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두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두선은 일제강점기, 광복 이후 언론인, 교육자, 정치인으로 활동한 인물이다. 휘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와세다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은 후, 독일에서 유학했다. 광복 후 동아일보 사장을 역임했으며, 1963년 박정희 정부의 초대 국무총리를 지냈다. 대한적십자사 총재로서 이산가족 상봉을 추진하고 남북적십자회담을 이끌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촌기념회 - 동아일보
동아일보는 1920년 창간되어 민주주의, 민족주의, 문화주의를 사시로 내걸고 민족운동 등을 전개했으며, 일제강점기 폐간 후 복간되어 방송 사업을 시작했고, 여러 논란을 겪으며 현재 주 6일제로 신문을 발행한다. - 인촌기념회 - 이희승
이희승은 국어학자, 교육자, 언론인으로, 일제강점기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투옥되었고, 서울대학교 교수로 국어 연구와 사전 편찬에 기여했으며, 『국어대사전』 발간, 동아일보 사장, 대구대학교 총장, 성균관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하고 학술원 부회장 등을 지내며 국어 교육 발전에 힘썼으며, 시집 《박꽃》, 수필집 《딸깍발이》 등의 저서를 남겼다. - 동주 최씨 - 최남선
최남선은 1890년에 태어나 1957년에 사망한 대한민국의 문인이자 독립운동가, 언론인, 역사학자이며, 《소년》을 창간하고 신체시 〈해에게서 소년에게〉를 발표하여 현대 한국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3·1 운동 독립선언서 기초, 친일 행적, 단군 연구, 《단군론》, 《불함문화론》 저술 등의 활동을 했다. - 동주 최씨 - 최영
최영은 고려 후기의 무신으로 왜구와 홍건적을 격퇴하고 쌍성총관부를 수복하는 등 국방을 굳건히 했으며, 청렴하고 강직한 성품으로 공민왕을 보필했으나, 우왕의 요동정벌에 참여했다가 위화도 회군으로 이성계에 의해 처형당한 후 무민이라는 시호를 받은 고려 말기의 대표적인 무신이다. - 대한적십자사 대표 - 김상협
김상협은 삼양그룹 창업주의 아들이자 독립운동가의 조카로, 도쿄대 졸업 후 고려대 교수와 총장, 문교부 장관, 국무총리, 대한적십자사 총재 등을 역임한 정치인이자 교육자이며, 친일 행적 논란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요구된다. - 대한적십자사 대표 - 이호 (법조인)
이호는 일제강점기 일본 유학 후 법조인으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법무부 장관, 내무부 장관, 주일본 대사 등을 역임하고 12·12 군사 반란 이후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장을 지냈다.
| 최두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최두선 |
| 원어 이름 | 최두선 |
| 한자 표기 | 崔斗善 |
| 로마자 표기 | Choe Duseon |
| 출생일 | 1894년 11월 1일 |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현재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소공동) |
| 사망일 | 1974년 9월 9일 |
| 사망지 | 서울특별시 |
| 직업 | 정치인 |
| 국적 | 대한민국 |
| 모교 | 와세다 대학 |
| 관직 | |
| 직책 | 대한민국 국무총리 |
| 임기 시작 | 1963년 12월 17일 |
| 임기 종료 | 1964년 5월 9일 |
| 대통령 | 박정희 |
| 전임자 | 김현철 |
| 후임자 | 정일권 |
| 기타 관직 | |
| 직책 | UN 총회 대표 대사 |
| 임기 시작 | 1953년 12월 15일 |
| 임기 종료 | 1954년 6월 15일 |
| 국무총리 | 백두진 |
| 부통령 | 함태영 |
| 대통령 | 이승만 |
| 추가 정보 | |
| 장관 | 변영태 |
| 차관 | 조정환 |
| 경력 | 한국장학재단 이사장 |
| 본관 | 동주 |
| 학력 | 독일 베를린 대학교 대학원 철학박사 |
| 종교 | 유교(성리학) |
| 정당 | 무소속 |
| 서훈 | 청조소성훈장 국민훈장 무궁화장 |
| 부모 | 최헌규(부), 진주 강씨 부인(모) |
| 형제 | 최남선(형) |
2. 생애
1932년 보성전문학교 이사회 상무이사에 취임했다. 광복 후 경성방직주식회사 사장, 1947년 동아일보사 사장에 선임되었다. 동아일보사 사장 재직 중 유엔총회에 한국대표로 파견되었다. 1946년에는 김구, 김성수, 조소앙 등과 함께 신탁통치 반대 운동, 미소 공동위원회 반대운동에 적극 동참하였다.
형 최남선 등이 일제 강점기 후반 친일행위를 했다고 비판받았으나, 최두선은 연좌되지 않았다. 김성수, 송진우 등은 최두선에 대한 부당한 비판을 우려하여 그를 각별히 신경쓰고 배려하였다.
1947년 1월 26일 경교장에서 열린 반탁독립투쟁회 결성에 참여하고 반탁투쟁회 지도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48년 3월 미 군정청 군정장관 딘 소장으로부터 5·10 총선거를 관리하기 위한 중앙선거위원회 위원에 임명되었다.
1955년 김성수가 사망하자 신익희, 함태영 등과 함께 그의 국민장 장의위원으로 활동했다. 김성수 사망 직후 인촌 김성수 기념사업회의 창립 발기인이 되었다. 1960년 인천비행장으로 환국하는 조병옥의 시신을 맞이하기도 했다.
1963년 고려대학교로부터 명예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8년에는 모교인 일본 와세다 대학교에서 명예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정희 정권 출범 초기에는 이에 대해 부정적이었으나, 박정희의 포용정책으로 1963년 국무총리에 지명되어 첫 국무총리를 지냈다.[4] 이후 민정이양 후 민심 수습에 노력하다가 야당의 대일 굴욕외교 반대 등으로 6개월 만에 사퇴했다. 그러나 야당 대열에 동참하지 않고 교육, 집필, 강연 활동에 전념하였다.
1971년 대한적십자사 총재가 되었다. 같은 해 적십자사 총재로서 이산가족 상봉을 건의하여 성사시켰고, 북측의 적십자사를 설득하여 1972년 남북적십자회담을 이끌어 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894-1922)
1917년 와세다 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18년 김성수를 알게 되어 그가 운영하던 중앙학원의 학감으로 초빙되었다. 1919년에는 송진우 등이 체포되면서 중앙학교의 학교장직을 맡아보게 되었다.1920년 6월 16일 경성부 명월관에서 열린 조선체육회 발기인회에 발기인의 한 사람으로 참여하였다.[3]
1922년부터 독일로 건너가 마부르크 대학교, 예나 대학교, 베를린 대학교 등에서 공부했다.
2. 2. 교육 및 언론 활동 (1932-1945)
1917년 와세다 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고 휘문의숙을 졸업하였다. 1918년 김성수를 알게 되어 그가 운영하던 중앙학원의 학감으로 초빙되었다. 1919년에는 송진우 등이 피체되면서 중앙학교의 학교장직을 맡아보게 되었다.1920년 6월 16일 경성부 명월관에서 열린 조선체육회발기인회에 발기인의 한 사람으로 참여하였다.[3]
1922년부터 독일로 건너가 마부르크 대학교, 예나 대학교, 베를린 대학교 등에서 수학했다. 1932년 보성전문학교 이사회 상무이사에 취임했다.
2. 3. 광복 이후 정치 참여 (1945-1963)
광복 후 최두선은 교육계를 떠나 경성방직주식회사 사장, 1947년 동아일보사 사장에 선임되었다. 동아일보사 사장 재직 중 유엔총회에 한국대표의 한 사람으로 파견되었다. 1946년에는 김구, 김성수, 조소앙 등의 신탁통치 반대 운동과 미소 공동위원회 반대운동에 적극 동참하였다.[3]형 최남선 등이 일제 강점기 후반 친일행위를 했다고 비판받았으나, 최두선은 연좌되지 않았다. 김성수, 송진우 등은 최두선에 대한 부당한 비판을 우려하여 그를 각별히 신경쓰고 배려하였다.
1947년 1월 26일 경교장에서 열린 반탁독립투쟁회 결성에 참여하고 반탁투쟁회 지도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48년 3월 미 군정청 군정장관 딘 소장으로부터 5·10 총선거를 관리하기 위한 중앙선거위원회 위원에 임명되었다.
1955년 김성수가 사망하자 신익희, 함태영 등과 함께 그의 국민장 장의위원으로 활동했다. 김성수 사망 직후 인촌 김성수 기념사업회의 창립 발기인이 되었다. 1960년 인천비행장으로 환국하는 조병옥의 시신을 맞이하기도 했다.
1963년 고려대학교로부터 명예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4]
2. 4. 박정희 정부 초대 국무총리 (1963-1964)
1963년 박정희 정권 출범 당시 최두선은 본래 부정적이었으나, 박정희의 포용정책으로 국무총리에 지명되어 박정희 정권의 첫 국무총리를 지냈다.[4] 민정 이양 후 민심 수습에 노력하였으나, 야당의 대일 굴욕외교 반대 등으로 6개월 만에 사퇴했다. 그러나 야당 대열에 동참하지 않고 교육, 집필, 강연 활동에 전념하였다.2. 5. 대한적십자사 총재와 인도주의적 활동 (1971-1974)
1971년 대한적십자사 총재로 취임했다. 같은 해 이산가족 상봉을 제안하여 성사시켰고, 북측 적십자사를 설득하여 1972년 남북 적십자 회담을 이끌어냈다.[4]2. 6. 학력
-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졸업
- 일본 와세다 대학교 철학과 학사
- 독일 마르부르크 대학교 대학원 독어독문학과 문학 석사
- 독일 예나 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철학 석사
- 독일 베를린 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철학박사
2. 6. 1. 명예 박사 학위
3. 상훈
참조
[1]
웹사이트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근대잡지 《소년》 발상지와 조선광문회 터는 어디인가
http://m.monthly.cho[...]
2024-08-15
[2]
웹사이트
List of former Prime Minister
https://www.opm.go.k[...]
2022-11-21
[3]
서적
한국체육사연구
국학자료원
2006
[4]
뉴스
박前대통령 서거 30주기 ③이만섭 前의장 인터뷰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