땜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땜납은 금속을 접합하는 데 사용되는 합금으로, "단단하게 만들다"라는 의미의 라틴어 'solidare'에서 유래되었다. 땜납은 용도, 주석 함유율, 포함된 성분에 따라 금속용과 전기용으로 나뉘며, 전기 배선, 인쇄 회로 기판, 알루미늄, 납관 등에 사용된다. 4세기경 한국에서 브레이징이 사용되었고, 조선 시대 문헌에도 땜납과 유사한 배합 비율이 언급되었지만, 땜납이라는 명칭은 막말 가부키 작품에서 처음 등장한다. 땜납은 주석과 납을 주성분으로 하며, 각 원소의 합금은 땜납의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유럽 연합의 규제로 인해 무연 땜납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불순물과 플럭스는 땜납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땜납 프리폼은 미리 만들어진 형태의 땜납이며, 유리 땜납은 유리, 세라믹 등을 접합하는 데 사용된다. 땜납에 포함된 납은 유해성으로 인해 무연 땜납으로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납땜 - 액체 금속
액체 금속은 상온 또는 고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하며 뛰어난 열 및 전기 전도성, 높은 표면 장력, 자기장 민감성을 특징으로 하여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지만, 독성 및 반응성에 대한 안전성 확보가 요구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이다. - 납땜 - 납땜인두
납땜인두는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여 납을 녹여 접합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초기에는 불이나 숯 화로에서 가열한 구리 덩어리를 사용했으나 전기식 납땜인두로 발전해왔으며 다양한 형태와 기능으로 나뉜다. - 가융 합금 - 액체 금속
액체 금속은 상온 또는 고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하며 뛰어난 열 및 전기 전도성, 높은 표면 장력, 자기장 민감성을 특징으로 하여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지만, 독성 및 반응성에 대한 안전성 확보가 요구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이다. - 가융 합금 - 퓨터
퓨터는 주석 합금으로 기원전 1500년경 아시아에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며 고대 이집트와 로마를 거쳐 중세 유럽에서 식기로 널리 쓰였으나, 현재는 납의 유해성 문제로 주로 장식품으로 제작된다. - 전자공학 공구 - 오실로스코프
오실로스코프는 전기 신호의 시간 변화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계측기로, 초기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스토리지 오실로스코프(DSO)로 발전하여 신호 저장 및 분석 기능을 제공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전자공학 공구 - 핀셋
핀셋은 손으로 잡기 힘든 작은 물체를 집는 데 쓰이는 집게 모양의 도구로, 고대 이집트에서부터 사용되었으며 정밀 작업의 필요에 따라 발전해 왔고, 현대에는 다양한 재질과 형태, 첨단 기술을 이용한 특수 핀셋이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땜납 | |
---|---|
개요 | |
![]() | |
정의 | 금속 조각을 접합하는 데 사용되는 가용성 금속 합금 |
녹는점 | 미만 |
관련 공정 | 브레이징 및 용접 |
종류 및 구성 | |
주석-납 합금 | 일반적인 솔더, 다양한 비율의 주석과 납으로 구성 저렴하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 환경 문제 및 건강 문제로 인해 사용이 줄어드는 추세 |
무연 솔더 | 주석, 구리, 은, 비스무트, 인듐, 아연, 안티모니 등의 합금 환경 규제 준수를 위해 개발 높은 녹는점을 가질 수 있음 |
기타 솔더 | 금, 인듐, 알루미늄, 아연 기반 솔더 등 특수 용도에 사용 높은 강도, 내식성, 전기 전도도 요구 시 사용 |
솔더링 과정 | |
방법 | 접합할 금속 표면을 가열 녹은 솔더를 접합 부위에 적용 솔더가 냉각되면서 금속 조각을 결합 |
플럭스 | 솔더링 시 표면 산화물을 제거하고 솔더의 흐름을 개선하는 데 사용 로진, 산, 염화물 기반 플럭스 등 다양한 종류 존재 |
가열 방법 | 인두, 오븐, 핫 에어 건, 초음파 등 다양한 방법 사용 적용 분야 및 솔더 유형에 따라 선택 |
솔더 합금 | |
주석-납 합금 (Sn-Pb) | 융점이 낮고 사용하기 쉬움 다양한 비율로 혼합 가능 (예: Sn60Pb40, Sn50Pb50) 납의 유해성으로 인해 사용 제한 추세 |
주석-은 합금 (Sn-Ag) | 무연 솔더의 대표적인 예시 융점이 비교적 높음 높은 전기 전도도와 연성을 가짐 |
주석-구리 합금 (Sn-Cu) | 무연 솔더, 저렴한 비용 융점이 비교적 높음 주석-은 합금보다 연성이 떨어짐 |
주석-비스무트 합금 (Sn-Bi) | 낮은 융점을 가짐 온도에 민감한 부품에 적합 비스무트의 취성으로 인해 충격에 약함 |
기타 합금 | 주석-아연(Sn-Zn), 금-주석(Au-Sn), 인듐 합금 등 특수한 용도에 사용 |
플럭스 종류 | |
로진 플럭스 | 약산성, 전자 제품 솔더링에 적합 잔류물이 부식성이 낮음 활성제 첨가 가능 |
수용성 플럭스 | 강산성, 금속 표면의 산화물 제거에 효과적 솔더링 후 반드시 세척 필요 부식성 잔류물 남을 수 있음 |
노 클린 플럭스 | 솔더링 후 세척 불필요 잔류물이 안전한 성분으로 구성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사용 |
안전 및 환경 고려 사항 | |
납 노출 | 납 솔더 사용 시 납 증기 흡입 및 피부 접촉 주의 적절한 환기 시설 및 개인 보호 장비 착용 권장 |
무연 솔더 | 환경 규제 준수를 위해 사용 증가 일부 무연 솔더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음 물질 안전 보건 자료(MSDS) 확인 필요 |
폐기 | 솔더 폐기 시 해당 지역의 환경 규정 준수 재활용 가능 |
용도 | |
전자 제품 조립 | 회로 기판의 부품 실장 전선 연결 정밀한 작업 요구 |
배관 | 구리 파이프 연결 누수 방지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작업 가능 |
보석 제조 | 금속 장식품 제작 섬세한 작업 요구 다양한 종류의 솔더 사용 |
관련 표준 | |
IPC J-STD-001 | 솔더링 재료 및 공정에 대한 일반 요구 사항 |
RoHS | 유해 물질 사용 제한 지침 (납 사용 제한) |
REACH | 화학 물질 등록, 평가, 허가 및 제한 규정 |
기타 | |
참고 문헌 | Ogunseitan, Oladele A. (2007).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benefits of adopting lead-free solders". Journal of the Minerals, Metals and Materials Society. 59 (7): 12–17. |
2. 어원
"땜납"이라는 단어는 "단단하게 만들다"라는 의미의 라틴어 solidare|솔리다레la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고대 프랑스어 solduree|솔뒤레fro와 soulder|술데fro를 거쳐 중세 영어 단어 soudur|수더enm로 이어졌다.[5] "땜납"이라는 명칭은 한글로 표기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半田(반전)", "盤陀(반타)" 등의 한자 표기도 사용되기도 한다.
"땜납"이라는 명칭은 에도 시대 초기에 성립된 가나조시 『유초지(尤草紙)』에 나타난다. 이 작품은 마쿠라노소시의 "모노노즈쿠시"의 패러디이며[30], "강한 물건"으로 "회반죽", "보리 옻"과 함께 "땜납"이 언급되어 있다.[31]
"땜납"의 어원은 불명확하다.[33][34][32] 어원 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지명 유래설[33][34]
- * 에도 막부의 은산이었던 한다 산(후쿠시마현코오리마치)에서 유래되었다는 설.[32][35] 그러나 한다 산에서는 주석을 생산했다는 기록은 없다.[32]
- * "말레이 제도에 있는 반다 섬"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을 싣는 사전도 있다.[32] 인도네시아에는 반다 제도·반다 해가 있지만, 주석 생산지와는 크게 떨어져 있다.[32]
- 인명 유래설[33][34]
- 중국어의 "한라"(銲鑞 hànlà|한라중국어)에서 전음되었다는 설. 현대 중국어에서는 일반적으로 焊料 hànliào|한랴오중국어라고 부른다. 이에 대해서는, 옛날에는 "롱라"(鎔鑞 rónglà|룽라중국어)라고 불렀을 것이라는 설도 있으며, 확증은 부족하다.[32]
- 주석과 납의 혼합비가 거의 "반반이다"라는 데에서 유래했다는 설[32]
3. 역사
땜납은 기원전 3000년경부터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투탕카멘 묘에서 땜납을 사용한 장식품이 발견되었고,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 시대에는 수도관을 주석-납 땜납으로 납땜한 기록이 있다. 중국에서는 기원전 300년경에 땜납으로 만든 항아리가 있었다.
19세기에는 통조림 제조에 땜납이 사용되었으나, 1966년 미국 캠 사가 나일론 접착제를 개발하면서 땜납 사용이 감소하였다[36]。
3. 1. 한국의 땜납 역사
일본에서 브레이징이 먼저 이루어졌다. 4세기경에는 주물 보수가 이루어진 동탁도 제작되었다[37]。나라 대불 건조에는 주석과 납을 섞은 합금인 백납(白鑞)이 땜납 재료로 사용되었으며[32], 마감 및 보수에 사용된 것으로 생각된다[37]。가이바라 에키켄의 『만보비사기』(1705년)에는 주석, 납 막대를 숯불로 녹여 구리 용기 누수를 막는 방법이 기록되어 있다[32]。1713년 『왜한삼재도회』에 기술된 백납 제조법은 납 1근(600g)에 당석 10냥(375g)을 섞어 반죽하는 것으로, 납과 주석의 배합 비율은 오늘날의 땜납과 거의 동일하다[38]。그러나 이 문헌들에는 "땜납"이라는 이름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32][38]。1866년 초연된 가와타케 모쿠아미의 가부키 『배치입교간백파』에는 주물수리공 대사에 "납이나 땜납의 매물"이라는 단어가 등장한다[32]。
4. 땜납의 종류
땜납은 용도, 주석 함유율, 포함된 성분에 따라 분류된다. 주석 함유량이 높을수록 가격이 비싸다[39].
산화를 막고 접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플럭스(융제)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주석 비율이 63%인 공정 땜납은 녹는점이 184°C로 땜납 중에서 가장 낮다.
JIS Z 3282-1999에서는 성분 비율에 따라 Sn-Pb계 16종, Pb-Sn-Sb계 7종, Sn-Sb계 1종, Sn-Pb-Bi계 5종, Bi-Sn계 2종, Sn-Cu계 2종, Sn-Pb-Cu계 2종, Sn-In계 1종, Sn-Ag계 3종, Sn-Pb-Ag계 4종, Pb-Ag계 3종을 규정하고 있다[41].
4. 1. 용도에 따른 분류
땜납은 용도에 따라 크게 금속용과 전기용으로 분류된다.- 금속용
- 일반 금속용: 일반적인 금속 접합에 사용된다.
- 알루미늄용: 알루미늄은 산화가 빠르고 산화 피막이 강해 일반적인 땜납으로는 접합하기 어렵기 때문에, 특수한 플럭스를 사용해야 한다.[40]
- 납관용: 굳기 시작해서 완전히 굳을 때까지 흐물흐물한 상태가 길게 유지되도록 만들어졌다. 납 함량이 약 63%로 더 많다.[39]
- 전기용
- 산화를 막고 접합을 쉽게 하기 위해 융제(플럭스)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플럭스는 유지의 일종이며, 과거에는 송진(로진)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전기용 땜납은 "수지(야니) 땜납"이라고도 불린다.
- 전기 배선용: 주석 함량이 50%이다.
- 인쇄 회로 기판용: 주석 함량이 60%이다.
- 공정 땜납: 주석 비율이 63%이며, 녹는점이 184℃로 가장 낮다. 액체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빠르게 변하기 때문에 다루기 쉽다.
- 고융점 땜납 (고온 땜납): 공정 땜납으로 접합된 부분이 다시 녹으면 안 되는 경우나, 고온에 노출되는 부분을 땜질할 때 사용한다.
- 저융점 땜납: 녹는점이 낮은 금속을 섞어 융점을 특히 낮춘 땜납이다.
- 은 첨가 땜납: 은도금 표면이나 은선을 땜질할 때 사용한다.
JIS Z 3282-1999 규격에는 성분 비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땜납이 정의되어 있다. Sn-Pb계 16종, Pb-Sn-Sb계 7종, Sn-Sb계 1종, Sn-Pb-Bi계 5종, Bi-Sn계 2종, Sn-Cu계 2종, Sn-Pb-Cu계 2종, Sn-In계 1종, Sn-Ag계 3종, Sn-Pb-Ag계 4종, Pb-Ag계 3종이 있다.[41]
4. 2. 조성에 따른 분류
땜납은 조성에 따라 크게 납 기반 땜납, 무연 땜납, 경납으로 분류할 수 있다.- '''납 기반 땜납 ("연납")'''
주석-납 (Sn-Pb) 땜납은 "연납"이라고도 불리며, 무게를 기준으로 5%에서 70% 사이의 주석 농도로 판매된다. 주석 농도가 높을수록 땜납의 인장 강도와 전단 강도가 높아진다. 1974년 미국의 안전한 식수법에 따라 식수 사용을 위한 배관 용도에서 납이 땜납 및 플럭스에 금지되었다.

전기 배선용으로는 주석 50%, 인쇄 회로 기판용으로는 주석 53%가 사용된다. 주석의 비율이 63%인 공정 땜납은 녹는점이 184°C로 땜납 중에서 가장 낮다.
- '''무연 땜납'''

유럽 연합의 전기 전자 제품 폐기물 지침과 유해 물질 제한 지침은 2006년 7월 1일부터 유럽 연합에서 판매되는 대부분의 소비자 전자 제품에 납의 포함을 제한했다. 미국에서는 제조업체가 납 기반 땜납 사용을 줄임으로써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무연 땜납은 주석, 구리, 은, 비스무트, 인듐, 아연, 안티몬 및 다른 금속의 미량을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60/40 및 63/37 Sn-Pb 땜납을 대체하는 대부분의 무연 땜납은 녹는점이 50~200 °C 더 높다.
주석-은-구리 (Sn-Ag-Cu, 또는 ''SAC'') 땜납은 일본 제조업체의 3분의 2가 리플로우 및 웨이브 솔더링에 사용하고, 약 75%의 회사가 수동 납땜에 사용한다.
- '''경납'''
경납은 브레이징에 사용되며, 더 높은 온도에서 녹는다. 구리와 아연 또는 은의 합금이 가장 흔하다. 은세공 또는 보석 제작에서는 분석을 통과하는 특수 경납을 사용한다.
4. 3. 합금 원소의 역할
각 원소는 땜납의 특성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주석-납 (Sn-Pb) 땜납 (연납): 무게 기준 주석 농도 5%~70% 범위에서 판매된다. 주석 농도가 높을수록 인장 강도와 전단 강도가 높아진다. 납은 주석 수염 형성을 완화시키지만, 정확한 메커니즘은 알려져 있지 않다.[6]
- 주석: 납보다 비싸지만, 합금의 습윤 특성을 향상시킨다. 납 자체는 습윤 특성이 좋지 않다.[11] 고주석 주석-납 합금은 사용성이 제한적이다.[11]
- 납: 주석 수염 형성을 완화시킨다.[6] 60/40 Sn-Pb 땜납은 표면에서 산화되어 복잡한 4층 구조를 형성한다. 즉, 표면에 이산화 주석(IV), 그 아래에 미세하게 분산된 납이 있는 일산화 주석(II) 층, 그리고 미세하게 분산된 주석과 납이 있는 일산화 주석(II) 층이 있고, 그 아래에 땜납 합금 자체가 있다.[12]
- 은: 배관 땜납의 납을 대체하며, 안티몬과 함께 사용되기도 하고 구리가 추가되기도 한다. (무연 땜납 참조) 은세공 또는 보석 제작에 사용되는 특수 경납은 분석을 통과해야 하며, 납땜되는 금속의 비율이 높고 납은 사용되지 않는다. 경도에 따라 "에나멜링", "하드", "미디엄", "이지"로 구분된다.[11]
- 안티몬: 배관 땜납의 납을 대체하며, 은과 함께 사용되기도 하고 구리가 추가되기도 한다. (무연 땜납 참조) 의도적으로 첨가되며, 최대 0.3%까지 습윤성을 개선하고, 더 많은 양은 습윤성을 천천히 저하시킨다. 융점을 높인다.
- 구리: 배관 땜납에 추가되기도 한다. (무연 땜납 참조)
- 알루미늄: 용해도가 낮고, 산화물 형성으로 인해 납땜의 둔화와 칙칙하고 거친 외관을 유발한다. 땜납에 안티몬을 첨가하면 드러스(dross)로 분리되는 Al-Sb 금속간 화합물이 형성된다. 취성을 촉진한다.
- 비소: 기계적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얇은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하며, 황동 표면의 젖음 불량을 유발한다.
- 카드뮴: 납땜의 둔화를 유발하고, 산화물을 형성하며 변색시킨다.
- 금: 쉽게 용해되며, 취성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하며, 0.5% 이상의 오염은 둔화를 유발하고 습윤성을 감소시킨다. 주석 기반 납땜의 융점을 낮춘다. 더 높은 주석 합금은 취성 없이 더 많은 금을 흡수할 수 있다.[23]
- 철: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하고 거칠함을 유발하지만, 용해 속도는 매우 낮다; 427 °C 이상에서 납-주석에 쉽게 용해된다.[17]
- 납: 0.1% 이상에서 유해 물질 제한 지침(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Directive) 준수 문제를 일으킨다.
- 니켈: 거칠함을 유발하며, Sn-Pb에 용해도가 매우 낮다.
- 인: 주석 및 납 인화물을 형성하며, 거칠함 및 젖음 불량을 유발하며, 무전해 니켈 도금에 존재한다.
- 은: 종종 의도적으로 첨가되며, 다량으로 첨가하면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하여 납땜 표면에 거칠음과 작은 돌기를 형성하며, 취성의 가능성이 있다.
- 황: 납 및 주석 황화물을 형성하며, 젖음 불량을 유발한다.
- 아연: 용융 상태에서 과도한 드러스를 형성하고, 응고된 접합부에서 표면에 빠르게 산화된다; 산화 아연은 플럭스에 용해되지 않아 수리성을 저해한다; 황동을 납땜할 때 아연이 표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리 및 니켈 장벽 층이 필요할 수 있다; 취성의 가능성이 있다.
4. 4. 불순물
땜납 용기에 유입되는 불순물은 땜납의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26] 불순물은 일반적으로 납땜될 부품에 존재하는 금속이 용해되면서 땜납 용기에 유입된다. 공정 장비의 용해는 흔하지 않은데, 이는 땜납에 용해되지 않도록 재료를 선택하기 때문이다.[26]다음은 땜납에 흔히 섞이는 불순물과 그 영향이다.
- 알루미늄(Al): 용해도가 낮고, 산화물 형성으로 인해 땜납의 둔화, 칙칙하고 거친 외관을 유발하며 취성을 촉진한다. 땜납에 안티몬을 첨가하면 드러스(dross)로 분리되는 Al-Sb 금속간 화합물이 형성된다.
- 안티몬(Sb): 의도적으로 첨가되기도 하며, 최대 0.3%까지 습윤성을 개선하지만, 그 이상의 양은 습윤성을 천천히 저하시킨다. 융점을 높인다.
- 비소(As): 기계적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얇은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하며, 황동 표면의 젖음 불량을 유발한다.
- 카드뮴(Cd): 땜납의 둔화를 유발하고, 산화물을 형성하며 변색시킨다.
- 구리(Cu): 가장 흔한 오염 물질로, 바늘 모양의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하며, 땜납의 둔화, 합금의 거칠음, 습윤성 감소를 유발한다.
- 금(Au): 쉽게 용해되며, 취성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한다. 0.5% 이상의 오염은 둔화를 유발하고 습윤성을 감소시킨다. 주석 기반 땜납의 융점을 낮춘다. 더 높은 주석 합금은 취성 없이 더 많은 금을 흡수할 수 있다.[23]
- 철(Fe):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하고 거칠음을 유발하지만, 용해 속도는 매우 낮다. 427°C 이상에서 납-주석에 쉽게 용해된다.[17]
- 납(Pb): 0.1% 이상에서 유해 물질 제한 지침(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Directive) 준수 문제를 일으킨다.
- 니켈(Ni): 거칠음을 유발하며, Sn-Pb에 용해도가 매우 낮다.
- 인(P): 주석 및 납 인화물을 형성하며, 거칠함 및 젖음 불량을 유발한다. 무전해 니켈 도금에 존재한다.
- 은(Ag): 종종 의도적으로 첨가되며, 다량으로 첨가하면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하여 납땜 표면에 거칠음과 작은 돌기를 형성하며, 취성의 가능성이 있다.
- 황(S): 납 및 주석 황화물을 형성하며, 젖음 불량을 유발한다.
- 아연(Zn): 용융 상태에서 과도한 드러스를 형성하고, 응고된 접합부에서 표면에 빠르게 산화된다. 산화 아연은 플럭스에 용해되지 않아 수리성을 저해한다. 황동을 납땜할 때 아연이 표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리 및 니켈 장벽 층이 필요할 수 있다. 취성의 가능성이 있다.
다음은 보드 표면 마감에 따른 파동 납땜 욕조 불순물 축적 경향이다.
5. 땜납 프리폼
땜납 프리폼은 특정 용도에 맞게 미리 만들어진 땜납 형태이다. 땜납 프리폼을 제조하는 데는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되며, 스탬핑이 가장 일반적이다.[1] 땜납 프리폼에는 땜납 공정에 필요한 솔더 플럭스가 포함될 수 있는데,[1] 이는 땜납 프리폼 내부에 있는 내부 플럭스이거나 땜납 프리폼이 코팅된 외부 플럭스일 수 있다.[1]
6. 유리 땜납
유리 땜납은 유리, 세라믹, 금속, 반도체, 운모 및 기타 재료를 서로 접합하는 데 사용되며, 이 과정을 유리 프리트 접합이라고 한다. 유리 땜납은 접합되는 재료나 인접 구조물(예: 칩 또는 세라믹 기판의 금속화 층)의 변형 또는 열화가 발생하는 온도보다 훨씬 낮은 온도에서 잘 흐르고 젖어야 한다. 흐르고 젖는 현상이 발생하는 일반적인 온도는 450°C에서 550°C 사이이다.
7. 납 문제
땜납에 포함된 납은 인체와 환경에 유해하므로,[43] 납을 포함하지 않는 무연 땜납이나 금, 은 등의 금속을 첨가한 접착제로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무연화를 위해 도입된 원소 또는 화합물의 독성에 대한 충분한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고는 말하기 어려우며, 무연이기 때문에 환경 독성이 작다고 판단하는 것은 성급하다.
참조
[1]
백과사전
solder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2]
백과사전
solder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Machinery's Handbook 23rd Edition
Industrial Press Inc.
[4]
학술지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benefits of adopting lead-free solders
[5]
어원사전
solder
[6]
웹사이트
Basic Info on Tin Whiskers
http://nepp.nasa.gov[...]
2018-03-27
[7]
웹사이트
A New (Better) Approach to Tin Whisker Mitigation
http://www.dfrsoluti[...]
DFR Solutions
2013-10-23
[8]
웹사이트
Properties of Solders
http://www.farnell.c[...]
[9]
웹사이트
U.S. Code: Title 42. The Public Health and Welfare
https://www.gpo.gov/[...]
govinfo.gov
[10]
학술지
The long-term effects of exposure to low doses of lead in childhood. An 11-year follow-up report
[11]
서적
Alloying: understanding the basics
https://books.google[...]
ASM International
[12]
서적
Lead finishing in semiconductor devices: soldering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13]
서적
Microelectronic packaging
https://books.google[...]
CRC Press
[14]
서적
Handbook of lead-free solder technology for microelectronic assemblies
https://books.google[...]
CRC Press
[15]
서적
Lead-free electronics
https://books.google[...]
Wiley
[16]
웹사이트
Lead-free Hand-soldering{{snd}}Ending the Nightmares
https://www.kester.c[...]
2006-04-19
[17]
서적
Solders and soldering: materials, design, production, and analysis for reliable bonding
https://books.google[...]
McGraw-Hill Professional
[18]
서적
Manufacturing Processes
https://books.google[...]
PHI Learning Pvt. Ltd.
[19]
웹사이트
The Fluidity of the Ni-Modified Sn-Cu Eutectic Lead-free Solder
https://www.aimsolde[...]
2019-09-07
[20]
서적
Reliability in Scientific Research: Improving the Dependability of Measurements, Calculations, Equipment, and Softwa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서적
Solder Joint Technology – Materials, Properties, and Reliability
Springer
[22]
웹사이트
Balver Zinn Desoxy RSN
http://www.balverzin[...]
2018-03-27
[23]
웹사이트
Solder selection for photonic packaging
http://www.aimsolder[...]
2013-02-27
[24]
웹사이트
SN100C Technical Guide
https://floridacirte[...]
[25]
웹사이트
The Fluidity of the Ni-Modified Sn-Cu Eutectic Lead-Free Solder
http://www.aimsolder[...]
2006
[26]
서적
Soldering processes and equipment
https://books.google[...]
Wiley-IEEE
[27]
서적
The Mechanics of solder alloy interconnects
https://books.google[...]
Springer
[28]
웹사이트
Indium Solder Encapsulating Gold Bonding Wire Leads to Fragile Gold-Indium Compounds and an Unreliable Condition that Results in Wire Interconnection Rupture
http://nepp.nasa.gov[...]
2019-03-09
[29]
서적
Modern solder technology for competitive electronics manufacturing
https://books.google[...]
McGraw-Hill Professional
[30]
웹사이트
尤草紙・尤双紙
https://kotobank.jp/[...]
2020-10-24
[31]
웹사이트
半田・盤陀
https://kotobank.jp/[...]
2020-10-24
[32]
웹사이트
溶接用語の話
http://www.jwes.or.j[...]
日本溶接協会
2016-02-16
[33]
웹사이트
半田・盤陀
https://kotobank.jp/[...]
2016-02-16
[34]
웹사이트
はんだ【半田 solder】
https://kotobank.jp/[...]
2016-02-16
[35]
웹사이트
半田山(桑折町)の治山
http://www.pref.fuku[...]
福島県森林保全課
2016-02-16
[36]
웹사이트
製罐技術の変遷
http://www.seikan-ky[...]
日本製罐協会
2019-04-21
[37]
웹사이트
紀元1年〜1600年
http://www.sanpo-pub[...]
産報出版
2016-02-16
[38]
웹사이트
紀元1600年〜1800年
http://www.sanpo-pub[...]
産報出版
2016-02-16
[39]
간행물
モデラーの基礎知識 やさしいハンダ付け<2>
機芸出版社
1994-07
[40]
간행물
モデラーの基礎知識 やさしいハンダ付け<1>
機芸出版社
1994-06
[41]
서적
金属データブック
丸善
[42]
서적
金属のおはなし
日本規格協会
2006-01-25
[43]
웹사이트
家内労働 あんぜんサイト
https://kanairodo.mh[...]
厚生労働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