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승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승우는 최치원, 최언위와 함께 '일대삼최'로 불린 신라 말과 후삼국 시대의 관료, 유학자, 문인, 정치가이다. 890년 당나라로 유학을 떠나 과거에 급제하고 당나라 관직을 지내다 900년 이후 신라로 귀국하여 후백제 견훤 정권에 참여했다. 견훤이 고려 태조 왕건에게 보낸 서신인 <대견훤기고려왕서>를 작성했으며, 이 글은 문장 자체의 뛰어남으로 인해 후세에도 널리 알려졌다. 그의 저술로는 《호본집》이 있었으나 현재 전해지지 않으며, <대견훤기고려왕서>와 10수의 7언율시 등이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최승우 | |
|---|---|
| 기본 정보 | |
| 한글 이름 | 최승우 |
| 한자 이름 | 崔承祐 |
| 인물 정보 | |
| 출생일 | 미상 |
| 출생지 | 신라 금성 |
| 사망일 | 935년 |
| 거주지 | 후백제 완산주 |
| 본관 | 경주(慶州) |
| 종교 | 유교 |
| 학력 | |
| 학력 | 893년 중국 당나라 빈공과에 급제 |
| 경력 | |
| 직업 | 문신, 유학자, 정치인, 문장가 |
| 관직 정보 | |
| 재임 기간 (파진찬) | 906년 ~ 935년 음력 3월 |
| 직책 (파진찬) | 후백제 파진찬 (後百濟 波珍飡) |
| 재임 기간 (대리집정공) | 910년 2월 26일 ~ 912년 2월 29일 |
| 직책 (대리집정공) | 후백제 파진찬 겸 대리집정공 (後百濟 波珍飡 兼 代理執政公) |
| 군주 | 견훤 |
| 소속 정당 | 무소속 |
| 기타 | |
2. 생애
최승우는 최치원, 최언위와 함께 신라 하대와 후삼국시대에 문한(文翰)으로 이름을 떨친 관료이자 유학자, 문인, 정치가이다. 경주 최씨로 경주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진다.
900년 이후 그의 행적은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오월 지역에서 활동한 흔적이 일부 확인되며, 이후 신라로 귀국한 것으로 보인다. 당나라에서 폭넓게 교류하며 신라의 상황을 잘 알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가 남긴 시에는 당으로 파견된 신라 사신과의 교유 관계가 나타나 있다. 그럼에도 귀국을 택한 것은 907년 당나라의 멸망 때문으로 보인다.
936년 후백제는 고려에 의해 멸망하였다.[1]
2. 1. 신라 말기와 당나라 유학
890년 십대 무렵 당나라로 유학을 떠나 국학에서 3년간 공부하였다. 893년에는 빈공과에 합격하고, 예부시랑 양섭의 밑에서 중국의 과거에 급제했다.[1] 이후 당의 관직을 지냈고, 문인 및 정치가들과 교유하였다.2. 2. 후백제에서의 활동
최승우는 귀국 후 후백제 견훤 정권에 참여하였다. 최치원이나 최언위가 신라 중앙 정계에서 활동한 것과는 다른 행보였다. 견훤은 신라의 서남해에서 군사를 일으켰으며, 최승우가 귀국하던 900년 무렵에는 국가 체계를 갖추어 백제(후백제)를 건국한 상태였다. 귀국 이후 최승우는 견훤 정권에서 정치가로 활동하였다. 이 시기 그의 활동에 대한 구체적 기록은 없지만, 927년에 견훤이 왕건에게 보낸 서신인 <대견훤기고려왕서>를 그가 쓴 것으로 알려져 있어, 주로 외교와 문한(文翰) 업무에 종사한 것으로 판단된다.<대견훤기고려왕서>는 매우 유려한 문체의 사륙변려문으로, 수많은 고사와 경전의 어구를 빌려 강한 어조로 후백제 정권의 정당성을 설파하며, 후삼국 형세 속에서 왕건의 천운이 다했음을 주장하였다. 이 글은 비록 후삼국을 통일한 고려에 반대하는 입장이었지만, 유려한 명문으로 손꼽혀 후세인들의 주목을 받았다. 《삼국사기》, 《고려사》, 《동문선》에 실려 전해지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으로 보인다. 훗날 통일 국가 고려에서 최승우에 대한 입장이 긍정적이기 어려웠음에도 이 글이 남겨진 것은 문장 자체에 대한 평가 때문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왕건을 섬기고 있던 최언위는 이에 반박하는 내용의 <대고려왕답견훤서>를 써서 보내기도 하였다.
2. 3. 뛰어난 문장과 평가
최승우는 뛰어난 문장으로 신라 하대와 후삼국시대에 이름을 떨친 인물이다. 특히 927년에 견훤이 왕건에게 보낸 서신인 <대견훤기고려왕서>는 그의 문장 실력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 이 글은 사륙변려문으로, 수많은 고사와 경전의 어구를 사용하여 후백제 정권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왕건의 천운이 다했음을 강한 어조로 주장하였다. 비록 고려에 반대하는 입장의 글이지만, 유려한 명문으로 손꼽혀 《삼국사기》, 《고려사》, 《동문선》에 실려 전해지고 있다.훗날 통일국가 고려에서는 최승우에 대한 입장이 긍정적이기 어려웠음에도 불구하고, 이 글이 남겨진 것은 문장 자체에 대한 평가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왕건을 섬기고 있던 최언위는 이 글에 반박하는 내용의 <대고려왕답견훤서>를 써서 보내기도 하였다.
최승우의 저술로는 사륙변려문을 모은 《호본집》 5권이 있다고 알려졌으나, 오늘날 전하지 않는다. 현재 전하는 글에는 《삼국사기》와 《동문선》에 전하는 <대견훤기고려왕서>, 《협주명현십초시》와 《동문선》에 전하고 있는 10수의 7언율시가 있다. 《호본집》은 《삼국사기》가 저술된 고려 전기까지 전해졌던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대견훤기고려왕서>도 전해질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그가 중국에서 지은 시문이 후대의 시문집에 전해진 것으로 보아 별도의 문집 역시 전해졌을 가능성이 있다.
최치원, 최언위와 함께 "일대삼최(一代三崔)"로 불릴 정도로 뛰어난 문장가로 평가받는다.[1]
3. 저술
육두품 출신 관료로, 사륙체(四六體)의 문집 5권을 저술하여 『고본집(餬本集)』으로 편찬했다고 하나, 현존하지 않는다. 『삼국사기』와 『동문선』에 전하는 「대견타고려왕서(大見怠惰高麗王書)」, 『협주명현십초시(協奏明賢十秒時)』와 『동문선』에 전하는 10수의 7언 율시가 있다.[1]
4. 평가
육두품 출신 관료로, 사륙체(四六體) 문집 5권을 저술하여 『고본집(餬本集)』으로 편찬했다고 하나, 현존하지 않는다. 『삼국사기』와 『동문선(東門線)』에 「대견타고려왕서(大見怠惰高麗王書)」가 전해지며, 『협주명현십초시(協奏明賢十秒時)』와 『동문선』에는 7언 율시 10수가 전해진다. 최치원, 최언위와 함께 "일대삼최(一代三崔)"로 불렸다.[1]
5. 최승우가 등장하는 작품
최승우는 고려 초기를 다룬 여러 TV 드라마에 등장했다.
5. 1. TV 드라마
2000년부터 2002년까지 KBS에서 방영된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 전무송이 최승우 역을 연기했다.[1]참조
[1]
인물
[2]
문서
〈태자사낭공대사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