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인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인진은 1991년에 프로 복싱 선수로 데뷔하여 1994년 밴텀급 한국 챔피언, 1995년 동양 챔피언에 올랐다. 2004년에는 WBC 페더급 챔피언을 획득했으며, 2007년 K-1으로 전향하여 킥복싱 선수로도 활동했다. 프로 복싱 통산 전적은 31승(18 KO) 1무 3패이며, 킥복싱 전적은 2전 1승 1패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더급 권투 세계 챔피언 - 매니 파키아오
매니 파키아오는 1990년대부터 2020년대에 걸쳐 8체급을 석권한 필리핀의 복싱 선수이자 정치인, 배우로, 빈곤을 극복하고 복싱으로 8개 체급 세계 타이틀을 획득하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웠으며 정치인으로도 활동했다. - 페더급 권투 세계 챔피언 - 바실 로마첸코
우크라이나의 프로 복싱 선수인 바실 로마첸코는 아마추어 무대에서 압도적인 전적과 올림픽 금메달 2회 등의 업적을 달성하고, 프로로 전향 후 복싱 역사상 가장 빠른 3체급 석권이라는 위업을 달성했으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에는 조국을 위해 영토 방위대에 합류하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남자 킥복싱 선수 - 최용수 (권투 선수)
최용수는 WBA 슈퍼페더급 챔피언을 지낸 대한민국의 전 프로 복싱 선수이자 K-1 선수, 현재는 프로모터로 활동하며 복싱 짐을 운영하고 후진을 양성하고, 은퇴 후 12년 만에 복싱 경기에 복귀하여 승리하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남자 킥복싱 선수 - 김민수 (격투기 선수)
김민수는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로서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은메달을 획득하고, 킥복싱 및 종합격투기 선수, 방송인으로도 활동했으며, 은퇴 후에는 방송 출연 및 유도 지도자로 활동하고 있다. - 페더급 권투 선수 - 토냐 하딩
토냐 하딩은 미국의 전직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미국 여자 선수 최초로 트리플 악셀을 성공시키고 1991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나, 1994년 낸시 케리건 폭행 사건에 연루되어 선수 자격을 박탈당했다. - 페더급 권투 선수 - 하카마다 이와오
하카마다 이와오는 1966년 살인 사건의 용의자로 체포되어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재심을 통해 석방되었고, 2024년 무죄 판결을 받아 무죄가 확정되었으며, 세계에서 가장 오랫동안 사형수로 수감된 사람이다.
지인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별칭 | 해당 정보 없음 |
체급 | 밴텀급 슈퍼 밴텀급 페더급 |
신장 | 170 cm |
리치 | 170 cm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일 | 1973년 7월 18일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스타일 | 오소독스 |
전적 | |
총 경기 수 | 35 |
승리 | 31 |
KO 승리 | 18 |
패배 | 3 |
무승부 | 1 |
무효 경기 | 해당 정보 없음 |
2. 생애 및 선수 경력
지인진은 1991년 프로 선수로 데뷔하여 1994년 밴텀급 한국 챔피언, 1995년 동양 챔피언에 올랐다.[1] 2004년 세계복싱평의회(WBC) 페더급 챔피언을 획득했다.[1]
2007년 1월 도쿄에서 열린 3차 방어전에서 고시모토 다카시에게 판정패해 타이틀을 잃었으나, 11개월 후 서울 충무아트홀에서 열린 도전전에서 멕시코의 로돌프 로페스를 꺾고 챔피언 벨트를 되찾았다.[1][2]
2007년 7월 타이틀을 자진 반납하고 K-1으로 전향했으며, 2008년 2월 24일 K-1 아시아 맥스 서울대회에서 가지와라 류지를 꺾고 승리했다.[1] 프로복싱 통산 전적은 31승(18 KO) 1무 3패이다.[1]
2. 1. 권투 선수 경력
지인진은 1991년 프로 선수로 데뷔하여 1994년 밴텀급 한국 챔피언, 1995년 동양 챔피언에 올랐다.[1] 2004년에는 세계복싱평의회(WBC) 페더급 챔피언을 획득하였다.[1]2007년 1월 도쿄에서 열린 3차 방어전에서 고시모토 다카시에게 판정패하며 타이틀을 잃었고, 한국 남자 프로 복싱은 무관으로 전락했다.[1] 그러나 11개월 후인 12월 17일 서울 충무아트홀에서 열린 도전전에서 멕시코의 로돌프 로페스를 심판 전원 일치 판정으로 꺾고 챔피언 벨트를 되찾았다.[1][2]
2007년 7월 타이틀을 자진 반납하고 K-1으로 전향했으며, 2008년 2월 24일 K-1 아시아 맥스 서울대회에서 가지와라 류지를 꺾고 승리했다.[1] 프로복싱 통산 전적은 31승(18 KO) 1무 3패이다.[1]
지인진의 주요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2. 2. 킥복싱 선수 경력
2007년 7월 31일, 지인진은 세계복싱평의회(WBC) 타이틀을 반납하고 K-1 킥복싱에 참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2008년 2월 24일, 서울에서 열린 K-1 Asia MAX 2008에서 K-1 파이터로 데뷔하여, 연장전에서 가지와라 류지를 3-0 만장일치 판정으로 꺾었다.
번호 | 날짜 | 결과 | 상대 | 대회 | 방식 | 라운드 | 시간 |
---|---|---|---|---|---|---|---|
2 | 2009년 3월 20일 | 패 | 신고 가류 | K-1 어워드 & 맥스 코리아 2009, 대한민국 | 판정 (만장일치) | 3 | 3:00 |
1 | 2008년 2월 24일 | 승 | 가지와라 류지 | K-1 아시아 맥스 2008 in 서울, 대한민국 | 판정 (연장) | 4 | 3:00 |
지인진은 1991년 프로 선수로 데뷔하여 1994년 밴텀급 한국 챔피언, 1995년 동양 챔피언을 거쳐 2004년 세계복싱평의회(WBC) 페더급 챔피언에 올랐다. 2007년 1월 고시모토 다카시에게 판정패하며 타이틀을 잃었으나, 같은 해 12월 로돌프 로페스를 꺾고 챔피언 벨트를 되찾았다. 2007년 7월 타이틀 반납 후 K-1으로 전향, 2008년 K-1 아시아 맥스 서울대회에서 가지와라 류지를 상대로 승리했다. 프로복싱 통산 전적은 31승(18KO) 1무 3패이다.
3. 주요 전적
3. 1. 프로 권투 전적
번호 | 결과 | 기록 | 상대 | 형태 | 라운드, 시간 | 날짜 | 장소 | 비고 |
---|---|---|---|---|---|---|---|---|
35 | 승 | 31–3–1 | 로돌포 로페스 | 판정승 | 12 | 2006년 12월 17일 | 충무아트홀한국어, 서울, 대한민국 | WBC 페더급 타이틀 획득[2] |
34 | 패 | 30–3–1 | 고시모토 다카시 | 판정패 | 12 | 2006년 1월 29일 | 구덴 체육관일본어, 후쿠오카, 후쿠오카, 일본 | WBC 페더급 타이틀 상실[1] |
33 | 승 | 30–2–1 | 토미 브라운 | 판정승 | 12 | 2005년 1월 30일 | 그랜드 힐튼 컨벤션 홀한국어, 서울, 대한민국 | WBC 페더급 타이틀 방어 |
32 | 승 | 29–2–1 | 스가마 에이이치 | TKO | 10 (12), 1:04 | 2004년 7월 24일 | 메리어트 호텔한국어, 서울, 대한민국 | WBC 페더급 타이틀 방어 |
31 | 승 | 28–2–1 | 마이클 브로디 | KO | 7 (12), 2:36 | 2004년 4월 10일 | M.E.N. 아레나영어, 맨체스터, 잉글랜드 | 공석인 WBC 페더급 타이틀 획득 |
30 | 무 | 27–2–1 | 마이클 브로디 | MD | 12 | 2003년 10월 18일 | M.E.N. 아레나영어, 맨체스터, 잉글랜드 | 공석인 WBC 페더급 타이틀 매치 |
29 | 승 | 27–2 | 아몬 롱시리품 | TKO | 4 (10) | 2003년 7월 2일 | 인천실내체육관한국어, 인천, 대한민국 | align=left | |
28 | 승 | 26–2 | 양성수 | 판정승 | 10 | 2003년 2월 18일 | 당진한국어, 대한민국 | align=left | |
27 | 승 | 25–2 | 사무엘 듀란 | KO | 3 (12), 3:07 | 2002년 3월 30일 | 구로고등학교한국어, 서울, 대한민국 | align=left | |
26 | 패 | 24–2 | 에릭 모랄레스 | 판정패 | 12 | 2001년 7월 28일 | 스테이플스 센터영어,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 WBC 페더급 타이틀 매치 |
25 | 승 | 24–1 | 도니 올리베티 | TKO | 5 (12), 2:42 | 2000년 12월 8일 | 대진고등학교한국어, 서울, 대한민국 | align=left | |
24 | 승 | 23–1 | 베이비 로로나 주니어 | 판정승 | 10 | 2000년 5월 14일 | 쉐라톤 워커힐 호텔한국어, 서울, 대한민국 | align=left | |
23 | 승 | 22–1 | 앤디 아갈레니오 | KO | 3 (12), 1:40 | 2000년 1월 2일 | 쉐라톤 워커힐 호텔한국어, 서울, 대한민국 | align=left | |
22 | 승 | 21–1 | 룽수린 루콩찬 | KO | 3 (10), 1:40 | 1999년 10월 20일 | 당진초등학교한국어, 당진, 대한민국 | align=left | |
21 | 승 | 20–1 | 싱티프 시츠야세이 | TKO | 5 (10), 2:38 | 1999년 6월 13일 | 쉐라톤 워커힐 호텔한국어, 서울, 대한민국 | align=left | |
20 | 승 | 19–1 | 테오필로 투나카오 | KO | 4 (10), 3:06 | 1999년 3월 26일 | 경륜고등학교한국어, 천안, 대한민국 | align=left | |
19 | 승 | 18–1 | 사미 소딜라 | KO | 3 (10), 2:53 | 1999년 1월 10일 | 리츠칼튼 호텔한국어, 서울, 대한민국 | align=left | |
18 | 승 | 17–1 | 조 에스크리버 | 판정승 | 10 | 1998년 8월 29일 | 리츠칼튼 호텔한국어, 서울, 대한민국 | align=left | |
17 | 승 | 16–1 | 아카랏 코트카에난 | KO | 2 (10), 3:00 | 2010년 5월 8일 | 구리체육관한국어, 구리, 대한민국 | align=left | |
16 | 승 | 15–1 | 비칫 추와타나 | 판정승 | 10 | 1997년 11월 7일 | 구리체육관한국어, 구리, 대한민국 | align=left | |
15 | 승 | 14–1 | 판탄 나롱웨트 | KO | 4 (10), 2:26 | 1997년 8월 21일 | 성남한국어, 대한민국 | align=left | |
14 | 승 | 13–1 | 콜린 그레이엄 | KO | 1 (10), 3:06 | 1997년 2월 5일 | 광양한국어, 대한민국 | align=left | |
13 | 승 | 12–1 | 에디 보이 페나소 | TKO | 4 (10), 2:43 | 1996년 5월 8일 | 서울한국어, 대한민국 | align=left | |
12 | 승 | 11–1 | 알렉산더 박 | 판정승 | 10 | 1996년 1월 13일 | 인천한국어, 대한민국 | align=left | |
11 | 승 | 10–1 | 릭 라미레즈 | KO | 6 (10), 2:21 | 1995년 9월 6일 | 광명한국어, 대한민국 | align=left | |
10 | 승 | 9–1 | 제스 마카 | 판정승 | 12 | 1995년 4월 23일 | 서울한국어, 대한민국 | 공석인 OPBF 밴텀급 타이틀 획득 |
9 | 승 | 8–1 | 잔잔 기가타라스 | TKO | 1 (10), 2:37 | 1995년 2월 8일 | 쉐라톤 워커힐 호텔한국어, 서울, 대한민국 | align=left | |
8 | 승 | 7–1 | 조한길 | 만장일치 | 10 | 1994년 3월 26일 |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한국어, 서울, 대한민국 | 대한민국 슈퍼밴텀급 타이틀 획득 |
7 | 승 | 6–1 | 제스 마카 | 판정승 | 10 | 1993년 7월 25일 | 현대호텔한국어, 경주, 대한민국 | align=left | |
6 | 승 | 5–1 | 로니 벨라로 | 판정승 | 10 | 1993년 2월 6일 | 쿠네타 아스트로돔영어, 파사이, 메트로 마닐라, 필리핀 | align=left | |
5 | 승 | 4–1 | 이갑용 | 판정승 | 8 | 1992년 9월 26일 | 포항체육관한국어, 포항, 대한민국 | align=left | |
4 | 승 | 3–1 | 이갑용 | KO | 5 (6), 2:49 | 1992년 7월 4일 | 시민회관한국어, 인천, 대한민국 | align=left | |
3 | 승 | 2–1 | 최호남 | 판정승 | 4 | 1992년 3월 24일 | 인천실내체육관한국어, 인천, 대한민국 | align=left | |
2 | 승 | 1–1 | 전제윤 | 판정승 | 4 | 1992년 1월 18일 | 시민회관한국어, 원당, 대한민국 | align=left | |
1 | 패 | 0–1 | 박태선 | 판정패 | 4 | 1991년 11월 20일 | 문화체육관한국어, 서울, 대한민국 | align=left | |
3. 2. 프로 킥복싱 전적
번호 | 날짜 | 결과 | 상대 | 대회 | 방식 | 라운드 | 시간 |
---|---|---|---|---|---|---|---|
2 | 2009년 3월 20일 | 패 | 가류 신고 | K-1 어워드 & 맥스 코리아 2009, 대한민국 | 판정 (만장일치) | 3 | 3:00 |
1 | 2008년 2월 24일 | 승 | 가지와라 류지 | K-1 아시아 맥스 2008 in 서울, 대한민국 | 판정 (연장) | 4 | 3:00 |
4. 수상 경력
지인진은 1991년 프로 선수로 데뷔하여 1994년 밴텀급 한국 챔피언, 1995년 동양 챔피언에 올랐다.[1] 2004년 세계복싱평의회(WBC) 페더급 챔피언을 획득했다.[1] 2007년 1월 도쿄에서 열린 3차 방어전에서 고시모토 다카시에게 판정패하여 타이틀을 잃었으나,[1] 11개월 후인 12월 17일 서울 충무아트홀에서 열린 도전전에서 멕시코의 로돌프 로페스를 심판 전원 일치 판정승으로 꺾고 챔피언 벨트를 되찾았다.[1] 2007년 7월 타이틀을 자진 반납하고 K-1으로 전향했으며, 2008년 2월 24일 K-1 아시아 맥스 서울대회에서 가지와라 류지를 꺾고 승리했다.[1] 프로복싱 통산 전적은 31승(18 KO) 1무 3패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KOSHIMOTO UPSETS IN JIN CHI!
http://boxingtalk.co[...]
Boxingtalk
2022-10-13
[2]
웹사이트
Injin Chi Reclaims WBC Title
https://www.boxingsc[...]
Boxingscene
2022-10-13
[3]
웹사이트
Boxer Turns to Mixed Martial Arts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22-1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