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식두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식두류(Marginocephalia)는 백악기에 번성했던 초식 공룡의 한 분류군으로, 후두류와 각룡류를 포함한다. 이들은 람포테카로 덮인 단순한 이빨을 가지고 있었으며, 세균 발효를 통해 식물을 분해하거나 씹는 장치를 진화시켰다. 주식두류는 사회적 행동을 보였으며, 돔 형태의 머리나 프릴을 이용하여 종내 의사소통, 과시, 영토 방어 등에 활용했다. 이들의 성적 이형성은 연구가 어렵지만, 일부 종에서는 두개골 크기와 형태의 차이를 통해 나타나기도 한다. 주식두류는 두 발 또는 네 발로 걸었으며, 분류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한 분지도로 제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 세레노가 명명한 분류군 - 에오랍토르
    에오랍토르는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살았던 몸길이 1.2~1.3m의 소형 초기 공룡으로, 가벼운 두개골과 5개의 발가락이 달린 앞발을 가지고 이족보행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수각류 또는 용각류형류로 분류되었으나 최근에는 수각류의 가장 초기에 분기된 그룹으로 여겨지고, 아르헨티나에서 화석이 발견되었다.
  • 폴 세레노가 명명한 분류군 - 각각아목
    각각아목은 기본적인 형태의 공룡 분류군으로, 초기 조각류 공룡을 포함하며 조각하목과 주식두아목으로 나뉜다.
  • 조반목 - 헤테로돈토사우루스
    헤테로돈토사우루스는 전기 쥐라기에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서식한 몸길이 1m 남짓의 소형 조반류 공룡 속으로, 앞니, 엄니, 어금니 등 다양한 형태의 이빨을 가진 독특한 치아 구조가 특징이다.
  • 조반목 - 신조반류
    신조반류는 1985년 쿠퍼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2021년 공식적으로 정의된 조반목 공룡의 분지군으로, 두꺼운 에나멜층을 가진 아래턱 치아와 장갑류와의 자매군 형성 등의 특징을 가진다.
주식두류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트리케라톱스 두개골
트리케라톱스 호리두스의 두개골
파키케팔로사우루스 두개골
파키케팔로사우루스 와이오밍엔시스의 두개골
학명Marginocephalia
명명자세레노, 1986년
화석 범위쥐라기 후기 - 백악기 후기,
하위 그룹
하위 분류군각룡류
후두류

2. 식성

마르기노케팔리아는 케라틴 뿔 덮개인 람포테카로 둘러싸인 단순하고 말뚝 모양의 이빨을 가지고 있으며, 쉽게 교체할 수 있는 배터리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이빨은 식물을 자르는 데 유용했을 수 있는 톱니 모양을 하고 있다.[4] 마르기노케팔리아는 식물을 분해하는 다양한 방법을 진화시켰다. 파키케팔로사우루스는 넓은 허리와 길쭉한 천골 갈비뼈를 가진 특히 큰 복부를 가지고 있어 큰 위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세균 발효를 통해 질긴 식물을 분해하는 데 유용했을 것으로 보인다.[13]

각룡류는 씹는 장치를 개선하는 특징을 진화시켜 식물 소화 능력을 더욱 발전시켰다. 파생된 각룡류는 질긴 식물의 분해를 극대화하기 위해 이빨에 수직의 맷돌질 표면을 가지고 있다.[14] 또한, 하악골의 큰 관상돌기에서 각룡류 프릴까지 확장되는 진화된 부착 근육의 증거가 있는데, 이는 씹는 힘을 증가시켰을 것이다.[15] 파키케팔로사우루스는 음식 소화를 돕기 위해 위석을 가지고 있었지만, 프시타코사우루스와 같은 원시 각룡류에서만 위석이 발견되었다.[16]

3. 사회적 행동과 과시

마기노케팔리아류는 사회적 동물이었다는 증거가 많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대부분 뼈로 된 두개골 가장자리의 다양한 기능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가장자리는 모양과 크기가 다양하며, 포식자 방어, 과시, 의례적인 전투, 영역 방어, 사회적 질서 확립 등의 기능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7] 파키케팔로사우루스와 케라톱시안 모두 종간 의사소통의 증거를 보이며, 종내 의사소통의 증거도 있을 수 있다.[18][19]

돔 모양의 머리를 가진 파키케팔로사우루스는 두꺼운 두개골을 서로 부딪히는 데 사용했을 것으로 일반적으로 생각된다. 뇌와 척추는 머리를 부딪히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방식으로 위치해 있으며, 뼈 잔해에서 발견되는 기둥 구조는 머리 부딪히기 연습을 재현하는 데 사용되는 모델과 일치한다.[20] 그러나 ''스티기몰로크''와 같은 일부 파키케팔로사우루스는 두개골 덮개에 머리를 부딪히는 행동을 지원하지 않았을 혈관이 있었다.[21] 따라서 머리는 종내 의사소통을 위해 또는 투쟁 행동의 형태로 다른 파키케팔로사우루스의 부드러운 옆구리를 장식하거나 부딪히는 데 사용되었을 수 있다.[22]

케라톱시안의 프릴은 매우 다양하다. 프릴이 때때로 목 위로 펼쳐지면서 보호 목적으로 사용되었을 수 있지만, 어떤 사람들은 프릴이 ''티라노사우루스''와 같은 다른 대형 공룡으로부터 거의 보호를 제공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한다.[23] 다른 가능한 기능으로는 짝짓기 목적으로 종내 의사소통[24] 또는 붉은가슴울새와 같은 오늘날의 많은 유기체에서 볼 수 있듯이 영역 보호의 시각적 과시 등이 있다.[25] 프릴은 또한 종 인식 목적으로 사용되었을 수 있는데, 프릴이 삶의 초기에 상당히 빨리 발달하는 것으로 보인다.[18] 케라톱시안이 새끼를 돌본다는 증거도 있는데, 유아 둥지가 있는 성체 개체의 뼈대가 발견되었지만,[26] 어떤 사람들은 이것이 새끼를 돌본다는 실질적인 증거가 아니라고 반박한다.[27] 수백 마리의 성체 케라톱시안이 있는 뼈대도 발견되어 무리 활동을 나타낸다.[28] 몇몇 표본에서 찔린 상처가 발견되어 뿔을 보호 또는 전투 무기로 사용했음을 뒷받침한다.[29] 어린 케라톱시안을 조사한 다른 연구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뿔 형태가 변하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는 프릴과 뿔이 나이를 종내 의사소통하는 데 사용되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30] 뿔은 동위원소 분석에 의해 나타난 열 조절,[31] 채소를 쓰러뜨리는 데 도움,[32] 또는 뿔끼리 맞물리는 투쟁 행동에도 사용되었을 수 있다.[33]

4. 성적 이형성

스테고케라스 발리둠(Stegoceras validum)은 후두류의 일종으로, 두개골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두 그룹 분류는 종의 개체군을 절반으로 나누었으며, 이는 성적 이형성을 매우 시사한다.[34] 그러나 일부에서는 이 두 그룹이 실제로 두 개의 별개의 종을 나타낼 수 있다고 보고한다.[35] 원시각룡(Protoceratops)은 각룡류의 일종으로, 성적 이형성의 징후를 보인다. 그러나 이들의 프릴은 나중에 발달하는 것으로 보이며, 성적 성숙과 관련될 수 있다.[36]

5. 이동 방식

일반적으로, 원시적인 가장자리머리공룡류는 두 발 보행 또는 네 발 보행이 가능했으며, 파생된 개체들은 의무적으로 네 발 보행을 했다.[5] 이는 특히 각룡류에서 두드러지는데, 원시적인 종인 ''프시타코사우루스''만이 두 발로 걸었다. 모든 파생된 형태는 강력한 네 발 보행을 했지만, 그들의 자세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일부는 앞다리가 몸 아래에 똑바로 서 있는 비교적 기둥 같은 자세였을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이는 속도에 더 효율적이었을 것이다.[37] 다른 사람들은 앞다리 뼈의 모양으로 보아 다리가 더 벌어진 자세였을 것이라고 생각한다.[38] 비록 빠르지는 않았지만, 이 자세는 땅에 있는 식물을 뜯어먹는 데 효율적이었을 것이다.[39] 두 발 보행을 하는 후두류의 이동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적지만, 그들은 확대된 내장을 수용하기 위해 상당히 넓은 허리 둘레를 가졌을 것이다.

6. 분류

주식두류는 크게 후두류각룡류 두 가지 주요 분류로 나뉜다.[44][45]

6. 1. 2009년 Zheng 등의 분지도

다음은 정(Zheng)과 동료들의 2009년 분석을 따른 분지도이다.[44]

{| class="wikitable"

|-

! '''주식두류'''

|-

|

{| class="wikitable"

|-

! 후두류

|-

|

{| class="wikitable"

|-

| 스테노펠릭스

|-

| 완나노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고요케팔레

|-

|

호말로케팔레
파키케팔로사우루스과



|}

|}

|-

! 각룡류

|-

|

{| class="wikitable"

|-

| 미크로파키케팔로사우루스

|-

| 차오양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프시타코사우루스과

|-

! 네오케라톱시아

|-

|

{| class="wikitable"

|-

| 리아오케라톱스

|-

|

{| class="wikitable"

|-

| 아르카이오케라톱스

|-

|

렙토케라톱스과
코로노사우리아



|}

|}

|}

|}

|}

|}

6. 2. 2011년 Butler 등의 분지도

다음은 2011년 버틀러(Butler) 등이 제시한 분기도이다.[45]

{| class="wikitable"

|-

! '''주식두류'''

|-

|

{| class="wikitable"

|-

! 후두류

|-

|

{| class="wikitable"

|-

| 완나노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고요케팔레

|-

|

호말로케팔레
파키케팔로사우루스과



|}

|}

|-

! 각룡류

|-

|

{| class="wikitable"

|-

| 미크로파키케팔로사우루스

|-

| 차오양사우루스

|-

|



|-

|

{| class="wikitable"

|-

| 프시타코사우루스과

|-

! 네오케라톱시아

|-

|

{| class="wikitable"

|-

| 리아오케라톱스

|-

|

{| class="wikitable"

|-

| 아르카이오케라톱스

|-

|

렙토케라톱스과
코로노사우리아



|}

|}

|}

|}

|}

|}

참조

[1] 논문 The phylogenetic nomenclature of ornithischian dinosaurs 2021
[2] 웹사이트 GEOL 104 Marginocephalia: That's Using Your Head! https://www.geol.umd[...] 2024-05-14
[3] 웹사이트 The Real Pachycephalosaurus https://dinomuseum.c[...] 2020-02-25
[4] 서적 Dinosaurs: A Concise Natural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논문 Limb-Bone Scaling Indicates Diverse Stance and Gait in Quadrupedal Ornithischian Dinosaurs 2012-05-22
[6] 논문 A re-appraisal of Craspedodon llonzeensis DOLLO, 1883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Belgium: the first record of a neoceratopsian dinosaur in Europe? https://www.research[...] 2016-05-29
[7] 논문 Structural Mechanics of Pachycephalosaur Crania Permitted Head-Butting Behavior http://palaeo-electr[...] 2008
[8] 논문 Cranial Ontogeny in Stegoceras validum (Dinosauria: Pachycephalosauria): A Quantitative Model of Pachycephalosaur Dome Growth and Variation 2011-06-29
[9] 논문 Extreme Cranial Ontogeny in the Upper Cretaceous Dinosaur Pachycephalosaurus 2009-10-27
[10] 서적 The horned dinosaurs: A natural hist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 논문 The Behavioral Significance of Frill and Horn Morphology in Ceratopsian Dinosaurs 1975-01-01
[12] 논문 Anatomy and Taxonomic Status of the Chasmosaurine Ceratopsid Nedoceratops hatcheri from the Upper Cretaceous Lance Formation of Wyoming, U.S.A 2011-01-20
[13] 논문 Speculations About the Diet and Digestive Physiology of Herbivorous Dinosaurs 1987-01-01
[14] 논문 Dental microwear and the evolution of mastication in ceratopsian dinosaurs http://gradworks.umi[...]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2011-01-01
[15] 논문 The cranial musculature and the origin of the frill in the ceratopsian dinosaurs http://www.ajsonline[...] 1908-05-01
[16] 서적 Transylvanian Dinosaur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7] 논문 The evolution of 'bizarre structures' in dinosaurs: biomechanics, sexual selection, social selection or species recognition? 2011-01-01
[18] 논문 The smallest known triceratops skull: new observations on ceratopsid cranial anatomy and ontogeny 2006-03-30
[19] 논문 Variation in the skull of Anchiceratops (Dinosauria, Ceratopsidae) from the Horseshoe Canyon Formation (Upper Cretaceous) of Alberta 2011-09-01
[20] 논문 New data on pachycephalosaurid dinosaurs (Reptilia: Ornithischia) from North America https://www.research[...] 2011-02-08
[21] 논문 Cranial histology of pachycephalosaurs (Ornithischia: Marginocephalia) reveals transitory structures inconsistent with head-butting behavior http://doc.rero.ch/r[...] 2004
[22] 논문 Agonistic behavior in pachycephalosaurs (Ornithischia, Dinosauria); a new look at head-butting behavior http://rmg.geoscienc[...] 1997-12-01
[23] 논문 Positive allometry for exaggerated structures in the ceratopsian dinosaur Protoceratops andrewsi supports socio-sexual signaling http://palaeo-electr[...] 2016-01-13
[24] 논문 Does mutual sexual selection explain the evolution of head crests in pterosaurs and dinosaurs? 2012-04-01
[25] 논문 Trade-offs and seasonal variation in territorial defence and predator evasion in the European Robin Erithacus rubecula 2004-01-01
[26] 논문 Palaeontology: Parental care in an ornithischian dinosaur http://doc.rero.ch/r[...] 2004-09-09
[27] 논문 The socio-sexual behaviour of extant archosaurs: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dinosaur behaviour http://doc.rero.ch/r[...] 2009-09-01
[28] 논문 Social Behaviour and Mass Mortality in the Basal Ceratopsian Dinosaur Psittacosaurus (early Cretaceous,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doc.rero.ch/r[...] 2007-09-01
[29] 논문 Evidence of Combat in Triceratops 2009-01-28
[30] 서적 eLS John Wiley & Sons, Ltd 2001-01-01
[31] 논문 The thermoregulatory functions of the Triceratops frill and horns: heat flow measured with oxygen isotopes 1998-12-28
[32] 서적 How the Ceratopsia carried and used their head 1928-01-01
[33] 논문 Horn Use in Triceratops (Dinosauria: Ceratopsidae): Testing Behavioral Hypotheses Using Scale Models http://palaeo-electr[...] 2004
[34] 논문 A Morphometric Study of the Cranium of the Pachycephalosaurid Dinosaur Stegoceras 1981-01-01
[35] 논문 Cranial Ontogeny in Stegoceras validum (Dinosauria: Pachycephalosauria): A Quantitative Model of Pachycephalosaur Dome Growth and Variation 2011-06-29
[36] 논문 Quantitative Aspects of Relative Growth and Sexual Dimorphism in Protoceratops 1976-01-01
[37] 논문 Forelimb posture in neoceratopsian dinosaurs: implications for gait and locomotion http://journals.camb[...] 2000-06-01
[38] 논문 Forelimb Stance and Step Cycle in Chasmosaurus Irvinenesis (Dinosauria: Neoceratopsia) 2007
[39] 논문 Forelimb posture in neoceratopsian dinosaurs: implications for gait and locomotion http://paleobiol.geo[...] 2000-06-20
[40] 논문 An Early Cretaceous heterodontosaurid dinosaur with filamentous integumentary structures 2009-03-19
[41] 논문 The postcranial osteology and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small ornithischian dinosaur ''Changchunsaurus parvus'' from the Quantou Formation (Cretaceous: Aptian–Cenomanian) of Jilin Province, north-eastern China
[42] 서적 装盾亜目と周飾頭亜目の原語と訳語についての脚注 教育社 1992-07
[43] 서적 爬虫綱, 爬虫綱分類表 裳華房 2006
[44] 논문 An Early Cretaceous heterodontosaurid dinosaur with filamentous integumentary structures 2009-03-19
[45] 논문 The postcranial osteology and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small ornithischian dinosaur ''Changchunsaurus parvus'' from the Quantou Formation (Cretaceous: Aptian–Cenomanian) of Jilin Province, north-eastern Chi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