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번 (후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번은 후한 시대의 인물로, 어려서부터 천하를 향한 뜻을 품고 효렴으로 천거되었으나 모친상으로 관직을 버렸다. 이후 여러 관직을 거치며 직언을 서슴지 않고 소신을 지키다 여러 차례 좌천과 복귀를 반복했다. 환제 시기에는 환관에 맞서 이응 등을 변호하며 면직되었고, 영제 시기에는 두무와 함께 환관 세력을 제거하려다 실패하여 체포되어 살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8년 사망 - 후한 환제
    후한 환제는 외척과 환관 세력의 갈등 속에서 통치하며 당고의 금으로 정치적 혼란을 겪었고, 사후에는 영제가 즉위했다.
  • 168년 사망 - 주경 (후한)
    주경은 후한의 관료로, 양기의 천거로 관직 생활을 시작해 여러 관직을 거쳐 사공과 태위를 역임했으며, 환관들의 비행을 탄핵하다 파면 후 영제 옹립에 참여한 공로로 안양향후에 추증되었다.
  • 후한의 태부 - 마일제
    마일제는 후한 말 유학자이자 관료로, 희평석경 편찬에 참여하고 동탁 집권 시 태위로 임명되었으며, 이각과 곽사 정권 하에서 태부와 녹상서사를 지내다 원술에게 모욕을 당하고 사망했다.
  • 후한의 태부 - 유우 (후한)
    유우는 후한 말기 청렴하고 자비로운 통치로 명성을 얻어 이민족과 외국 왕국들로부터 존경을 받았으나, 군벌 공손찬과의 갈등 끝에 피살되어 공손찬의 몰락에 영향을 미친 관료이자 군벌이다.
  • 당고의 화 - 곽태
    곽태는 후한 시대의 학자로, 굴백언에게 학문을 배우고 이응과 교류하며 명성을 얻었으며, 사도 황경의 초빙을 거절하고 교육에 전념하여 제자 1,000명을 배출했으며, 채옹은 그의 비문만이 부끄럽지 않다고 평했다.
  • 당고의 화 - 순상
    순상은 후한 말 순숙의 아들로 유교 경전에 통달한 학자이자 관료였으며, 동탁에 의해 사공까지 올랐으나 동탁 제거를 모의하다 병사한 후 혼란한 시대 속에서 학문적 추구와 정치적 이상 사이에서 고뇌했던 인물로 평가받는다.
진번 (후한)
기본 정보
진번의 초상화
진번의 초상화
진 (陳)
번 (蕃)
중거 (仲舉)
생몰년104년 ~ 168년
출생지여남 평여현 (汝南 平輿縣)
사망지낙양
관직
최종 관직태위 (太尉), 태부 (太傅)
가문
가족증조부: 이름 미상
할아버지: 진준
아버지: 진휴
인물 정보
시대후한
주요 업적환관 정치에 대한 비판

2. 생애

진번은 할아버지가 하동 태수를, 아버지가 양보(梁父令)을 지낸 명문가 출신으로, 15세 때부터 천하를 향한 뜻을 품었다. 군에 출사하여 효렴으로 천거되고 낭중(郞中)이 되었으나, 모친상을 당하여 관직을 버렸다. 상을 마친 후 예주자사 주경이 별가종사(別駕從事)로 초빙하였으나, 주경과 의견이 맞지 않아 응하지 않았다. 이후 다른 초빙에도 응하지 않았다.

훗날 태위 이고의 초빙에 응하여 의랑(議郞)이 되고, 낙안태수로 전임되었다. 낙안군이 속한 청주이응이 다스렸는데, 모두 이응 앞에서 한 발 물러섰으나 진번은 당당하게 행동했다. 군에는 주구(周璆)라는 고결한 선비가 있었는데, 오직 진번만이 그와 교류하였다. 예장 태수 시절에는 서치라는 은사를 숭경하여, 평소 빈객을 좋아하지 않았지만 서치를 위해서만 의자를 특별히 마련했고, 그가 돌아가면 의자를 치웠다고 한다. 또한 조선(趙宣)이라는 자가 효행으로 명성을 떨쳤으나, 상중에 5명의 자식을 낳은 것을 알고 오히려 벌하였다.[11]

대장군 양기가 진번의 평판을 듣고 사자를 보내 초빙하려 했으나, 진번은 사자를 매질하여 죽였다. 좌천되었으나 곧바로 상서(尙書)에 임명되었다. 중앙에서도 직언을 서슴지 않아 예장태수로 좌천되었으나, 예장에서도 성품은 변하지 않았다. 얼마 후 상서령(尙書令)이 되어 중앙으로 복귀하였다.

이후 대홍려가 되었다. 백마 현령 이운이 환제에게 직간하다 죽을 위기에 처하자, 진번은 이운을 변호하여 면직되었다. 향리로 돌아갔으나 다시 초청되어 광록훈이 되었다. 포상 남발과 사냥을 멈출 것을 간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참언을 받아 면직당하였다.

상복야(尙僕射)로 복귀하여 간의대부(諫議大夫)가 된 후 양병의 후임으로 태위가 되었다. 진번은 이를 고사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당시 하남윤이었던 이응이 환관들과 대립하여 탄압받자(당고의 금), 진번은 이응 일파를 변호하였고, 참언을 받아 또다시 면직당하였다.

2. 1. 환제 시기

환제는 진번의 조언이 불편하다고 여겨, 진번이 추천한 관리들이 직책에 부적합하다는 이유로 진번을 해임했다.[10]

2. 2. 영제 시기

환제가 붕어하자, 진번은 태부·녹상서사(錄尙書事)에 임명되었으며, 환제의 뒤를 이은 영제를 맞이하여 대장군 두무와 함께 정권을 잡았다.[11] 이때 진번은 후람·조절 등으로 이루어진 환관 세력을 두무와 함께 제거하려 하였으나, 오히려 환관들의 역습을 받아 두무는 주살당하였고 진번은 포박당하였으며,[11] 투옥된 후 곧바로 처형당하였다.[11]

환제가 붕어하기 전, 황후 등맹녀가 폐위된 후, 진번은 두묘 (대장군 두무의 딸)의 출신 배경이 높음을 이유로, 두묘를 새로운 황후로 추천했다. 환제가 붕어하자, 진번은 황태후가 된 두묘에게 소환되어 태부·녹상서사에 임명되었다. 환제의 후계로 유굉 (영제)을 맞이하여 두무와 협력하여 정치를 펼쳤다. 후람·조절과 같은 환관 세력을 제거하려 했지만, 환관 세력의 역습을 받아 두무는 주살되었고, 진번은 동료 80명 정도를 데리고 항의를 위해 입궐하여 환관 왕보를 매도하다가 체포되었다. 투옥되자 즉시 살해되었다. 나이는 70세가 넘었다고 한다.

3. 평가

진번은 당대의 명사로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환관 세력에 맞서 싸우다 죽임을 당한 점은 후대에 큰 귀감이 되었다. 그러나 지나치게 강직한 성격으로 인해 융통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도 일부 존재한다. 진번의 생애는 후한 말기의 혼란한 정치 상황 속에서, 부패와 권력 남용에 맞서 싸운 지식인의 전형을 보여준다. 당고의 옥과 환관 세력과의 대립은 그의 강직함과 정의로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1]

3. 1. 당대의 평가

이고의 초빙으로 의랑이 되었고, 낙안 태수로 전임되었다. 낙안군이 있는 청주 자사는 이응이었는데, 모두 이응 앞에서 한 발 물러섰지만 진번만은 당당했다. 군에 주구라는 고결한 선비가 있었지만, 진번만이 교류할 수 있었다. 예장 태수 시절 서치라는 은사를 존경하여, 평소 빈객을 좋아하지 않았음에도 서치를 위해 특별히 의자 하나를 마련했고, 그가 돌아가면 의자를 치웠다고 한다. 또한, 조선이라는 인물이 효로 평판이 높았지만, 진번은 조선이 복상 기간 중에 5명의 자식을 낳은 것을 꾸짖어 오히려 죄를 주었다.[1]

대장군 양기는 진번의 평판을 듣고 사자를 보내 초빙하려 했지만, 진번은 사자를 매질하여 죽였다. 좌천되었다가 곧 상서가 되었고, 중앙에서도 직언을 멈추지 않았기 때문에 예장 태수로 좌천되었다. 예장에서도 고결하고 사람을 가까이하지 않는 성격은 변하지 않았다. 곧 상서령으로 중앙에 복귀했다.[1]

대홍려가 되었지만, 백마 현령 이운이 직간하여 환제의 불만을 사서 죽을 뻔하자, 진번은 이운을 변호하여 면직되었다. 시골로 돌아갔지만, 의랑으로 다시 소환되어 광록훈이 되었다. 봉상(封賞)의 남발과 사냥 놀이의 유행을 엄하게 간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황완과 함께 선거를 맡았지만, 권력자에게 아첨하는 짓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참소를 받아 면직되었다.[1]

상서 복야로 복귀, 태중대부가 되었고, 양병의 후임 태위가 되었다. 진번은 굳게 사퇴했지만 허락되지 않았다. 하남윤이 되어 있던 이응 등이 환관과 대립하여 탄압을 받게 되자(당고의 금), 진번은 이응 등을 옹호하며 간언을 계속하다가 면직되었다.[1]

황후 등맹녀가 환제에게 폐위된 후, 진번은 두묘(대장군 두무의 딸)의 출신 배경이 높다는 이유로 두묘를 새로운 황후로 추천했다. 환제가 붕어하자, 진번은 황태후가 된 두묘에게 소환되어 태부·녹상서사에 임명되었다. 환제의 후계로 영제를 맞이하여 두무와 협력하여 정치를 펼쳤다. 후람, 조절과 같은 환관 세력을 제거하려 했지만, 환관 세력의 역습을 받아 두무는 주살되었고, 진번은 동료 80명 정도를 데리고 항의를 위해 입궐하여 환관 왕보를 매도하다가 체포되었다. 투옥되자 즉시 살해되었으며, 향년 70세가 넘었다고 한다.[1]

3. 2. 후대의 평가

진번은 당대의 명사로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환관 세력에 맞서 싸우다 죽임을 당한 점은 후대에 큰 귀감이 되었다. 그러나 지나치게 강직한 성격으로 인해 융통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도 있다.

  • 당고의 옥: 진번은 이응 등 청류파 인사들이 환관 세력에 의해 탄압받는 사건(당고의 금)에서 이들을 옹호하다 면직되었다. 이는 그의 강직함과 정의로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 환관 세력과의 대립: 진번은 후람, 조절 등 환관 세력을 제거하려다 실패하고 죽임을 당했다. 이는 진번이 권력에 굴하지 않고 부패에 맞서 싸운 인물임을 보여준다.
  • 강직한 성품: 진번은 지나치게 강직하고 고결한 성격으로 인해 융통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예장 태수 시절, 복상 기간 중 자식을 낳은 조선에게 죄를 준 일화는 이러한 성격을 잘 보여준다.

4. 가족 관계


  • 아버지 : 진흠(陳欽)
  • 아들 : 진일陳逸|진일중국어
  • 친구 : 주진朱震|주진중국어

5. 기타

진번은 강직한 성품으로 유명했으며, 여러 일화를 남겼다.


  • 관직 생활:
  • 조부는 하동 태수를 지냈다.
  • 15세에 천하에 뜻을 품고 군에 출사하여 효렴, 낭중을 지냈다.
  • 어머니 상으로 벼슬을 물러났다가 복귀 후 예주 자사 주경의 초빙을 거절했다.
  • 태위 이고의 초빙으로 의랑, 낙안 태수를 역임했다.
  • 청주 자사 이응에게도 굽히지 않았고, 고결한 선비 주구와 교류했다.
  • 대장군 양기의 초빙을 거절하며 사자를 매질해 죽였다.
  • 상서, 예장 태수를 거쳐 상서령으로 중앙에 복귀했다.
  • 대홍려 시절 백마 현령 이운을 변호하다 면직되었다.
  • 광록훈으로 복직했으나 봉상 남발과 사냥 유행을 간하다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 황완과 선거를 담당하며 권력에 아첨하지 않아 참소당해 면직되었다.
  • 상서 복야, 태중대부를 거쳐 양병의 후임 태위가 되었으나 사양했다.
  • 당고의 금으로 탄압받는 이응 등을 옹호하다 면직되었다.
  • 황후 등맹녀 폐위 후 두묘를 황후로 추천했다.
  • 환제 사후 태부·녹상서사에 임명되어 두묘와 함께 영제를 옹립했다.
  • 환관 세력 제거를 시도하다 두무는 주살되고, 진번은 항의 중 체포되어 살해되었다(향년 70세 이상).

  • 아들 진일: 진번의 친구 주진에게 의탁 후 기주 자사 왕분의 영제 폐립 계획에 가담했다.

5. 1. 서치와 관련된 일화

진번은 예장 태수 시절, 서치라는 은사를 숭상했다. 그는 평소 빈객을 좋아하지 않았지만, 서치를 위해서는 특별히 의자 하나를 마련해 두었다. 서치가 돌아가면 그 의자는 치워졌다.[2]

5. 2. 조선과 관련된 일화

예장 태수 시절 서치라는 은사를 숭상했다. 진번은 평소 빈객을 좋아하지 않았지만, 서치를 위해서는 특별히 의자 하나를 마련해 두었다. 서치가 돌아가면 그 의자는 치워졌다. 또한, 조선이라는 인물이 효로 평판이 높았지만, 진번은 조선이 복상 기간 중에 5명의 자식을 낳은 것을 꾸짖고 오히려 벌을 주었다.[1]

참조

[1] 서적 Book of the Later Han
[2] 서적 Book of the Later Han
[3] 서적 Houhanshu
[5] 문서
[6] 서적 Houhanshu
[7] 서적 Houhanshu
[8] 서적 Houhanshu
[9] 서적 Houhanshu
[10] 서적 Houhanshu
[11] 문서 상을 치르는 중에 성관계를 갖는 것 자체가 금기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