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도마뱀붙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집도마뱀붙이는 몸길이 75~150mm의 도마뱀붙이과 파충류로, 꼬리가 몸길이의 약 절반을 차지한다. 회색에서 암갈색까지 다양한 등면을 가지며, 주로 야행성이지만 낮에도 체온 조절을 위해 햇볕을 쬔다.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지역으로 확산되었고, 도시 환경을 선호하며 곤충을 잡아먹는다. 외래종으로서 토착 도마뱀붙이류와의 경쟁, 질병 전파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다양한 미신과 민속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집도마뱀붙이는 40개 또는 46개의 염색체를 가지며, 이는 분류 개정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집도마뱀붙이속 - 납작꼬리집도마뱀붙이
납작꼬리집도마뱀붙이는 몸 양 옆의 피막으로 활공하는 도마뱀붙이의 일종으로, 회갈색 또는 옅은 갈색을 띠며 불규칙한 반점이나 줄무늬가 있고, 꼬리 측면의 피막은 활공 시 방향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집도마뱀붙이속 - 비늘도마뱀붙이
비늘도마뱀붙이는 짧고 뚱뚱한 체형에 노란색 홍채를 가진 야행성 도마뱀붙이로, 인도 남부와 스리랑카 북서부의 반건조 지대와 건조한 개활지에 서식하며, 수컷은 영역 다툼 시 짹짹 소리를 내고, 계통학적 분석을 통해 집도마뱀붙이속으로 분류되었다. - 1836년 기재된 파충류 - 도마뱀붙이
도마뱀붙이는 발가락 밑판으로 수직면을 이동하는 몸길이 10~14cm의 야행성 파충류로, 한국, 일본, 중국 동부 등에 분포하며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었고, 곤충을 먹으며 민가 주변에 서식하고, 길조 또는 불쾌한 생물로 여겨지거나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한다. - 1836년 기재된 파충류 - 킹코브라
킹코브라는 열대 아시아에 서식하며 뱀을 주식으로 하는 킹코브라속의 맹독성 뱀으로, 몸길이가 최대 5.85m에 달하는 세계에서 가장 긴 독사 중 하나이며, 위협 시 몸을 세우고 후드를 펼치는 특징을 가진 보호가 필요한 종이다. - 필리핀의 파충류 - 바다거북
푸른바다거북은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양에 서식하며, 어린 개체는 육식, 성체는 초식으로 잘피밭 등 얕은 연안 해역을 주요 서식지로 삼지만, 남획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으며 불법 포획, 혼획, 서식지 파괴, 해양 오염 등의 위협이 여전히 존재한다. - 필리핀의 파충류 - 물왕도마뱀
물왕도마뱀은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반수생 생활을 하는 왕도마뱀과에 속하는 파충류의 일종으로,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위협받아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대상으로 분류된다.
집도마뱀붙이 | |
---|---|
기본 정보 | |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 |
강 | 파충류 |
목 | 뱀목 |
아목 | 도마뱀아목 |
하목 | 도마뱀붙이하목 |
과 | 도마뱀붙이과 |
아과 | 도마뱀붙이아과 |
속 | 나키야모리속 |
종 | 호오글로야모리 |
학명 | Hemidactylus frenatus |
명명자 | 오귀스트 뒤메릴, 가브리엘 비브론, 1836 |
이명 | Lacerta gecko Linnaeus, 1758 |
한국어 이름 | 집도마뱀붙이 |
영어 이름 | Common House Gecko, Asian House Gecko |
분포 및 서식지 | |
![]() | |
서식지 |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의 주거 지역 |
형태 | |
크기 | 7.5 ~ 15 cm |
보존 상태 | |
IUCN 적색 목록 | LC (관심 필요) |
IUCN 평가자 | Ota, H. & Whitaker, A.H. 2010 |
IUCN 링크 | IUCN Red List |
생태 | |
특징 | 야행성이며, 곤충을 잡아먹음. 벽이나 천장에 붙어 다닐 수 있음. |
2. 형태
집도마뱀붙이는 몸길이가 75-150mm 정도이며, 이 중 꼬리가 약 절반을 차지한다.[44] 몸은 납작하고 머리는 긴 달걀 모양이다.[44] 등면은 회색에서 암갈색까지 다양하며, 암색 반점이나 줄무늬가 있는 경우도 있다.[44] 머리 측면에는 눈을 통과하여 앞뒤로 뻗는 옅은 색의 줄무늬가 있으며, 그 부분의 복면 측과 배면 측 가장자리는 흑갈색으로 채색되어 있다.[44] 복면은 황백색 또는 회백색을 띤다.[44]
집도마뱀붙이는 외온성("냉혈") 동물이며 다양한 행동을 통해 체온을 조절한다.[68] 이러한 생리적 특징은 도입종으로서의 분포, 원종과의 상호작용 방식, 번식 성공에 영향을 미친다.
집도마뱀붙이는 도마뱀붙이과에 속한 다른 도마뱀붙이류와 비슷한 생식샘 구조를 가지고 있다.[73] 40mm 이상의 집도마뱀붙이는 생식샘이 구별되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성을 구별할 수 있다.[30] 분화된 생식샘은 수컷의 생식기로 인해 총배설강의 입구가 부풀어오를 때 제일 뚜렷하게 볼 수 있다. 암컷은 한 번에 최대 두 개의 껍질이 단단한 알을 산란하며, 각각은 하나의 산란관에서 떨어져나온다.[73][30] 난소들 안에는 발달과정이 각기 다른 네 개의 알까지 존재할 수 있다. 이는 임신한 암컷이 다음 산란이 준비될 때까지 필요한 시간을 줄여준다.[73] 암컷은 주기 당 난소마다 하나의 알을 만들어내는데, 이는 암컷이 단일자동지속성 배란성(monoautochronic ovulatory)을 띤다고 여겨진다는 것을 의미한다.[74][31]
집도마뱀붙이는 다양한 울음소리를 통해 의사소통한다.[77] 마르첼리니(Marcellini)는 이들이 세 종류의 울음소리를 각기 다른 용도로 사용한다고 주장했다.[77]
머리부터 몸통 등쪽은 작은 알갱이 모양의 비늘로 덮여 있고, 그 사이에 대형 과립상의 비늘이 드문드문 섞여 있다.[44] 꼬리에는 가시 모양의 돌기가 줄지어 있는 고리 모양의 홈이 여러 개 있지만,[47] 꼬리가 잘렸다가 재생된 경우에는 이러한 특징이 나타나지 않는다.[48] 발가락에는 물갈퀴가 없고, 모든 발가락 끝에 발톱이 있다.[44] 발가락 뒷면에는 흡반(지판)이 발달해 있으며, 좌우로 나뉘어 있어 발가락 아랫면 거의 전체를 덮는다.[45]
3. 습성
대사적 요구량은 비슷한 크기의 다른 도마뱀 종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산소 소비량은 다른 열대, 아열대 및 온대 도마뱀붙이 종에서 관찰되는 경향과 일치한다. 26~35도 사이에서는 온도 자체 조절 능력이 어느 정도 있다. 이는 주변 온도가 26~35도일 때, 행동 적응을 통해 체온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최대 온도 이상에서는 호흡률이 온도에 따라 달라지지만, 더 추워지면 온도와 무관해진다.[68] 햇빛을 쬐거나,[69] 앉아있는 곳의 재질을 고르는 등의 행동적 체온 조절 기제가 있다.[26]
집도마뱀붙이는 주로 야행성이지만, 낮에도 체온 조절을 위해 햇볕을 쬐기도 한다.[70][48] 활동성과 기온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71] 일주기 리듬은 광량에도 영향을 받는다.[72] 주로 자정 무렵에 가장 많은 개체가 나타나고, 해질녘 직후에 활동 수준이 가장 높으며, 새벽까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29] 장소별 일일 주기 차이는 인간과의 상호 작용, 구조적 특징과 같은 환경 요인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8] 특히 밤에 켜지는 불빛 근처에서 사냥하는 모습이 자주 관찰되는데, 인공조명에 이끌리는 곤충 등 소형 무척추동물을 쉽게 사냥할 수 있기 때문이다.[45] 거의 암흑의 상황에서도 먹이를 잡을 수 있다.[58]
급격한 기온 변화나 비바람 따위의 악천후는 집도마뱀붙이의 활동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현상이 장기적으로 집도마뱀붙이의 분포와 다른 도마뱀붙이 종과의 경쟁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불확실하다.
암컷은 알의 발달 속도를 높이기 위해 더 높은 온도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데이터는 없다.[70][28]
집도마뱀붙이는 열대, 아열대 환경에 적응해왔기 때문에, 수분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생리적인 적응은 별로 눈에 띄지 않는다. 이는 집도마뱀붙이의 건조, 반건조 지역으로의 진출을 가로막는 요인이 될 수 있다.[68]
4. 번식
정자는 수컷의 고환 안에 연중 내내 존재하며, 암컷은 수란관 안에 정자를 최대 36주 동안 저장할 수 있다.[74][31] 이 덕에 새로운 서식지에 발을 디디면 빠른 시일 내에 번식하여 퍼져나갈 수 있으며, 보다 작은 개체군이 성공적으로 불어나 정착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하지만 암컷이 정자를 오랫동안 보관하다 보면 생존 결과와 부화 확률이 떨어지는데, 아마 정자의 수명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74] 정자는 특히 자궁과, 수란관의 깔때기 모양 기관 사이에 저장된다. 정자를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은 배란, 짝짓기와 산란 사이의 비동시성을 야기한다.[31] 정자 저장 능력은 섬에 진출할 때 유용한데, 암컷이 고립된 환경에 처하여 수컷과 오랫동안 만나지 못하더라도 여러 차례 번식할 수 있게 된다[75][32] 연구소에서 관찰한 결과 집도마뱀붙이는 짝짓기를 할 때마다 최대 7 개의 알무더기를 만들어냈다.[31] 이 덕에 단성생식을 해야 할 이유가 없게 되고, 암수 자식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한 번의 짝짓기로 여러 번 산란할 수 있다. 이렇게 무성생식의 필요성이 감소하면 자손에게 잘 섞인 유전자 특유의 활력과 좀 더 풍부한 다양성을 전달하여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74] 이 뿐 아니라, 양성생식하는 도마뱀붙이는 무성생식하는 도마뱀붙이에 비해 체격이 건장하며 생존률이 높다는 연구가 있다.[76][12]
개체의 크기와 알의 생존가능성 사이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데, 집도마뱀붙이의 덩치가 클수록 알 또한 살아남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더 따뜻한 연중 기온, 안정적인 먹이 수급과 번식 계절성에도 상관관계가 있는데, 집도마뱀붙이는 온도가 꾸준히 따뜻하고 먹이 수급이 잘 되면 복부에 지방을 덜 저장하고, 좀 더 오랫동안 번식기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73][30] 북대동도에서는 번식 시기가 4~9월이다[57]。한 번에 2개의 알을 낳으며, 알에는 점착성이 없다. 연 2~3회 산란한다[45]。
5. 의사소통
이들의 울음소리는 "게코, 게코"와 유사하며, "차크 차크 차크" (보통 6~9번 연속으로 소리 냄)로 묘사되기도 한다.[4] 이 울음소리는 크지 않지만 꽤 잘 들리며, '웃음소리나 새 울음소리와 비슷한 "쿅쿅쿅"하는 소리'[45], '츳츳츳 하고 우는 소리'[55], '박수 소리 같은 소리'[59]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대체로 높고 날카로운 소리로 짧은 소리를 연속해서 낸다.
집도마뱀붙이는 자주 울며,[60] 울음소리에는 몇 가지 유형이 있다. 짧은 지저귐 소리를 빠르게 내는 'Churr' call은 수컷끼리 근접하여 매우 공격적인 만남을 가질 때, 'single chirp'는 공격을 받거나 잡혔을 때, 'multiple chirp' call은 동종 개체 간의 정보 교환, 서로 거리를 두거나 공격하거나, 배우 행동과 관련된 경우 등에 사용된다. 성적으로 성숙한 개체 간에는 서로 울부짖는 경우가 있으며, 수컷이 암컷에게 울부짖고 암컷이 거기에 반응하는 형태가 더 많이 나타난다. 'multiple chirp' call은 수컷의 영역 선언적인 의미로 생각된다. 이러한 울음소리는 낮에도 밤에도 들을 수 있으며, 집도마뱀붙이가 서식하는 지역에서는 익숙한 소리이다.
아시아, 특히 동남아시아에서는 도마뱀붙이들이 내는 소리에서 의성어로 유래된 지역 이름이 있다. 예를 들어, ''Hemidactylus frenatus''는 말레이시아에서 "''chee chak''"[4] 또는 "''chi chak''"(치 촉)으로 불리며, 말레이어 사전에서는 일반적으로 "cicak"으로 표기된다. 필리핀에서는 타갈로그어로 "''butiki''", 비사얀어로 "''tiki''", 일로카노어로 "''alutiit''"라고 불리며, 태국에서는 "''jing-jok''"(จิ้งจกth[5])라고 불린다. 이 외에도 다양한 지역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6. 분포
집도마뱀붙이는 남아시아, 남동아시아가 원산지로 추정되며,[49] 선박 무역 등을 통해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76] 오늘날에는 일본 등의 동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태평양과 인도양의 섬들(모리셔스, 마다가스카르, 몰디브 포함),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중동, 카리브 해안의 섬들에서 발견된다.[76] 특히 열대, 아열대 지방에 많이 서식하며, 다른 ''Hemidactylus'' 종과 생태적으로 유사한 지역에서 공존할 수 있다.[12]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이지만, 의도적 또는 우발적으로 미국의 디프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 남아메리카 및 중앙 아메리카, 도미니카 공화국, 아프리카, 남아시아, 중동(바레인, 요르단, 카타르, 쿠웨이트, 사우디 아라비아, 오만, 아랍 에미리트) 등 여러 국가에 유입되었다. 최근에는 카리브해의 소앤틸리스 제도에도 침입하여 생마르탱 (섬), 생바르텔레미, 신트 외스타티위스, 도미니카, 세인트루시아에도 서식한다.[13][14][15]
일본에서는 류큐 열도와 오가사와라 제도에서 발견된다.[51] 류큐 열도에서는 다카라지마, 키카이 섬, 아마미오 섬 남쪽에서 주로 발견되지만, 아마미오 섬과 키카이 섬에서는 2000년, 다카라지마에서는 2017년에 처음 확인되어 최근에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54]
멕시코에서는 1895년 3월 아카풀코, 게레로 주에서 처음 채집되었고, 1940년대 초에는 널리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현재는 유카탄 반도와 바하칼리포르니아를 포함한 멕시코 저지대 전역에서 발견되며, 멕시코 32개 주 중 21개 주에서 기록이 있다. 멕시코에서는 주로 주택, 호텔 등 건물에서 발견되며, 자연 서식지에서의 보고는 드물다.[16]
이 종은 인가나 그 주변에 서식하기 때문에 인간의 이동에 따라 함께 옮겨지는 경우가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52] 과거에는 폴리네시아인이나 멜라네시아인과 함께 태평양 섬으로 확산되었고(약 4000년 전), 쓰러진 나무 껍질 등에 숨어 섬으로 확산되기도 했다. 그러나 20세기에는 인위적인 확산이 더 광범위하게 일어났을 것으로 유전자 연구를 통해 추측된다.[53] 규슈와 류큐 열도를 잇는 화객선 내에서 채집된 사례는 이러한 경로를 통한 분포 확대 가능성을 보여준다.
광범위한 고도에 적응할 수 있으며, 추운 계절에는 휴면에 들어간다.[76] 기온 변화와 도시화의 진척은 집도마뱀붙이의 분포를 더욱 확대시킬 수 있다.[12] 침입종으로서 토착 도마뱀붙이류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유입 및 서식을 제한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7. 서식지와 식성
집도마뱀붙이는 도시 환경을 선호하며, 인간 거주지 주변에서 자주 발견된다.[80][81][6] 특히 도시의 불빛에 모여드는 곤충을 사냥하는 경향이 있다.[80][6] 빽빽한 숲이나 유칼립투스 삼림지대를 선호하기도 하지만,[82] 주로 도시 구역 내부나 근방에 분포한다.[81]
주로 바퀴벌레, 흰개미, 벌, 말벌, 나비, 나방, 파리, 거미 등 다양한 무척추동물을 먹는다.[80][6] 드물게 동족포식 현상이 관찰되기도 하지만,[83][11] 야생에서는 발견된 바 없다.[83]
위험을 피하기 위해 틈새나 피할 수 있는 곳과 가까운 밝은 지역을 선호하며, 잠재적인 위험에서 즉시 탈출하기 힘들 경우, 늦은 밤에 나타나 이른 아침에 물러나는 행동을 보인다.[71][8]
국내에서는 인가, 자동판매기, 전화 박스 뿐만 아니라 우타키 안쪽의 숲이나 사탕수수 밭에서도 발견된다.[45] 탁 트인 인공림의 수목, 해안의 노두 등에서도 관찰되지만,[48] 인위적인 교란이 적은 숲에서 발견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48] 류큐 열도에서는 가장 흔한 도마뱀붙이로 알려져 있다.[55]
원래 분포 지역에서는 수목이나 바위, 절벽 등 자연적인 환경에서도 많이 관찰된다.[56] 기본적으로 야행성이지만,[58] 오후 늦은 시간대에 햇볕을 쬐는 모습도 볼 수 있다.[48]
곤충 등 소형 무척추동물을 포식하며,[45] 특별한 먹이 기호성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58] 다른 도마뱀붙이류보다 빠르고 행동적인 포식 스타일을 보이며, 불빛 근처에서 먹이를 잡는 모습이 자주 관찰된다.[58] 다른 종의 도마뱀붙이류에게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58] 봄부터 가을 저녁 무렵에 개체 간에 서로 우는 모습을 자주 보인다.[45]
8. 도입 및 외래종 문제
집도마뱀붙이는 열대 아시아, 중앙아메리카, 태평양 섬 지역에서 토착 도마뱀붙이류의 개체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외래종으로 간주된다.[84] 특히 매끈비늘도마뱀붙이,[85][86][87][88] 인도태평양도마뱀붙이,[85][86][87][88] 마스카렌 제도의 가는가락도마뱀붙이류(세 종은 멸종된 것으로 추정)[89] 등과 경쟁 관계에 있다.
집도마뱀붙이가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우선 덩치 차이에서 비롯된 경쟁 우위가 있다. 집도마뱀붙이는 굵은벨벳도마뱀붙이와 같이 자신보다 큰 종은 대체하지 못한다.[92] 또한 수컷 집도마뱀붙이는 다른 종의 암컷, 특히 단위생식하는 종의 암컷에게 높은 공격성을 보인다.[86] 성적으로 흥분한 암컷이 짝짓기에 무관심한 암컷보다 더 공격적이라는 점도 경쟁 우위를 설명하는 요인 중 하나다.[86]
이러한 요소들은 서식지가 파편화된 도시 구역에서 집도마뱀붙이에게 경쟁적 이점을 제공한다.[85] 집도마뱀붙이는 빽빽하게 모여 살 수 있어 토착 도마뱀붙이류의 밀도가 줄어든 후에도 자주 목격된다.[85] 또한 빛에 대한 내성이 강해 먹이 사냥 성공률이 높고,[91] 동족포식을 통해 다른 작은 도마뱀붙이류, 특히 아성체를 사냥하기도 한다.[91] 하지만 야생에서의 동족포식 증거는 부족하다.[85][93]
수컷의 경우, 공격적이고 영역적일수록 머리가 크고 도드라지는 형태를 띠는데, 이는 달리기가 느려지는 원인이 된다.[94] 이는 선택압이 도주 속도보다는 짝짓기 경쟁 역량을 우선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암컷은 머리가 커져도 뒷다리가 함께 길어져 달리기가 느려지지 않았다.[94] 이는 암컷의 진화 과정에서 이동 능력이 더 중요하게 작용했음을 시사한다.
집도마뱀붙이는 매끈비늘도마뱀붙이의 회피반응을 유발하는 습성이 있으며,[86] 동족이나 다른 종의 존재를 잘 참아[85][89] 번식에 유리하다.[95]
집도마뱀붙이는 여러 나라에서 외래종으로, 해로운 동물[96], 심지어 지역 야생동물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종"[97]으로 간주된다. 이들은 토착 도마뱀붙이와 먹이 경쟁을 하고 쫓아낼 수 있으며,[98],[97],[99] 질병을 옮기는 진드기를 옮길 수도 있다.[100]
호주에서는 최근 침입하여 토착 생태계에 대한 위협으로 주의를 받고 있다.[64] 호주는 외부와 격리되어 독자적인 생물상을 가지고 있어 외부 생물의 유입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았다. 파충류의 경우, 그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으나, 집도마뱀붙이는 최근 반입되어 분포를 넓히고 있다. 1960년대 다윈에 정착한 이후 북부 지역과 스튜어트 하이웨이를 따라 남쪽으로 퍼져나갔고,[64] 2010년경에는 호주 북해안과 동해안 전역, 내륙 일부 지역에 정착했다. 현재는 인가 주변에만 서식하지만, 원산지에서는 자연 환경에도 서식하므로 토착종과의 경쟁 및 기생충 전파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호주는 도마뱀붙이류의 다양성이 매우 높은 지역이므로, 현재는 명확한 영향이 없더라도 주의가 필요하다.
9. 사육
집도마뱀붙이는 깨끗한 바닥재가 깔린 비바리움에서 애완동물로 사육할 수 있다.[36] 사육 시에는 체온 유지를 위한 열원과 은신처, 습기 제공을 위한 가습기 및 식물이 필요하다.[36] 이 종은 휴식을 취할 때 수직 또는 거꾸로 된 표면에 붙어있는 습성이 있다.[36] 테라리움 안에서는 주로 사육장 내부의 벽이나 뚜껑에서 휴식을 취하여 눈에 잘 띄는 편이다. 어떤 뱀들은 집도마뱀붙이를 먹이로 삼기도 한다.
10. 유해성
집도마뱀붙이는 수많은 나라에서 외래종으로 유입되었으며, 일반적으로 해로운 동물[96], 또는 지역 야생동물을 위협하는 종[97]으로 여겨진다. 아직까지 집도마뱀붙이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세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범포식자"[98]인 집도마뱀붙이가 특히 도시 지역에서[97][99] 토착 도마뱀붙이류와 먹이를 두고 경쟁하며, 토착종을 쫓아낼 수 있다는 증거가 존재한다.[12] 또한, 집도마뱀붙이는 토착종에게 질병을 옮기는 진드기를 옮길 수 있다.[100]
집도마뱀붙이는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강건한 벨벳 도마뱀붙이와 같이 자신보다 큰 토착종은 몰아내지 못한다.[23]
- 수컷은 다른 도마뱀붙이 종의 암컷보다 더 높은 수준의 공격성을 보인다.
- 유성 생식을 하는 암컷은 무성 생식을 하는 암컷에 비해 경쟁력이 높다.[18]
이러한 특징은 집도마뱀붙이가 제한된 도시 지역, 특히 높은 수준의 서식지 단편화가 있는 지역에서 경쟁 우위를 가지도록 돕는다.[17] 또한, 집도마뱀붙이는 높은 밀도로 활동할 수 있어 토착종의 밀도를 줄인 후에도 해당 지역에서 도마뱀붙이 목격 횟수와 생물량을 증가시킨다.[17] 높은 수준의 빛에 대한 내성을 지니고 있어 사냥 활동에서 이점을 가지며, 다른 작은 도마뱀붙이 종, 특히 어린 개체를 잡아먹는 식인 풍습도 보인다.[11]
어떤 수컷은 다른 수컷보다 더 영역적이며, 더 큰 머리와 뚜렷한 머리 모양을 가진다. 이러한 머리 크기의 증가는 탈출 속도 저하를 야기하지만, 수컷의 물기 힘 능력을 우선시하는 선택적 압력의 결과로 해석된다. 반면, 암컷은 머리 크기가 증가해도 뒷다리 길이가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속도 감소가 나타나지 않는다. 수컷은 불균형적인 머리 대 뒷다리 크기로 인해 발생하는 운동성 감소로 인해 물어 싸울 필요가 더 많으며, 이는 영역 행동과 관련이 있다.[25]
집도마뱀붙이는 애도 도마뱀붙이에게서 "회피 반응"을 유발하여 먹이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기도 한다.[18] 다른 종에게는 회피 반응을 유발하지만, 자신은 다른 도마뱀붙이 종의 존재를 잘 견뎌[12][17][21] 먹이 섭취 지역과 영토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집도마뱀붙이는 작은 곤충을 먹이로 하기 때문에 대체로 유익한 동물로 볼 수 있다.[59] 그러나 호주에서는 최근 침입하여 토착 생태계에 대한 위협으로 주의를 받고 있다.[64] 호주는 오랫동안 다른 세계와 격리되어 독자적인 생물상을 가지고 있어 외부 생물의 유입은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집도마뱀붙이는 1960년대부터 호주 북부 지역에 정착하여 점차 분포를 넓히고 있으며, 토착종과의 경쟁 및 질병 전파 가능성으로 인해 잠재적인 위협으로 간주된다.
11. 미신 및 민속
도마뱀붙이는 세계 곳곳에서 독성이 있다고 여겨진다.[103][41] 동남아시아에서는 좋은 징조의 매개체라고 여겨진다. 예멘 등의 아랍 국가에서는 자는 사람의 얼굴 위로 도마뱀붙이가 지나가면 피부병이 도진다고 믿는다.
인도에서는 도마뱀붙이의 울음소리, 움직임, 드물게 천장에서 떨어질 때와 같은 징후를 통해 길흉을 예측하는 복잡한 점술 체계가 몇 세기에 걸쳐 만들어졌다.[101][102][39][40] 인도의 어떤 지역에서는 도마뱀붙이의 울음소리는 나쁜 징조로 여겨지는 한편, 방글라데시와 네팔에서는 울음소리가 들리기 직전에 내뱉어진 발언의 진실성에 대한 보증으로 여겨지는데, 울음소리 "tik tik tik" 이 인도에서 통용되는 수많은 언어에서 "맞아 맞아 맞아"를 의미하는 "thik thik thik" 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즉, 그 말이 맞다고 세 번 확인해주는 것이다. 여행을 떠나려 할 때 동쪽 벽에서 들려오는 도마뱀붙이의 울음소리는 상서롭다고 여겨지지만, 다른 쪽 벽에서 들려오는 울음소리는 불길하다고 간주된다. 누군가의 오른쪽 어깨에 도마뱀붙이가 떨어지는 것은 좋은 징조로 간주되지만, 왼쪽 어깨로 떨어지면 나쁜 징조다. 펀자브에서는 도마뱀붙이의 소변에 닿은 사람은 문둥병이 발병할 것이라고 여긴다.[41] 인도의 어떤 지역에서는 단테라스 전야에 도마뱀을 목격하는 것은 좋은 징조나 번창의 징후라고 여긴다.
필리핀에서는 집도마뱀붙이가 딸깍거리는 소리를 내면 곧 방문객이나 편지가 올 징조로 여겨진다.[37] 하지만 태국에서는 누군가 집을 나설 때 흔한 집도마뱀붙이가 울면 불길한 징조다. 태국 속담에서는 이를 "인사하는 도마뱀붙이"라고 부른다.[38] 스리랑카에서는 누군가 집을 나설 때 집도마뱀붙이가 소리를 내면 불길하다고 믿어진다. 또한 집도마뱀붙이가 몸에 떨어지는 것을 기반으로 하는 점술이 있으며, 다른 신체 부위는 다른 예측을 나타낸다. 이 점술은 인도 아대륙 전역에서 관찰할 수 있다.[42]
12. 유전
집도마뱀붙이에는 40개, 46개의 염색체를 가진 두 가지 핵형이 존재한다.[104][105][33][34] 이는 종내 핵형의 변이일 수도 있고, 어쩌면 두 개의 개별적인 종을 잘못 분류한 것일 수도 있다. 형태학적 분석 결과 이 둘이 실제로 다른 종일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이 나왔다.[105][106][34][35] 따라서 분류계보를 정비하고 각각의 개체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분류 개정이 필요할 수 있다.
참조
[1]
간행물
Hemidactylus frenatus
2018-06-08
[2]
웹사이트
THE REPTILE DATABASE
https://reptile-data[...]
2022-03-09
[3]
웹사이트
Hemidactylus chipkali
https://reptile-data[...]
[4]
논문
Acoustic and Visual Display Behavior of Gekkonid Lizards
https://academic.oup[...]
1977-02
[5]
서적
Thai Grammar, Poetry and Dictionary, in a New Romanised System
https://books.google[...]
Lulu.com
2018-04-20
[6]
서적
Presence of Asian House Gecko Hemidactylus frenatus across an urban gradient in Brisbane: influence of habitat and potential for impact on native gecko species
https://research-rep[...]
Royal Zoological Society of New South Wales
2007
[7]
간행물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introduced Asian House Gecko (Hemidactylus frenatus) across suburban/forest edges
Unpublished Honours Thesis, Department of Zoology and Entomology,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8]
논문
Activity Patterns of the Gecko Hemidactylus frenatus
1971
[9]
논문
Distribution and habitat Use by ''Hemidactylus frenatus'' Duméril and Bibron (Gekkonidae) in the Northern Territory, Australia
https://www.biodiver[...]
2009-12
[10]
웹사이트
Common House-Gecko (Hemidactylus frenatus)
https://www.reptiles[...]
[11]
논문
Colonization of Socorro Island (Mexico), by the tropical house gecko Hemidactylus frenatus (Squamata:Gekkonidae)
1998
[12]
논문
Predict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s of two alien invasive Housegeckos (Gekkonidae: ''Hemidactylus frenatus, Hemidactylus mabouia'')
http://biozoojournal[...]
2008-12
[13]
논문
Importation of ornamental plants facilitates establishment of the CommonHouse Gecko, Hemidactylus frenatus Duméril & Bibron, in the Lesser Antilles
2021-06-17
[14]
논문
Establishment of the Common House Gecko, Hemidactylus frenatus Duméril & Bibron, on Saint Lucia
2022-02-21
[15]
논문
Establishment of the Smooth-scaled Tegulet (Gymnophthalmus underwoodi) and the Common House Gecko (Hemidactylus frenatus) on St. Eustatius
2023-01-31
[16]
논문
Distribution of Hemidactylus frenatus in Mexico
2011-06
[17]
논문
Invasions and competitive displacement among house geckos in the tropical pacific
1994-03
[18]
논문
Mechanisms in the Competitive Success of an invading gecko over an asexual native
1993-01-15
[19]
논문
An experimental demonstration of exploitation competition in an ongoing invasion
[20]
논문
Behavioural mechanisms of invasion and displacement in Pacific island geckos (Hemidactylus)
[21]
논문
The need for enemy-free space: The impact of an invasive gecko on island endemics
2005
[22]
논문
The invasion and potential impact of the Asian House Gecko (Hemidactylus frenatus) in Australia
2011
[23]
서적
Reptiles and Amphibians of Australia.
Reed Books
[24]
논문
The diet and feeding habits of ''Hemidactylus frenatus'' (Dumeril and Bibron) (''Reptilia: Gekkonidae'') at Rangoon, Burma
[25]
논문
Sex-specific trade-offs and compensatory mechanisms: bite force and sprint speed pose conflicting demands on the design of geckos (Hemidactylus frenatus)
http://espace.librar[...]
2013
[26]
논문
Physiological responses to temperature in the tropical lizard Hemidactylus frenatus (Sauria: Gekkonidae)
1976-09
[27]
논문
Observations on thermal relations of Western Australian Lizards
1966
[28]
논문
Do gravid females of oviparous gekkonid lizards maintain elevated body temperatures? Hemidactylus frenatus and Lepidodactylus lugubris on Oahu
[29]
논문
The population ecology of the Australian gekkonid lizard ''Heteronotia binoei'' in an exploited forest
1970-09
[30]
논문
The Reproductive Cycles of the Javanese House Geckos, Cosymbotus platyurus, Hemidactylus frenatus, and Peropus mutilatus
[31]
논문
Functional Sperm Storage Duration in Female Hemidactylus Frenatus (Family Gekkonidae)
1996
[32]
논문
Long-term functional sperm storage by a female common House Gecko, ''Hemidactylus frenatus'', from the Ryukyu Archipelago, Japan
2006
[33]
논문
A New All-Female Triploid Species of Gecko and Karyological Data on the Bisexual Hemidactylus frenatus from Vietnam
1984
[34]
논문
A New Chromosome Form of ''Hemidactylus Frenatus'' (Dumeril and Bibron)
1978
[35]
논문
Seven New Gekkonid Lizards from Western Australia
1978
[36]
웹사이트
Can you keep house lizards as pets?
https://petswithscal[...]
2022-07-10
[37]
웹사이트
Mga Hayop (The Animals)
http://www.seasite.n[...]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2019-06-24
[38]
웹사이트
จิ้งจกร้องทัก เรื่องธรรมชาติ หรือ เป็นการบอกลางเตือนเหตุร้ายภายหน้าหรือเหตุดี
https://www.brighttv[...]
2021-05-12
[39]
웹사이트
ഗൗളിശാസ്ത്രം | Mashithantu | English Malayalam Dictionary മഷിത്തണ്ട് | മലയാളം < - > ഇംഗ്ലീഷ് നിഘണ്ടു
http://dictionary.ma[...]
Dictionary.mashithantu.com
2013-12-14
[40]
웹사이트
Hindu Omens
http://www.oldandsol[...]
Oldandsold.com
2013-12-14
[41]
웹사이트
The Folklore of Geckos: Ethnographic Date from South and West Asia
http://nirc.nanzan-u[...]
Nirc.nanzan-u.ac.jp
2014-02-02
[42]
논문
The Folklore of Geckos: Ethnographic Data from South and West Asia
1996
[43]
간행물
Hemidactylus frenatus
https://doi.org/10.2[...]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1
[44]
서적
岡田他
1976
[45]
서적
内山
2002
[46]
서적
日本爬虫両生類学会編
2021
[47]
서적
日本爬虫両生類学会編
2021
[48]
서적
日本爬虫両生類学会編
2021
[49]
문서
Parel et al.
2016
[50]
문서
Hoskin
2011
[51]
서적
以下も日本爬虫両生類学会編
2021
[52]
문서
高橋
2005
[53]
문서
Hoskin
2011
[54]
문서
以下も高橋
2005
[55]
서적
内山、阿部編
2002
[56]
문서
Hoskin
2011
[57]
서적
以下、主として日本爬虫両生類学会編
2021
[58]
문서
Hoskin
2011
[59]
문서
池原、下謝名
1975
[60]
문서
以下、Hoskin
2011
[61]
서적
日本爬虫両生類学会編
2021
[62]
서적
日本爬虫両生類学会編
2021
[63]
서적
宜野湾市教育委員会編
2002
[64]
문서
以下、Hoskin
2011
[65]
간행물
Hemidactylus frenatus
https://dx.doi.org/1[...]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0
[66]
웹인용
ITIS Standard Report Page: Hemidactylus frenatus
https://www.itis.gov[...]
ITIS-North America
2009-06-29
[67]
문서
Drs. Olivia & Ava Conway
[68]
논문
Physiological responses to temperature in the tropical lizard Hemidactylus frenatus (Sauria: Gekkonidae)
1976
[69]
논문
Observations on thermal relations of Western Australian Lizards
1966
[70]
논문
Do gravid females of oviparous gekkonid lizards maintain elevated body temperatures? Hemidactylus frenatus and Lepidodactylus lugubris on Oahu
[71]
저널
Activity Patterns of the Gecko Hemidactylus frenatus
1971
[72]
저널
The population ecology of the Australian gekkonid lizard Heteronotia binoei in an exploited forest
1970
[73]
저널
The Reproductive Cycles of the Javanese House Geckos, Cosymbotus platyurus, Hemidactylus frenatus, and Peropus mutilatus
[74]
저널
Functional Sperm Storage Duration in Female Hemidactylus Frenatus (Family Gekkonidae)
1996
[75]
저널
Long-term functional sperm storage by a female common House Gecko, Hemidactylus Frenatus, from the Ryukyu Archipelago, Japan
2006
[76]
저널
Predict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s of two alien invasive Housegeckos (Gekkonidae: Hemidactylus frenatus, Hemidactylus mabouia)
2008
[77]
저널
Acoustic Behaviour of the gekkonid lizard, Hemidactylus frenatus
1974
[78]
저널
The Function of vocal display of the lizard Hemidactylus frenatus (Sauria:Gekkonidae)
1977
[79]
웹인용
Thai Grammar, Poetry and Dictionary, in a New Romanised System
https://books.google[...]
Lulu.com
2018-04-20
[80]
저널
Presence of Asian House Gecko Hemidactylus frenatus across an urban gradient in Brisbane: influence of habitat and potential for impact on native gecko species
2007
[81]
저널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introduced Asian House Gecko (Hemidactylus frenatus) across suburban/forest edges.
2002
[82]
저널
Distribution and Habitat Use by Hemidactylus frenatus Dumeril and Bibron (Gekkonidae) in the Northern Territory, Australia
2009
[83]
저널
Colonization of Socorro Island (Mexico), by the tropical house gecko Hemidactylus frenatus (Squamata:Gekkonidae)
1998
[84]
저널
Predict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s of two alien invasive Housegeckos (Gekkonidae: Hemidactylus frenatus, Hemidactylus mabouia)
2008
[85]
저널
Invasions and competitive displacement among house geckos in the tropical pacific.
1994
[86]
저널
Mechanisms in the Competitive Success of an invading gecko over an asexual native.
1993
[87]
저널
An experimental demonstration of exploitation competition in an ongoing invasion
[88]
저널
Behavioural mechanisms of invasion and displacement in Pacific island geckos (Hemidactylus)
[89]
저널
The need for enemy-free space: The impact of an invasive gecko on island endemics
2005
[90]
저널
The invasion and potential impact of the Asian House Gecko (Hemidactylus frenatus) in Australia
2011
[91]
저널
Colonization of Socorro Island (Mexico), by the tropical house gecko Hemidactylus frenatus (Squamata:Gekkonidae)
1998
[92]
서적
Reptiles and Amphibians of Australia.
Reed Books
[93]
저널
The diet and feeding habits of Hemidactylus frenatus (Dumeril and Bibron) (Reptilia: Gekkonidae) at Rangoon, Burma.
1961
[94]
저널
Sex-specific trade-offs and compensatory mechanisms: bite force and sprint speed pose conflicting demands on the design of geckos (Hemidactylus frenatus)
2013
[95]
서적
The Biology and Evolution of Australian Lizards
Surrey Beatty & Sons Pty Ltd
[96]
웹인용
Photo guide to pest animals
http://www.daff.qld.[...]
Daff.qld.gov.au
2013-12-14
[97]
웹인용
Pest animal risk assessment : Asian house gecko
https://www.daf.qld.[...]
Daff.qld.gov.au
2015-11-02
[98]
웹인용
Gecko invasion spreads
http://www.gympietim[...]
Gympie Times
2013-12-14
[99]
웹인용
Asian house gecko
http://www.daff.qld.[...]
Daff.qld.gov.au
2015-11-02
[100]
웹인용
Geckos become the reptile rulers with successful invasion
http://www.smh.com.a[...]
Smh.com.au
2013-12-14
[101]
웹인용
"ഗൗളിശാസ്ത്രം | Mashithantu | English Malayalam Dictionary മഷിത്തണ്ട് | മലയാളം < - > ഇംഗ്ലീഷ് നിഘണ്ടു"
http://dictionary.ma[...]
Dictionary.mashithantu.com
2013-12-14
[102]
웹인용
Hindu Omens
http://www.oldandsol[...]
Oldandsold.com
2013-12-14
[103]
웹인용
The Folklore of Geckos : Ethnographic Date from South and West Asia
http://nirc.nanzan-u[...]
Nirc.nanzan-u.ac.jp
2014-02-02
[104]
저널
A New All-Female Triploid Species of Gecko and Karyological Data on the Bisexual Hemidactylus frenatus from Vietnam
1984
[105]
저널
A New Chromosome Form of Hemidactylus Frenatus (Dumeril and Bibron)
1978
[106]
논문
Seven New Gekkonid Lizards from Western Australia
197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