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조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식 조직화는 지식의 체계적인 분류, 관리 및 접근을 위한 다양한 이론적 접근 방식을 포괄하는 학문 분야이다. 멜빌 듀이와 헨리 블리스는 지식 조직화 역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전통적인 접근 방식은 통제 어휘, 커터의 규칙, 헐메의 문헌 보증 원칙 등을 포함한다. S. R. 랑가나탄은 패싯 분석 접근 방식을 제시했으며, 크랜필드 실험과 TREC 실험은 정보 검색 시스템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기여했다. 사용자 중심 접근 방식, 포크소노미, 서지학적 접근, 도메인 분석 등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며, 각 접근 방식은 지식 조직화의 방법론과 철학적 기반에 차이를 보인다. 도메인 분석은 특정 사용자 집단의 요구를 반영하여 지식을 조직해야 한다는 관점을 강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 인식론 - 사회 선택 이론
사회 선택 이론은 개인의 선호를 기반으로 집단적 의사결정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애로우의 일반 가능성 정리 등을 통해 집단적 의사결정의 복잡성과 한계를 드러내며 공정한 사회 시스템 설계의 어려움을 보여준다. - 사회 인식론 - 논증 이론
논증 이론은 주장과 근거를 사용하여 설득적인 결론을 이끌어내는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대화 참여자 간의 상호작용, 증거 제시, 오류 식별 등 핵심 요소를 분석하고 다양한 대화 유형에 따른 논증 방식을 탐구하며, 절대주의와 상대주의를 넘어 인공지능 분야에도 활용될 가능성을 모색한다. - 도서 분류법 - 해동문헌총록
《해동문헌총록》은 김휴가 1616년부터 1637년까지 20여 년에 걸쳐 편찬한 문헌 해제집으로, 고려사 등 역사서와 문헌 기록을 바탕으로 총 670여 종의 문헌을 수록하여 임진왜란 이후 문화유산 정비에 기여했다. - 도서 분류법 - 뮤직브레인즈
뮤직브레인즈는 CDDB 상업화에 대응하여 로버트 케이에 의해 설립된 음악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 프로젝트로, 사용자들이 편집한 음악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공하며, BBC, Amazon.com, Spotify 등에서 활용되고, 메타데이터 태깅 소프트웨어와 음향 지문 기술을 제공하며, 인터넷 아카이브와 협력하여 커버 아트 및 이벤트 아트 아카이브를 운영한다. - 정보과학 - 시소러스
시소러스는 특정 단어나 개념의 유의어, 상위어, 하위어를 모아놓은 사전으로, 어휘의 의미 관계를 보여주며 글쓰기, 번역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정보과학 - 지식 표현
지식 표현은 컴퓨터가 인간의 지식을 이해하고 활용하도록 정보를 구조화하는 기술이며, 표현력과 추론 효율성의 균형, 불확실성 처리 등을 핵심 과제로 다양한 기법과 의미 웹 기술을 활용한다.
지식 조직화 | |
---|---|
개요 | |
분야 | 문헌정보학 |
정보 조직 | |
정의 | 정보 자원(예: 책, 지도, 문서, 데이터 세트, 이미지)을 축적하는 장소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즉시 그리고 후세를 위해 사용하는 활동과 도구를 검토한다. |
설명 | 단일 항목 검색이든, 유용한 정보 발견을 위해 수백 가지 자원을 탐색하든 자원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정보 조직은 다양한 정보 검색 시나리오를 지원한다. |
2. 이론적 접근
지식 조직화는 문서, 문서 표현, 그리고 개념을 조직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식 조직화 시스템(KOS)과 지식 조직화 프로세스(KOP)와 관련된 연구 분야이다. 지식, 인식, 언어, 사회적 조직화 등 다양한 관점에서 비롯된 여러 역사와 이론적 접근법이 존재한다.[11] 각 접근법은 "지식 조직화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도서관 정보 서비스 전문가들은 새로운 기술과 표준을 적용하는 데 주력하며, 의미 해석이나 분석에는 소홀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Dr. Ch. Tutundjian de Vartavan은 철학에 기반한 새로운 도서관 분류를 제안하기도 했다.[11]
전통적인 인간 기반 활동은 컴퓨터 기반 검색 기술에 의해 도전을 받고 있으며, 서로 다른 접근법의 상대적 기여도를 조사하고 현재의 도전을 재고할 필요성이 있다.
이 분야의 주요 저널은 국제지식조직기구(ISKO)에서 출판하는 [http://www.isko.org/ko.html Knowledge Organization]이다.[12]
2. 1. 전통적 접근
멜빌 듀이(1851–1931)와 헨리 블리스(1870–1955)는 지식 조직화의 초기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들이다.[5] 듀이는 도서관 소장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중점을 두었으며, 1876년에 여러 도서관에서 소장품 관리를 표준화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도서 분류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는 현대 도서관 시스템의 기반이 되었다.[5]블리스는 과학이 자연의 질서를 반영하는 경향이 있으며, 도서관 분류는 과학에 의해 밝혀진 지식의 질서를 반영해야 한다고 보았다.
자연 질서 → 과학적 분류 → 도서관 분류 (KO)
이는 도서관 사서가 책을 분류하기 위해 과학적 발전에 대해 알아야 하며, 사서 교육에도 이러한 내용이 반영되어야 함을 시사한다.[5]
전통적인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은 원칙들을 중요하게 여긴다.
오늘날에도 문헌정보학(LIS) 분야에서 100년 이상 연구 개발을 거친 후에도 "전통적인" 접근 방식은 지식 조직화(KO)에서 여전히 강력한 입지를 차지하고 있으며, 여러 면에서 그 원칙이 여전히 지배적이다.
2. 2. 패싯 분석 접근
S. R. 랑가나탄이 1933년에 콜론 분류법을 출판하면서 패싯 분석 접근 방식이 시작되었다.[11] 이 접근 방식은 특히 영국의 분류 연구 그룹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다.패싯 분석은 '분석-종합'적 방법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여기서 "분석"은 각 주제를 기본 개념으로 분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종합"은 관련 단위와 개념을 결합하여 해당 정보 패키지의 주제를 설명하는 것이다.
주어진 주제(예: 책 제목)는 먼저 "패싯"이라고 하는 몇 가지 일반적인 범주로 분석된다. 랑가나탄은 PMEST 공식, 즉 인격, 물질, 에너지, 공간, 시간을 제안했다.
- '''인격'''은 주제의 특징을 나타낸다.
- '''물질'''은 주제를 구성하는 물리적 재료이다.
- '''에너지'''는 주제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모든 작용이다.
- '''공간'''은 주제 위치의 지리적 구성 요소이다.
- '''시간'''은 주제와 관련된 기간이다.
이러한 패싯 분석 접근 방식은 "근대적인 분류 이론"의 주요한 축을 이루고 있다.
2. 3. 정보 검색(IR) 전통
1950년대에 시작된 크랜필드 실험과 1992년부터 시작된 TREC 실험은 정보 검색 시스템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크랜필드 실험에서는 "재현율"과 "정밀도"를 시스템 효율성 평가 기준으로 도입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UDC나 면분류 체계와 같은 전통적인 분류 시스템이 자유 텍스트 검색이나 낮은 수준의 색인 시스템(UNITERM)보다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엘리스(1996, 3–6)에 따르면 크랜필드 I 테스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1]시스템 | 재현율 |
---|---|
UNITERM | 82.0% |
알파벳순 주제어 | 81.5% |
UDC | 75.6% |
면분류 체계 | 73.8% |
이러한 결과에 대한 비판과 의문도 제기되었지만, 정보 검색(IR) 전통은 더 큰 영향력을 얻게 되었고, 도서관 분류 연구는 영향력을 잃었다. 지배적인 경향은 오직 통계적 평균만을 고려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통제된 어휘와 같은 다른 종류의 표현이 재현율과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특정 종류의 질문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11]
2. 4. 사용자 중심 및 인지적 관점
사용자 중심 접근 방식은 사용자의 정보 요구와 검색 행태를 분석하여 지식 조직화 시스템을 설계하는 방식이다. 사용자 연구 결과, 사용자들이 분류 표기법 기반 시스템보다 언어 기반 검색 시스템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1]포크소노미는 사서나 주제 전문가가 아닌 사용자가 직접 정보 자원에 태그를 붙여 분류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참여를 통해 지식 조직화를 수행하는 새로운 방식이다.[11]
2. 5. 서지학적 접근
서지학적 접근은 서지 참조를 사용하여 논문 간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주로 서지 결합(Kessler, 1963년에 소개됨) 또는 동시 인용 분석(Marshakova, 1973 및 Small, 1973에서 독립적으로 제안됨)을 사용한다.[8] 최근에는 서지학적 지도를 통해 연구 분야의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지식 조직화에 대한 서지학적 접근 방식을 고려할 때 두 가지 중요한 점이 있다.
# 색인 심도의 수준은 각 문서에 할당된 용어의 수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정된다. 인용 색인에서 이는 주어진 논문의 참조 수에 해당한다. 평균적으로 과학 논문은 10~15개의 참조를 포함하며, 이는 상당히 높은 수준의 심도를 제공한다.
# 접근점 역할을 하는 참조는 최고 수준의 주제 전문 지식, 즉 최고의 저널에 글을 쓰는 전문가에 의해 제공된다. 이러한 전문 지식은 도서관 카탈로그나 서지 데이터베이스가 일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준보다 훨씬 높다.
2. 6. 도메인 분석 접근
도메인 분석은 특정 문서의 색인이 특정 사용자 그룹이나 특정한 목적에 맞게 지식을 조직해야 한다는 사회학적-인식론적 관점이다. 다시 말해, 지식 표현은 객관적이거나 중립적일 수 없으며, 특정 상황에서의 적합성을 고려해야 한다.닌 코흐가 설립한 덴마크 도서관 KVINFO는 이러한 도메인 분석 접근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닌 코흐는 코펜하겐 왕립 도서관에서 근무하면서 여성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개인적으로 여성학 관련 서적의 목록 카드를 수집하여 별도의 분류 체계를 개발했다. 이는 특정 사용자 집단(페미니스트 학자)의 정보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식 조직화 방식이 달라져야 함을 보여준다. 왕립 도서관의 체계적인 목록은 모든 사용자에게 관련 서적을 식별할 수 있다고 가정했지만, 페미니스트 학자들에게는 다른 관점의 조직 시스템이 필요했던 것이다.
도메인 분석은 지식 조직화(KO)의 인식론적 문제를 검토해 왔다. 즉, KO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식에서 이루어진 가정을 비교하고, KO의 주관성과 객관성에 관한 질문을 검토한다. 주관성은 개인의 차이가 아니라, 많은 사용자가 공유하는 집단적 견해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예술 분야에서는 다양한 예술에 대한 견해가 존재하며, 이러한 견해는 예술 작품이 전시회에서 구성되는 방식 및 예술에 대한 글이 도서관에서 구성되는 방식 등을 결정한다.
참조
[1]
서적
The Organization of Information
Libraries Unlimited
2018
[2]
논문
Factors influencing members' knowledge sharing and creative performance in coworking spaces
2020
[3]
논문
Impact of knowledge management enablers on knowledge sharing
2017
[4]
논문
Looking beyond knowledge sharing: an integra-tive approach to knowledge management culture
2017
[5]
서적
The DDC, the Universe of Knowledge, and the Post-Modern Library
Forest Press
1998
[6]
간행물
Principles of book classification
1911–1912
[7]
논문
Literary warrant
2018
[8]
저널
System of Document Connections Based on References
http://garfield.libr[...]
1973
[9]
서적
Information Anxiety
Doubleday
1989
[10]
저널
LATCH: a syllabus design for EFL instruction in CALL
1998-10
[11]
웹사이트
The Organization of Human Knowledge: Systems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http://www.rchoetzle[...]
2007
[12]
웹사이트
Knowledge Organization
http://www.isko.org/[...]
[13]
웹사이트
Lifeboat for Knowledge Organization
http://www.db.dk/bh/[...]
[14]
논문
知識の組織化とは何か? 知識の組織化。理論、分類、目録及び知識表現への優れた国際ジャーナル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