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피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각 피질은 소리 정보를 처리하는 대뇌 피질의 영역으로, 귀에서 전달된 소리를 청각계를 거쳐 받아들인다. 구조적으로 코어, 벨트, 패러벨트 영역으로 구분되며, 코어는 음정 지도를 보존한다. 청각 피질은 동물 실험, 특히 쥐, 고양이, 마카크 원숭이를 통해 연구되었으며, 인간의 경우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뇌전도, 뇌피질전도 등을 통해 연구가 진행되었다. 청각 피질은 소리의 인식과 위치 파악, 청각 객체의 식별 및 분리에 관여하며, 음높이 지각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노르에피네프린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조절되며, 성별에 따른 구조적 차이도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뇌피질 - 대뇌 피질
대뇌 피질은 대뇌 반구 표면의 바깥 덮개로, 뇌의 가장 바깥층에서 인지, 감각, 운동 기능과 같은 고등 정신 기능을 담당하며, 이랑과 고랑으로 접힌 구조, 6개의 층으로 된 신피질과 3~4개의 층으로 된 구피질, 그리고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 등으로 나뉜 영역별 고유 기능적 역할을 특징으로 한다. - 대뇌피질 - 피라미드 세포
피라미드 세포는 뇌의 뉴런으로, 원뿔 모양의 세포체, 단일 축삭, 큰 정단 수상돌기, 여러 개의 기저 수상돌기, 수상돌기 가시를 가지며, 대뇌 피질과 해마에서 발견되어 인지, 기억, 학습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고, 발화 특성 및 유전자 발현에 따라 다양한 하위 유형으로 분류된다.
청각피질 | |
---|---|
개요 | |
![]() | |
세부 정보 | |
라틴어 명칭 | cortex auditivus |
위치 | 해당 사항 없음 |
구성 요소 | 해당 사항 없음 |
동맥 | 해당 사항 없음 |
정맥 | 해당 사항 없음 |
약어 | 해당 사항 없음 |
2. 구조
청각 피질은 과거에 일차 피질(A1), 이차 피질(A2), 그리고 추가적인 연합 영역으로 나뉘었다. 현대에는 청각 피질을 코어(core, A1 포함), 벨트(belt, A2 포함), 그리고 패러벨트(parabelt, A3 포함)로 구분한다. 벨트는 코어 주변의 바로 인접한 영역이며, 패러벨트는 벨트의 가쪽에 위치한다.[6] 코어(A1)는 달팽이관의 첨부와 기저에 해당하는 저주파수에서 고주파수까지를 맵핑하는 구조적인 음정지도(tonotopy)를 보인다.
청각 피질은 청각계를 통해 귀에서 입력받은 소리를 전달받고, 다시 청각계 하부 영역에도 신호를 전달하는 등 대뇌 피질의 다른 부분들과도 상호 연결되어 있다. 청각 피질에 관한 정보는 주로 쥐, 고양이, 마카크 원숭이 등 동물 실험을 통해 얻어졌으며, 인간의 경우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뇌전도(EEG), 뇌피질전도(ECoG) 등을 통해 연구되었다.[7][8]
2. 1. 세부 구조
코어(core)는 일차 청각 피질(A1)을 포함하며, 달팽이관 첨부(apex)와 기저(base)에 해당하는 저주파수에서 고주파수까지를 맵핑하는 구조적인 음정지도(tonotopy)를 보존한다. 벨트(belt)는 코어 주변의 바로 인접한 영역으로 이차 청각 피질(A2)을 포함한다. 패러벨트(parabelt)는 벨트 가쪽에 위치하며 삼차 청각 피질(A3)을 포함한다.[6]청각 피질은 청각계를 거쳐 귀에서 입력받은 소리를 전달받는데, 다시 청각계 하부 영역에도 신호를 전달하는 등 대뇌 피질 다른 부분들과도 상호 연결되어 있다.
청각 피질에 관한 정보는 주로 쥐, 고양이, 마카크 원숭이 등 동물 실험을 통해 얻어졌다. 인간의 경우, 청각 피질 구조와 기능은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뇌전도(EEG), 뇌피질전도(ECoG) 등을 통해 연구되었다.[7][8]
2. 2. 연구 방법
청각 피질에 관한 정보는 주로 쥐, 고양이, 마카크 원숭이 등 동물 실험을 통해 얻어졌다. 인간의 경우, 청각 피질의 구조와 기능은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뇌전도(EEG), 뇌피질전도(ECoG) 등을 통해 연구되었다.[7][8]2. 3. 발달
신피질의 많은 영역과 마찬가지로, 성체의 일차 청각 피질(A1)의 기능적 특성은 생애 초기 경험한 소리에 크게 의존한다. 이 현상은 특히 고양이와 쥐와 같은 모델 생물을 통해 잘 연구되었다. 쥐의 경우, 생후 11일(P11)에서 13일(P13) 동안 특정 주파수에 노출되면, A1 내에서 해당 주파수의 표현 영역이 2배로 확장된다.[9] 이 변화는 평생 유지되며, 또한 이 기간에 특이적이어서 이 기간 외의 동일한 주파수 노출은 A1의 음정지도에 지속적인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다.인간의 경우 청각 피질 내에서 성별간 차이가 나타난다. 특히 베르니케 영역을 포함하는 측두면(planum temporale)에서 남성과 여성 간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남성의 측두면은 평균적으로 더 큰 부피를 가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성호르몬과 비대칭적 뇌 발달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전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10]
3. 기능
청각은 뇌종양이나 뇌졸중 등으로 인해 청각 피질 영역에 손상을 입은 환자, 또는 외과적 병변이나 기타 방법으로 피질 영역을 비활성화한 동물 실험에서 증명되듯이, 피질 영역에 도달하고 처리되어야 비로소 인지된다.[11][12] 인간의 청각 피질 손상은 소리 인식 상실로 이어지지만, 뇌줄기와 중뇌에서 상당한 정보 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반사적으로 소리에 반응하는 능력은 유지된다.[13][14][15]
청각 피질의 뉴런은 특정 주파수의 소리에 가장 잘 반응하도록 조직되어 있다. 청각 피질의 한쪽 끝 뉴런은 저주파수에, 다른 쪽 끝의 뉴런은 고주파수에 가장 잘 반응한다. 청각 피질에는 시각 피질처럼 여러 영역이 존재하며, 이 영역들은 해부학적으로 구분될 뿐만 아니라 완전한 음정지도를 포함한다는 점에서도 구분된다. 음정지도는 달팽이관이 소리 주파수에 따라 배열된다는 사실을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청각 피질은 청각 객체를 식별하고 분리하거나, 소리의 위치를 공간에서 파악하는 등의 과제를 수행한다. A1은 복잡하고 추상적인 청각 자극을 인코딩하지만, 주파수 내용, 특정 소리의 존재, 또는 그 반향과 같은 "원시적" 요소는 인코딩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16]
듣는 과정에서 여러 종류의 소리가 동시에 전달된다. 청각 시스템의 역할은 이러한 소리 구성 요소 중 어떤 것이 하나의 소리로 연결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많은 이들이 이러한 연결이 소리의 위치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고 추정한다. 청각 피질은 화음, 타이밍 등 기본 요소에 기반해 각 소리를 그룹화한다.[18]
일차 청각 피질은 측두엽의 상측두이랑에 위치하며, 가쪽고랑(lateral sulcus)과 가로측두이랑(transverse temporal gyri, Heschl's gyrus)으로 확장된다. 소리의 최종 처리는 인간 대뇌 피질의 두정엽과 전두엽에서 이루어진다. 동물 연구에 따르면, 대뇌 피질의 청각 영역은 시상으로부터 상행성 입력을 받고, 같은 대뇌 반구와 반대쪽 대뇌 반구와도 상호 연결되어 있다.
청각 피질은 구조와 기능 면에서 서로 다른 여러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19] 이러한 영역의 수는 종에 따라 다양하며, 설치류에서는 2개, 붉은털원숭이에서는 최대 15개까지 존재한다. 인간 청각 피질의 영역 수, 위치, 조직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인간 청각 피질에 대한 지식은 주로 포유류, 특히 영장류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간 뇌의 전기생리학적 검사와 기능적 영상 연구를 해석하여 얻어진 것이다.
청각 피질의 기능은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청각 정보가 피질로 전달될 때 정확히 어떤 과정이 일어나는지 역시 불분명하며, 개체마다 청각 피질은 상당한 변이를 보인다. 영국 생물학자 제임스 비먼트(James Beament)는 "피질이 너무 복잡하여 원칙적으로 이해하는 것 이상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이미 확보한 증거에 따르면 두 사람의 피질이 정확히 동일하게 작동하지 않는다"고 적었다.[17]
3. 1. 음높이 지각
뇌 스캔 연구에 따르면, 청각 피질의 주변부는 음높이를 식별할 때 활성화된다. 개별 세포는 특정 주파수 또는 그 주파수의 배수에 해당하는 소리에 일관되게 반응한다.[17]교향악단이나 재즈 밴드의 각 악기가 동일한 음을 연주할 때, 소리의 음색과 파형은 서로 다르지만 사람들은 이를 동일한 음높이로 인식한다. 이는 뇌의 청각 피질 뉴런이 음높이에 반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모셋원숭이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음높이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뉴런은 일차 청각 피질의 앞가쪽 경계 근처의 피질 영역에 위치한다. 이와 유사한 음높이 선택 영역은 인간의 기능적 영상 연구에서도 확인되었다.[20][21]
3. 2. 신경 조절
청각 피질은 노르에피네프린을 비롯한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조절된다.[22] 노르에피네프린은 측두엽 피질 모든 층에서 세포 흥분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α1-아드레날린 수용체가 노르에피네프린에 의해 활성화되면, AMPA 수용체에서의 글루탐산성 흥분성 시냅스 후 전위가 감소한다.[22]참조
[1]
문서
An Introduction to the Physiology of Hearing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2012
[2]
저널
Bilingual language switching in the lab vs. in the wild: The Spatio-temporal dynamics of adaptive language control
2017-08-16
[3]
문서
An Introduction to the Physiology of Hearing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2012
[4]
저널
Three- and four-dimensional mapping of speech and language in patients with epilepsy
[5]
저널
The cortical organization of speech processing
2007-05
[6]
문서
An Introduction to the Physiology of Hearing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2012
[7]
저널
An anatomical and functional topography of human auditory cortical areas
2014-07-29
[8]
저널
Maps and streams in the auditory cortex: nonhuman primates illuminate human speech processing
2009-05-26
[9]
저널
Critical period window for spectral tuning defined in the primary auditory cortex (A1) in the rat
https://cloudfront.e[...]
[10]
저널
Gender differences in the normal lateralization of the supratemporal cortex: MRI surface-rendering morphometry of Heschl's gyrus and the planum temporale
1994-03
[11]
저널
Preservation of Auditory P300-Like Potentials in Cortical Deafness
2012-01
[12]
저널
Hearing loss in Japanese macaques following bilateral auditory cortex lesions
http://psychology.ut[...]
2012-09-11
[13]
서적
Human subcortical auditory function provides a new conceptual framework for considering modularity
[14]
저널
Stimulus Rate and Subcortical Auditory Processing of Speech
http://www.soc.north[...]
2012-09-11
[15]
저널
Musical Experience Promotes Subcortical Efficiency in Processing Emotional Vocal Sounds
http://www.soc.north[...]
2012-09-11
[16]
저널
Auditory abstraction from spectro-temporal features to coding auditory entities
2012-11-13
[17]
서적
How We Hear Music: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the Hearing Mechanism
https://archive.org/[...]
Boydell Press
[18]
뉴스
Hearing Music in Ensembles
2010-02
[19]
저널
Parallel auditory pathways: projection patterns of the different neuronal populations in the dorsal and ventral cochlear nuclei
2003-06-15
[20]
저널
The neuronal representation of pitch in primate auditory cortex
[21]
저널
Neuroscience: finding the missing fundamental
[22]
저널
Norepinephrine homogeneously inhibits alpha-amino-3-hydroxyl-5-methyl-4-isoxazole-propionate- (AMPAR-) mediated currents in all layers of the temporal cortex of the r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