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추어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추어탕은 미꾸라지를 주재료로 끓인 한국의 전통 음식이다. 미꾸라지를 부드럽게 삶아 체에 걸러 뼈를 제거하고, 고추장, 된장, 채소를 넣어 끓여낸다. 고려 시대 기록에 미꾸라지를 먹었다는 기록은 있으나, 추어탕 요리가 등장했다는 기록은 없다. 조선 시대에는 거지들이 추어탕을 만들어 먹었으며, 서울의 용금옥과 같은 오래된 식당에서 서울식 추어탕을 전문으로 판매한다. 추어탕은 지역에 따라 조리법과 부재료에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름 문화 - 삼계탕
    삼계탕은 닭고기에 인삼, 찹쌀 등을 넣고 끓인 한국의 대표적인 보양 음식으로, 일제강점기 닭백숙에 인삼 가루를 넣어 먹던 것에서 유래하여 1960년대 냉장고 보급으로 현재의 형태로 정착되었으며, 여름철 삼복에 즐겨 먹고 외국인 관광객에게도 인기가 높다.
  • 여름 문화 - 빙수 (한국 음식)
    빙수는 잘게 간 얼음에 다양한 재료를 얹어 먹는 한국의 디저트이며, 조선 시대에 과일을 얹은 얼음을 먹는 것에서 유래하여 팥, 과일, 아이스크림 등 다양한 재료를 거쳐 현재는 여러 맛과 재료를 활용한 형태로 발전하였고 해외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다.
  • 생선국 - 매운탕
    매운탕은 생선이나 어패류에 고추장 등의 매운 조미료를 넣어 끓인 한국의 탕 요리이며, 생선국에서 유래하여 고추의 유입 이후 현재와 같은 형태를 갖추게 되었고, 지역과 재료에 따라 조리법이 다양하다.
  • 생선국 - 우하
    우하는 러시아의 전통 생선 수프로, 닭 뼈와 잔멸치로 국물을 내고 향신료와 채소를 넣어 끓인 후 생선 살을 넣어 만드는 음식이다.
  • 한국의 국 - 대구탕
    대구탕은 대구를 주재료로 하여 끓인 탕으로, 경상도의 대표적인 음식이며 부산광역시 가덕도의 대구탕이 유명하다.
  • 한국의 국 - 재첩국
    재첩국은 섬진강 유역에서 유래한 맑은 국물 요리로, 봄철에 특히 맛이 좋으며, 타우린과 글리코겐이 풍부하여 건강식으로 인기를 얻고 있고, 최근에는 전국적으로 소비가 확대되어 밀키트로도 판매된다.
추어탕 - [음식]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추어탕
로마자 표기chueo-tang
한글추어탕
한자鰍魚湯
일본어しゅうぎょとう (슈교토)
분류
국가한국
대표 음식한국 요리
조리 정보
주재료미꾸라지
부재료배초향
초피가루
영양 정보
1인분100 g
기타 정보
관련 음식미꾸라지 튀김

2. 역사

추어탕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1123년 고려 예종 때 고려를 방문한 북송의 사신 서긍이 쓴 고려도경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해당 문헌에는 미꾸라지를 먹었다는 기록은 있으나, 추어탕이라는 요리 형태는 나타나지 않는다.[13]

1850년 실학자 이규경이 저술한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추두부탕'이라는 요리가 등장하지만, 이 역시 현대의 추어탕과는 다르다. 추두부탕은 추분 이후 논에서 잡은 미꾸라지를 이용한 음식으로, 노인 잔치에 자주 등장했다.[7]

조선 시대 한양에서는 거지들이 밥과 함께 먹기 위해 미꾸라지로 추어탕을 만들어 먹었으며, 도시 내에서 추어탕을 독점 판매하는 권리를 가지기도 했다.[7]

2. 1. 고려 시대

1123년 예종의 조문을 위해 고려를 방문한 북송의 사신 서긍이 쓴 고려도경 제23권 잡속2(雜俗 二)편 어(漁) 부분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온다.

貴人食肉 羊豕也 賤者多食海中物 鰌 鰒 蚌 珠母 蝦王之屬 靡問貴賤|귀인은 육고기(, 돼지)를 먹고 가난한 백성은 해산물을 많이 먹는다. 미꾸라지(鰌), 전복(鰒), 조개(蚌), 진주조개(珠母), 왕새우(蝦王) 등은 귀천없이 잘 먹는다.중국어

그러나 이것은 미꾸라지를 먹었다는 기록일 뿐, 추어탕 요리가 등장했다는 기록은 없다.[13]

2. 2. 조선 시대

최초의 기록은 1123년 예종의 조의를 위해 고려를 방문한 북송의 사신 서긍이 쓴 고려도경 제23권 잡속2(雜俗 二)편 어(漁) 부분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온다.

貴人食肉 貧民多食海產 鰌鰒蚌珠母蝦王之屬 靡問貴賤|귀인은 육고기(, 돼지)를 먹고 가난한 백성은 해산물을 많이 먹는다. 미꾸라지(鰌), 전복(鰒), 조개(蚌), 진주조개(珠母), 왕새우(蝦王) 등은 귀천없이 잘 먹는다.중국어

그러나 이것은 미꾸라지를 먹었다는 기록일 뿐, 추어탕 요리가 등장했다는 기록은 없다.[13]

1850년 순조 때 실학자 이규경이 지은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추두부탕》(鰍豆腐湯)에 대한 내용이 등장하는데, 이것 또한 현대적인 추어탕 요리와는 거리가 있다. 추분(秋分) 이후 논에서 물을 빼면 동면 준비를 하는 통통한 미꾸라지를 논둑에 파놓은 도랑에서 쉽게 잡을 수 있다.[7] 추어탕은 노인들을 위한 잔치 음식으로 자주 등장한다.[7]

조선 시대 한양(현 서울)에서는 허가받은 거지들의 조합에서 밥만 구걸하고 반찬이나 국은 구걸하지 않도록 규정했다.[7] (이러한 관행은 존엄성을 유지하고 무허가 거지들과 차별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밥과 함께 먹기 위해 거지들은 미꾸라지를 잡아 추어탕을 만들었다. 또한 그들은 도시에서 추어탕을 독점적으로 판매할 권리를 부여받았다.[7]

2. 3. 현대

1123년 예종의 조의를 위해 고려를 방문한 북송의 사신 서긍이 쓴 고려도경 제23권 잡속2(雜俗 二)편 어(漁) 부분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온다.[13]

貴人食肉 羊豕也 貧民食海中物爲多 鰌鰒蚌珠母蝦王之屬 無論貴賤皆食之|귀인은 육고기(양, 돼지)를 먹고 가난한 백성은 해산물을 많이 먹는다. 미꾸라지(鰌), 전복(鰒), 조개(蚌), 진주조개(珠母), 왕새우(蝦王) 등은 귀천없이 잘 먹는다.중국어

그러나 이것은 미꾸라지를 먹었다는 기록일 뿐, 추어탕 요리가 등장했다는 기록은 없다.

1850년 순조 때 실학자 이규경이 지은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추두부탕》(鰍豆腐湯)에 대한 내용이 등장하는데, 이것 또한 현대적인 추어탕 요리와는 거리가 있다. 추분(秋分) 이후 논에서 물을 빼면 동면 준비를 하는 통통한 미꾸라지를 논둑에 파놓은 도랑에서 쉽게 잡을 수 있다.[7] 추어탕은 노인들을 위한 잔치 음식으로 자주 등장한다.[7]

조선 시대 한양(현 서울)에서는 허가받은 거지들의 조합에서 밥만 구걸하고 반찬이나 국은 구걸하지 않도록 규정했다.[7] 밥과 함께 먹기 위해 거지들은 미꾸라지를 잡아 추어탕을 만들었다. 또한 그들은 도시에서 추어탕을 독점적으로 판매할 권리를 부여받았다.[7]

서울에서 세 번째로 오래된 영업 중인 식당인 용금옥[8]은 서울식 추어탕을 전문으로 한다. 서울식 추어탕은 생선을 통째로 제공하고, 고추장 대신 고춧가루를 사용하여 국물을 낸다.[9]

3. 어원

추어(鰍魚, 鰍魚|추어중국어)는 논메기를 한국어로 미꾸라지라고 부르는 별칭이다. 탕(湯, 湯|탕중국어)은 국을 의미한다.

4. 조리법

미꾸라지를 물에 삶아 부드럽게 만든 후, 체에 걸러 뼈와 껍질을 제거한다.[10] 체에 거른 미꾸라지 살과 소고기 또는 닭고기 국물을 다시 끓여 고추장, 된장, 강판에 간 생강, 후추 가루로 간을 한다.[10] 콩나물, 골풀, 대파, 배추, 등을 야채 재료로 사용한다.[10] 이 수프는 초피 후추와 함께, 배초향 잎(영남 지방) 또는 들깨가루(호남 지방)를 곁들여 제공된다.[11]

4. 1. 기본 재료

미꾸라지를 물에 삶아 매우 부드럽게 만든 후, 체에 걸러 뼈와 껍질을 제거한다.[10] 체에 거른 미꾸라지 살과 소고기 또는 닭고기 국물을 다시 끓여 고추장, ''된장'', 강판에 간 생강, 그리고 후추 가루로 간을 한다.[10] 야채 재료로는 콩나물, 골풀, 대파, 배추, 그리고 이 포함된다.[10] 이 수프는 종종 갈은 초피 후추와 함께, 배초향 잎(영남 지방) 또는 들깨가루(호남 지방)를 곁들여 제공된다.[11]

4. 2. 조리 과정

미꾸라지를 물에 삶아 매우 부드럽게 만든 후, 체에 걸러 뼈와 껍질을 제거한다.[10] 체에 거른 미꾸라지 살과 소고기 또는 닭고기 국물을 다시 끓여 고추장, ''된장'', 강판에 간 생강, 그리고 후추 가루로 간을 한다.[10] 야채 재료로는 콩나물, 골풀, 대파, 배추, 그리고 이 포함된다.[10] 이 수프는 종종 갈은 초피 후추와 함께, 배초향 잎(영남 지방) 또는 들깨가루(호남 지방)를 곁들여 제공된다.[11]

4. 3. 지역별 특색

미꾸라지를 물에 삶아 매우 부드럽게 만든 후, 체에 걸러 뼈와 껍질을 제거한다.[10] 체에 거른 미꾸라지 살과 소고기 또는 닭고기 국물을 다시 끓여 고추장, 된장, 강판에 간 생강, 그리고 후추 가루로 간을 한다.[10] 야채 재료로는 콩나물, 골풀, 대파, 배추, 그리고 이 포함된다.[10] 이 수프는 종종 갈은 초피 후추와 함께, 배초향 잎(영남 지방) 또는 들깨가루(호남 지방)를 곁들여 제공된다.[11]

5. 사진

참조

[1] 뉴스 Loach Soup Recipe https://simplechines[...] 2021-09-17
[2] 웹사이트 주요 한식명(200개) 로마자 표기 및 번역(영, 중, 일) 표준안 http://www.korean.go[...] 2014-07-30
[2] 보도자료 주요 한식명 로마자 표기 및 표준 번역 확정안 공지 http://www.korean.go[...] 2014-05-02
[3] 뉴스 Top 10 Korean Delicacies to Battle the Heat https://www.10mag.co[...] 2016-07-19
[4] 뉴스 Take It Slow In The Historic City Of Namwon https://www.10mag.co[...] 2017-01-06
[5] 뉴스 Soaking in history and culture along the Jirisan trail http://www.koreahera[...] 2013-07-17
[6] 뉴스 'Tasty roads' https://www.koreatim[...] 2015-05-21
[7] 서적 Uri eumsik baek gaji 1 http://www.hyeonamsa[...] Hyeonamsa
[8] 뉴스 오래 사랑받은 노포들, 서울미래유산 속 식당 50 https://mediahub.seo[...]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21-11-11
[9] 웹사이트 추탕 외길 90년 용금옥…코로나 한파 뚫고 진짜 '100년 가게'로 https://www.hankooki[...] 2022-05-28
[10] 웹사이트 chueo-tang http://www.doopedia.[...] Doosan Corporation
[11] 뉴스 Chueotang, the Korean Soup That Will Make You Gorgeous, Even If It's Not http://www.laweekly.[...] 2014-05-28
[12] 블로그 韓医者が明かしたドジョウの秘密 http://blog.naver.co[...] 뚝배기 9월호 2009-10-06
[13] 웹인용 한의사가 밝히는 미꾸라지의 미빌 http://blog.naver.co[...] 뚝배기 9월호 2018-03-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