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흥군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마한 시대 막로국에서 시작되어 백제,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시대 장흥도호부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3읍 7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득량만과 인접해 해안선을 이루고, 노령산맥의 지맥이 지나가는 산악 지형을 보인다. 주요 산업으로는 표고버섯 생산이 유명하며, 2007년 아시아 최초의 슬로시티로 지정되었다. 주요 관광지로는 천관산, 정남진 등이 있으며, 장흥정남진물축제, 천관산 억새제 등 다양한 축제가 개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흥군의 행정 구역 - 회진면
회진면은 전라남도 장흥군에 속하는 면으로, 백제 시대 마사량현에서 시작하여 고려 시대 회령을 거쳐 조선 시대 회령면으로 존속하다가 1986년 분면되어 현재 대리, 덕산리, 신상리, 진목리, 회진리의 5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 장흥군 - 정남진도서관
정남진도서관은 2004년 개관하여 디지털자료실, 어린이자료실, 정보화마을 e-배움터를 운영하고, 문화강좌 운영, 책 축제 개최, 우수도서관 선정 등의 활동을 하는 도서관이다. - 장흥군 - 장흥공공도서관
- 전라남도의 군 - 보성군
보성군은 전라남도 남해안에 위치하며, 쌀, 보리, 면화 등 다양한 작물을 생산하며, 녹차, 꼬막 등의 특산물과 벌교 홍교, 대원사 등의 문화유산을 가지고 있다. - 전라남도의 군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장흥군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장흥군 |
로마자 표기 | Jangheung-gun |
한글 표기 | 장흥군 |
한자 표기 | 長興郡 |
위치 | 대한민국 호남 |
방언 | 전라 |
면적 | 617.96 km² |
인구 (2024년 9월 기준) | 34,544 명 |
인구 밀도 | 86 명/km² |
행정 구역 | 3 읍, 7 면 |
읍 | 장흥읍 관산읍 대덕읍 |
면 | 용산면 안양면 장동면 부산면 유치면 웅치면 회진면 |
![]() | |
![]() | |
행정 | |
군수 | 김성 (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 문금주 (더불어민주당, 고흥군·보성군·장흥군·강진군) |
군청 소재지 | 장흥읍 장흥로 21 (건산리 715-11) |
홈페이지 | 장흥군청 |
상징 | |
군목 | 동백나무 |
군화 | 진달래 |
군조 | 비둘기 |
상징 동물 | 표동이 |
2. 역사
대동여지도에 따르면 마한의 막로국(莫盧國)이었다. 백제 시대에는 오차현(烏次縣)이었으며, 당시 치소는 지금의 관산읍 지역이었다. 757년(경덕왕 16년)에 오아현(烏兒縣)으로 개칭하고 보성군의 영현이 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년) 정안현(定安縣)으로 개칭하고 영암군의 속현이 되었다. 고려 성종은 정주(定州) 또는 관산(冠山)이라는 별호를 부여하였다.
장흥군은 전라남도 남부에 위치하여 북방으로부터 동남방에 이르는 경계의 고지대로 화순군, 보성군과 경계를 이루면서 득량만이 접하고 안양, 용산, 관산, 대덕, 회진 5개 읍면은 해안선에 이어져 있어 고흥군, 완도군과 경계를 이룬다. 북부에서 서남쪽 경계는 산악지대로 영암군, 강진군과 경계를 이루고 용반들, 부산들, 한들평야등의 동북쪽의 보성강 유역과 남부의 득량만에 흐르는 크고 작은 하천 유역에 평야가 산재되어 있다.[24]
고려 인종 때 공예왕후 임씨의 고향이라 하여 '''장흥부'''(長興府)로 승격되었다. 영암군의 속현인 수령현(遂寧縣), 탐진현(耽津縣)과 보성군의 속현인 회령현(會寧縣), 장택현(長澤縣), 두원현(荳原縣)이 장흥의 속현이 되었고, 이후 도량도부곡(道良道部曲)이 도양현(道陽縣)으로 승격되어 6개 속현을 관할하였다. 1265년(고려 고종 45년) 회주목(懷州牧)으로 승격하였다가, 1310년(고려 충선왕 2년) 전국의 목(牧)을 정리하면서 다시 장흥부로 강등되었다.
1379년에 왜구의 침입을 피해 능성의 속현인 철야현으로 이전하였다가, 1392년에 수령현의 중령산(中寧山)에 성을 쌓고 치소를 이전하였다. 1409년(조선 태종 9년) 전라도의 모든 속현과 향·소·부곡이 폐지되면서 장흥부의 6개 속현, 6개 향, 13개 소가 모두 폐지되었다. 1413년 장흥도호부가 되었다. 이듬해 성이 좁다 하여 옛 수령현의 터에 성을 쌓고 장흥의 치소로 삼았다. 1417년 옛 탐진현이 도강현에 편입되어 강진현이 되었고, 1441년 옛 두원현과 도양현이 흥양현에 편입되었다.
1895년 6월 23일 나주부 장흥군으로 개편되었고,[15] 1896년 도서 지역을 신설 완도군에 편입하였다.[16] 같은 해 8월 4일 전라남도 장흥군으로 개편되었다.[17] 1914년 4월 1일 천포면, 회령면, 웅치면을 보성군에 편입하였고,[18] 노력도 등 육지에 바로 인접한 일부 도서를 완도군에서 반환받았다. 1931년 4월 1일 고읍면을 관산면으로 개칭하였으며,[19] 1932년 11월 1일 부동면은 장흥면에, 남상면과 남하면은 용산면으로 통합되었다.[20]
1940년 11월 1일 장흥면이 장흥읍으로 승격하였고,[21] 1973년 7월 1일 장동면 광평리가 장평면에 편입되었다. 1980년 12월 1일 대덕면과 관산면이 각각 읍으로 승격하였으며,[22] 1986년 4월 10일 대덕읍 회진출장소가 회진면으로 승격하였다. 2007년 1월 5일 장흥읍 우목리를 우산리로, 용산면 하금리를 금곡리로 명칭을 변경하였다.[23] 2021년 7월 5일에는 집중호우로 인해 주택 등 24동이 침수되고, 농지 2996헥타르가 침수되는 피해가 발생했다.[11]
3. 지리
장흥군의 산악은 노령산맥의 지맥으로 북방 유치면의 삼계봉(503.9m)을 거점으로 동남으로는 장평면의 봉미산, 벽옥산(479.2m)등에 연결되고 중앙으로는 유치면의 가지산(509.9m) 용두산, 보성군과 경계인 장흥군의 제암산(807.0m), 안양면의 사자산(666.0m) 곰치산 등에 연결되어 있다.[24]
서남으로는 유치면의 민들고랑(479.9m), 국사봉(613.3m), 부산면의 수인산(516.2m), 용산면의 부용산(609.0m), 관산읍의 천관산(723.1m)과 양암봉(464.9m)으로 연결되어 남북 일대의 산맥을 이루고 있다.[24]
장흥 천관산은 그 풍경과 억새로 유명하다. 이 억새는 9월 중순부터 10월까지 키가 완전히 자란다.[3]
전라남도 3대강의 하나인 탐진강은 영암군 금정산에서 발원하여 유치, 부산, 장흥에 이르기까지 대소 20개 하천이 합류되어 장흥군에서 예양(일명 금강)강이라고 하고 사인암에 이르러 영암군 월출산에서 발원한 금강천과 합류하여 강진만으로 흐른다. 강유역에서 용반, 부산, 한들 등의 비옥한 평야가 펼쳐 있어 농산물이 풍부하여 장흥의 명산물의 하나인 은어가 여름철에 서식하고 있다. 기타 대소하천은 동북쪽 장평면의 9개 하천은 보성강에 흐르고 남쪽의 남상천의 16개 하천은 득량만으로 흐르고 있다.
3. 1. 산
장흥 천관산은 그 풍경과 억새로 유명하다. 이 억새는 9월 중순부터 10월까지 키가 완전히 자란다.[3]
3. 2. 강
3. 3. 기후
장흥군의 기후는 온난 습윤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Cfa'')에 속하며, 대한민국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72년~현재) 연평균 기온은 13.3℃, 연 강수량은 1471.8mm이다.[25][26]
월 | 평균 기온 (℃) | 평균 최고 기온 (℃) | 평균 최저 기온 (℃) | 강수량 (mm) | 평균 강수일수 | 습도 (%) | 일조 시간 |
---|---|---|---|---|---|---|---|
1월 | 1.0 | 6.5 | -3.9 | 28.2 | 7.9 | 67.0 | 161.7 |
2월 | 2.6 | 8.8 | -3.0 | 42.4 | 6.7 | 64.9 | 168.9 |
3월 | 6.8 | 13.4 | 0.5 | 78.7 | 8.5 | 65.3 | 197.5 |
4월 | 12.2 | 19.0 | 5.4 | 108.5 | 8.5 | 66.1 | 211.2 |
5월 | 17.3 | 23.6 | 11.3 | 121.6 | 9.2 | 70.1 | 222.0 |
6월 | 21.4 | 26.2 | 17.3 | 187.0 | 9.8 | 76.3 | 165.0 |
7월 | 24.9 | 28.9 | 21.7 | 275.3 | 13.9 | 82.7 | 141.6 |
8월 | 25.6 | 30.0 | 21.9 | 316.5 | 12.9 | 80.8 | 175.8 |
9월 | 21.2 | 26.9 | 16.5 | 163.6 | 8.9 | 77.8 | 169.0 |
10월 | 15.0 | 22.2 | 8.8 | 63.4 | 5.3 | 72.3 | 202.0 |
11월 | 8.7 | 15.5 | 2.8 | 54.8 | 7.6 | 70.9 | 165.0 |
12월 | 2.9 | 8.8 | -2.4 | 31.8 | 7.9 | 68.9 | 157.0 |
가장 더운 달은 8월로, 평균 최고 기온은 30.0℃이다. 가장 추운 달은 1월로, 평균 최저 기온은 -3.9℃이다. 역대 최고 기온은 1994년 7월 21일에 기록된 38.7℃이고, 역대 최저 기온은 1990년 1월 25일에 기록된 -15.5℃이다.[12][13]
4. 행정 구역
장흥군의 행정 구역은 3읍 7면 294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장흥군의 면적은 618.2km2이며, 인구는 2010년 12월 말을 기준으로 19,878가구, 42,394명이다.[27]
읍면동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 |
---|---|---|---|---|
장흥읍 | 長興邑 | 6,629 | 15,312 | 55.91 |
관산읍 | 冠山邑 | 2,957 | 6,322 | 71.81 |
대덕읍 | 大德邑 | 2,063 | 4,307 | 58.08 |
용산면 | 蓉山面 | 1,315 | 2,666 | 72.34 |
안양면 | 安良面 | 1,676 | 3,345 | 51.15 |
장동면 | 長東面 | 739 | 1,490 | 44.85 |
장평면 | 長平面 | 1,353 | 2,563 | 77.87 |
유치면 | 有治面 | 694 | 1,300 | 122.17 |
부산면 | 夫山面 | 911 | 1,669 | 38.01 |
회진면 | 會鎭面 | 1,541 | 3,420 | 25.99 |
장흥군 | 長興郡 | 19,878 | 42,394 | 618.18 |
5. 인구
연도 | 총인구 |
---|---|
1960년 | 126,733명 |
1966년 | 144,478명 |
1970년 | 133,893명 |
1975년 | 123,924명 |
1980년 | 112,961명 |
1985년 | 89,626명 |
1990년 | 68,284명 |
1995년 | 52,209명 |
2000년 | 48,305명 |
2005년 | 40,044명 |
2010년 | 35,763명 |
6. 정치
6. 1. 역대 군수
wikitable대수 | 이름 | 임기 | 정당 | 비고 |
---|---|---|---|---|
1 | 김재승 | 1948년 10월 25일 ~ 1950년 5월 29일 | 무소속 | |
2 | 백형갑 | 1950년 5월 30일 ~ 1951년 12월 5일 | 무소속 | |
3 | 김홍식 | 1951년 12월 6일 ~ 1954년 1월 14일 | 무소속 | |
4 | 김규현 | 1954년 1월 15일 ~ 1954년 7월 14일 | 무소속 | |
5 | 김종대 | 1954년 7월 15일 ~ 1956년 8월 12일 | 무소속 | |
6 | 김규현 | 1956년 8월 13일 ~ 1958년 10월 24일 | 자유당 | |
7 | 최익환 | 1958년 10월 25일 ~ 1960년 4월 29일 | 자유당 | |
8 | 김종대 | 1960년 5월 2일 ~ 1960년 10월 6일 | 무소속 | |
9 | 길병성 | 1960년 10월 7일 ~ 1960년 12월 29일 | 무소속 | |
10 | 김형옥 | 1960년 12월 30일 ~ 1961년 7월 6일 | 민주당 | |
11 | 김종대 | 1961년 7월 7일 ~ 1963년 12월 16일 | 육군 준장 예편 | |
12 | 김성환 | 1963년 12월 17일 ~ 1965년 9월 22일 | 육군 대령 예편 | |
13 | 김종수 | 1965년 9월 23일 ~ 1969년 4월 30일 | 민주공화당 | |
14 | 김기홍 | 1969년 5월 10일 ~ 1970년 9월 8일 | 민주공화당 | |
15 | 김종수 | 1970년 9월 9일 ~ 1971년 8월 18일 | 민주공화당 | |
16 | 최연구 | 1971년 8월 19일 ~ 1975년 9월 8일 | 민주공화당 | |
17 | 이근배 | 1975년 9월 9일 ~ 1977년 3월 12일 | 민주공화당 | |
18 | 최재근 | 1977년 3월 13일 ~ 1979년 6월 30일 | 민주공화당 | |
19 | 이사현 | 1979년 7월 1일 ~ 1980년 7월 14일 | 민주공화당 | |
20 | 백경현 | 1980년 7월 15일 ~ 1982년 9월 20일 | 무소속 | |
21 | 김인규 | 1982년 9월 21일 ~ 1983년 2월 15일 | 무소속 | |
22 | 김재천 | 1983년 2월 16일 ~ 1985년 2월 18일 | 무소속 | |
23 | 김천석 | 1985년 2월 19일 ~ 1986년 3월 17일 | 무소속 | |
24 | 이병렬 | 1986년 3월 18일 ~ 1986년 12월 18일 | 무소속 | |
25 | 김광식 | 1986년 12월 19일 ~ 1988년 5월 27일 | 무소속 | |
26 | 김주호 | 1988년 5월 28일 ~ 1988년 12월 31일 | 무소속 | |
27 | 김기태 | 1988년 12월 31일 ~ 1991년 1월 20일 | 무소속 | |
28 | 박노식 | 1991년 1월 21일 ~ 1992년 7월 27일 | 무소속 | |
29 | 김두환 | 1992년 7월 28일 ~ 1993년 3월 29일 | 무소속 | |
30 | 황주홍 | 1993년 3월 30일 ~ 1994년 3월 28일 | 무소속 | |
31 | 김근수 | 1994년 3월 29일 ~ 1995년 6월 30일 | 무소속 | |
32 | 김기홍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무소속 → 자민련 → 무소속 | |
33 | 김기홍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새정치국민회의 → 새천년민주당 | |
34 | 이명흠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새천년민주당 → 무소속 → 열린우리당 | |
35 | 이명흠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열린우리당 → 대통합민주신당 → 무소속 → 민주당 | |
36 | 이명흠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민주당 → 민주당 → 민주통합당 → 민주당 → 새정치민주연합 | |
37 | 김성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새정치민주연합 → 무소속 | |
38 | 정종순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더불어민주당 | |
39 | 정종순 | 2022년 7월 1일 ~ 현재 | 더불어민주당 |
7. 경제
7. 1. 산업
7. 2. 특산물
장흥군은 표고버섯 생산으로 유명하다.[4] 친환경적인 재배 방식을 통해 한국 의약품에 사용되는 작물을 재배하고 있다. 장흥군은 2006년 고품질 작물 생산으로 공식적인 상을 받았다.[5]8. 사회
8. 1. 교육
8. 2. 문화
2007년 장흥군은 슬로시티로 지정되었다. 이는 아시아 최초의 슬로시티 지정이었다.[2] 임권택 감독의 영화 ''축제''(1996)는 장흥군에서 촬영되었다.[2]8. 3. 복지
9. 교통
10. 관광
- 정남진
- 소등섬
- 우드랜드
- 하늘빛수목원
- 천관산 도립공원
장흥 천관산은 그 풍경과 억새로 유명하다. 이 억새는 9월 중순부터 10월까지 키가 완전히 자란다.[3]
- 비비 에코토피아(Vivi Ecotopia)
- 오헌 고택(Oheon Old House)
'''축제'''
장흥정남진물축제, 정남진 전국 마라톤 대회, 제암산 철쭉제, 정남진장흥 키조개 축제, 선학동 메밀꽃축제, 천관산 억새제, 장흥표고버섯축제가 열린다.[2] 임권택 감독의 영화 ''축제''(1996)는 장흥군에서 촬영되었다.[2]
10. 1. 축제
장흥정남진물축제, 정남진 전국 마라톤 대회, 제암산 철쭉제, 정남진장흥 키조개 축제, 선학동 메밀꽃축제, 천관산 억새제, 장흥표고버섯축제가 열린다.[2] 임권택 감독의 영화 ''축제''(1996)는 장흥군에서 촬영되었다.[2]11. 자매 도시
장흥군은 대한민국 내 여러 도시 및 중화인민공화국의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서울특별시 동작구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부산광역시 영도구
- 인천광역시 서구
- 경기도 성남시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타이산 하이옌
12. 출신 인물
wikitext
분류:장흥군 출신 인물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뉴스
남도의 끝자락… 보리밭 사잇길로 봄이 온다
http://www.heraldbiz[...]
헤럴드경제
2008-01-18
[3]
뉴스
장흥 천관산에 억새 활짝
http://www.seoul.co.[...]
Seoul Shinmun
2007-09-12
[4]
웹사이트
County official page
[5]
뉴스
장흥군, 친환경농업 전국최고 공식인정
http://news.naver.co[...]
Yeonhap news
2006-12-18
[6]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7]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8]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12-08
[9]
웹사이트
자매결연도시
http://www.yeongdo.g[...]
2018-05-01
[10]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1]
뉴스
韓国南部・全南に2日間500ミリの大雨…住宅浸水・土砂崩れ2人死亡
https://japanese.joi[...]
중앙일보
2021-07-07
[12]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장흥(260)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13]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장흥(260)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14]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5]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s:고종실록 32년 5월#음력 5월 [...]
1895-05-26
[16]
법률
칙령 제13호 3군을 두는 안건
[17]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8]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9]
법률
도령 제7호
1931-03-09
[20]
법률
도령 제20호
1932-10-20
[21]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221호
1940-10-23
[22]
법률
대통령령 제10050호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10-21
[23]
법률
장흥군 이 명칭과 행정구역에 관한 조례
2007-01-05
[24]
웹사이트
장흥군의 지리
http://www.jangheung[...]
2011-05-08
[25]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장흥(260)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26]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장흥(260)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27]
웹사이트
장흥군 일반현황
http://www.jangheung[...]
[28]
간행물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