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쯔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쯔칭은 1898년 장쑤성 둥하이현에서 태어난 중국의 작가이자 학자이다. 베이징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5·4 운동에 참여했으며, 칭화 대학 교수를 역임했다. 그는 시, 수필, 문예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배경》, 《종적》 등의 작품을 남겼다. 중일 전쟁 시기에는 여러 대학에서 강의했으며, 국공 내전 시기에는 민주 운동에 참여했다. 1948년 소화성 궤양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수필가 - 제갈량
    제갈량은 삼국 시대 촉한의 정치가이자 전략가로, 유비의 삼고초려로 촉한에 합류하여 승상이 되었고, 섭정으로서 남정을 통해 촉한의 기반을 다졌으며, 북벌을 통해 위나라를 공격했으나 실패했으며, 법치주의와 인재 등용을 중시하고 경제 정책을 통해 국력을 강화했다.
  • 중국의 수필가 - 심괄
    심괄은 중국 송나라 시대의 과학자, 정치가, 외교관, 예술가, 문인으로, 천문학, 지리학, 약학, 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저서 《몽계필담》을 통해 과학적 사고를 보여준다.
  • 중국의 시인 - 굴원
    굴원은 초나라의 정치가이자 시인으로, 친제파의 수장으로서 진나라와의 동맹을 반대하다가 좌천되어 멱라강에 투신 자결했으며, 그의 작품은 애국심을 담고 있으며 단오절 풍습의 기원이 되었다.
  • 중국의 시인 - 쉬즈모
    중국의 시인이자 작가인 쉬즈모는 낭만주의와 자유시의 영향을 받아 현대 중국어로 자유로운 형식과 현대적인 감각을 담은 시를 발표하여 중국 시의 근대화에 기여했으며, 린후이인, 루샤오만과의 사랑으로도 유명하다.
  • 칭화 대학 교수 - 양전닝
    양전닝은 중국계 미국인 물리학자이며, 리정다오와 함께 약한 상호작용에서의 패리티 비보존 이론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고, 양-밀스 이론을 개발했으며, 2016년 미국 국적을 포기하고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을 취득했다.
  • 칭화 대학 교수 - 우한 (역사가)
    우한은 중국 근현대사의 격변기를 살았던 역사학자이자 정치인으로, 명나라 연구의 선구자였으나 경극 희곡 《해서파관》으로 인해 문화대혁명 당시 탄압받고 사망 후 복권되었으며 그의 삶과 정치적 입장은 재평가되고 있다.
주쯔칭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주자청
주자청
본명주자화
출생1898년 11월 22일
사망1948년 8월 12일 (49세)
직업시인, 수필가
언어중국어
모교베이징 대학
생애
활동 기간1920년–1948년
장르시, 수필
중국어 정보
간체자주자청
병음Zhū Zìqīng
웨이드-자일스Chu Tzu-Ch'ing
본명 (간체자)주자화
본명 (정체자)주자화
본명 (병음)Zhū Zìhuá
대표 작품
배영 (背影)背影
너와 나 (你我)你我
멸망 (毀滅)毀滅

2. 생애

1916년 베이징 대학 예과에 진학하여 우중첸(武仲謙)과 결혼했다. 1년 후, 이름을 자화(子華)에서 자칭(自清)으로 바꾸었다.

1925년 칭화 대학 중문과 교수로 임명되었다. 1928년 첫 에세이집 《철퇴의 그림자》를 출판하여 작가로 이름을 알렸다. 1931년부터 1932년까지 런던에서 영문학언어학을 공부하고 돌아와 칭화 대학에서 계속 가르쳤다. 두 번째 부인인 천주인과 결혼했다.

1936년에는 산문집 《너와 나》를 출판했다.

2. 1. 초기 생애 (1898-1920)

1898년(광서제 23년) 장쑤성 둥하이현에서 태어났다.[7] 아버지 주훙쥔은 관료였으며, 주쯔칭은 사숙에서 교육을 받았다.[7] 6세 때 부모와 함께 양저우로 이주했다. 1908년부터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배우는 동시에 밤에는 서당에서 국학을 배웠다. 1912년, 양저우 군정 분부가 설립되면서 혁명의 명분으로 가산을 몰수당해 주가는 많은 재산을 잃었다. 같은 해, 뤼양 공학 고등소학교로 전학했고, 그해 여름 장쑤성립 제8중학교에 입학했다. 1916년에 중학교를 졸업하고 베이징 대학 예과에 진학했다.

1917년 베이징 대학 철학과에 입학했으며, 같은 해 동향 출신 의사의 셋째 딸 우중첸과 결혼했다.[7] 이때부터 신시를 쓰기 시작했다.[7] 5·4 운동 및 베이징 대학 평민 교육 강연단에도 참여했다.[7] 1920년 졸업 후 1922년 장편시 "훼멸"을 발표했고, 이후에도 집필 활동에 종사했다.[6] 그 후 장쑤성 및 저장성의 중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6]

2. 2. 문학 활동과 교육 (1920-1937)

1920년 베이징 대학을 졸업하고, 항저우, 양저우, 상하이, 닝보 등지에서 여러 중등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교사로 재직하는 동안 시 서클에서 활동하며 유명한 시인이 되었다.[6]

1923년에 쓴 에세이 (녹색)은 원저우시 ouhai 구 셴옌 가도의 중간 옌탕 산에 있는 메이위 연못(梅雨潭)과 폭포의 아름다움을 묘사한 글이다. (녹색)에서 발췌한 내용은 푸퉁화 숙련도 시험 응시자가 읽도록 요청받을 수 있는 60개의 잠재적인 읽기 자료 중 하나이다.[1][2][3]

1925년 칭화 대학의 중문과 교수로 임명되었으며, 1928년 8월에는 첫 에세이집인 《철퇴의 그림자》를 출판했다. 1931년부터 1932년까지 런던에서 영문학언어학을 공부했다. 귀국 후, 칭화 대학에서 계속 가르쳤다.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주쯔칭은 대학을 따라 창사, 쿤밍, 청두로 이동했다. 이 기간 동안 주쯔칭은 다른 대학교에서도 계속 강의했다.

2. 3. 중일 전쟁과 민주 운동 (1937-1946)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주쯔칭은 대학을 따라 창사, 쿤밍, 청두로 이동했다. 이 기간 동안 주쯔칭은 다른 대학교에서도 계속 강의했다.[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쿤밍에 있는 제자들에게 장제스국공 내전을 시작한 것에 반대하도록 격려했다.[5]

1946년 베이징으로 돌아와 칭화 대학 중문과 학과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애국적인 작가 리궁푸와 원이둬의 암살 소식을 듣고 자신의 안전을 무시하고 두 사람의 장례식에 참석했다.[5]

항일 전쟁 중에는 베이징 대학·칭화 대학·난카이 대학을 합병한 창사 임시 대학, 그 후 쿤밍으로 재이전하여 개칭된 시난 연합 대학에서 중문계 주임을 맡았다.[7] 1938년 3월에 설립된 중화전국문예계항적협회의 이사로 선출되었다.[7]

2. 4. 국공 내전과 사망 (1946-194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주쯔칭은 쿤밍에 있는 제자들에게 장제스국공 내전을 시작한 것에 반대하도록 격려했다. 1946년, 그는 베이징으로 돌아와 칭화 대학 중문과 학과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애국적인 작가 리궁푸와 원이둬의 암살 소식을 듣고 자신의 안전을 무시하고 두 사람의 장례식에 참석했다.

그 후 주쯔칭은 미국으로부터의 원조를 거부하는 반란에 참여했고, 1948년 8월 12일에 베이핑시의 베이핑 병원에서 소화성 궤양으로 사망했다.[7] 일반적으로 주쯔칭이 마오쩌둥의 유명한 글 "작별, 레이턴 스튜어트"로 인해 굶어 죽었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의 실제 사망 원인은 심각한 위궤양으로 인한 위 천공이었다.[5]

3. 작품 세계

주쯔칭은 시, 수필, 문학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을 남겼다. 대표적인 문예론 저서로는 《시언지변(詩言志辨)》, 《론아속공상(論雅俗共賞)》 등이 있다.[6]

3. 1. 시

그의 대표적인 시집으로는 《설조》(공저)가 있고, 대표적인 시문집으로는 《종적》이 있다.[6]

3. 2. 수필

그의 대표적인 산문집으로는 《배영(背影)》, 《구유잡기(欧游雑記)》, 《니아(你我)》, 《런던잡기(倫敦雑記)》 등이 있다.[6] 주쯔칭의 작품은 명문이 많기로 알려져 있는데, 「연못 달빛」은 한 편의 시를 연상시키는 아름다운 문장으로, 중국 고등학교 교과서에도 수록되어 있다.[9]

이 작품은 1925년 7월, 그가 칭화 학교 대학부에서 교편을 잡고 있을 때 집필되었다. 집필 3개월 전인 같은 해 4월에는 상하이에서 장제스가 이끄는 중국 국민당에 의한 중국 공산당에 대한 탄압 사건(4·12 사건)이 일어났다.[9] 이전에는 5·4 운동에도 참가하여 애국심이 강했던 주쯔칭은 이 현실에 분개하고 고뇌했다.[9] 본 작품 서두의 한 구절인 "這幾天心裡頗不寧靜。" (요즘 며칠 마음이 매우 불안하다.[10])는 이 현실의 비참함과 주쯔칭의 고뇌를 나타내고 있다.[9] 그러나 대조적으로 작품에 묘사된 연못은 달빛에 비치어 정적 속에 잠겨 있다.[9] "연못 사방에는 많은 나무가 울창하게 자라 있고, 길가에는 몇 그루의 버들과 이름 모를 나무들이 심어져 있다.[10] 달빛이 없는 밤에는 이 길은 음산하고 무서운데, 오늘 밤은 아주 좋다. 달빛은 아직 희미하지만[10]。"

3. 3. 문학론

그의 대표적인 시집으로는 《설조(雪朝)》(공저)가 있고, 대표적인 시문집으로는 《종적(踪迹)》이 있다.[6] 대표적인 산문집으로는 《배영(背影)》, 《구유잡기(欧游雑記)》, 《니아(你我)》, 《런던잡기(倫敦雑記)》 등이 있으며,[6] 대표적인 문예론 저서로는 《시언지변(詩言志辨)》과 《론아속공상(論雅俗共賞)》 등이 있다.[6]

3. 4. 구어체 문장

주쯔칭은 구어체의 유려한 문체를 칭찬하며, 스스로도 낭독을 의식한 구어체 문체를 여러 편 썼다.[8] 그 대표적인 예로, 1922년에 쓰인 「匆匆」의 일부를 싣는다.[8]

「제비는 가고, 다시 돌아올 때가 있다; 버들은 시들고, 다시 푸르러질 때가 있다; 복숭아꽃은 지고, 다시 필 때가 있다. 하지만, 슬기로운 그대여, 내게 말해주게. 우리의 날들은 어째서 한 번 가면 다시 돌아오지 않는가[8] (제비는 가도, 다시 올 때가 있다. 버들은 시들어도, 다시 푸르러질 때가 있다. 복숭아꽃은 져도, 다시 필 때가 있다. 그러나, 말해주게, 우리의 날들은 어째서 한 번 가면 돌아오지 않는가[8])」

4. 가족

주쯔칭은 1898년(광서제 23년) 장쑤성 둥하이현에서 태어났다.[7] 아버지 주훙쥔은 관료였다.[7] 1917년, 같은 고향 출신 의사의 셋째 딸 우중첸과 결혼했다.[7] 1929년 우중첸과 사별했으며, 1932년 진죽은(陳竹隱)과 재혼했다.

배우자
우중첸 (1917년 ~ 1929년)[7]
진죽은 (1932년 ~ 1948년)


참조

[1] 서적 [[The Commercial Press]]. 2004
[2] 서적 浙江文艺出版社 [Zhejiang Arts Press]
[3] 웹사이트 http://www.ouhai.gov[...] Ouhai District People's Government 2014-12-03
[4] 간행물 Cf. his essay of 1932 about his wife ''Qian'' (武鍾謙, Wǔ Zhōngqiān) who died in 1929, translated by Wolf Baus into German as ''Meiner verstorbenen Frau'' in Hefte für Ostasiatische Literatur https://www.iudicium[...] Hefte für Ostasiatische Literatur 1993-05
[5] 웹사이트 http://history.eastd[...] 2014-08-12
[6] 문서 千野 2014
[7] 문서 楠原 1995
[8] 문서 伊藤 2005
[9] 문서 千野 2014
[10] 문서 千野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