른 금속과 비금속과 함께) 휴대전화에서 발견될 수 있다.[207] 텔루르는 이러한 용도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208] 덜 알려진 준금속 중 인, 갈륨 (특히) 및 셀레늄은 반도체 응용 분야를 갖는다. 인은 미량으로 n형 반도체의 도펀트로 사용된다.[209] 갈륨 화합물의 상업적 사용은 집적 회로, 휴대전화, 레이저 다이오드, 발광 다이오드, 광검출기태양 전지에서 반도체 응용 분야가 지배적이다.[210] 셀레늄은 태양 전지 생산[211] 및 고에너지 서지 프로텍터에 사용된다.[212]

붕소, 실리콘, 저마늄, 안티몬, 텔루르[213]뿐만 아니라 Sm, Hg, Tl, Pb, Bi, Se와 같은 무거운 금속과 준금속[214]은 위상 절연체에서 발견될 수 있다. 이들은 초저온 또는 상온 (조성에 따라 다름)에서 표면에서는 금속 전도체이지만 내부에서는 절연체인 합금[215] 또는 화합물이다.[216] 약 1K에서 비화 카드뮴 Cd3As2는 그래핀의 벌크 전자적 유사체인 다이랙 반금속으로, 전자가 질량이 없는 입자로 효과적으로 이동한다.[217] 이 두 가지 종류의 재료는 양자 컴퓨팅 응용 분야에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218]

6. 준금속으로 흔히 인정되는 원소

붕소, 규소, 게르마늄, 비소, 안티몬, 텔루르는 일반적으로 준금속으로 인정된다.[14] 저자에 따라 셀레늄, 폴로늄, 또는 아스타틴 중 하나 이상이 때때로 목록에 추가된다.[15] 붕소는 때때로 단독으로 또는 규소와 함께 제외된다.[16] 때때로 텔루르는 준금속으로 간주되지 않는다.[17] 안티몬, 폴로늄, 그리고 아스타틴을 준금속으로 포함하는 것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었다.[18]

다른 원소들이 때때로 준금속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원소에는[19] 수소,[20] 베릴륨,[21] 질소,[22] ,[23] ,[24] 아연,[25] 갈륨,[26] 주석, 아이오딘,[27] ,[28] 비스무트,[17] 그리고 라돈[29]이 포함된다. 준금속이라는 용어는 금속 광택과 전기 전도도를 나타내고 양쪽성인 원소, 예를 들어 비소, 안티몬, 바나듐, 크롬, 몰리브데넘, 텅스텐, 주석, , 그리고 알루미늄에도 사용되었다.[30] p-블록 금속,[31] 그리고 금속과 합금을 형성하거나[32] 그 성질을 변화시킬 수 있는 비금속(탄소 또는 질소와 같은)[33]도 때때로 준금속으로 간주되었다.

원소이온화 에너지
(kcal/mol)
이온화 에너지
(kJ/mol)
전기음성도띠 구조
붕소1918012.04반도체
규소1887871.90반도체
게르마늄1827622.01반도체
비소2269442.18준금속
안티몬1998312.05준금속
텔루르2088692.10반도체
평균1998322.05
일반적으로 준금속으로 인정되는 원소들과 그 이온화 에너지(IE),[34] 전기음성도(EN, 수정된 폴링 척도) 및 전자 띠 구조[35](주변 조건에서 가장 열역학적으로 안정적인 형태).



준금속에 대한 널리 받아들여지는 정의나 주기율표금속, 준금속, 그리고 비금속으로 나누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36] Hawkes[37]는 여러 시도에서 이상 현상을 발견하면서 특정 정의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의문을 제기했다. Sharp[38]는 어떤 원소를 준금속으로 분류하는 것을 "임의적"이라고 설명했다.

준금속의 수와 종류는 어떤 분류 기준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Emsley[39]는 4가지 준금속(게르마늄, 비소, 안티몬, 텔루륨)을 인정했다. James 외.[40]는 12가지(Emsley의 것들과 붕소, 탄소, 규소, 셀레늄, 비스무트, 폴로늄, 모스코븀, 리버모륨을 포함)를 열거했다. 평균적으로 이러한 목록에는 7개의 원소가 포함된다. 개별적인 분류 방식은 공통점을 공유하고 애매하게 정의된[41] 경계에서 다릅니다.

전기음성도와 같은 단일 정량적 기준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44] 준금속의 전기음성도 값은 1.8 또는 1.9에서 2.2까지이다.[45] 다른 예로는 충진 효율(결정 구조에서 원자가 차지하는 부피의 비율)과 Goldhammer–Herzfeld 기준 비율이 있다.[46]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준금속의 충진 효율은 34%에서 41% 사이이다. 원자 반지름의 세제곱을 몰 부피로 나눈 값과 거의 같은 Goldhammer–Herzfeld 비율은[54] 원소의 금속성을 측정하는 간단한 방법이며, 인식된 준금속의 비율은 약 0.85에서 1.1이며 평균 1.0이다.[56]

다른 저자들은 예를 들어 원자 전도도[60] 또는 벌크 배위수에 의존했다.[61]

과학에서 분류의 역할에 대해 논문을 쓴 Jones는 "[계급]은 일반적으로 두 개 이상의 속성으로 정의된다"고 언급했다.[62] Masterton과 Slowinski[63]는 일반적으로 준금속으로 인식되는 6가지 원소를 설명하기 위해 세 가지 기준을 사용했다. 준금속은 약 200 kcal/mol(837 kJ/mol)의 이온화 에너지와 약 2.0에 가까운 전기음성도 값을 가집니다. 또한 그들은 준금속은 일반적으로 반도체이지만, 안티몬과 비소(물리적 관점에서 준금속)는 금속에 가까운 전기 전도도를 가진다고 말했다. 셀레늄과 폴로늄은 이 체계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심되며, 아스타틴의 상태는 불확실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Vernon은 준금속을 표준 상태에서 (a) 반도체 또는 준금속의 전자 띠 구조, (b) 중간 제1 이온화 포텐셜("(예: 750~1,000 kJ/mol)"), (c) 중간 전기음성도(1.9~2.2)를 갖는 화학 원소로 제안했다.[66]

준금속으로 분류되는 원소의 분포와 인식 현황
1212131415161718
Hstyle="width:2.5em; border-bottom:2px solid grey" | style="width:2.5em" |style="width:2.5em; border-bottom:1px solid black" |style="width:2.5em; border-bottom:1px solid black" |style="width:2.5em; border-bottom:1px solid black" |style="width:2.5em; border-bottom:1px solid black" | He
LiBestyle="border-left:2px solid grey" |style="border-right:2px solid grey" |BCNOFNe
NaMgstyle="border-right:1px solid black; border-bottom:1px solid black" |AlSiPSClAr
KCastyle="border-right:1px solid black" |ZnGaGeAsSeBrKr
RbSrstyle="border-right:1px solid black" |CdInSnSbTeIXe
CsBastyle="border-right:1px solid black"|HgTlPbBiPoAtRn
FrRastyle="border-right:1px solid black"|CnNhFlMcLvTsOg
 
colspan=10 style="padding-left:0.5em; background:#f8f8f8;" |
colspan="11" style="padding-left:0.5em; padding-right:2px; font-size:90%"|



준금속은 금속과 비금속의 경계선 양쪽에 위치한다.

7. 준금속으로 덜 인정되는 원소



고순도 알루미늄은 일반적인 합금보다 훨씬 무르다.


회색 셀레늄은 광전도체로 빛이 닿으면 전기 전도도가 약 1,000배 향상된다.


단체 요오드. 비금속이지만 금속 광택이 보인다.


탄소는 일반적으로 비금속으로 분류되지만,[398] 금속적 성질을 일부 가지며 때때로 준금속으로 분류되기도 한다.[399] 상온에서 가장 안정한 동소체육방정계 흑연이다.[400] 흑연은 광택이 나며,[401] 전기 전도성이 좋다.[402] 금속처럼 흑연의 평면 방향 전도도는 온도가 상승하면 감소한다.[404] 흑연은 반금속의 전자 띠 구조를 갖는다.[404]

알루미늄은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분류되지만,[418] 금속으로서는 드문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421] 알루미늄을 준금속으로 분류하기도 한다.[422] Al2O3은 양쪽성[425]이며 조건부 유리 형성 물질이다.[272] 알루미늄은 음이온인 알루민산염을 형성하는데,[421] 이는 비금속적 특성으로 간주된다.[426]

셀레늄은 경계적인 준금속 또는 비금속적 거동을 보인다.[434] 가장 안정적인 형태인 회색 삼방정계 동소체는 전기 전도도가 붉은색 단사정계 형태보다 몇 배 커서 "금속성" 셀레늄이라고도 불린다.[437] 셀레늄은 환경 화학 문헌에서 주로 준금속으로 설명된다.[449] 수생 환경에서 비소, 안티몬과 유사하게 이동한다.[450]

폴로늄은 몇몇 뚜렷한 금속적 특성을 보인다.[452] 두 동소체 모두 금속성 전도체이다.[452] 폴로늄은 할로겐화물과 폴로나이드의 존재를 통해 비금속적 성질을 보인다.

아스타틴은 할로젠 원소로 비금속으로 분류되는 경향이 있지만,[461] 일부 금속적 성질 때문에[462] 준금속[463] 또는 금속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주기율표에서 준금속으로 분류되는 6가지 원소는 다음과 같다.[558][559][656][657][658][659]

  • 붕소(B)
  • 규소(Si)
  • 게르마늄(Ge)
  • 비소(As)
  • 안티몬(Sb)
  • 텔루르(Te)


셀레늄(Se), 폴로늄(Po), 아스타틴(At)도 종종 준금속으로 분류된다.[559][660][661] 붕소는 단독으로 또는 규소와 함께 준금속에서 제외되기도 하고,[662][663] 텔루르도 자주 제외된다.[664] 안티몬, 폴로늄, 아스타틴을 준금속에 포함하는 것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559][665][666] 준금속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없어, 때때로 다른 원소들이 준금속으로 분류되기도 한다.[687]

준금속(metalloid)이라는 용어는 다음 성질을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된다.

8. 관련 개념

준금속(Metalloid)은 금속과 비금속의 중간 성질을 가지며, 이들을 명확하게 분류하기 어려운 원소들을 지칭한다.

대부분의 원소는 금속과 비금속의 성질을 모두 가지며, 어떤 성질이 더 두드러지는지에 따라 분류된다.[8],[9]

붕소, 규소, 게르마늄, 비소, 안티몬, 텔루르는 일반적으로 준금속으로 분류된다.[14] 셀레늄, 폴로늄, 아스타틴 등이 추가되기도 하지만,[15] 붕소, 규소,[16] 텔루르는[17] 준금속으로 간주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안티몬, 폴로늄, 아스타틴의 포함 여부도 논란의 대상이다.[18]

수소, 베릴륨,[21] 질소,[22] ,[23] ,[24] 아연,[25] 갈륨,[26] 주석, 아이오딘,[27] ,[28] 비스무트,[17] 라돈[29] 등도 준금속으로 분류되기도 한다.[19]

준금속이라는 용어는 금속 광택과 전기 전도도를 나타내고 양쪽성인 원소 (예: 비소, 안티몬, 바나듐, 크롬, 몰리브데넘, 텅스텐, 주석, , 알루미늄)[30], p-블록 금속,[31] 금속과 합금을 형성하거나[32] 성질을 변화시킬 수 있는 비금속(탄소, 질소 등)[33]에게도 사용된다.

{| class="wikitable" style="float:right; text-align:center; border:1px solid grey; margin-left:1.2em; margin-bottom:1.2em; width:23.5em;"

|-

! colspan=12 | 준금속으로 분류되는 원소의 분포와 인식 현황

|-

|

| 1

| 2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

|

| H

|

|  

|

|

|

|

|

|

|  

| He

|-

|

| Li

| Be

|

|

| B

| C

| N

| O

| F

| Ne

|-

|

| Na

| Mg

|

|

| Al

| Si

| P

| S

| Cl

| Ar

|-

|

| K

| Ca

|

| Zn

| Ga

| Ge

| As

| Se

| Br

| Kr

|-

|

| Rb

| Sr

|

| Cd

| In

| Sn

| Sb

| Te

| I

| Xe

|-

|

| Cs

| Ba

|

| Hg

| Tl

| Pb

| Bi

| Po

| At

| Rn

|-

|

| Fr

| Ra

|

| Cn

| Nh

| Fl

| Mc

| Lv

| Ts

| Og

|-

| colspan="12" |  

|-

| colspan=11 |

  금속-비금속 경계선: H와 Li 사이, Be와 B 사이, Al과 Si 사이, Ge와 As 사이, Sb와 Te 사이, Po와 At 사이, Ts와 Og 사이



|-

| colspan="11" |

주기율표의 1~2족과 12~18족을 보여주는 발췌본과 금속과 비금속 사이의 경계선. 백분율은 준금속 목록 목록에 나오는 중간 출현 빈도. 산발적으로 인식되는 원소는 준금속의 범위가 때때로 매우 넓게 설정됨을 보여줌. 준금속 목록 목록에는 나와 있지 않지만, 준금속으로 지정하는 것에 대한 개별적인 언급은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음(본 문서에서 인용됨).

|}

준금속은 주기율표에서 금속과 비금속의 경계선 양쪽에 위치한다. 경계선 아래의 원소들은 금속성이 강해지고, 위의 원소들은 비금속성이 강해진다.[426] 일반적인 계단 형태에서, 각 주기에서 가장 높은 임계 온도를 갖는 원소들(Li, Be, Al, Ge, Sb, Po)이 경계선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67]

준금속의 대각선 배열은 유사한 성질을 가진 원소들이 수직 에 위치하는 경향의 예외이다.[68] 리튬-마그네슘, 베릴륨-알루미늄, 붕소-규소 사이의 대각선 유사성도 이와 관련이 있다.[69] 이러한 현상은 핵전하의 경쟁적인 수평 및 수직 경향 때문에 발생한다. 주기를 따라 이동하면 핵전하가 증가하고, 원자 크기는 작아지며, 이온화 에너지는 증가하여 금속에서 비금속으로 점진적인 성질 변화가 나타난다.[70] 주족을 따라 내려가면 핵전하의 효과가 상쇄되어 원자 크기가 커지고, 이온화 에너지는 감소하며, 금속성이 증가한다.[71] 결과적으로 금속-비금속 전이 영역의 위치는 족을 따라 내려갈수록 오른쪽으로 이동한다.[68],[72]

금속과 비금속 경계에 있는 원소들이 항상 준금속으로 분류되는 것은 아니며, 이진 분류가 결합 유형 결정 규칙을 설정하는 데 용이할 수 있다.[73] 저자들은 경계적인 특성을 고려하기보다 하나 이상의 속성에 초점을 맞춰 분류를 결정하며, 이는 명시되지 않거나 임의적일 수 있다.[38] 준금속은 금속,[74] 비금속,[75] 비금속의 하위 범주[76]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일부 주기율표는 준금속을 구분하고 금속과 비금속 사이에 공식적인 구분선을 표시하지 않으며, 준금속은 대각선 띠[79] 또는 확산 영역[80]에 나타나는 것으로 표시된다. 중요한 것은 분류 체계의 맥락을 설명하는 것이다.[78]

띠 이론에서 '''준금속'''(Semi-metal, 이하 본 절에서는 '''세미메탈'''이라 함)은 페르미 준위원자가띠의 최상부와 전도띠의 최하부를 가로지르는 상태(원자가띠와 전도띠가 약간 겹쳐 있는 상태), 또는 그 상태를 나타내는 물질이다. 이 경우, 원자가띠 최상부에는 정공이 생기고, 전도띠 최하부는 전자가 점유하고 있다.[869] 금속보다 전기 전도도(전기 전도율)가 낮다. 세미메탈로는 흑연, 비소, 안티몬, 비스무트 등이 있다.[870]

온도와 전기 전도도의 관계는 금속과 같이 온도가 내려갈수록 전기 전도도가 좋아진다(전기 전도도가 증가한다). 세미메탈의 특징으로는 캐리어가 적다,[871] 유효 질량이 작다,[872] 반자성 자화율[873]이나 유전율이 크다[874]는 등이 있다.

참고로, 반금속이라는 용어는 여기서 설명한 세미메탈과는 다른 개념이다.

8. 1. 준금속에 가까운 원소



주기율표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준금속과 인접한 일부 원소들은 보통 금속 또는 비금속으로 분류되지만, 때때로 ''준금속에 가까운 원소''[492] 또는 준금속적 특성으로 언급된다. 금속-비금속 경계선 왼쪽에는 갈륨,[493] 주석,[494] 비스무트[515]가 포함된다. 이들은 특이한 충진 구조,[495] 뚜렷한 공유 결합 화학(분자성 또는 중합체성),[496] 양쪽성[497]을 보인다. 경계선 오른쪽에는 탄소,[498] 인,[499] 셀레늄,[500] 요오드[501]가 있다. 이들은 금속 광택, 반도체 특성 및 비편재화된 특성을 갖는 결합 또는 원자가 띠를 나타낸다. 이는 주변 조건에서 열역학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형태(흑연으로서의 탄소, 흑린으로서의 인, 회색 셀레늄으로서의 셀레늄)에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주기율표에서 준금속으로 분류되는 6가지 원소는 다음과 같다.[558][559][656][657][658][659]

  • 붕소(B)
  • 규소(Si)
  • 게르마늄(Ge)
  • 비소(As)
  • 안티몬(Sb)
  • 텔루르(Te)


이 외에도 종종 셀레늄(Se), 폴로늄(Po), 아스타틴(At)이 준금속으로 분류되기도 한다.[559][660][661] 붕소는 단독으로 또는 규소와 함께 준금속에서 제외되기도 하며,[662][663] 텔루르 역시 자주 제외된다.[664] 안티몬, 폴로늄, 아스타틴을 준금속에 포함하는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경우도 있다.[559][665][666]

많은 화학자와 관련 과학 전문가들은 금속과 비금속의 중간에 위치하는 원소의 분류 개념을 확장하여, 일반적으로 준금속으로 인정되지 않는 원소도 준금속에 포함하기도 한다.

  • 1935년, 페르넬리우스와 로비는 탄소, 인, 셀레늄, 요오드를 붕소, 규소, 비소, 안티몬, 텔루르, 폴로늄, 그리고 당시 미발견이었던 원자 번호 85번 원소(1940년에 아스타틴으로 명명됨)와 함께 원소의 중간적인 분류에 포함시켰다.[694] (게르마늄은 당시 전도성이 낮은 금속으로 여겨져 제외[695])
  • 1954년, 사보와 라카토슈는 베릴륨과 알루미늄을 붕소, 규소, 게르마늄, 비소, 안티몬, 텔루르, 폴로늄, 아스타틴과 함께 준금속 목록에 포함시켰다.[696]
  • 1957년, 샌더슨은 탄소, 인, 셀레늄, 요오드를 붕소, 규소, 비소, 텔루르, 아스타틴과 함께 '특정 금속적 특성'을 가진 원소의 중간적인 분류의 일부로 포함시켰고, 게르마늄, 안티몬, 폴로늄은 금속으로 분류했다.[697]
  • 2007년, 페티는 탄소, 인, 셀레늄, 주석, 비스무트를 붕소, 규소, 게르마늄, 비소, 안티몬, 텔루르, 폴로늄, 아스타틴과 함께 준금속 목록에 포함시켰다.[701]


이러한 일반적인 준금속 근처에 위치하는 원소들은 일반적으로 금속 또는 비금속으로 분류되지만, 종종 준금속에 가깝다고("near-metalloid") 불린다.[702][703] 알루미늄, 주석, 비스무트와 같은 금속은 특이한 충진 구조,[704] 분자 또는 중합 상태에서 공유 결합,[705] 양쪽성[706][707]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약한 금속("weak metals"), 빈약한 금속("poor metals"), 전이 후 금속("post-transition metals")[712][713] 또는 준금속("semimetals") 등으로 언급되며, 이러한 분류는 주기율표의 동일한 영역을 가리키지만, 반드시 동일한 원소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탄소,[714][715] 인,[716][717][718][719][720] 셀레늄,[732][721] 요오드[722][723][724]와 같은 비금속 원소는 열역학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형태(흑연으로서의 탄소, 흑린으로서의 인, 회색 셀레늄으로서의 셀레늄)에서 금속 광택, 반도체성(중간 정도의 전기 전도도,[728] 비교적 좁은 밴드갭,[729][730] 광 감수성[728]), 전도대 또는 원자가대의 비국재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원소는 '준금속적', 준금속성을 나타낸다, 준금속과 같다, 다소 준금속적이다, 금속적 성질을 갖는다고 평가된다.

8. 2. 동소체

백색 주석 (왼쪽)과 회색 주석 (오른쪽). 두 형태 모두 금속성 외관을 갖는다.


원소의 서로 다른 결정 형태를 동소체라고 한다. 특히 주기율표에서 금속과 비금속의 경계 부근에 위치한 원소들의 동소체 중 일부는 다른 동소체보다 더 두드러진 금속성, 준금속성 또는 비금속성을 나타낸다.[507] 이러한 동소체의 존재는 관련 원소들의 분류를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508]

예를 들어, 주석은 두 가지 동소체를 갖는다. 정방정계의 "백색" β-주석과 입방정계의 "회색" α-주석이다. 백색 주석은 매우 윤이 나고 연성이 있으며 전성이 좋은 금속이다. 이것은 상온 이상에서 안정적인 형태이며, 전기 전도도는 9.17×104 S·cm−1이다(구리의 약 1/6).[509] 회색 주석은 일반적으로 회색 미세 결정 분말의 형태를 띠며, 부서지기 쉬운 반광택 결정질 또는 다결정 형태로도 제조할 수 있다. 이것은 13.2 °C 이하에서 안정적인 형태이며, 전기 전도도는 (2–5) × 102 S·cm−1이다(백색 주석의 약 1/250).[510] 회색 주석은 다이아몬드와 같은 결정 구조를 갖는다. 이는 반도체처럼 작동하지만(0.08 eV의 띠 간격을 갖는 것처럼), 반금속의 전자 띠 구조를 갖는다.[511] 회색 주석은 매우 불량한 금속[512], 준금속[513], 비금속[514] 또는 준금속에 가까운 물질[515]로 언급되어 왔다.

탄소다이아몬드 동소체는 반투명하고 전기 전도도가 10−14~10−16 S·cm−1로 명확하게 비금속적이다.[516] 반면, 흑연은 전기 전도도가 3 × 104 S·cm−1[517] 금속의 특징을 더 잘 나타낸다. , , 비소, 셀레늄, 안티모니, 비스무트도 서로 다른 거동을 보이는 덜 안정적인 동소체를 갖는다.[518]

몇몇 원소는, 같은 원소의 동소체라도 서로 다른 성질(금속적, 준금속적 또는 비금속적)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탄소의 동소체 중 다이아몬드는 명백히 비금속이지만, 흑연은 준금속 특유의 제한적인 전기 전도도를 나타낸다.[536] 인, 셀레늄, 주석 및 비스무트 또한 금속적, 준금속적, 또는 비금속적인 거동을 보이는 동소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쿠라이 등은 준금속성은 원소 고유의 것이 아니라 단체 고유의 성질이라고 주석하였다.[536]

9. 존재비, 추출 및 비용

지각에 존재하는 준금속의 양은 적은 편이다.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준금속들은 산화물 또는 황화물화학적 환원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추출 방법은 출발 물질과 경제적 요인에 따라 간단하거나 복잡할 수 있다.[522] 덜 알려진 준금속들은 자연 처리, 전기 분해, 화학적 환원, 또는 조사를 통해 생산된다. 대부분의 준금속과 그 인접 원소들은 보다 저렴하며, 강한 방사능을 가진 폴로늄아스타틴만이 보다 비싸다.

9. 1. 존재비

지각에 존재하는 준금속의 양은 적은 편이다. 아래는 각 준금속의 대략적인 존재비(단위: 톤당 그램, g/t)이다.[519]

Z원소톤당 그램(g/톤)
14규소282,000
5붕소10
33비소1.8
32게르마늄1.5
51안티모니0.02
52텔루륨0.001



이 표에서 알 수 있듯이, 규소는 지각 내에서 가장 풍부한 준금속이며, 붕소, 비소, 게르마늄, 안티모니, 텔루륨 순으로 존재량이 적어진다.

9. 2. 추출

산화물 또는 황화물화학적 환원을 통해 준금속을 얻을 수 있다. 출발 물질과 경제적 요인에 따라 추출 방법은 간단하거나 복잡할 수 있다.[522]
:B2O3 + 3 Mg → 2 B + 3MgO

::이차 처리 후 얻어지는 갈색 분말의 순도는 최대 97%이다.[523] BCl3 또는 BBr3와 같은 휘발성 붕소 화합물을 수소 분위기에서 가열하거나(2 BX3 + 3 H2 → 2 B + 6 HX) 열분해될 때까지 가열하면 순도 99% 이상의 붕소를 얻을 수 있다.
:SiO2 + C → Si + CO2

:GeO2 + 2 H2 → Ge + 2 H2O

  • '''비소'''는 가열하여 황철석(FeAsS) 또는 비소 황철석(FeAs2)에서 분리하거나, 산화물을 탄소로 환원시켜 얻을 수 있다.[524]

:2 As2O3 + 3 C → 2 As + 3 CO2
:Sb2S3 → 2 Sb + 3 FeS

  • '''텔루륨'''은 산화물을 수용성 NaOH에 용해시켜 텔루르산염을 생성한 다음 전기분해 환원하여 제조한다.[525]

:TeO2 + 2 NaOH → Na2TeO3 + H2O[526]

:Na2TeO3 + H2O → Te + 2 NaOH + O2

::탄소로스팅하여 산화물을 환원시키는 방법도 있다.[527]

:TeO2 + C → Te + CO2

준금속으로 덜 인식되는 원소는 자연 처리, 전기 분해, 화학적 환원, 또는 조사를 통해 생산된다.

  • '''탄소''' (흑연)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며, 모암을 으깨고 가벼운 흑연을 표면에 띄워 추출한다.
  • '''알루미늄'''은 산화물(Al2O3)을 용융된 빙정석(Na3AlF6)에 용해한 후 고온 전기 분해 환원으로 추출한다.
  • '''셀레늄'''은 주화금속 셀렌화물 X2Se (X = Cu, Ag, Au)를 소다회로 로스팅하여 셀렌산염을 생성하여 생산한다.

:X2Se + O2 + Na2CO3 → Na2SeO3 + 2 X + CO2

::셀렌화물은 황산(H2SO4)으로 중화시켜 셀렌산(H2SeO3)을 생성하고, 이를 SO2을 통과시켜 환원시켜 원소 셀레늄을 얻는다.

9. 3. 비용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준금속과 그 인접 원소들은 대부분 은보다 저렴하다. 폴로늄과 아스타틴만이 강한 방사능 때문에 금보다 비싸다. 2014년 4월 5일 기준으로 실리콘, 안티몬, 텔루륨, 흑연, 알루미늄, 셀레늄의 소량 샘플(최대 100g) 가격은 은 가격(1g당 1.5USD 또는 온스당 약 45USD)의 약 3분의 1 수준이다. 붕소, 게르마늄, 비소 샘플은 은 가격의 약 3.5배이다.[528] 폴로늄은 약 1마이크로그램당 100USD에 구입할 수 있다.[528] Zalutsky와 Pruszynski[529]는 아스타틴 생산 비용도 비슷할 것으로 추산한다. 상품으로 거래되는 해당 원소들의 가격은 샘플 가격보다 2~3배 저렴한 경우(게르마늄)부터 거의 3000배 저렴한 경우(비소)까지 다양하다.[529]

10. 역사

준금속(metalloid)이라는 용어의 기원과 용례는 복잡하다. 1864년에 출판된 "준금속 매뉴얼(Manual of Metalloids)"은 모든 원소를 금속 또는 준금속으로 분류했다.[231] 1800년대 초에는 광물학에서 금속 외관을 가진 광물을 묘사하기 위해 이 용어가 사용되었다.[232] 20세기 중반 이후로는 중간 또는 경계적인 화학 원소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233] 국제순수 및 응용화학연합(IUPAC)은 이전에 준금속이라는 용어를 버리고 대신 반금속(semimetal)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234] 그러나 최근에는 반금속이라는 용어도 권장되지 않는데,[235] 이는 이 용어가 원소의 전반적인 분류보다는 물질의 전자띠 구조를 지칭하는 더 일반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최근의 IUPAC 간행물에는 준금속 또는 반금속 용어 사용에 대한 권장 사항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236]

10. 1. 기원 및 사용

준금속은 금속과 비금속의 중간 성질을 가져서 명확하게 분류하기 어려운 원소이다. 이는 문헌에서 일관되게 인용되는 일반적인 정의이다.[2][3][4][5] 대부분의 원소는 금속과 비금속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8] 어떤 성질이 더 두드러지는지에 따라 분류된다.[9] 예를 들어, 은 높은 전기 전도도와 양이온 형성 등 금속적 특성을 보이지만, 비금속적 특성도 나타낸다.[10] 금속적 또는 비금속적 성질이 명확하지 않은 경계에 있는 원소들이 주로 준금속으로 분류된다.[13]

붕소, 규소, 게르마늄, 비소, 안티몬, 텔루르는 일반적으로 준금속으로 인정된다.[14] 때로는 셀레늄, 폴로늄, 아스타틴이 목록에 추가되기도 한다.[15] 텔루르를 준금속으로 간주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17] 안티몬, 폴로늄, 아스타틴을 준금속에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18]

수소,[20] 베릴륨,[21] 질소,[22] ,[23] ,[24] 아연,[25] 갈륨,[26] 주석, 아이오딘,[27] ,[28] 비스무트,[17] 라돈[29] 등도 때때로 준금속으로 분류된다.

금속과 비금속 경계에 있는 원소들이 항상 준금속으로 분류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학자들은 분류의 편의를 위해 특정 속성에만 집중하여 분류하기도 한다.[73] 준금속은 금속,[74] 비금속,[75] 또는 비금속의 하위 범주[76]로 분류될 수 있다. 일부 주기율표는 준금속을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금속과 비금속 사이에 구분선을 표시하지 않기도 한다.[79][80]

'준금속'과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는 명칭에는 "양쪽성 원소",[219] "경계 원소",[220] "중간 원소",[221] "메탈로이드",[222] "세미메탈",[223] "반도체",[224] "준금속",[225] "아금속"[226] 등이 있다. 하지만, "양쪽성 원소"는 크롬이나 망가니즈와 같은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227] "준금속"은 주기율표에서 준금속 바로 왼쪽에 위치한 특정 금속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228] 또한, "양쪽성 원소"와 "반도체"라는 명칭은 일부 준금속이 양쪽성 거동이나 반도체 특성을 보이지 않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다.[230][452]

알루미늄 산화물. 준금속 원소 산화물의 특징인 양쪽성을 나타낸다.


알루미늄은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분류되지만, 방향성 결합, 공유 결합성 화합물 형성, 양쪽성 산화물 형성 등 금속으로서는 드문 성질을 가지고 있어 준금속으로 분류되기도 한다.[773]

수은은 상온에서 액체라는 특이한 성질 때문에 과거에 준금속으로 분류되기도 했다.


고대에는 녹는 가단성 물질을 금속으로 보았으나,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 시대부터 금속적 성질이 약한 물질(아연, 안티몬, 비스무트 등)을 구분하려는 시도가 있었다.[838][839] 18세기에는 수은의 응고가 관찰되면서 금속으로 재분류되었지만,[844] 앙투안 라부아지에 이후 금속과 비금속의 구분이 점차 확립되었다.[848]

'준금속(metalloid)'이라는 용어는 1864년에 모든 원소를 금속 또는 준금속으로 분류하는 데 사용되었고,[231] 20세기 중반부터 중간적인 화학 원소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233] 국제순수 및 응용화학연합(IUPAC)은 준금속 대신 반금속(semimetal)이라는 용어를 제안했지만,[234] 최근에는 반금속 용어도 권장하지 않고 있다.[235]

참조

[1]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1989, 'metalloid' 1989
[2] 서적 null 1987
[3] 서적 null 2009
[4] 서적 null 2000
[5] 서적 null 1979
[6] 서적 null 2011
[7] 서적 null 2010
[8] 서적 null 1956
[9] 서적 null 1965
[10] 서적 null 2001
[11] 서적 null 2006
[12] 서적 null 2008
[13] 서적 null 1987
[14] 서적 null 1982
[15] 서적 null 2001
[16] 서적 null 1983
[17] 서적 null 1962
[18] 서적 null 2001
[19] 서적 null 1968
[20] 서적 null 1876
[21] 서적 null 1966
[22] 서적 null 1960
[23] 서적 null 1977
[24] 서적 null 1981
[25] 서적 null 1967
[26] 서적 null 2001
[27] 서적 null 1960
[28] 서적 null 1928
[29] 서적 null 1966
[30] 서적 null 1949
[31] 서적 null 1960
[32] 서적 The American heritage science dictionary 2005 2005
[33] 서적 null 1948
[34] 서적 null 2010
[35] 서적 null 1997
[36] 서적 Goldsmith 1982
[36] 서적 Hawkes 2001
[37] 서적 Hawkes 2001
[38] 서적 Sharp 1981
[39] 서적 Emsley 1971
[40] 서적 James et al. 2000
[41] 서적 Chatt 1951
[41] 서적 Burrows et al. 2009
[42] 서적 Jones 2010
[43] 서적 Kneen, Rogers & Simpson 1972
[44] 서적 Rochow 1966
[45] 서적 Rochow 1977
[45] 서적 Mann et al. 2000
[46] 서적 Askeland, Phulé & Wright 2011
[47] 서적 Van Setten et al. 2007
[47] 서적 Russell & Lee 2005
[47] 서적 Pearson 1972
[48] 서적 Russell & Lee 2005
[49] 서적 Russell & Lee 2005
[50] 서적 Pearson 1972
[51] 서적 Okajima & Shomoji 1972
[52] 서적 Kitaĭgorodskiĭ 1961
[53] 서적 Neuburger 1936
[54] 서적 Edwards & Sienko 1983
[55] 서적 Herzfeld 1927
[55] 서적 Edwards 2000
[56] 서적 Edwards & Sienko 1983
[56] 서적 Edwards et al. 2010
[57] 서적 Edwards 1999
[58] 서적 Steurer 2007
[58] 서적 Pyykkö 2012
[59] 서적 Edwards & Sienko 1983
[60] 서적 Hill & Holman 2000
[61] 서적 Bond 2005
[62] 서적 Jones 2010
[63] 서적 Masterton & Slowinski 1977
[64] 서적 Kraig, Roundy & Cohen 2004
[64] 서적 Alloul 2010
[65] 서적 Vernon 2013
[66] 서적 Vernon 2013
[67] 서적 Horvath 1973
[68] 서적 Gray 2009
[69] 서적 Rayner-Canham 2011
[70] 서적 Booth & Bloom 1972
[70] 서적 Cox 2004
[70] 서적 Silberberg 2006
[71] 서적 Cox 2004
[71] 서적 Silberberg 2006
[72] 서적 Rodgers 2011
[73] 서적 Roher 2001
[74] 서적 Tyler 1948
[74] 서적 Reilly 2002
[75] 서적 Hampel & Hawley 1976
[76] 서적 Goodrich 1844
[76] 간행물 The Chemical News 1897
[76] 서적 Hampel & Hawley 1976
[76] 서적 Lewis 1993
[76] 서적 Hérold 2006
[77] 서적 Oderberg 2007
[78] 서적 Brown & Holme 2006
[79] 서적 Wiberg 2001
[79] 문서 Simple Memory Art c. 2005
[80] 서적 Chedd 1969
[81] 서적 Kneen, Rogers & Simpson, 1972
[82] 서적 Stoker 2010
[82] 서적 Chang 2002
[83] 간행물 New Scientist 1975
[83] 문서 Soverna 2004
[83] 문서 Eichler et al. 2007
[83] 문서 Austen 2012
[84] 서적 Rochow 1966
[85] 서적 Hunt 2000
[86] 서적 McQuarrie & Rock 1987
[87] 서적 Desai, James & Ho 1984
[87] 서적 Matula 1979
[88] 서적 Choppin & Johnsen 1972
[89] 서적 Schaefer 1968
[89] 서적 Carapella 1968
[90] 서적 Bogoroditskii & Pasynkov 1967
[90] 서적 Jenkins & Kawamura 1976
[91] 서적 Hampel & Hawley 1976
[91] 서적 Wulfsberg 2000
[92] 서적 Swalin 1962
[93] 서적 Bailar et al. 1989
[94] 서적 Metcalfe, Williams & Castka 1974
[95] 서적 Chang 2002
[96] 서적 Pauling 1988
[97] 서적 Mann et al. 2000
[98] 서적 Chedd 1969
[99] 서적 Adler 1969
[100] 서적 Hultgren 1966
[100] 서적 Young & Sessine 2000
[100] 서적 Bassett et al. 1966
[101] 서적 Rochow 1966
[101] 서적 Atkins et al. 2006
[102] 서적 Russell & Lee 2005
[102] 서적 Gray 2009
[103] 서적 Olmsted & Williams 1997
[104] 서적 Desch 1914
[105] 서적 Phillips & Williams 1965
[106] 논문 Van der Put 1998
[107] 논문 Klug & Brasted 1958
[108] 논문 Good et al. 1813
[109] 논문 Sequeira 2011
[110] 논문 Gary 2013
[111] 논문 Russell & Lee 2005
[112] 논문 Davidson & Lakin 1973
[113] 논문 Wiberg 2001
[114] 논문 Greenwood & Earnshaw 2002
[114] 논문 Schwartz 2002
[115] 논문 Antman 2001
[116] 논문 Řezanka & Sigler 2008
[116] 논문 Sekhon 2012
[117] 논문 Emsley 2001
[118] 논문 Zhang et al. 2008
[119] 논문 Science Learning Hub 2009
[120] 논문 Skinner et al. 1979
[120] 논문 Tom, Elden & Marsh 2004
[121] 논문 Büchel 1983
[122] 논문 Emsley 2001
[123] 논문 Schauss 1991
[123] 논문 Tao & Bolger 1997
[124] 논문 Eagleson 1994
[124] 논문 EVM 2003
[125] 논문 Nielsen 1998
[126] 논문 MacKenzie 2015
[127] 논문 Jaouen & Gibaud 2010
[128] 논문 Smith et al. 2014
[129] 논문 Stevens & Klarner
[130] 논문 Sneader 2005
[131] 논문 Keall, Martin and Tunbridge 1946
[132] 논문 Emsley 2001
[133] 논문 Oldfield et al. 1974
[133] 논문 Turner 2011
[134] 논문 Ba et al. 2010
[134] 논문 Daniel-Hoffmann, Sredni & Nitzan 2012
[134] 논문 Molina-Quiroz et al. 2012
[135] 논문 Peryea 1998
[136] 논문 Hager 2006
[137] 논문 Apseloff 1999
[138] 논문 Trivedi, Yung & Katz 2013
[139] 논문 Emsley 2001
[139] 논문 Burkhart, Burkhart & Morrell 2011
[140] 논문 Thomas, Bialek & Hensel 2013
[141] 논문 Perry 2011
[142] 논문 UCR Today 2011; Wang & Robinson 2011; Kinjo et al. 2011
[143] 논문 Kauthale et al. 2015
[144] 논문 Gunn 2014
[145] 논문 Gupta, Mukherjee & Cameotra 1997; Thomas & Visakh 2012
[146] 논문 Muncke 2013
[147] 논문 Mokhatab & Poe 2012
[148] 논문 Craig, Eng & Jenkins 2003
[149] 논문 McKee 1984
[150] 논문 Hai et al. 2012
[151] 논문 Kohl & Nielsen 1997
[152] 논문 Chopra et al. 2011
[153] 논문 Le Bras, Wilkie & Bourbigot 2005
[154] 논문 Wilkie & Morgan 2009
[155] 논문 Locke et al. 1956
[156] 논문 Carlin 2011
[157] 논문 Evans 1993
[158] 논문 Corbridge 2013
[159] 논문 Kaminow & Li 2002
[160] 논문 Deming 1925; Witt & Gatos 1968
[161] 논문 Eagleson 1994; Rothenberg 1976
[162] 논문 Geckeler 1987
[163] 논문 Kreith & Goswami 2005
[164] 논문 Russell & Lee 2005
[165] 논문 Butterman & Jorgenson 2005
[166] 논문 Shelby 2005
[167] 논문 Butterman & Carlin 2004; Russell & Lee 2005
[168] 논문 Träger 2007; Eranna 2011
[169] 논문 Rao 2002; Löffler, Kündig & Dalla Torre 2007
[170] 논문 Guan et al. 2012; WPI-AIM 2012
[171] 논문 Klement, Willens & Duwez 1960; Wanga, Dongb & Shek 2004
[172] 논문 Demetriou et al. 2011; Oliwenstein 2011
[173] 논문 Karabulut et al. 2001; Haynes 2012
[174] 논문 Schwartz 2002
[175] 논문 Carter & Norton 2013
[176] 서적 Maeder 2013
[177] 서적 Tominaga 2006; Chung 2010; Kolobov & Tominaga 2012
[178] 간행물 New Scientist 2014; Hosseini, Wright & Bhaskaran 2014; Farandos et al. 2014
[179] 서적 Ordnance Office 1863
[180] 서적 Kosanke 2002
[181] 서적 Ellern 1968
[182] 서적 Conkling & Mocella 2010
[183] 서적 Crow 2011; Mainiero 2014
[184] 서적 Schwab & Gerlach 1967; Yetter 2012; Lipscomb 1972
[185] 서적 Ellern 1968; Weingart 1947
[186] 서적 Conkling & Mocella 2010
[187] 서적 Conkling & Mocella 2010
[188] 서적 Ellern 1968
[189] 서적 Russell 2009
[190] 서적 Ellern 1968
[191] 서적 Ellern 1968
[192] 서적 Conkling & Mocella 2010
[193] 서적 Conkling & Mocella 2011
[194] 서적 Berger 1997; Hampel 1968
[195] 서적 Rochow 1966; Berger 1997
[196] 서적 Bomgardner 2013
[197] 서적 Russell & Lee 2005; Brown et al. 2009
[198] 서적 Haller 2006; Hoddeson 2007
[199] 서적 Russell & Lee 2005; Büchel, Moretto & Woditsch 2003
[200] 서적 Bianco et al. 2013
[201] 간행물 University of Limerick 2014; Kennedy et al. 2014
[202] 서적 Lee et al. 2014
[203] 서적 Russell & Lee 2005
[204] 서적 He et al. 2014
[205] 서적 Berger 1997
[206] 뉴스 ScienceDaily 2012
[207] 서적 Reardon 2005; Meskers, Hagelüken & Van Damme 2009
[208] 뉴스 The Economist 2012
[209] 서적 Whitten 2007
[210] 서적 Jaskula 2013
[211] 간행물 German Energy Society 2008
[212] 간행물 Patel 2012
[213] 간행물 Moore 2104; University of Utah 2014; Xu et al. 2014
[214] 간행물 Yang et al. 2012
[215] 간행물 Moore 2010
[216] 간행물 Moore 2011
[217] 간행물 Liu 2014
[218] 간행물 Bradley 2014; University of Utah 2014
[219] 간행물 Foster 1936; Brownlee et al. 1943
[220] 간행물 Calderazzo, Ercoli & Natta 1968
[221] 간행물 Walters 1982
[222] 간행물 Tyler 1948
[223] 간행물 Foster & Wrigley 1958
[224] 간행물 Slade 2006
[225] 간행물 Corwin 2005
[226] 간행물 Barsanov & Ginzburg 1974
[227] 간행물 Bradbury et al. 1957
[228] 간행물 Klemm 1950; Reilly 2004
[229] 간행물 King 2004; Ferro & Saccone 2008
[230] 간행물 Lister 1965
[231] 서적 Manual of the Metalloids Longman 1864
[232] 간행물 Pinkerton 1800
[233] 간행물 Goldsmith 1982
[234] 간행물 Friend 1953; IUPAC 1959; IUPAC 1971
[235] 간행물 Atkins et al. 2010
[236] 간행물 IUPAC 2005; IUPAC 2006
[237] 간행물 Van Setten et al. 2007; Oganov et al. 2009
[238] 간행물 Housecroft & Sharpe 2008; Oganov 2010
[239] 간행물 Housecroft & Sharpe 2008
[240] 간행물 Kross 2011
[241] 간행물 Berger 1997
[242] 간행물 Greenwood & Earnshaw 2002
[243] 간행물 Kopp, Lipták & Eren 2003
[244] 간행물 Prudenziati 1977
[245] 간행물 Berger 1997
[246] 서적 Mendeléeff 1897
[247] 서적 Rayner-Canham & Overton 2006
[248] 서적 Siekierski & Burgess 2002
[249] 서적 Wogan 2014
[250] 서적 Siekierski & Burgess 2002
[251] 서적 Greenwood & Earnshaw 2002; Henderson 2000; Housecroft & Sharpe 2008
[252] 서적 Parry et al. 1970
[253] 서적 Fehlner 1990
[254] 서적 Owen & Brooker 1991; Wiberg 2001
[255] 서적 Greenwood & Earnshaw 2002
[256] 서적 Houghton 1979
[257] 서적 Fehlner 1990
[258] 서적 Fehlner 1990
[259] 서적 Greenwood 2001
[260] 서적 Salentine 1987; MacKay, MacKay & Henderson 2002; Kneen, Rogers & Simpson 1972; Hiller & Herber 1960
[261] 서적 Sharp 1983
[262] 서적 Fokwa 2014
[263] 서적 Gillespie 1998
[264] 서적 Haaland et al. 2000
[265] 서적 Puddephatt & Monaghan 1989
[266] 서적 Mahan 1965
[267] 서적 Danaith 2008
[268] 서적 Lidin 1996
[269] 서적 Kondrat'ev & Mel'nikova 1978
[270] 서적 Holderness & Berry 1979; Wiberg 2001
[271] 서적 Toy 1975
[272] 서적 Rao 2002
[273] 서적 Fehlner 1992
[274] 서적 Haiduc & Zuckerman 1985
[275] 서적 Greenwood & Earnshaw 2002
[276] 서적 Wiberg 2001
[277] 서적 Rochow 1973
[278] 서적 Zhang 2002
[279] 서적 Sacks 1998
[280] 서적 Rochow 1973
[281] 서적 Allen & Ordway 1968
[282] 서적 Eagleson 1994
[283] 서적 Orton 2004
[284] 서적 Russell & Lee 2005
[285] 서적 Coles & Caplin 1976
[286] 서적 Glazov, Chizhevskaya & Glagoleva 1969
[287] 서적 Cotton, Wilkinson & Gaus 1995
[288] 서적 Wiberg 2001
[289] 서적 Partington 1944
[290] 서적 Cox 2004
[291] 서적 Hiller & Herber 1960
[292] 서적 Kneen, Rogers and Simpson 1972
[293] 서적 Cotton, Wilkinson & Gaus 1995
[294] 서적 Smith 1990
[295] 서적 Poojary, Borade & Clearfield 1993
[296] 서적 Wiberg 2001
[297] 서적 Barmett & Wilson 1959
[298] 서적 Powell 1988
[299] 서적 Greenwood & Earnshaw 2002
[300] 서적 Cusack 1967
[301] 서적 Russell & Lee 2005
[302] 서적 Greenwood & Earnshaw 2002
[303] 서적 Moody 1991
[304] 서적 Russell & Lee 2005
[305] 서적 Berger 1997
[306] 서적 Jolly 1966
[307] 서적 Powell & Brewer 1938
[308] 서적 Ladd 1999
[309] 서적 Everest 1953
[310] 서적 Pan, Fu and Huang 1964
[311] 서적 Monconduit et al. 1992
[312] 서적 Richens 1997
[313] 서적 Rupar et al. 2008
[314] 서적 Schwietzer & Pesterfield 2010
[315] 서적 Jolly & Latimer 1951
[316] 서적 Lidin 1996
[317] 서적 Ladd 1999
[318] 서적 Wiberg 2001
[319] 서적 Schwartz 2002
[320] 서적 Eggins 1972; Wiberg 2001
[321] 서적 Greenwood & Earnshaw 2002
[322] 서적 Glockling 1969; Wells 1984
[323] 서적 Cooper 1968
[324] 서적 Steele 1966
[325] 서적 Haller 2006
[326] 서적 Walker & Tarn 1990
[327] 서적 Wiberg 2001
[328] 서적 Gray, Whitby & Mann 2011
[329] 서적 Greenwood & Earnshaw 2002
[330] 서적 Parkes & Mellor 1943
[331] 서적 Russell & Lee 2005
[332] 서적 Carapella 1968
[333] 서적 Barfuß et al. 1981
[334] 서적 Greaves, Knights & Davis 1974; Madelung 2004
[335] 서적 Bailar & Trotman-Dickenson 1973; Li 1990
[336] 서적 Bailar, Moeller & Kleinberg 1965
[337] 서적 Gillespie & Robinson 1963
[338] 서적 Paul et al. 1971; Ahmeda & Rucka 2011
[339] 서적 Gillespie & Passmore 1972
[340] 서적 Van Muylder & Pourbaix 1974
[341] 서적 Kolthoff & Elving 1978
[342] 서적 Moody 1991
[343] 서적 Cotton & Wilkinson 1999
[344] 서적 Eagleson 1994
[345] 서적 Massey 2000
[346] 서적 Bailar, Moeller & Kleinberg 1965
[347] 서적 Timm 1944
[348] 서적 Partington 1944; Kleinberg, Argersinger & Griswold 1960
[349] 서적 Morgan 1906; Moeller 1954
[350] 서적 Corbridge 2013
[351] 서적 Douglade 1982
[352] 서적 Zingaro 1994
[353] 서적 Pourbaix 1974
[354] 서적 Wiberg 2001
[355] 서적 Sidgwick 1950
[356] 서적 Krannich & Watkins 2006
[357] 서적 Greenwood & Earnshaw 2002
[358] 서적 Dunstan 1968
[359] 서적 Parise 1996
[360] 서적 Carapella 1968a
[361] 서적 Moss 1952
[362] 서적 Dupree, Kirby & Freyland 1982
[363] 서적 Kotz, Treichel & Weaver 2009
[364] 서적 Cotton et al. 1999
[365] 서적 King 1994
[366] 서적 Lidin 1996
[367] 서적 Lindsjö, Fischer & Kloo 2004
[368] 서적 Friend 1953
[369] 서적 Fesquet 1872
[370] 서적 Greenwood & Earnshaw 2002
[371] 서적 King 1994
[372] 서적 Turova 2011
[373] 서적 Pourbaix 1974
[374] 서적 Wiberg 2001
[375] 서적 House 2008
[376] 서적 Mendeléeff 1897
[377] 서적 Emsley 2001
[378] 서적 Kudryavtsev 1974
[379] 서적 Bagnall 1966
[380] 서적 Swink et al. 1966
[381] 서적 Ahmed, Fjellvåg & Kjekshus 2000
[382] 서적 Chizhikov & Shchastlivyi 1970
[383] 서적 Kudryavtsev 1974
[384] 서적 Stuke 1974
[385] 서적 Becker, Johnson & Nussbaum 1971
[386] 논문 Berger 1997
[387] 논문 Chizhikov & Shchastlivyi 1970
[388] 논문 Jolly 1966
[389] 논문 Schwietzer & Pesterfield 2010
[390] 논문 Cotton et al. 1999
[391] 논문 Wells 1984
[392] 논문 Wiberg 2001
[393] 논문 Mellor 1964a
[393] 논문 Wiberg 2001
[394] 논문 Greenwood & Earnshaw 2002
[395] 논문 Bagnall 1966
[395] 논문 Greenwood & Earnshaw 2002
[396] 논문 Detty & O'Regan 1994
[397] 논문 Hill & Holman 2000
[398] 논문 Chang 2002
[399] 논문 Kent 1950
[399] 논문 Clark 1960
[399] 논문 Warren & Geballe 1981
[400] 논문 Housecroft & Sharpe 2008
[400] 논문 IUPAC 2006–
[401] 논문 Mingos 1998
[402] 논문 Wiberg 2001
[403] 논문 Charlier, Gonze & Michenaud 1994
[404] 논문 Atkins et al. 2006
[405] 논문 Savvatimskiy 2005
[406] 논문 Togaya 2000
[407] 논문 Savvatimskiy 2009
[408] 논문 Inagaki 2000
[408] 논문 Yasuda et al. 2003
[409] 논문 O'Hare 1997
[410] 논문 Traynham 1989
[410] 논문 Prakash & Schleyer 1997
[411] 논문 Bailar et al. 1989
[412] 논문 Moore et al. 1985
[413] 논문 House & House 2010
[414] 논문 Wiberg 2001
[415] 논문 Eagleson 1994
[416] 논문 Atkins et al. 2006
[417] 논문 Russell & Lee 2005
[418] 논문 Keevil 1989
[419] 논문 Russell & Lee 2005
[420] 논문 Harding, Janes & Johnson 2002
[421] 서적 Metcalfe, Williams & Castka 1974
[422] 서적 Cobb & Fetterolf 2005
[422] 서적 Metcalfe, Williams & Castka 1974
[423] 서적 Ogata, Li & Yip 2002
[423] 서적 Boyer et al. 2004
[423] 서적 Russell & Lee 2005
[424] 서적 Cooper 1968
[424] 서적 Henderson 2000
[424] 서적 Silberberg 2006
[425] 서적 Wiberg 2001
[426] 서적 Hamm 1969
[427] 서적 Daub & Seese 1996
[427] 서적 Denniston, Topping & Caret 2004
[427] 서적 Hasan 2009
[428] 서적 Holt, Rinehart & Wilson c. 2007
[429] 서적 Tuthill 2011
[430] 서적 Stott 1956
[431] 서적 Steele 1966
[432] 서적 Moody 1991
[433] 서적 Emsley 2001
[434] 서적 Young et al. 2010
[434] 서적 Craig & Maher 2003
[435] 서적 Rochow 1957
[436] 서적 Rochow 1966
[437] 서적 Moss 1952
[438] 서적 Glinka 1965
[439] 서적 Evans 1966
[440] 서적 Regnault 1853
[441] 서적 Scott & Kanda 1962
[442] 서적 Cotton et al. 1999
[443] 서적 Arlman 1939
[443] 서적 Bagnall 1966
[444] 서적 Kozyrev 1959
[444] 서적 Chizhikov & Shchastlivyi 1968
[444] 서적 Glazov, Chizhevskaya & Glagoleva 1969
[445] 서적 Chao & Stenger 1964
[446] 서적 Berger 1997
[447] 서적 Snyder 1966
[448] 서적 Fritz & Gjerde 2008
[449] 서적 Meyer et al. 2005
[449] 서적 Manahan 2001
[449] 서적 Szpunar et al. 2004
[450] 서적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88
[450] 서적 Uden 2005
[451] 서적 De Zuane 1997
[451] 서적 Dev 2008
[452] 서적 Cotton et al. 1999
[453] 서적 Wiberg 2001
[454] 서적 Greenwood & Earnshaw 2002
[454] 서적 Schwietzer & Pesterfield 2010
[455] 서적 Bagnall 1966
[455] 서적 Nickless 1968
[456] 서적 The tendency to form X2− anions decreases down the Group [16 elements]
[457] 서적
[458] 서적
[459] 서적
[460] 서적
[461] 서적
[462] 서적
[463] 서적
[464] 서적
[465] 서적
[466] 서적
[467] 서적
[468] 서적
[469] 서적
[470] 서적
[471] 서적
[472] 서적
[473] 서적
[474] 서적
[475] 서적
[476] 서적
[477] 서적
[478] 서적
[479] 서적
[480] 서적
[481] 서적
[482] 서적
[483] 서적
[484] 서적
[485] 서적
[486] 서적
[487] 서적
[488] 서적
[489] 서적
[490] 서적
[491] 서적 Wiberg 2001
[492] 서적 Craig & Maher 2003
[492] 서적 Schroers 2013
[492] 서적 Vernon 2013
[493] 서적 Cotton et al. 1999
[494] 서적 Marezio & Licci 2000
[495] 서적 Russell & Lee 2005
[496] 서적 Parish 1977
[497] 서적 Eggins 1972
[497] 서적 Rayner-Canham & Overton 2006
[498] 서적 Atkins et al. 2006
[498] 서적 Bailar et al. 1989
[499] 서적 Rochow 1966
[499] 서적 Taniguchi et al. 1984
[499] 서적 Morita 1986
[499] 서적 Carmalt & Norman 1998
[499] 서적 Du et al. 2010
[500] 서적 Stuke 1974
[500] 서적 Cotton et al. 1999
[500] 서적 Craig & Maher 2003
[501] 서적 Steudel 1977
[501] 서적 Segal 1989
[502] 서적 Lutz et al. 2011
[503] 서적 Yacobi & Holt 1990
[503] 서적 Wiberg 2001
[504] 서적 Greenwood & Earnshaw 2002
[505] 서적 Eagleson 1994
[506] 서적 Oxtoby, Gillis & Campion 2008
[507] 서적 Brescia et al. 1980
[508] 서적 Fine & Beall 1990
[509] 서적 Wiberg 2001
[510] 서적 Berger 1997
[511] 서적 Lovett 1977
[512] 서적 Cohen & Chelikowsky 1988
[513] 서적 Taguena-Martinez, Barrio & Chambouleyron 1991
[514] 서적 Ebbing & Gammon 2010
[515] 서적 Vernon 2013
[516] 서적 Asmussen & Reinhard 2002
[517] 서적 Deprez & McLachan 1988
[518] 서적 Addison 1964
[518] 서적 Marković, Christiansen & Goldman 1998
[518] 서적 Nagao et al. 2004
[519] 서적 Lide 2005
[519] 서적 Wiberg 2001
[520] 서적 Cox 1997
[521] 서적 MacKay, MacKay & Henderson 2002
[522] 서적 Baudis 2012
[523] 서적 Wiberg 2001
[524] 서적 Chizhikov & Shchastlivyi 1968
[525] 서적 Greenwood & Earnshaw 2002
[526] 논문 Kudryavtsev 1974
[527] 논문 Greenwood & Earnshaw 2002
[528] 논문 United Nuclear 2013
[529] 논문 Zalutsky & Pruszynski 2011
[530] 논문 Deming & Hendricks 1942
[531] 논문 Butler 1930
[532] 논문 International Textbook Company 1908
[533] 논문 Hill & Holman 2000
[534]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1989
[535] 논문 Gordh, Gordh & Headrick 2003
[536] 논문 櫻井、鈴木、中尾 (2003)
[537] 논문 村田 (2004)
[538] 논문 今井、大竹 (1988)
[539] 논문 Rouvray 1995
[540] 논문 Cobb & Fetterolf 2005
[541] 논문 Fellet 2011
[542] 논문 Rochow 1977
[543] 논문 Mahan & Myers 1987
[544] 논문 Miessler & Tarr 2004
[545] 논문 Hutton & Dickerson 1970
[546] 논문 Kneen, Rogers and Simpson 1972
[547] 논문 Masterton & Slowinski 1977
[548] 논문 Roher 2001
[549] 논문 Tyler 1948
[550] 논문 Reilly 2002
[551] 논문 Hampel & Hawley 1976
[552] 논문 Goodrich 1844
[553] 논문 WA Tilden' 1897
[554] 논문 Hampel & Hawley 1976
[555] 논문 Lewis 1993
[556] 논문 Hérold 2006
[557] 논문 Oderberg 2007
[558] 논문 Goldsmith 1982
[559] 논문 Hawkes 2001
[560] 논문 Sharp 1981
[561] 서적 Kneen, Rogers & Simpson, 1972
[562] 서적 Stoker 2010
[563] 서적 Chang 2002
[564] 서적 Rochow 1966
[565] 서적 Hunt 2000
[566] 서적 Pottenger & Bowes 1976
[567] 서적 Deming 1952
[568] 서적 Hultgren 1966
[569] 서적 Sisler 1973
[570] 서적 McQuarrie & Rock 1987
[571] 서적 Desai, James & Ho 1984
[572] 서적 Matula 1979
[573] 서적 Choppin & Johnsen 1972
[574] 서적 Schaefer 1968
[575] 서적 Carapella 1968
[576] 서적 Glazov, Chizhevskaya & Glagoleva 1969
[577] 서적 Kozyrev 1959
[578] 서적 Chizhikov & Shchastlivyi 1968
[579] 서적 Bogoroditskii & Pasynkov 1967
[580] 서적 Jenkins & Kawamura 1976
[581] 서적 Rao & Ganguly 1986
[582] 서적 Edwards & Sienko 1983
[583] 서적 Anita 1998
[584] 서적 Cverna 2002
[585] 서적 Cordes & Scaheffer 1973
[586] 서적 Hill & Holman 2000
[587] 서적 Tilley 2004
[588] 서적 Wiberg 2001
[589] 서적 Gupta et al. 2005
[590] 서적 Wilson 1966
[591] 서적 Habashi 2003
[592] 서적 Wittenberg 1972
[593] 서적 Slough 1972
[594] 서적 Wilson 1965
[595] 서적 Wulfsberg 2000
[596] 논문 Swalin 1962
[597] 논문 Russell 1981
[598] 논문 Herzfeld 1927
[599] 논문 Edwards 2000
[600] 논문 Edwards 1999
[601] 논문 Edwards & Sienko 1983
[602] 논문 Edwards et al. 2010
[603] 논문 小野、松井 (2002)
[604] 논문 Bailar et al. 1989
[605] 논문 Metcalfe, Williams & Castka 1966
[606] 논문 Chang 1994
[607] 논문 Pauling 1988
[608] 논문 Mann et al. 2000
[609] 논문 Cox 2004
[610] 논문 Hiller & Herber 1960
[611] 논문 Beveridge et al. 1997
[612] 논문 Bailar et al. 1989
[613] 논문 Bassett et al. 1966
[614] 논문 Young & Sessine 2000
[615] 논문 Martienssen & Warlimont 2005
[616] 논문 Brasted 1974
[617] 논문 Atkins 2006
[618] 논문 Sidorov 1960
[619] 논문 Rao 2002
[620] 논문 Caven & Lander 1906
[621] 논문 Rochow 1966
[622] 논문 Dunstan 1968
[623] 논문 Rochow 1966
[624] 논문 Rock & Gerhold 1974
[625] 논문 Nickelès 1861
[626] 논문 United States Air Force Medical Service 1966
[627] 논문 Schaffter 2006
[628] 논문 Remy 1956
[629] 논문 Rochow 1966
[630] 논문 Malerba 1985
[631] 서적 Johnston 1992
[632] 서적 Boikess & Edelson 1985
[633] 서적 Aldridge 1998
[634] 간행물 NIST 2010
[635] 서적 Berger 1997
[636] 서적 Lovett 1977
[637] 서적 Masterton & Slowinski 1977
[638] 서적 Kraig, Roundy & Cohen 2004
[639] 서적 Alloul 2010
[640] 간행물 NIST 2011
[641] 서적 Van Setten et al. 2007
[642] 서적 Russell & Lee 2005
[643] 서적 Pearson 1972
[644] 서적 Russell & Lee 2005
[645] 서적 Russell & Lee 2005
[646] 서적 Okakjima & Shomoji 1972
[647] 서적 Kitaĭgorodskiĭ 1961
[648] 서적 Neuburger 1936
[649] 서적 三吉 (1998)
[650] 서적 コットン、ウィルキンソン (1987)
[651] 서적 Emsley 1971
[652] 서적 Selwood 1965
[653] 서적 Chatt 1951
[654] 서적 Burrows et al. 2009
[655] 서적 Kneen et al. 1972
[656] 서적 Boylan 1962
[657] 서적 Sherman & Weston 1966
[658] 서적 Wulfsberg 1991
[659] 서적 Kotz, Treichel & Weaver 2009
[660] 서적 Segal 1989
[661] 서적 McMurray & Fay 2009
[662] 서적 Bucat 1983
[663] 서적 Brown c. 2007
[664] 서적 Swift & Schaefer 1962
[665] 서적 Hawkes 2010
[666] 서적 Holt, Rinehart & Wilson 2007
[667] 서적 Tilden 1876 1876
[668] 서적 Smith 1994 1994
[669] 서적 Bodner & Pardue 1993 1993
[670] 서적 Bassett et al. 1966 1966
[671] 서적 Kent 1950 1950
[672] 서적 Clark 1960 1960
[673] 서적 Warren & Geballe 1981 1981
[674] 서적 Rausch 1960 1960
[675] 서적 Cobb & Fetterolf 2005 2005
[676] 서적 Metcalfe, Williams & Castka 1982 1982
[677] 서적 Thayer 1977 1977
[678] 서적 Chalmers 1959 1959
[679] 서적 United States Bureau of Naval Personnel 1965 1965
[680] 서적 Siebring 1967 1967
[681] 서적 Wiberg 2001 2001
[682] 서적 Friend 1953 1953
[683] 서적 Murray 1928 1928
[684] 서적 Hampel & Hawley 1966 1966
[685] 서적 Stein 1985 1985
[686] 서적 Stein 1987 1987
[687] 서적 Dunstan 1968 1968
[688] 서적 Hatcher 1949 1949
[689] 서적 Taylor 1960 1960
[690] 서적 Considine & Considine 1984 1984
[691] 서적 Cegielski 1998 1998
[692] 서적 The American heritage science dictionary 2005 2005
[693] 서적 Woodward 1948 1948
[694] 서적 Fernelius & Robey 1935 1935
[695] 서적 Haller 2006 2006
[696] 서적 Szabó & Lakatos 1954 1954
[697] 서적 Sanderson 1957 1957
[698] 서적 Stein 1969 1969
[699] 서적 Pitzer 1975 1975
[700] 서적 Schrobilgen 2011 2011
[701] 서적 Petty 2007
[702] 서적 Reid 2002
[703] 서적 Carr 2011
[704] 서적 Russell & Lee 2005
[705] 서적 Parish 1977
[706] 서적 Eggins 1972
[707] 서적 Rayner-Canham & Overton 2006
[708] 서적 Stott 1956
[709] 서적 Rayner-Canham & Overton 2006
[710] 서적 Hill & Holman 2000
[711] 서적 Farrell & Van Sicien 2007
[712] 서적 Whitten et al. 2007
[713] 서적 Cox 2004
[714] 서적 Bailar et al. 1989
[715] 서적 Atkins 2006
[716] 서적 Rochow 1966
[717] 서적 Taniguchi et al. 1984
[718] 서적 Morita 1986
[719] 서적 Carmalt & Norman 1998
[720] 서적 Du et al. 2010
[721] 서적 Oberleas, Harland & Harland 1999
[722] 서적 Steudel 1977
[723] 서적 Segal 1989
[724] 서적 Jain 2005
[725] 서적 Eagleson 1994
[726] 서적 Oxtoby, Gillis & Campion 2008
[727] 서적 Greenwood & Earnshaw 2002
[728] 서적 Lutz 2011
[729] 서적 Yacobi & Holt 1990
[730] 서적 Wiberg 2001
[731] 서적 Young et al. 2010
[732] 서적 Craig 2003
[733] 서적 Rochow 1957
[734] 서적 Rochow 1966
[735] 서적 Moss 1952
[736] 논문 Glinka 1965
[737] 논문 Evans 1966
[738] 논문 Regnault 1853
[739] 논문 Scott & Kanda 1962
[740] 논문 Arlman 1939
[741] 논문 Berger 1997
[742] 논문 Glazov, Chizhevskaya & Glagoleva 1969
[743] 논문 Chao & Stenger 1964
[744] 논문 Synder 1966
[745] 논문 Fritz & Gjerde 2008
[746] 논문 Cotton et al. 1999
[747] 논문 Cotton et al. 1999
[748] 논문 Wiberg 2001
[749] 논문 Barrett 2003
[750] 논문 Harding, Johnson & Janes 2002
[751] 논문 Hawkes 1999
[752] 논문 Roza 2009
[753] 논문 Keller 1985
[754] 논문 Vasáros & Berei 1985
[755] 논문 Haissinsky & Coche 1949
[756] 논문 Brownlee et al. 1950
[757] 논문 Batsanov 1971
[758] 논문 Feng & Lin 2005
[759] 논문 Borst 1982
[760] 논문 Schwietzer & Pesterfield 2010
[761] 논문 Olmsted & Williams GM 1997
[762] 논문 Daintith 2004
[763] 논문 Samsonov 1968
[764] 논문 Rossler 1985
[765] 논문 Krishnan et al. 1998
[766] 논문 Glorieux, Saboungi & Enderby 2001
[767] 논문 Millot et al. 2002
[768] 논문 Vasáros & Berei 1985
[769] 논문 Kaye & Laby 1973
[770] 논문 Champion et al. 2010
[771] 논문 Emsley 2003
[772] 논문 Siekierski & Burgess 2002
[773] 논문 Metcalfe et al. 1974
[774] 논문 Ogata, Li & Yip 2002
[775] 논문 Boyer et al. 2004
[776] 논문 Russell & Lee 2005
[777] 논문 Cooper 1968
[778] 논문 Henderson 2000
[779] 논문 Silberberg 2002
[780] 논문 Hamm 1969
[781] 논문 Stott 1956
[782] 논문 Steele 1966
[783] 논문 Daub & Seese 1996
[784] 논문 Denniston, Topping & Caret 2004
[785] 논문 Hasan 2009
[786] 논문 Horvath 1973
[787] 논문 Tarendash 2001
[788] 논문 Thompson 1999
[789] 논문 DiSalvo 2000
[790] 논문 Whitley 2009
[791] 논문 King 2005
[792] 논문 Herchenroeder & Gschneidner 1988
[793] 논문 De Graef & McHenry 2007
[794] 논문 Sacks 2001
[795] 논문 Kniep 1996
[796] 논문 Nordell & Miller 1999
[797] 논문 Hinrichs 1869
[798] 논문 Walker 1891
[799] 논문 Miles & Gould 1976
[800] 논문 Smith 1906
[801] 논문 Deming 1923
[802] 논문 Abraham, Coshow & Fix, W 1994
[803] 논문 Emsley 1985
[804] 논문 Fluck 1988
[805] 논문 Brown & Holme 2006
[806] 논문 Swenson 2005
[807] 논문 Chedd 1969
[808] 논문 Mendeléeff 1897
[809] 논문 Mackay & Mackay 1989
[810] 논문 Norman 1997
[811] 논문 Whitten, Davis & Peck 2003
[812] 논문 Kotz, Treichel & Weaver 2005
[813] 논문 Housecroft & Constable 2006
[814] 논문 Deming 1923
[815] 논문 Russell & Lee 2005
[816] 논문 Kaminow & Li 2002
[817] 논문 Deming 1925
[818] 논문 Witt & Gatos 1968
[819] 논문 Eagleson 1994
[820] 논문 Rothenberg 1976
[821] 논문 Phillips & Williams 1965
[822] 간행물 第16回ホウ素ホウ化物および関連物質国際会議組織委員会 (2008)
[823] 논문 Van der Put 1998
[824] 간행물 コットン、ウィルキンソン (1987)
[825] 논문 Sanderson 1960
[826] 간행물 Davis (2002)
[827] 간행물 第16回ホウ素ホウ化物および関連物質国際会議組織委員会 (2008)
[828] 논문 Klug & Brasted 1958
[829] 논문 Good et al. 1813
[830] 논문 Russell & Lee 2005
[831] 논문 Davidson & Lakin 1973
[832] 논문 Berger 1997
[833] 논문 Hampel 1968
[834] 웹사이트 平成22年度 新エネルギー等導入促進基礎調査 住宅用太陽光発電システムの普及促進に係る調査報書 http://www.enecho.me[...] 資源エネルギー庁 2011-12-15
[835] 논문 Rochow 1966
[836] 논문 Berger 1997
[837] 간행물 Davis (2002)
[838] 논문 Cornford 1937
[839] 논문 Obrist 1990
[840] 문서 1392년생
[841] 문서 1493년 또는 1494년 출생
[842] 간행물 Paul 1865
[843] 간행물 Roscoe & Schorlemmer 1894
[844] 간행물 Jungnickel & McCormmach 1996
[845] 간행물 Craig 1849
[846] 간행물 Roscoe & Schorlemmer 1894
[847] 간행물 Strathern 2000
[848] 간행물 Roscoe & Schormlemmer 1894
[849] 간행물 Tweney & Shirshov 1935
[850] 간행물 Partington 1964
[851] 간행물 Bache 1832
[852] 간행물 Glinka 1958
[853] 간행물 Berzelius 1825
[854] 간행물 Brande & Cauvin 1945
[855] 간행물 Jackson 1844
[856] 간행물 The Chemical News and Journal of Physical Science 1864
[857] 간행물 The Chemical News and Journal of Physical Science 1888
[858] 간행물 Tilden 1876
[859] 간행물 Beach 1911
[860] 간행물 Couch 1920
[861] 간행물 Webster's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1926
[862] 간행물 Lundgren & Bensaude-Vincent 2000
[863] 간행물 Greenberg 2007
[864] 간행물 Pauling 1947
[865] 간행물 IUPAC 1959
[866] 간행물 IUPAC 1971
[867] 간행물 Atkins 2010
[868] 간행물 Gray 2010
[869] 간행물 日本金属学会 (1990)
[870] 간행물 日本金属学会 (1990)
[871] 간행물 日本金属学会 (1990)
[872] 간행물 日本金属学会 (1990)
[873] 간행물 伏屋 (2008)
[874] 간행물 日本金属学会 (19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