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주교 광주대교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주교 광주대교구는 1933년 골롬반회가 광주에 진출하면서 설립이 준비되어, 1937년 광주지목구로 설정되었다. 이후 대목구로 승격되었고, 1962년 대교구로 승격되었다.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을 관할하며, 7개의 지구와 다수의 본당을 운영하고 있다. 광주가톨릭대학교, 여러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유치원, 특수학교 등의 교육기관과 천주의성요한병원, 순천 성가롤로병원 등의 의료기관을 운영하며, 광주가톨릭평화방송, 가톨릭신문 광주지사 등의 보도/출판 기관을 통해 교구 소식을 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주교 광주대교구 - 목포가톨릭대학교
    목포가톨릭대학교는 1966년 골룸반 간호학교로 설립되어 간호학, 사회복지학, 유아교육학 분야로 확장되었고 1999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된 전라남도 목포시 소재의 지역 사회 인재 양성에 주력하는 사립 대학교이다.
  • 천주교 광주대교구 - 광주가톨릭대학교
    광주가톨릭대학교는 1962년 대건신학교로 개교하여 대건신학대학을 거쳐 광주가톨릭대학을 거쳐 1994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신학과 단일 학과와 일반대학원을 운영하는 사립대학교이다.
  • 1937년 설립된 종교 단체 - 가톨릭 교토 교구
    가톨릭 교토 교구는 교토부, 나라현, 미에현, 시가현을 관할하며, 1937년 오사카 교구에서 분리된 교토 지목구로 설립되어 1951년 교구로 승격되었고, 현재 교구장은 오쓰카 요시나오 바오로 주교이며, 가톨릭 가와라마치 교회가 주교좌 성당이다.
  • 1937년 설립된 종교 단체 - 천주교 전주교구
    천주교 전주교구는 전라북도 전체를 관할하는 로마 가톨릭교회 교구로, 1937년 대구대교구에서 분리된 전주 자치전교구에서 시작하여 전주 대목구를 거쳐 1962년 교구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96개 본당과 익산성모병원, 성바오로복지병원을 운영하고 김선태 요한 주교가 교구장으로 있다.
  •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교구 - 천주교 서울대교구
    천주교 서울대교구는 서울특별시를 관할하는 한국 천주교회의 대교구로서, 한국 천주교회 역사를 이어받아 1962년 대교구로 승격되었으며, 2020년 기준 약 153만 명의 신자와 954명의 사제가 소속되어 한국 천주교회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며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고, 교육, 의료, 사회 사목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교구 - 천주교 원주교구
    천주교 원주교구는 1965년에 설립되어 강원특별자치도와 충청북도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현재 조규만 주교가 교구장직을 맡고 있고 배론성지, 풍수원 성당 등을 운영하고 있다.
천주교 광주대교구
개요
관할광주광역시, 전라남도
관구광주관구
면적12,596km²
인구3,360,194명 (2017년 기준)
가톨릭 신자365,649명 (2017년 기준, 인구의 10.8%)
본당139개
주교좌 성당임동성당, 북동성당
주보 성인안셀모
웹사이트천주교 광주대교구 공식 웹사이트
역사
지목구 설정1937년 4월 13일
대목구 설정1957년 1월 21일
대교구 설정1962년 3월 10일
교회법적 정보
교회가톨릭교회
전례 양식로마 전례
관할권대교구
조직
교황프란치스코
대주교옥현진 (시몬)
은퇴 대주교최창무 (안드레아), 윤공희 (빅토리노), 김희중 (히지노)

2. 역사

골롬반회가 1933년 10월 29일 광주에 진출하면서 광주 교구 설정이 준비되기 시작했다. 1937년 4월 13일 대구대목구에서 분리되어 광주지목구가 설정되었고, 이후 광주지목구는 1957년 1월 21일 대목구를 거쳐, 1962년 3월 10일 대교구로 승격되었다.

광주대교구의 역사는 크게 일제강점기, 해방 이후, 5.18 민주화운동과 그 이후, 그리고 1990년대 이후로 구분할 수 있다. 각 시기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시기주요 내용
일제강점기골롬반회 광주 진출, 광주지목구 설정, 임맥폴린 신부 초대 지목구장 취임, 일본인 와끼다 몬시뇰 제2대 교구장 취임, 골롬반회 성직자 연금 및 길헨리 신부 선종
해방 이후임맥폴린 몬시뇰 제3대 교구장 복귀, 브레난 몬시뇰 제4대 교구장 취임, 브레난 교구장 피랍 및 사망 추정, 현 하롤드 신부 제5대 교구장 취임, 광주교구 대목구 승격, 현 하롤드 신부 주교 서품, 대건신학교 설립, 광주교구 대교구 승격 및 현 하롤드 주교 초대 대주교 승임
5.18 민주화운동과 그 이후권야고보 신부 보좌주교 임명, 제주지목구 설정, 한공렬 대주교 제6대 교구장 착좌 및 선종, 윤공희 대주교 제7대 교구장 착좌, 가톨릭센터 설립, 제주교구 설정, 주교좌 임동대성당 봉헌, 주교관 및 교구청사 축복식, 교구 설정 50주년 기념 경축제
1990년대 이후교구 50년사 출판, 광주평화방송 개국, 교구 설정 60주년 및 목포지역 선교 100주년 기념 경축행사, 최창무 대주교 제8대 교구장 착좌, 가톨릭광주사회복지회 설립, 김희중 신부 보좌주교 임명, 교구 설정 70주년 기념 경축제, 김희중 대주교 제9대 교구장 착좌, 광주인권평화재단 설립, 옥현진 신부 보좌주교 임명, 교구설정 75주년 및 대교구 승격 50주년 기념축제, 옥현진 대주교 제10대 교구장 착좌


2. 1. 일제강점기

Owen MacPolinla 신부를 중심으로 골롬반회가 1933년 10월 29일 광주에 진출하여 광주 교구 설정을 준비하였다. 1934년 5월 10일 전남 감목대리구가 설정되었고, 임맥폴린 신부가 감목대리를 맡았다. 1937년 4월 13일 대구대목구로부터 광주지목구가 설정되면서, 임맥폴린 신부가 초대 지목구장이 되었고, 교구청은 목포시 산정동 97번지에 마련되었다.

1941년 12월 8일, 일제는 임맥폴린 교구장을 투옥하였다. 1942년 2월 16일, 임맥폴린 교구장이 사임하고 주재용 몬시뇰이 교구장 서리로 임명되었다. 1943년 2월 7일, 일본인 와끼다 몬시뇰이 제2대 교구장으로 취임하면서 교구청을 광주시 북동 33번지(현 북동 성당)로 이전하였다.

1945년 5월 29일, 골롬반회 성직자 11명이 일제에 의해 강원도 홍천군에 연금되었고, 3개월 후 목포 본당 보좌였던 길헨리 신부가 이질로 홍천에서 선종하였다. 1945년 8월 15일, 와끼다 교구장이 사임하였다.

2. 2. 해방 이후


  • 1945년 9월 16일 임 맥폴린 몬시뇰이 제3대 교구장에 취임하면서 교구청을 목포시 산정동 97번지로 다시 이전하였다.
  • 1947년 10월 현 하롤드 신부가 교구장 서리로 임명되었다.
  • 1949년 11월 2일 브레난 안 몬시뇰이 제4대 교구장에 취임하였다.
  • 1950년 7월 현 하롤드 신부가 다시 교구장 서리로 임명되었다.
  • 1950년 9월 24일 브레난 안 교구장은 산정동 주임 고 토마스 신부와 보좌 오 요한 신부와 함께 북한으로 피랍되어 피살된 것으로 추정된다.
  • 1954년 10월 3일 현 하롤드 신부가 제5대 교구장에 취임하였다.
  • 1956년 2월 5일 교구청을 광주시 북동 33번지(현 북동 성당)에 임시 이전하였다.
  • 1956년 7월 8일 교구청을 광주시 소태동 722번지로 이전하였다.
  • 1957년 1월 21일 광주교구가 대목구로 승격되었으며, 현 하롤드 신부가 대목구장으로 임명되었다.
  • 1957년 5월 11일 현 하롤드 신부가 주교로 서품되었다.
  • 1962년 3월 7일 대건신학교(현 광주가톨릭대학교)가 설립되었다.
  • 1962년 3월 10일 광주교구가 대교구로 승격됨과 동시에 현 하롤드 주교가 초대 대주교로 승임되었다.

2. 3. 5.18 민주화운동과 그 이후

1966년 3월 5일, 권야고보 신부가 광주대교구 보좌주교로 임명되었다. 1971년 6월 28일에는 제주지목구가 설정되었고, 같은 해 9월 8일, 한공렬 대주교가 제6대 교구장으로 착좌하였다. 이와 함께 현 하롤드 대주교는 제주교구장으로 이동하였다.

1973년 3월 7일, 한공렬 대주교가 심근경색으로 서울 성모병원에서 선종하였다. 3월 12일, 장옥석 신부가 교구장 서리로 임명되었으며, 11월 30일에는 윤공희 대주교가 제7대 교구장으로 착좌하였다.

1976년 1월 6일, 가톨릭센터가 설립되었고, 5월 30일에는 교구청이 광주시 동구 금남로3가 3-5(가톨릭센터 6층)로 이전하였다. 1977년 3월 21일, 제주교구가 설정되었다.

1983년 9월 28일, 주교좌 임동대성당 봉헌식이 거행되었다. 1986년 10월 13일에는 광주시 북구 임동 5-32에 주교관 및 교구청사가 마련되어 축복식을 가졌다. 1987년 10월 3일, 광주가톨릭대학교 교정에서 교구 설정 50주년 기념 경축제가 열렸다.

2. 4. 1990년대 이후


  • 1990년 7월 12일: 교구 50년사를 출판하였다.
  • 1996년 6월 2일: 광주평화방송(FM 99.9MHz)을 개국하였다.
  • 1997년 10월 12일: 광주대교구 설정 60주년 및 목포지역 선교 100주년 기념 경축행사를 목포유달경기장에서 거행하였다.
  • 1999년 4월 15일: 최창무 대주교가 부교구장으로 부임하였다.
  • 2000년 11월 30일: 최창무 대주교가 제8대 교구장으로 착좌하였다.
  • 2002년 12월 16일: 사회복지법인 가톨릭광주사회복지회를 설립하였다.
  • 2003년 6월 24일: 김희중 신부가 광주대교구 보좌주교로 임명되었다.
  • 2006년 12월: 교구청을 광주시 서구 상무2동 997-1(현 평생교육원)로 이전하였다.
  • 2007년 5월 27일: 교구설정 70주년 기념 경축제를 광주가톨릭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거행하였다.
  • 2008년 6월 12일: 피아골 피정집(구례군 토지면)을 개관하였다.
  • 2009년 7월 10일: 김희중 주교가 광주대교구 부교구장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 2010년 4월 30일: 김희중 대주교가 제9대 교구장으로 착좌하였다.
  • 2010년 8월 13일: 광주인권평화재단을 설립하였다.
  • 2011년 5월 12일: 옥현진 신부가 광주대교구 보좌주교로 임명되었다.
  • 2012년 10월 7일: 교구설정 75주년 및 대교구 승격 50주년 기념축제를 개최하였다.(~14일까지)
  • 2016년 4월 3일: 발달장애인 주일학교를 설립하였다.
  • 2017년 4월 20일: 교구청 브레디관이 등록문화재 제681호로 지정되었다.
  • 2022년 11월 19일: 옥현진 주교가 교구장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 2022년 11월 30일: 옥현진 대주교가 제10대 교구장으로 착좌하였다.

3. 역대 교구장

천주교 광주대교구의 역대 교구장은 다음과 같다.

역대 교구장
대수이름세례명재임 기간비고
초대헨리 대주교하롤드1954년 10월 3일 ~ 1971년 6월 27일제주지목구장으로 발령[3]
2대한공렬 대주교베드로1971년 7월 14일 ~ 1973년 3월 7일전주교구장에서 전임, 재임 중 선종[3]
3대윤공희 대주교빅토리노1973년 10월 25일 ~ 2000년 11월 29일수원교구장에서 전임[3]
4대최창무 대주교안드레아2000년 11월 30일 ~ 2010년 4월 30일서울 보좌주교, 부교구장 대주교 역임[3]
5대김희중 대주교히지노2010년 4월 30일 ~ 2022년 11월 19일보좌주교, 부교구장 대주교 역임[3]
6대옥현진 대주교시몬2022년 11월 30일 ~ 현재보좌주교에서 승임[3]


3. 1. 교황대리 지목구장

역대 교황대리 지목구장
대수이름세례명국적임명일사임일선종일비고
1대오웬 맥폴린(임오엔) 몬시뇰오엔1937년 4월 13일1942년 2월 15일1963년 2월 28일몬시뇰
2대와끼다 아사고로오 몬시뇰토마스1943년 2월 7일1945년 9월 16일1965년 3월 16일일본 요코하마 교구장 주교 역임
3대오웬 맥폴린(임오엔) 몬시뇰오엔1945년 8월 15일1947년 10월1963년 2월 28일몬시뇰
4대토마스 브레넌(안) 몬시뇰파트리치오1948년 11월 12일1950년 9월 24일1950년 9월 24일몬시뇰
5대윌리암 헨리(현) 신부하롤드1954년 10월 3일1957년 1월 26일1976년 3월 1일신부


3. 2. 교황대리 대목구장


  • 헨리 주교 (1957년–1962년)

3. 3. 대주교

역대이름세례명착좌사임비고
1대현 하롤드 대주교하롤드1954년 10월 3일1971년 6월 27일퇴임 후 제주지목구장으로 발령[3]
2대한공렬 대주교베드로1971년 7월 14일1973년 3월 7일전주교구장에서 전임, 재임 중 선종[3]
3대윤공희 대주교빅토리노1973년 10월 25일2000년 11월 29일수원교구장에서 전임[3]
4대최창무 대주교안드레아2000년 11월 30일2010년 4월 30일서울 보좌주교, 부교구장 대주교 역임[3]
5대김희중 대주교히지노2010년 4월 30일2022년 11월 19일보좌주교, 부교구장 대주교 역임[3]
6대옥현진 대주교시몬2022년 11월 30일보좌주교에서 승임[3]


3. 4. 보좌 주교

이름재임 기간
최창무 안드레아1994년 ~ 1999년[4]
김희중 히지노2003년 ~ 2009년[4]
옥현진 시몬2011년 ~ 2022년[4]


4. 관할 지구 및 본당(성지 포함)

천주교 광주대교구는 14개 지구, 142개 본당을 관할한다.[5] 각 지구는 여러 개의 본당(성당)으로 구성되며, 일부 본당은 성지를 겸하고 있다.

지구관할 구역성당 수
광주광산1지구광주광역시 광산구 북부, 전라남도 장성군9
광주광산2지구광주광역시 광산구 남부, 전라남도 영광군10
광주남부지구광주광역시 남구10
광주동부지구광주광역시 동구, 전라남도 화순군8
광주북부1지구광주광역시 북구 북부, 전라남도 담양군, 곡성군10
광주북부2지구광주광역시 북구 남부8
광주서부지구광주광역시 서구13
나주함평지구전라남도 나주시, 함평군11
목포무안지구전라남도 목포시 동부, 무안군, 영암군 서부11
목포신안지구전라남도 목포시 서부, 신안군14
서남부지구전라남도 영암군 동부, 강진군, 해남군, 진도군, 완도군9
순천지구전라남도 순천시, 광양시, 구례군13
여수지구전라남도 여수시8
중남부지구전라남도 장흥군, 보성군, 고흥군8


4. 1. 광주광역시

지구관할 구역성당 수성당 목록
광주광산1지구광주광역시 광산구 북부, 전라남도 장성군9비아동, 사거리, 사창, 신창동, 쌍암동, 임곡동, 장덕동, 장성, 하남동
광주광산2지구광주광역시 광산구 남부, 전라남도 영광군10선암동, 신동, 염산, 영광(영광 순교자 기념성당 겸 성지), 우산동, 운남동, 원동, 월곡동, 평동, 홍농
광주남부지구광주광역시 남구10노대동, 대촌, 방림동, 봉선2동(구 봉선조봉), 봉선동(구 봉선제석), 봉선유안, 월산동, 주월동, 진월동, 효덕동
광주동부지구광주광역시 동구, 전라남도 화순군8계림동, 남동(5.18 기념성당 겸 성지), 능주, 산수동, 지산동, 학운동, 호남동, 화순
광주북부1지구광주광역시 북구 북부, 전라남도 담양군, 곡성군10곡성(감옥터 겸 성지), 담양, 대치, 문흥동, 본촌동, 서산동, 양산동, 오치동, 옥과, 창평
광주북부2지구광주광역시 북구 남부8동림동, 두암동, 북동 주교좌, 삼각동, 용봉동, 운암동, 임동 주교좌, 중흥동
광주서부지구광주광역시 서구13광천동, 금호2동, 금호동, 농성동, 쌍촌동, 염주동(구 염주대건), 유촌동, 치평동, 풍암운리, 풍암동, 화정1동, 화정3동(구 염주제준), 화정4동(구 염주경환)


4. 2. 전라남도

지구성당
나주함평지구금암, 나주(본당 겸 나주 무학당 순교성지), 남평, 노안, 다시, 빛가람동, 영산포, 학다리, 함평, 함평하상, 함평호영
목포무안지구남악, 독천, 망운, 몽탄, 무안, 삼호, 옥암동, 용당동, 일로, 청계, 하당
목포신안지구경동, 대성동, 도초, 북교동, 산정동[5], 삼학도, 신안석문, 신안인덕, 신의, 압해도, 연동, 연산동, 자은, 흑산
서남부지구강진, 고금, 신북, 영암, 완도, 우수영, 진도, 진도진길, 해남
순천지구광양, 광영동, 구례, 금당(해룡 상삼), 매곡동, 상사, 서면, 신대, 연향동, 저전동, 조곡동, 조례동, 중동
여수지구동산동, 문수동, 미평동, 서교동, 선원동, 소호동, 신기동, 율촌
중남부지구고흥, 녹동, 대덕, 도화, 벌교, 보성, 소록도, 장흥


5. 교육

천주교 광주대교구는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가톨릭 교육을 담당하며, 광주가톨릭대학교, 목포가톨릭대학교를 비롯하여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특수학교, 유치원 등 다양한 교육기관을 운영하며 지역 사회의 교육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고등학교 및 중학교

학교명주소
목포마리아회고등학교전라남도 목포시 양을로 229
성요셉여자고등학교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금릉2길 24
살레시오고등학교
살레시오중학교
광주광역시 북구 모룡대길 67
살레시오여자고등학교
살레시오여자중학교
광주광역시 동구 필문대로273번길 21


  • 초등학교: 살레시오초등학교 (광주광역시 서구 전평길)
  • 특수학교: 은혜학교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1길 211)
  • 유치원

천주교 광주대교구 유치원 목록
지역유치원 이름주소
광주광역시까리따스유치원광주광역시 남구 입하2안길 20-22
월산성모유치원광주광역시 남구 중앙로24번길 13, 월산동성당 내
성모남해유치원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봉산길 16-10
프란치스카유치원광주광역시 동구 동계로 79-28
소화유치원광주광역시 동구 제봉로 67, 남동성당 내
현대유치원광주광역시 북구 태봉로 23, 임동성당
나주시까리따스성모유치원전라남도 나주시 정렬사길 15-14
목포시성모유치원전라남도 목포시 해안로165번길 33, 경동성당 내
성심유치원전라남도 목포시 노송길 32-6
순천시성모유치원전라남도 순천시 서문로 19-1, 저전동성당 내
여수시성모유치원전라남도 여수시 신월로 799-2, 서교동성당 내
고흥군성바오로유치원전라남도 고흥군 녹동5구길 9-27
장성군장성성모유치원전라남도 장성군 충무5길 21, 장성성당 내
화순군요셉유치원전라남도 화순군 진각로 88, 화순성당 내


5. 1. 대학교

5. 2. 고등학교·중학교

학교명주소
목포마리아회고등학교전라남도 목포시 양을로 229
성요셉여자고등학교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금릉2길 24
살레시오고등학교
살레시오중학교
광주광역시 북구 모룡대길 67
살레시오여자고등학교
살레시오여자중학교
광주광역시 동구 필문대로273번길 21


5. 3. 초등학교

살레시오초등학교는 광주광역시 서구 전평길에 있다.

5. 4. 특수학교

은혜학교는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1길 211에 있다.

5. 5. 유치원

천주교 광주대교구 유치원 목록
지역유치원 이름주소
광주광역시까리따스유치원광주광역시 남구 입하2안길 20-22
월산성모유치원광주광역시 남구 중앙로24번길 13, 월산동성당 내
성모남해유치원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봉산길 16-10
프란치스카유치원광주광역시 동구 동계로 79-28
소화유치원광주광역시 동구 제봉로 67, 남동성당 내
현대유치원광주광역시 북구 태봉로 23, 임동성당
나주시까리따스성모유치원전라남도 나주시 정렬사길 15-14
목포시성모유치원전라남도 목포시 해안로165번길 33, 경동성당 내
성심유치원전라남도 목포시 노송길 32-6
순천시성모유치원전라남도 순천시 서문로 19-1, 저전동성당 내
여수시성모유치원전라남도 여수시 신월로 799-2, 서교동성당 내
고흥군성바오로유치원전라남도 고흥군 녹동5구길 9-27
장성군장성성모유치원전라남도 장성군 충무5길 21, 장성성당 내
화순군요셉유치원전라남도 화순군 진각로 88, 화순성당 내


6. 의료기관


  • 천주의성요한병원 (광주광역시 북구 태봉로 32)[1]
  • 순천 성가롤로병원 (전남 순천시 순광로 221)[2]

7. 보도/출판기관

참조

[1] 웹사이트 Archdiocese of Kwangju http://www.catholic-[...] Catholic-Hierarchy 2014-02-13
[2] 웹사이트 Metropolitan Archdiocese of Gwangju 광주 http://www.gcatholic[...] Giga Catholic 2020-09-26
[3] 뉴스 천주교 광주대교구장에 옥현진 임명…대주교로 승품 https://www.hani.co.[...] The Hankyoreh 2023-03-18
[4] 웹사이트 Bishop Simon Ok Hyun-jjn http://www.catholic-[...] Catholic Hierarchy 2015-11-07
[5] 문서 인근에 가톨릭 목포성지가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