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추원 (조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추원 (조선)은 조선 시대의 관청으로, 초기에는 군사 기밀과 왕명 전달을 담당했다. 1400년 삼군부로 개칭되었다가 중추원으로 환원되었으며, 1466년 중추부로 이름이 바뀌어 문무 당상관 중 임직이 없는 자를 우대하는 기관으로 기능했다. 중추부는 영사, 판사, 지사, 동지사, 첨지사 등의 관직으로 구성되었으며, 왕명 출납 기능은 승정원으로, 병력 관련 행정 업무는 삼군부와 병조로 이관되었다. 중추부 청사는 경복궁 광화문 앞에 위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행정기관 - 포도청
포도청은 조선시대에 도적을 잡고 치안을 유지하던 관청으로, 성종 때 임시직으로 시작하여 좌·우 포도청으로 나뉘어 운영되다가 갑오경장 때 경무청으로 개편되며 폐지되었으며, 천주교 박해에도 관여하였다. - 조선의 행정기관 - 승정원
승정원은 조선시대에 왕명 출납을 담당한 국왕 직속 비서 기관으로, 중추원에서 시작하여 승추부로 확대 후 다시 승정원으로 개편되어 육조 업무 분담, 국정 자문, 정보 기관 역할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다 갑오개혁 이후 승선원을 거쳐 궁내부 시종원으로 업무가 이관되었다. - 나라별 정부 기관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나라별 정부 기관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 한국사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 한국사 - 토기
토기는 점토를 구워 만든 그릇으로, 일본에서는 구움 정도에 따라 도자기, 자기와 구분되며 인류 최초의 화학적 변화 응용 사례로 식생활과 문화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다원설이 유력한 발상지와 일본 열도 1만 6500년 전 토기 발견이 특징이며, 일본어 관점에서 정의, 역사, 제작 과정, 용도, 세계 각지 토기 문화를 설명한다.
중추원 (조선) | |
---|---|
중추원 정보 | |
유형 | 관청 |
한자 표기 | 中樞院 |
로마자 표기 | Jungchuwon |
조선 시대 중추원 | |
설립 시기 | 1392년 |
폐지 시기 | 1894년 |
성격 | 왕명 출납 및 군기(軍機)·기밀(機密)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기관 |
주요 기능 | 왕명 출납, 군기 및 기밀 담당 |
관직 | 영사 판사 지사 동지사 경력 도사 |
대한제국 중추원 | |
존속 기간 | 1894년 ~ 1910년 |
성격 | 의정부에 속한 자문기관 |
정원 | 의장 1명, 부의장 1명, 고문 약간 명, 찬의 45명, 부찬의 20명 |
주요 기능 | 법률안 및 규칙 제정 자문 |
관직 | 의장 부의장 고문 찬의 부찬의 서기관 주사 |
일제강점기 중추원 | |
존속 기간 | 1910년 ~ 1945년 |
성격 | 조선총독부의 자문기관 |
구성 | 총 65명 ~ 80명의 친일파 인사 |
주요 역할 | 조선총독의 자문, 일제강점기 통치에 협력 |
관직 | 의장 부의장 고문 참의 |
2. 역사
1400년(정종 2) 삼군부로 고쳤다가 1409년(태종 9) 중추원으로 다시 변경하였다. 1436년에는 정1품 영중추를 신설하였다. 1466년(세조 12) 중추부로 고치면서 실질적인 업무 없이 문무 당상관 중 임직이 없는 자를 우대하는 기관이 되었다. 왕명 출납 기능은 승정원으로, 병력 관련 행정 업무는 삼군부와 병조 등으로 이관되었다.[1]
2. 1. 조선 시대
1400년(정종 2) 삼군부로 고치고 중추원 녹관(祿官)에 따라 좌·우복야(左右僕射)를 좌우사(左右使), 중추원승지를 승정원 승지, 도평의사사 녹사를 의정부 녹사, 중추원 당후를 승정원 당후로 고쳤으며, 1409년(태종 9) 중추원으로 고치고, 1436년에는 정1품의 영중추를 신설하였다. 문종실록의 기록에 2명의 판중추원사가 임명되고 3명의 중추원사가 임명된 것을 보면 처음 영중추원사를 신설하고 관제가 정비가 되면서 세종 후반대에 중추부와 같은 관제에 이르고 관직명은 추후 정비된 것으로 보인다.[1] 1466년(세조 12) '''중추부'''로 고치어 일정한 사무없이 문무 당상관으로 임직이 없는 자를 우대하는 의미로 두게 되었다. 왕명 출납기능은 승정원으로, 병력 관련 행정 업무는 삼군부와 병조, 각 위로 이관되었다.3. 구성
조선 초기 중추원은 판사(정2품) 1인, 사(종2품) 1인, 지사(종2품) 1인, 동지사(종2품) 4인, 첨사(종2품) 1인, 부사(종2품) 6인, 학사(종2품) 1인, 상의원사(종2품) 3인, 도승지(정3품) 1인, 좌·우승지(정3품) 각 1인, 좌·우부승지(정3품) 각 1인, 당후관(정7품) 2인, 연리(정7품 거관) 6인으로 구성되었다. 1436년(세종 18년)에는 정1품 영중추원사가 신설되었고, 정렬공 최윤덕이 최초로 임명되었다.
조선 후기 중추부는 영사(정1품) 1인, 판사(종1품) 2인, 지사(정2품) 2인, 동지사(종2품) 7인, 첨지사(정3품) 8인, 경력(종4품) 1인, 도사(종5품) 1인으로 구성되었으며, 경아전의 녹사 4인, 서리 6인이 이에 속하였다.
3. 1. 중추원 (조선 초기)
지사(知事)동지사
첨사(僉事)
부사(副使)
학사(學士)
상의원사(商議院事)
1명
4명
1명
6명
1명
3명
좌승지
우승지
좌부승지
우부승지
연리(椽吏)
6명
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