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주교 가오슝 교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오슝 교구는 대만에 위치한 로마 가톨릭 교구이다. 1859년 스페인 도미니코회 선교사들이 가오슝에 도착하여 가톨릭 선교를 시작했으며, 처음에는 푸젠 사도좌 대리구의 관할을 받았다. 1913년 대만 지목구로 설립되었으며, 1949년 가오슝 지목구로 개칭되었다. 1961년 가오슝 교구로 승격되었으며, 정톈샹 신부가 초대 교구장으로 임명되었다. 1998년 단궈시 주교가 대만 최초의 추기경으로 서임되었다. 2010년 기준 신자 수는 45,950명이며, 59개의 본당과 52개의 공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3년 설립된 종교 단체 - 상트페테르부르크 모스크
    상트페테르부르크 모스크는 1882년 건설 허가를 받아 1906년 기금 모금, 1907년 부지 매입 허가를 거쳐 동양적인 장식으로 건설되었으며, 1940년 폐쇄되었다가 1956년 반환되어 복원되었다.
천주교 가오슝 교구
지도
기본 정보
관할 지역가오슝시핑둥현
관구타이베이 대교구
설립일1913년 7월 19일
주교좌 성당매괴성모성전대성당
주보 성인매괴의 성모
면적5,723km²
인구 (2017년)3,606,851명
가톨릭 신자 수 (2017년)37,814명 (1.0%)
본당 수60개
교회 수111개
교구 현황
사제 수35명
교구장류젠종 베드로 주교
총대리황중웨이 몬시뇰 안토니오
교구장 대리리한민 빈첸시오 신부, 융슝투 도미니코 신부
기타
웹사이트가오슝 교구 웹사이트

2. 연혁


  • 1859년 5월 18일: 스페인 도미니코회 선교사들이 다거우 항에 도착하여 대만 최초의 가톨릭 거점을 마련했다. 당시 대만은 푸젠 사도좌 대리구(현재의 푸저우 교구) 관할이었다.
  • 1883년: 샤먼 사도좌 대리구(현재의 샤먼 교구)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 1913년 7월 19일: 교황청은 '''포르모사 사도좌 지목구'''(Praefectura Apostolica de Formosala), 즉 '''대만 지목구'''를 설립했다. 관할 구역은 일본 통치하의 대만 전역이었으며, 주교좌는 가오슝시의 전금 교회(현재의 장미 성모 성전 주교좌 성당)에 두었다.
  • 1949년 12월 30일: 대만 지목구 북부를 분할하여 타이베이 지목구(현재의 타이베이 대교구)를 설립하고, 기존의 대만 지목구는 '''가오슝 지목구'''로 명칭을 변경했다.
  • 1951년 1월 26일: 가오슝 지목구에서 타이중시, 타이중현, 장화현, 난터우현을 분리하여 타이중 지목구(현재의 타이중 교구)를 설립했다.
  • 1952년 8월 7일: 교황청대만에 교계제도를 설정하고, 가오슝 지목구에서 윈린현, 자이시, 자이현, 타이난시, 타이난현, 펑후현을 분리하여 자이 지목구(현재의 자이 교구)를, 타이둥현을 분리하여 화롄 지목구(현재의 화롄 교구)를 설립했다. 이로써 가오슝 지목구의 관할 구역은 가오슝시, 가오슝현, 핑둥현으로 확정되었다.
  • 1961년 3월 21일: 가오슝 지목구가 '''가오슝 교구'''로 승격했다. 정톈샹 신부가 초대 주교(대주교 칭호)로 임명되었다.
  • 1998년: 제2대 가오슝 주교 단궈시 신부가 대만 최초의 추기경으로 서임되었다.

2. 1. 초기 선교 (1859년 ~ 1913년)

1859년 5월 18일, 필리핀을 거점으로 활동하던 스페인 국적의 도미니코회 신부 3명이 중국인 신자 5명과 함께 중국 대륙에서 대만 해협을 건너 다거우 항에 도착했다. 같은 해 12월, 이들은 아이허 하구 부근(현재 장미 성모 주교좌 성당 자리)에 간이 전도소를 세웠는데, 이것이 대만 가톨릭교회의 첫 번째 활동 거점이 되었다. 당시 대만은 푸젠 사도좌 대리구(현재의 푸저우 교구)의 관할 아래 있었다.

1883년, 대만은 새로 설립된 샤먼 사도좌 대리구(현재의 샤먼 교구)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1895년 일본 제국주의에 의한 일본 통치가 시작된 이후에도 이러한 소속 관계는 유지되었으며, 대만이 공식적으로 일본 영토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교황청은 여전히 대만을 '중국 방면'으로 간주하여 관리했다.

1913년 7월 19일, 교황청은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포르모사 사도좌 지목구'''(Praefectura Apostolica de Formosala), 즉 '''대만 지목구'''를 새로 설립했다. 관할 구역은 당시 일본 통치하에 있던 대만 섬과 펑후 제도 전역이었다. 대만에서의 가톨릭 선교는 초기부터 도미니코회가 주도했기 때문에, 역대 대만 지목구의 책임자(지목)는 주로 도미니코회 소속 신부 중에서 임명되었다. 지목구의 중심 성당(주교좌)은 가오슝시의 전금 교회(현재의 장미 성모 주교좌 성당)에 설치되었다.

2. 2. 포르모사 사도좌 지목구 (1913년 ~ 1949년)

1895년, 일본 통치 시대가 시작된 후에도 대만 지역은 여전히 교황청의 행정 구역상 청나라샤먼 대리구(현재의 샤먼 교구) 소속으로 남아 있었다. 1913년 7월 19일,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교황청은 '''포르모사 사도좌 지목구'''(Praefectura Apostolica de Formosalat), 즉 '''대만 지목구'''를 설립하고, 그 관할 구역을 일본 통치하의 대만 (대만펑후 제도)으로 정했다. 대만에서의 가톨릭 교회 선교가 처음부터 도미니코회에 의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역대 대만 지목구장은 주로 도미니코회 신부 중에서 선출되었다. 주교좌는 가오슝시의 전금 교회 (현재의 장미 성모 성전 주교좌 성당)에 설치되었다.

2. 3. 가오슝 지목구 (1949년 ~ 1961년)

1949년 12월 30일, 교황청은 대만 지목구 북부를 분할하여 타이베이 지목구(현재의 타이베이 대교구)를 설립하고, 기존의 대만 지목구는 '''가오슝 지목구'''로 명칭을 변경했다. 당시 관할 지역은 가오슝시, 타이중시, 타이난시, 자이시, 타이중현, 타이난현, 가오슝현, 타이둥현, 펑후현이었다. (당시에는 장화현, 난터우현, 윈린현, 자이현, 핑둥현은 아직 설치되지 않은 상태였다.) 도미니코회의 호세프 아레기 이파라기레 신부가 지목으로 임명되었다.

1951년 1월 26일, 교황청은 가오슝 지목구에서 타이중시, 타이중현, 장화현, 난터우현을 분리하여 타이중 지목구(현재의 타이중 교구)를 새로 설립했다.

1952년 8월 7일, 교황청대만에 교계제도(계서제)를 설정했다. 이와 함께 가오슝 지목구에서 윈린현, 자이시, 자이현, 타이난시, 타이난현, 펑후현을 분리하여 자이 지목구(현재의 자이 교구)를 설립했다. 또한 타이둥현을 분리하여 타이베이 교구 관할의 화롄현과 합쳐 화롄 지목구(현재의 화롄 교구)를 설립했다. 이 분할 이후 가오슝 지목구의 관할 구역은 가오슝시, 가오슝현, 핑둥현(일본 통치 시대의 가오슝 주 범위)으로 확정되어 현재에 이른다.

2. 4. 가오슝 교구 (1961년 ~ 현재)

1961년 3월 21일, 가오슝 지목구가 '''가오슝 교구'''로 승격되었다. 중국인 도미니코회 신부 정톈샹이 교황 요한 23세에 의해 초대 가오슝 주교로 임명되었고, 동시에 대주교 칭호가 주어졌다. 같은 해 5월 21일 로마에서 서품을 받았다.

1998년, 2대 가오슝 주교 단궈시 신부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대만 최초의 추기경으로 서임되었다.

3. 역대 교구장

천주교 가오슝 교구는 1913년 포르모사 사도좌 지목구로 설정된 이후 여러 지도 신부에 의해 관리되었다. 초대 지목구장 클레멘테 페르난데스 신부를 시작으로, 1961년 교구로 승격된 후 초대 교구장 정톈샹 대주교를 거쳐 현재 피터 류청중 대주교에 이르기까지 여러 교구장이 교구를 이끌었다. 역대 지목구장 및 교구장의 상세한 목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포르모사 사도좌 지목구장

wikitext

대수이름소속임기
초대클레멘테 페르난데스도미니코회1913년 ~ 1921년
2대토마스 데 라 호스도미니코회1921년 ~ 1935년
3대사토와키 아사지로1941년 ~ 1946년
4대호세 아레기 이 이파라기레도미니코회1948년 ~ 1961년


3. 2. 가오슝 지목구장

대수이름재임 기간
초대클레멘테 페르난데스 Clemente Fernández, O.P.la1913년 ~ 1921년
2대토마스 데 라 오스 Thomas de la Hoz, O.P.la1921년 7월 27일 ~ 1935년
3대사토와키 아사지로(요셉) 里脇 浅次郎|사토와키 아사지로일본어1941년 ~ 1946년
4대호세 아레기 이 이파라기레(요셉) José Arregui y Yparaguirre, O.P.es1948년 3월 5일 ~ 1961년


3. 3. 가오슝 교구장

(Clemente Fernández|클레멘테 페르난데스es, O.P.)1913년 ~ 1921년2대토마스 데 라 오스
(Thomas de la Hoz|토마스 데 라 오스es, O.P.)1921년 7월 27일 ~ 1935년3대사토와키 아사지로
(里脇 浅次郎|사토와키 아사지로일본어)1941년 ~ 1946년훗날 추기경 서임4대호세 아레기 이 이파라기레
(Joseph Arregui y Yparaguirre|호세 아레기 이 이파라기레es, O.P.)1948년 3월 5일 ~ 1961년



'''역대 가오슝 교구장'''
대수이름 (원어, 수도회)재임 기간비고
초대정톈샹
(鄭天祥|정톈샹중국어, O.P.)
1961년 3월 21일 ~ 1990년 8월 19일대주교
2대산궈시
(單國璽|산궈시중국어, S.J.)
1991년 3월 4일 ~ 2006년 1월 5일추기경
3대피터 류청중
(劉振忠|류청중중국어)
2006년 1월 5일 ~ 현재대주교


4. 통계

2010년 기준 통계는 다음과 같다.

항목수치
신자 수45,950명
주교 및 사제90명
수도사 및 수녀140명
본당59곳
공소52곳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