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35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35년은 각국의 연호와 기년이 사용되었으며, 주요 사건, 탄생, 사망 등 다양한 정보가 기록된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는 일 한국의 붕괴, 여러 왕조의 건국, 전투, 정치적 사건 등이 있었고, 흑사병의 초기 발생 사례가 보고되었다. 또한, 헝가리 왕비, 조선 태조 이성계 등 여러 인물이 탄생했으며, 일 칸국의 아부 사이드, 일본의 고라 친왕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335년 | |
---|---|
연도 정보 | |
기원전/기원후 | 기원후 |
연도 | 1335년 |
간지 | 을해년 (乙亥年) |
주요 사건 | |
유럽 | 1335년 신성 로마 제국의 카를 4세가 보헤미아 왕국의 왕위 계승자로 선포됨 폴란드의 카지미에시 3세와 보헤미아의 얀 루쳄부르스키가 비셰그라드에서 만나 앙주 가문의 루이 1세를 보헤미아의 왕으로 추대하려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계획을 저지하기로 합의 제1차 백년 전쟁 |
아시아 | 원나라에서 토곤 테무르가 원 순제로 즉위 일본에서 고다이고 천황이 겐무 신정을 시작, 무로마치 막부가 성립 |
기타 | 1335년 조르다누스 강둑에서 카르티나 전투 발생 베네치아 공화국에서 1335년에 11,000명 이상의 시민이 사망한 전염병이 발생. 이집트의 맘루크 왕조의 술탄인 나시르 무함마드가 세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재위 |
탄생 | |
날짜 미상 | 고로 모토토모, 일본의 무로마치 막부 사무라이 (사망: 1405년) 히메나 디아스 데 파체코, 카스티야 왕국의 귀족 여성 (사망: 1373년) |
사망 | |
3월 15일 | 보헤미아 왕국의 왕, 얀 루쳄부르스키 (1296년 출생) |
4월 27일 | 카를 1세, 이탈리아의 군주 (1288년 출생) |
6월 2일 | 나시르 무함마드, 이집트의 맘루크 왕조 술탄 (1285년 출생) |
10월 2일 | 조안 3세, 나바라 왕국의 여왕 (1311년 출생) |
12월 1일 | 제레미아 (가톨릭 성인), 루마니아의 성인 |
날짜 미상 | 아르놀포 디 캄비오, 이탈리아의 건축가, 조각가 (1240년 출생) 오스만 1세의 아들인 오르한, 오스만 제국의 2대 술탄 요한 3세, 트라페준타 제국의 황제 |
2. 연호
3. 기년
4. 주요 사건
- 5월 2일 - 오스트리아 공작 오토 쾌활왕이 카린티아 공작이 되었다.
- 7월 30일 - 보로머어 전투: 모레이 백작 존 랜돌프가 스코틀랜드에서 남르 공작 기를 물리쳤다.
- 11월 30일 - 컬블리언 전투: 스코틀랜드의 데이비드 2세가 스코틀랜드에서 에드워드 발리올을 물리쳤다.
- 12월 1일 - 아부 사이드 바하두르 칸이 흑사병으로 사망하면서 일 한국이 붕괴되었다. 이는 흑사병의 초기 발생 사례이다.[1]
- 10월 22일 - 전 일본 천황 하나조노가 선종 승려가 되었다.
- 조지 5세 치하의 조지아인들이 결정적인 전투에서 몽골인들을 마침내 물리쳤다. 그 후 조지 5세는 무슬림들로부터 그리스도의 무덤을 되찾았다.
- 스웨덴에서 노예제가 폐지되었다.
- 비셰그라드 회의: 보헤미아 왕국, 헝가리 왕국, 폴란드의 군주들이 합스부르크 반대 동맹을 결성했다.
- 카린티아 공국과 크라인이 합스부르크의 통치하에 들어왔다. 헨리 공작 사후, 루트비히 4세 황제가 오스트리아 대공국의 공작들에게 이 공국들을 하사했다. 그때부터 오늘날 슬로베니아는 1918년까지 오스트리아와 함께 공동 통치되었다.
- 교황 베네딕토 12세가 시토회 개혁에 착수했다.
- 시칠리아의 프리드리히 3세의 파문과 시칠리아에 대한 교회의 제재가 끝났다.
- 아비뇽에 교황궁 건설이 시작되었다.
- 아벤라가 도시로 승격되었다.
- 스페인 사라고사에 예술학교가 설립되었다(16세기에 사라고사 대학교로 알려짐).
- 8월(건무 2년 7월) - 호조 도키유키가 관동에서 거병하여 아시카가 다카우지에 의해 진압된다(중선대의 난).
- 11월(건무 2년 11월) -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조정에 대한 반역 의지를 분명히 한다. 고다이고 천황은 니타 요시사다를 대장으로 하는 토벌군을 파병한다(겐무의 난 개막).
4. 1. 아시아
- 12월 1일 - 아부 사이드 바하두르 칸이 흑사병으로 사망하면서 일 한국이 붕괴(사실상 멸망)하였다. 이는 흑사병의 초기 발생 사례이다.[1]
- 일 한국의 붕괴 이후, 자라이르 왕조, 추판 왕조, 인주 왕조, 무자파르 왕조가 건국되었다.
4. 1. 1. 한국
1335년은 한국사에서 고려 시대에 해당한다. 이 해에 일본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요 사건들이 있었다.- 8월(건무 2년 7월) - 호조 도키유키가 간토에서 거병하였으나 아시카가 다카우지에 의해 진압되었다.(중선대의 난)[1]
- 11월(건무 2년 11월) -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조정에 대한 반역 의지를 분명히 하였다. 고다이고 천황은 니타 요시사다를 대장으로 하는 토벌군을 파병하였다.(겐무의 난 개막)[1]
4. 1. 2. 일본
- 10월 22일 - 하나조노 (95대 천황)가 선종 승려가 된다.[1]
- 8월(겐무 2년 7월) - 호조 도키유키가 간토에서 거병, 아시카가 다카우지에 의해 진압된다(나카센다이의 난).[1]
- 11월(겐무 2년 11월) -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조정에 대한 반역 의지를 분명히 한다.[1] 고다이고 천황은 닛타 요시사다를 대장으로 하는 토벌군을 파병한다(겐무의 난).[1]
4. 1. 3. 몽골
아부 사이드 바하두르 칸이 흑사병으로 사망하면서, 일 한국은 붕괴되었다.[1] 이는 흑사병의 초기 발생 사례였다.[1] 일 한국의 붕괴 이후, 자라이르 왕조, 추판 왕조, 인주 왕조, 무자파르 왕조가 건국되었다.4. 2. 유럽
- 5월 2일 - 오스트리아 공작 오토 쾌활왕(Otto)이 카린티아 공작이 되었다.
- 카린티아 공국과 크라인이 합스부르크의 통치하에 들어왔다. 헨리 공작 사후, 루트비히 4세 황제가 오스트리아 대공국의 공작들에게 이 공국들을 하사했다. 그때부터 오늘날 슬로베니아는 1918년까지 오스트리아와 함께 공동 통치되었다.
- 비셰그라드 회의(Congress of Visegrád): 보헤미아 왕국, 헝가리 왕국, 폴란드의 군주들이 합스부르크 반대 동맹을 결성했다.
- 스웨덴에서 노예제가 폐지되었다.
- 교황 베네딕토 12세가 시토회 개혁에 착수했다.
- 시칠리아의 프리드리히 3세의 파문과 시칠리아에 대한 교회의 제재가 끝났다.
- 아비뇽에 교황궁 건설이 시작되었다.
5. 탄생
5. 1. 실존 인물
- 10월 27일 - 조선의 초대 국왕, 태조 이성계
- 5월 24일 - 헝가리 왕비 보헤미아의 마르가레타 (사망 1349년)
- 튀르키예 오스만 제국의 무라드 1세의 첫 번째 부인 굴치체크 하툰
- 중세 세르비아의 왕 마르코 므르냐브체비치 (명목상의 왕)
- 세르비아의 라자르 왕자의 아내 밀리차 공주 (사망 1405년)
- 브르타뉴의 점성가 티파인 라귀넬 (사망 1373년)
- 이마데가와 공나오 (남북조 시대 및 무로마치 시대의 공경) (사망 1396년)
- 우에스기 노리카타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관동 관령) (사망 1394년)
- 사이온지 사네토시 (남북조 시대의 공경) (사망 1389년)
- 나오히토 친왕 (남북조 시대의 황족) (사망 1398년)
- 마르가레테 폰 룩셈부르크 (헝가리 왕 라요시 1세의 첫 번째 왕비) (사망 1349년)
- 요광효 (명의 정치가, 군사) (사망 1418년)
- 우에스기 아사부사 (남북조 시대의 무장, 관동 관령) (사망 1391년?)
6. 사망
- 4월 2일 - 하인리히 6세, 티롤 백작, 케른텐 공, 보헤미아 왕 (* 1265년?)
- 8월 12일 - 고라 친왕, 가마쿠라 시대의 황족 (* 1308년)
- 8월 23일 - 하일비게 블룸아르딘네, 네덜란드의 기독교 신비주의자 (약 1265년 출생)
- 10월 31일 - 에브뢰의 마리, 프랑스 귀족 여성 (1303년 출생)
- 1월 23일 (건무 원년 12월 28일) - 니카이도 사다후지,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 1267년)
- 2월 27일 (건무 2년 2월 4일) - 니조 미치히라,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 1287년)
- 4월 24일 (건무 2년 4월 1일) - 이시카와 토키미츠,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무쓰 이시카와 씨의 제13대 당주 (* 생년 미상)
- 8월 2일 (건무 2년 7월 13일) - 코야마 히데토모,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 생년 미상)
- 8월 20일 (건무 2년 8월 2일) - 사이온지 공스,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 1310년)
- 9월 4일 (건무 2년 8월 17일) - 아시나 모리카즈,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아시나 씨의 제6대 당주 (* 1285년?)
- 9월 6일 (건무 2년 8월 19일) - 스와 토키쓰구,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 생년 미상)
- 9월 6일 (건무 2년 8월 19일) - 스와 요리시게,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 생년 미상)
- 10월 18일 - 리크사 엘르즈비에타, 보헤미아 왕·폴란드 왕 바츨라프 2세의 두 번째 왕비 (* 1286년)
- 11월 24일 - 헨리크 6세 도브리, 브로츠와프·레그니차·브제크 공 (* 1294년)
- 쿠마가이 렌가쿠,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 생년 미상)
- 조반니 2세 오르시니, 에피로스 데스포타국 군주 (* 생년 미상)
- 하타케야마 이에쿠니,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하타케야마 씨의 제5대 당주 (* 생년 미상)
6. 1. 실존 인물
- 아부 사이드 - 일 칸국의 9대 칸
- 텡기스 - 토곤 테무르의 황후인 다나슈리의 오빠
- 다나슈리 - 토곤 테무르의 첫 번째 정궁황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