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최영수 (조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영수(1592년 사망)는 조선 시대의 인물로, 자는 원집, 호는 죽봉이며, 영의정 최항의 5대손이다. 임진왜란 때 아버지 최응룡이 의병을 일으키자 선전관으로 금산 전투에 참여하여 왜적과 싸우다 순절하였다. 1605년 선무원종공신으로 녹훈되었으며, 사후 통정대부 승정원 도승지에 증직되고 무열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금산 종용사와 보령 호국사에 배향되었으며, 관련 기록은 선무원종공신녹권, 호남절의록 등에 남아 있다.

2. 생애

영의정 최항(崔恒)의 5대손이며,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으로 활동한 최응룡(崔應龍)의 아들이다. 자(字)는 원집(原集), 호(號)는 죽봉(竹峰)이다. 수군(水軍)으로 군역(軍役)을 마치고 참봉(參奉)을 지내던 중,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아버지 최응룡을 따라 의병 활동에 참여하였다. 이후 금산 전투에서 싸우다 전사하였다. 1605년 선무원종공신으로 녹훈되었고, 사후 통정대부(通政大夫) 승정원 도승지(承政院 都承旨)에 추증(追贈)되었으며, 무열(武烈)이라는 시호(諡號)를 받았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자는 원집(原集), 호는 죽봉(竹峰)이다. 출생 연도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1592년 임진왜란 중에 전사하였다. 영성부원군(寧城府院君) 영의정 문충공 최항(崔恒)의 5대손이며,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으로 활동한 송암(松巖) 최응룡(崔應龍)의 아들이다. 수군(水軍)으로 군역(軍役)을 마쳤으며, 이후 참봉(參奉) 벼슬을 지냈다.

'''최영수 가계도'''
관계이름 (한자)주요 정보
6대조최항 (崔恒)영성부원군, 영의정, 문충공
6대조모정경부인 달성 서씨 (達城徐氏)부친: 달천부원군 서미성(徐彌性), 외조부: 권근 (權近)
고조부최영호 (崔永灝)증 좌찬성, 자 처인(處仁)
고조모증 정경부인 경주 정씨 (慶州鄭氏)부친: 계림군 정효상(鄭孝常)
증조부최수언 (崔秀彦)이조판서, 자 온(溫), 판서공파 파조
증조모정부인 청송 심씨 (靑松沈氏)부친: 군수 심빈(沈賓), 사위: 허정(許淨)
증조모 (취)정부인 안동 권씨 (安東權氏)아들: 최경립(崔卿立)
조부최경립 (崔卿立)증 통정대부 형조참의
조모증 숙부인 김해 김씨 (金海金氏)부친: 판서 김묵(金黙)
최응룡 (崔應龍)증 이조판서, 선무원종공신, 충절공
증 정부인 경주 이씨 (慶州李氏)
본인최영수 (崔永壽)증 통정대부 승정원 도승지, 시호 무열(武烈)
배우자증 숙부인 청송 심씨 (靑松沈氏)부친: 심철(沈哲)
최부 (崔富)동지중추부사
며느리정부인 덕수 이씨 (德水李氏)
손자최원 (崔愿)동지중추부사
손자며느리정부인 현풍 곽씨 (玄風郭氏)
증손자최홍길 (崔弘吉)동지중추부사
증손자며느리정부인 여흥 민씨 (驪興閔氏)
현손자최태곤 (崔泰崑)동지중추부사
현손자며느리정부인 광주 이씨 (廣州李氏)
손자최점 (崔點)동지중추부사
손자며느리정부인 파평 윤씨 (坡平尹氏)
증손자최홍도 (崔弘道)진사
증손자며느리광산 이씨 (光山李氏)
현손자최태립 (崔泰立)
현손자며느리음성 박씨 (陰城朴氏)
증손자최홍진 (崔弘進)
현손자최태악 (崔泰岳)
증손자최홍립 (崔弘立)
증손자며느리남원 양씨 (南原楊氏)
현손자최상두 (崔尙斗)증 찬성사
현손자며느리증 정경부인 현풍 곽씨 (玄風郭氏)
현손자최상근 (崔尙覲)
현손자며느리남평 문씨 (南平文氏)
손자최묵 (崔黙)
손자며느리한남 방씨 (漢南房氏)
증손자최홍기 (崔弘器)
증손자며느리전주 유씨 (全州柳氏)
손자최검 (崔黔)
손자며느리서흥 김씨 (瑞興金氏)
증손자최홍주 (崔弘周)
증손자며느리옥천 조씨 (玉川趙氏)


2. 2. 임진왜란 참전과 순절

수군(水軍)으로 군역(軍役)을 마치고 참봉(參奉)을 지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아버지인 의병장 최응룡전라도 남평에서 의병을 일으키는 데 동참하여 군사를 모았다. 6월 3일에는 아버지와 함께 집안의 하인 등 가솔(家率)을 이끌고 고경명의 의병 진중에 합류하였다.

아버지를 따라 선전관(宣傳官)으로 금산 전투에 참전하여 수십 명의 왜적을 베며 힘껏 싸웠다. 그러나 수적으로 불리하여 의병이 패배하자, 왜적에게 사로잡혔다. 그는 눈을 부릅뜨고 큰 소리로 왜적을 꾸짖다가 적의 칼에 목숨을 잃었다(순절, 殉節).

1605년 조정(朝廷)에서 아버지와 함께 선무원종공신으로 공훈이 기록되었다. 사후(死後)에는 통정대부(通政大夫) 승정원 도승지(承政院 都承旨)의 관직이 추증(追贈)되었고, 시호(諡號)는 무열(武烈)을 받았다. 그의 행적은 유록권(有錄券)과 묘비(墓碑)에 기록되어 전해진다.

3. 사후 추증과 평가

임진왜란금산 전투에서의 공을 인정받아 사후 1605년 선무원종공신 3등으로 추록되었다. 이후 통정대부 승정원 도승지로 추증되었고, 무열(武烈)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그의 묘비와 아버지 최응룡의 묘비에도 관련 기록이 남아 있다.

3. 1. 추증과 시호

1605년 조정에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으로 녹훈(錄勳)되었다. 사후(死後)에는 통정대부(通政大夫) 승정원(承政院) 도승지(都承旨)로 추증(追贈)되었으며, 시호(諡號)는 무열(武烈)이다.

3. 2. 역사적 평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아버지인 의병장 최응룡을 따라 전라도 남평에서 의병 활동에 참여하였다. 그는 금산 전투에 선전관으로 참전하여 수십 명의 왜군을 베는 등 용감하게 싸웠으나, 수적으로 열세하여 결국 패배하였다. 적에게 죽임을 당하기 직전까지 눈을 부릅뜨고 큰 소리로 꾸짖으며 저항하다 순절하였다.

1605년 조정에서는 그의 공적을 기려 선무원종공신으로 기록하였으며, 사후에 통정대부 승정원 도승지의 벼슬을 추증하였다. 시호는 무열(武烈)이다.

4. 가계


  • 6대조 : 최항(崔恒) - 영성부원군(寧城府院君), 영의정(領議政), 문충공(文忠公)
  • 6대조모 : 정경부인(貞敬夫人) 달성 서씨(達城徐氏) - 서미성(徐彌性)의 딸, 외조부는 권근(權近)
  • 고조부 : 최영호(崔永灝) - 증(贈) 좌찬성(左贊成), 자(字) 처인(處仁)
  • 고조모 : 증(贈) 정경부인(貞敬夫人) 경주 정씨(慶州鄭氏) - 계림군(鷄林君) 정효상(鄭孝常)의 딸
  • 증조부 : 최수언(崔秀彦) - 이조판서(吏曹判書), 자(字) 온(溫), 판서공파 파조(判書公派 派祖)
  • 증조모 : 정부인(貞夫人) 청송 심씨(靑松沈氏) - 군수(郡守) 심빈(沈賓)의 딸 (1녀를 낳았으며, 사위는 허정(許淨))
  • 증조모(계모) : 정부인(貞夫人) 안동 권씨(安東權氏) - 최경립(崔卿立)을 낳음
  • 조부 : 최경립(崔卿立) - 증(贈) 통정대부(通政大夫) 형조참의(刑曹參議)
  • 조모 : 증(贈) 숙부인(淑夫人) 김해 김씨(金海金氏) - 판서(判書) 김묵(金黙)의 딸
  • 부친 : 최응룡(崔應龍) - 증(贈) 이조판서(吏曹判書),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충절공(忠節公)
  • 모친 : 증(贈) 정부인(貞夫人) 경주 이씨(慶州李氏)
  • 배우자 : 증(贈) 숙부인(淑夫人) 청송 심씨(靑松沈氏) - 심철(沈哲)의 딸
  • * 아들 : 최부(崔富)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 * 며느리 : 정부인(貞夫人) 덕수 이씨(德水李氏)
  • ** 손자 : 최원(崔愿)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 ** 손부 : 정부인(貞夫人) 현풍 곽씨(玄風郭氏)

증손 : 최홍길(崔弘吉)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증손부 : 정부인(貞夫人) 여흥 민씨(驪興閔氏)
* 현손 : 최태곤(崔泰崑)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 현손부 : 정부인(貞夫人) 광주 이씨(廣州李氏)
증손 : 최홍도(崔弘道) - 진사(進士)
증손부 : 광산 이씨(光山李氏)
* 현손 : 최태립(崔泰立)
* 현손부 : 음성 박씨(陰城朴氏)
증손 : 최홍진(崔弘進)
* 현손 : 최태악(崔泰岳)
증손 : 최홍립(崔弘立)
증손부 : 남원 양씨(南原楊氏)
* 현손 : 최상두(崔尙斗) - 증(贈) 찬성사(贊成事)
* 현손부 : 증(贈) 정경부인(貞敬夫人) 현풍 곽씨(玄風郭氏)
* 현손 : 최상근(崔尙覲)
* 현손부 : 남평 문씨(南平文氏)

  • ** 손자 : 최묵(崔黙)
  • ** 손부 : 한남 방씨(漢南房氏)

증손 : 최홍기(崔弘器)
증손부 : 전주 유씨(全州柳氏)

  • ** 손자 : 최검(崔黔)
  • ** 손부 : 서흥 김씨(瑞興金氏)

증손 : 최홍주(崔弘周)
증손부 : 옥천 조씨(玉川趙氏)
증손 : 최홍진(崔弘進)
증손 : 최홍립(崔弘立)
증손부 : 남원 양씨(南原楊氏)

5. 배향

6. 관련 기록 및 문헌

최영수의 행적은 그의 아버지 최응룡(崔應龍)과 함께 임진왜란 당시 의병으로 활동하고 순절한 사실을 기록한 여러 문헌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고경명(高敬命)의 『동순제공사실(同殉諸公事實)』, 『남평읍지(南平邑誌)』, 아버지 최응룡의 묘비명, 그리고 부자(父子)가 함께 녹훈된 선무원종공신녹권(宣武原從功臣錄券) 등이 있다. 또한 호남 지역의 충절 인물을 기록한 『호남절의록(湖南節義錄)』과 『오란충의록(五亂忠義錄)』 등에도 관련 내용이 전해진다. 이 외에도 류팽로(柳彭老)의 문집인 『월파집(月波集)』을 비롯하여 여러 고문서들이 남아 있어 그의 삶의 단편들을 엿볼 수 있다.

6. 1. 관련 기록


  • 고경명(高敬命)의 『동순제공사실(同殉諸公事實)』, 『남평읍지(南平邑誌)』, 아버지 최응룡(崔應龍)의 묘비명 등 여러 기록에서 최영수의 행적을 찾아볼 수 있다.
  • 이 기록들에 따르면, 최영수는 아버지인 주부(主簿) 최응룡과 함께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고경명이 이끄는 의병에 참봉(參奉) 신분으로 참여하였다.
  • 부자(父子)는 가솔들을 이끌고 금산 전투에 참전했으며, 아버지 최응룡은 뛰어난 기질로 고경명의 신임을 받아 군사 작전 논의에 참여했다.
  • 전투가 불리해지자 최응룡은 용감히 싸우다 전사하였고, 최영수는 왜군에게 포로로 잡혔다. 그는 포로가 된 상황에서도 굴하지 않고 눈을 부릅뜨고 왜군을 꾸짖다가 결국 적의 칼에 의해 순절하였다.
  • 이러한 충절을 인정받아 아버지 최응룡과 함께 선무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
  • 의병 활동 중 작성된 격문(檄文)에도 최응룡과 아들 최영수가 병력을 이끌고 의병 진영에 합류했다는 사실이 기록되어 있어, 그의 참전 사실을 교차 확인할 수 있다.

6. 2. 소장 문헌


  • 선무원종공신녹권(宣武原從功臣錄券) 최응룡(崔應龍) 1권(券)
  • 선무원종공신녹권(宣武原從功臣錄券) 최영수(崔永水) 1권(券)
  • 호남절의록(湖南節義錄) 5권(五券)
  • 오란충의록(五亂忠義錄) 5권(五券)
  • 계하사목(啓下事目) 1권(券)
  • 경술5월 일고증(庚戌五月 日考證) 1첩(帖)
  • 갑자사목(甲子事目) 1첩(帖)
  • 갑자호구장(甲子戶口帳) 1첩(帖)
  • 전남도지(全南道誌)
  • 류팽로 월파집(柳彭老 月波集) 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