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고이너바이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고이너바이젠》은 스페인 작곡가 파블로 데 사라사테가 작곡한 바이올린 독주곡으로, 단일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템포에 따라 네 부분으로 나뉜다. 이 곡은 집시의 정서를 표현하며,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피겨 스케이팅 프로그램 등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에 사용되었다. 1904년 사라사테의 연주 녹음본에는 그의 목소리로 추정되는 중얼거림이 담겨 있는 일화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곡 - 스코틀랜드 환상곡
막스 브루흐가 스코틀랜드 민요를 바탕으로 1880년에 작곡한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4악장 구성의 환상곡인 스코틀랜드 환상곡은 파블로 데 사라사테에게 헌정되었고 야샤 하이페츠의 녹음 이후 널리 알려졌다. -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곡 - 스페인 교향곡
에두아르 랄로가 파블로 데 사라사테를 위해 작곡한 스페인 교향곡은 교향곡이라는 이름에도 불구하고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분류되며, 스페인풍 선율과 리듬으로 스페인 음악에 대한 관심을 높였고 표트르 차이콥스키의 바이올린 협주곡 작곡에도 영향을 준 5악장으로 구성된 작품이다.
치고이너바이젠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Aires gitanos (아이레스 기타노스) |
장르 | 음악, 클래식 |
스타일 | 집시 음악 |
작곡가 | 파블로 데 사라사테 |
작품 번호 | 작품 번호 20 |
조성 | 다단조 |
발표 연도 | 1878년 |
헌정 | 요제프 요아힘 |
악기 편성 | 바이올린, 오케스트라 |
다른 이름 | 집시풍의 선율, 집시의 노래 |
구성 | |
악장 구성 | Moderato (모데라토) Lento (렌토) Un poco più lento (운 포코 피우 렌토) Allegro molto vivace (알레그로 몰토 비바체) |
1악장 | Moderato (모데라토) |
2악장 | Lento (렌토) |
3악장 | Un poco più lento (운 포코 피우 렌토) |
4악장 | Allegro molto vivace (알레그로 몰토 비바체) |
유래 | |
표절 의혹 | Szentirmay Elemér의 헝가리 민요를 표절했다는 의혹이 있음 |
미디어 |
2. 구성
《치고이너바이젠》은 화려하고 극적이면서도 애수를 띠는 기교적인 바이올린 곡으로 알려져 있다. 제목은 "집시(로마인)의 선율"이라는 뜻이다. 독일어로는 Zigeunerweisen|치고이너바이젠de으로 표기하는 것이 현대적인 발음이며, 일본어에서는 '치고이네르바이젠' 또는 '치고이너바이젠'으로 표기되기도 한다. 몇몇 헝가리 민요나 대중 음악의 선율을 조합하여 작곡되었다. 원곡은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곡이지만, 바이올린과 피아노 편성으로도 자주 연주된다. 작곡가 사라사테 본인이 직접 녹음한 음원도 남아있다.[4]
곡은 단일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템포와 분위기에 따라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처음 세 부분은 다단조의 조성을 가지며, 마지막 부분은 가단조로 전환된다. 전체적으로는 협주곡의 3악장 형식에 해당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연주 시간은 약 8분 정도이다.
- Moderato - Lento: 느리고 장중하게 시작하여 점차 기교적이고 감성적인 선율로 이어진다.
- Un poco più lento: 약음기를 사용한 바이올린이 애절하고 독특한 리듬의 선율을 연주한다.
- Allegro molto vivace: 매우 빠르고 격정적인 분위기로 전환되며, 화려한 기교가 펼쳐진다.
이 곡은 라이프치히의 젠프사[5]에서 처음 출판되었으며, 이후 짐로크에서 판권을 인수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악보는 바이올리니스트 아우구스트 빌헬미[6]가 교정한 판본을 기반으로 한다.
2. 1. Moderato - Lento
다단조, 4분의 4박자로 구성되어 있다. 집시의 우울함을 소재로 하여, 슬프면서도 당당하고 침울한 분위기를 자아낸다.Moderato: 오케스트라의 느리고 웅장한 에너지로 시작하는 인상적이고 기교적인 도입부이다. 관현악이 함께 연주한 후 독주 바이올린이 등장하여 장식 음표가 풍부한 주제를 연주하며, 이후 점차 부드러워지는 흐름을 보인다.
Lento: 바이올린이 비통한 느낌의 느린 렌토(Lento)로 연주한다. 이 부분은 즉흥적인 성격을 가지며, 기본적으로 4마디 악구 쌍으로 구성된 멜로디는 어려운 기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빠른 음계 연주(run), 플라잉 스피카토, 리코셰 활(ricochet bowings) 등 고난도의 바이올린 연주 기법이 사용된다.
2. 2. Un poco più lento
다단조, 4분의 2박자로 연주되는 부분이다. 집시의 애절한 감정을 표현하며, 헝가리 민요를 직접적인 소재로 사용하고 있다. 약음기를 부착한 독주 바이올린이 우울하면서도 인상적인 선율을 연주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16분 음표와 점 8분 음표가 결합된 독특한 리듬, 이른바 '역점 리듬'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고전 시대의 "만하임 탄식"과 유사한 느낌을 준다. 한국에서는 이 부분의 선율이 "집시의 달"이라는 제목의 대중가요로 편곡되어 알려지기도 했다.2. 3. Allegro molto vivace
가단조, 4분의 2박자로, 집시 특유의 광적인 환희를 소재로 한다. 이 부분에서 곡은 갑자기 매우 빨라진다. 바이올린 독주가 특징이며, 어려운 솔로 파트는 주로 긴 스피카토 런(run), 겹음, 인공 하모닉스, 그리고 왼손 피치카토로 구성된다. 통상적인 오른손 피치카토와 기교적인 왼손 피치카토를 병용한다. 이 부분의 선율은 프란츠 리스트가 그의 헝가리 광시곡 제13번에서 사용하기도 했다.3. 악기 편성
《치고이너바이젠》은 독주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해 작곡되었다. 오케스트라 편성은 다음과 같다.
- 플루트 2개
- 오보에 2개
- 클라리넷 2개 (B♭관)
- 바순 2개
- 호른 2개 (F관)
- 트럼펫 2개 (F관)
- 팀파니 (G–C, E–A)
- 트라이앵글 (임의 사용, ad libitum)
- 현악기 (현악 5부)
작곡가 사라사테는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편곡 버전도 직접 만들었다.
4.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치고이너바이젠`은 특유의 극적이고 애수 띤 선율로 인해 영화, 음악, 문학, 방송, 게임 등 다양한 대중문화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세이준 스즈키 감독은 이 곡에서 영감을 받아 영화 ''치고이네르바이젠''을 제작했으며, 그의 다른 영화 ''집시의 노래''에서도 주요 사운드트랙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우치다 효켄은 사라사테의 레코드 연주를 모티브로 단편 소설 「사라사테의 판」을 썼고, 이는 스즈키 세이준 감독의 영화 ''치고이네르바이젠''의 원작이 되었다. 더블 베이스 연주자 에드가 마이어는 마이크 마셜과 함께 1997년 앨범 ''Uncommon Ritual''에 이 곡을 편곡하여 수록하기도 했다.
곡의 극적인 분위기는 피겨 스케이팅 프로그램의 배경 음악으로도 자주 선택된다.
일본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나 CM, 특촬물 등에서는 비극적이거나 과장된 장면, 또는 코믹한 상황을 연출하는 BGM으로 자주 활용된다. 예를 들어 요시모토 신키게키의 쿠와바라 카즈오가 특정 개그를 할 때 배경음악으로 사용되거나, 특촬물 ''초인기 메탈더''나 드라마 ''가면라이더 키바''의 특정 장면에 삽입되기도 했다. 이 외에도 저우싱츠 감독의 영화 ''쿵푸 허슬''이나 픽사의 단편 애니메이션 ''원 맨 밴드'', 비디오 게임 등 다양한 매체에서 찾아볼 수 있다.
4. 1. 영화
1980년 세이준 스즈키 감독은 이 곡을 제목과 주요 사운드트랙으로 사용한 영화 ''집시의 노래''를 만들었다. 같은 해, 스즈키 세이준 감독은 우치다 효켄의 1947년 단편 소설 「사라사테의 판」을 원작으로 하여, 환상적이고 기묘한 분위기의 영화 ''치고이네르바이젠''을 제작하기도 했다.저우싱츠 감독은 2004년 영화 ''쿵푸 허슬''의 만화 같은 추격 장면에 이 곡을 사용했으며, 픽사의 단편 애니메이션 영화 ''원 맨 밴드''에도 삽입되었다.
4. 2. 애니메이션
픽사의 단편 애니메이션 영화 ''원 맨 밴드''에 삽입되었다.TV 애니메이션 ''신 빅쿠리맨''에서는 성 피카기리가 바이올린을 이용한 음파 공격 기술인 "반야코스키 스고이넬 Y연(반야코스키 스고이넬 와이센)"을 사용할 때 연주하는 곡으로 등장한다. 작품 내에서는 작곡자가 차이콥스키로 잘못 언급되기도 하지만, 실제 작곡가는 사라사테이다.
4. 3. 게임
- 비디오 게임 『제로욘 챔프』에서는 불행한 장면의 BGM으로 사용되며, 아이템 "불행한 CD"를 사용했을 때 연주된다.
- 코나미에서 발매한 슈팅 게임 『극상 파로디우스 ~과거의 영광을 찾아서~』에서는 난입 스테이지의 보스전 BGM 전주 부분에 이 곡이 사용되었다.
4. 4. 피겨 스케이팅
곡의 유명세와 극적인 전개를 살려 피겨 스케이팅 프로그램 음악으로도 사용되고 있다.선수 | 시즌 | 프로그램 |
---|---|---|
하뉴 유즈루 | 2010-11 | 프리 스케이팅 |
선쉐 / 자오훙보 | 1997-98, 1998-99 | 쇼트 프로그램 |
토모노 카즈키 | 2017-18 | 쇼트 프로그램 |
캐롤라인 장 | 2009-10 | 쇼트 프로그램 |
아그네스 자바츠키 | 2010-11 | 프리 스케이팅 |
4. 5. 기타
1980년 세이준 스즈키 감독의 영화 ''집시의 노래''는 제목과 사운드트랙 대부분에 이 곡을 사용했다. 더블 베이스 연주자 에드가 마이어는 마이크 마셜과 함께 1997년 앨범 ''Uncommon Ritual''에 이 곡을 녹음했다. 저우싱츠는 2004년 영화 ''쿵푸 허슬''의 만화풍 추격 장면에 이 곡을 사용했으며, 픽사의 단편 영화 ''원 맨 밴드''에도 삽입되었다.우치다 효켄은 사라사테가 연주한 레코드에서 들리는 중얼거림 같은 목소리를 모티브로 1947년에 단편 소설 「사라사테의 판」을 썼다. 이 소설을 바탕으로 스즈키 세이준은 환상적이고 기묘한 분위기의 영화 『치고이네르바이젠』을 제작했다.
곡의 유명세와 극적인 분위기를 살려 피겨 스케이팅 프로그램에서도 자주 사용된다.
선수 | 시즌 | 프로그램 |
---|---|---|
하뉴 유즈루 | 2010-11 | 프리 스케이팅 |
선쉐/자오훙보 | 1997-98, 1998-99 | 쇼트 프로그램 |
토모노 카즈키 | 2017-18 | 쇼트 프로그램 |
캐롤라인 장 | 2009-10 | 쇼트 프로그램 |
아그네스 자바츠키 | 2010-11 | 프리 스케이팅 |
대중적으로 인지도가 높아 일본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나 CM 등에서는 정신적으로 큰 충격을 받는 등 비극적인 장면을 효과적으로 연출하는 BGM으로 자주 사용된다.
- 요시모토 신키게키의 단원인 쿠와바라 카즈오가 "신님~"이라는 개그를 사용할 때, 도입부의 G-C-D-Es-D-C 부분이 데바야시로 사용된다.
- 1987년 방영된 특촬물 ''초인기 메탈더'' 제10화 "초절기! 명곡 로봇의 바이올린 공격"에서 적 캐릭터 '열투사 랩소디'가 "사라사테, 치고이네르바이젠"이라고 외치며 이 곡을 연주하여 메탈더를 공격하는 장면에 사용되었다.
- TV 애니메이션 ''신 빅쿠리맨''에서는 캐릭터 '성 피카기리'가 바이올린을 사용한 음파 공격 "반야코스키 스고이넬 Y연"을 할 때 연주하는 곡으로 사용되었다. (작중 언급과 달리 실제 작곡가는 차이콥스키가 아닌 사라사테이다.)
- 2008년 방영된 가면라이더 시리즈 작품 ''가면라이더 키바'' 제3화 "영웅·퍼펙트 헌터"에서, 등장인물 쿠레나이 오토야가 카지노에서 빚더미에 앉게 되자 지참한 바이올린으로 이 곡을 연주하며 "내 연주는 한 곡에 10억 달러다. 잔돈은 필요 없어"라는 즉흥 노래를 부르며 빚을 떼먹는 장면에 흘러나왔다.
- 비디오 게임 ''제로욘 챔프''에서는 불행한 장면의 BGM으로 사용되며, 아이템 "불행한 CD"를 사용하면 연주된다.
- 코나미에서 발매한 슈팅 게임 ''극상 파로디우스 ~과거의 영광을 찾아서~''의 난입 스테이지 보스전 BGM 전주 부분에 이 곡이 사용되었다.
5. 일화
1904년 사라사테 본인이 바이올린을 연주하고 후안 마넨이 피아노 반주를 맡아 녹음이 이루어졌다. 이 녹음에는 중간에 사라사테의 목소리로 추정되는 알 수 없는 중얼거림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가지 설에 따르면, 사라사테가 레코드 녹음 허용 시간을 넘길 것 같아 반주자에게 중간 부분을 생략하고 연주하라고 지시한 목소리라고 한다. 20세기 초에는 레코드 녹음 시간이 짧았고, 녹음 원반은 한번 녹음하면 수정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나중이라면 잡음으로 처리되었을 작은 목소리까지 그대로 담겨 판매된 것으로 보인다.
참조
[1]
웹사이트
Filched Melodies – Sarasate's ''Zigeunerweisen'' (Gypsy Airs) under suspicion of plagiarism
https://www.henle.de[...]
2021-02-10
[2]
Grove
Sarasate (y Navascuéz), Pablo (Martín Melitón) de
https://doi.org/10.1[...]
2001
[3]
웹사이트
コトバンク(朝日新聞社デジタル)
https://kotobank.jp/[...]
[4]
웹사이트
サラサーテ ツィゴイネルワイゼン Op.20 - クラシック音楽mp3無料ダウンロード 著作権切れ、パブリックドメインの歴史的音源
http://classicalmusi[...]
[5]
문서
Senff
[6]
문서
August Wilhelm
[7]
문서
Broude Brothers
[8]
문서
Carl Fischer
[9]
문서
Edwin F. Kalm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