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차 방정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칠차 방정식은 최고차항의 차수가 7인 대수 방정식이다. 근과 계수의 관계가 성립하며, 일부 칠차 방정식은 근호로 풀 수 있지만, 모든 칠차 방정식이 그런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칠차 방정식의 해는 종수 3의 초타원 함수와 관련된 세타 함수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으며, 힐베르트의 13번째 문제와 관련이 있다. 칠차 방정식의 갈루아 군은 방정식의 근이 어떤 형태로 표현될 수 있는지 결정하며, 칠차 방정식은 원내접 오각형 또는 육각형의 넓이와 관련된 문제에 응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루아 이론 - 갈루아 군
갈루아 군은 체의 확대에 대한 자기 동형군으로, 갈루아 이론의 기본 정리에 따라 체론과 군론을 연결하며, 사유한군 구조를 가지고 갈루아 코호몰로지와 관련된다. - 갈루아 이론 - 프로베니우스 사상
표수가 소수 p인 가환환 R에서 프로베니우스 사상은 r을 r^p로 보내는 환 준동형으로, 환의 표수가 p인 환의 범주에 대한 항등 함자에서 자체로의 자연 변환을 나타내며, 체 K가 표수가 0이거나 양의 표수를 갖고 프로베니우스 사상이 자기 동형 사상인 경우 완전체라고 한다. - 방정식 - 피타고라스 정리
피타고라스 정리는 직각삼각형에서 직각변의 제곱의 합이 빗변의 제곱과 같다는 정리로, a² + b² = c²으로 표현되며, 한 변의 길이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고, 여러 지역에서 알려졌으나 피타고라스 학파에 의해 체계화되었다고 전해진다. - 방정식 - 케플러 방정식
케플러 방정식은 천체의 궤도를 기술하는 초월 방정식으로, 행성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며 평균 이상, 편심 이상, 이심률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 다항식 - 르장드르 다항식
르장드르 다항식은 르장드르 미분 방정식의 해로 정의되는 직교 다항식 계열로, 생성 함수, 로드리게스 공식, 또는 점화식을 통해 정의될 수 있으며, 물리학, 공학, 수치해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 다항식 - 행렬식
행렬식은 정사각 행렬에 대해 정의되는 값으로, 선형 방정식의 해를 구하고 선형 독립성을 확인하며 기저의 방향과 부피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며, 가우스 소거법 등의 계산 기법과 가역성 판단, 고유값 연관성 등의 성질을 갖는다.
칠차 방정식 | |
---|---|
정의 | |
차수 | 7 |
변수 | x |
일반 형태 | ax⁷ + bx⁶ + cx⁵ + dx⁴ + ex³ + fx² + gx + h = 0 (단, a ≠ 0) |
특별한 경우 | |
a = 0인 경우 | 6차 방정식 |
a = 0이고 b ≠ 0인 경우 | 6차 방정식 |
a = 0, b = 0, c ≠ 0인 경우 | 5차 방정식 |
해 | f(x) = 0을 만족하는 x 값 |
계수 | a, b, c, d, e, f, g, h |
명칭 | |
영어 | Septic equation (셉틱 이퀘이션) |
2. 역사
19세기 에바리스트 갈루아는 특정 방정식이 근호를 이용해 풀 수 있는지 판별하는 갈루아 이론을 발전시켰다. 이 이론을 통해 5차 이상의 고차 방정식에는 일반적인 대수적 해법이 존재하지 않음이 증명되었다. 일부 7차 방정식은 근호를 이용해 풀 수 있지만, 모든 7차 방정식이 그런 것은 아니다.
칠차방정식 ($a \ne 0$)의 일곱 근을 라고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따라 계수와 근 사이에 특정 관계가 성립한다. 이 관계에서 각 계수에 대응하는 근들의 조합 개수는 조합의 경우의 수 계산을 통해 알 수 있다.
일반적인 7차 방정식의 해법은 매우 복잡하며, 갈루아 군 이론에 따르면 그 해는 교대군 또는 대칭군과 관련된다.[1] 이러한 방정식의 해를 구하기 위해서는 종수 3의 초타원 함수와 관련된 세타 함수와 같은 고등 함수가 필요하다.[1] 19세기 수학자들은 이미 육차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과정에서 계산 능력의 한계에 부딪혔기 때문에, 7차 방정식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활발하지 않았다.[1]
7차 방정식은 해를 구하는 과정에서 두 변수의 연속 함수 합성이 필요한지 여부가 불분명했던 가장 낮은 차수의 방정식이었다. 다비트 힐베르트는 그의 유명한 13번째 문제에서 일반적인 7차 방정식의 해는 두 변수의 연속 함수 합성으로 표현될 수 없다고 추측했다.
그러나 1957년 블라디미르 아르놀트는 이 추측이 틀렸음을 증명하며, 모든 7차 방정식의 해가 실제로는 두 변수의 연속 함수 합성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보였다.[2] 하지만 아르놀트는 힐베르트가 본래 의도했던 문제는 연속 함수가 아닌 '대수 함수'의 중첩으로 해를 표현할 수 있는지 여부라고 보았는데[3], 이 문제는 2023년 현재까지도 해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3. 근과 계수와의 관계
7개의 근 에서 특정 개수만큼 선택하는 조합의 수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일변수 칠차 방정식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표현된다.
4. 칠차방정식의 근의 정보에 대한 접근
일반적인 일변수 칠차 방정식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표현된다.
:
여기서 최고차항의 계수 $a_7$은 0이 아니므로, 양변을 $a_7$으로 나누어 최고차항의 계수를 1로 만들 수 있다.
:
이 방정식은 취른하우스 변형을 이용하여 $x=y- {a_6 \over 7 a_7}$ 로 치환하면 6차항($x^6$)을 소거할 수 있다. 치환 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6차항이 없는 형태의 칠차 방정식으로 변형된다.
:
여기서 p, q, r, s, t, u는 원래 방정식의 계수들($a_0, a_1, ..., a_7$)로 표현되는 새로운 계수이다.
5. 해법
일부 7차 방정식은 근호를 이용하여 인수분해하여 풀 수 있지만, 모든 7차 방정식을 이런 방식으로 풀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에바리스트 갈루아는 주어진 방정식이 근호로 풀 수 있는지 판별하는 방법을 개발했으며, 이는 갈루아 이론의 기초가 되었다.
근호로 풀 수 있는 기약 7차 방정식의 한 예는 풀 수 있는 드 무아브르 5차 방정식을 일반화한 다음 형태이다.
:
이 방정식의 보조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이는 7차 방정식이 , , 이 세 식에서 와 를 소거하여 얻어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방정식의 일곱 근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여기서 는 1의 7제곱근 중 하나이며, 과 는 보조 방정식의 두 근이다. 이 7차 방정식의 갈루아 군은 차수가 42인 최대 가해군이다. 이 원리는 소수가 아닌 다른 차수 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일반화될 수 있다.
또 다른 근호로 풀 수 있는 7차 방정식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이러한 형태의 방정식은 클루너(Kluner)의 수론체 데이터베이스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방정식의 판별식은 다음과 같다.
:
이 7차 방정식의 갈루아 군은 차수가 14인 이항 군이다.
일반적인 7차 방정식은 근호만으로는 풀 수 없으며, 해를 구하기 위해서는 초타원 함수와 같은 더 복잡한 함수가 필요하다.[1] 블라디미르 아르놀트는 모든 7차 방정식의 해가 두 변수의 연속 함수 합성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증명했다.[2]
5. 1. 초타원 함수를 이용한 해법
일반적인 7차 방정식의 갈루아 군은 교대군 또는 대칭군 이다.[1] 이러한 갈루아 군을 갖는 방정식은 근호만으로는 해를 표현할 수 없다. 이러한 방정식의 해를 구하기 위해서는 종수 3인 초타원 함수 및 이와 관련된 세타 함수가 필요하다.[1]하지만 육차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것조차 당시 계산 능력의 한계에 부딪혔기 때문에, 19세기 수학자들은 7차 방정식의 해법을 깊이 연구하지는 않았다.[1]
한편, 7차 방정식은 해를 두 변수의 연속 함수들의 합성으로 표현할 수 있는지 여부가 불분명했던 가장 낮은 차수의 방정식이었다. 힐베르트의 13번째 문제는 일반적인 7차 방정식의 해를 이런 방식으로 표현하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추측이었다. 1957년 블라디미르 아르놀트는 이것이 항상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여 이 문제를 해결했다.[2] 하지만 아르놀트 자신은 7차 방정식의 해를 두 변수의 대수 함수 중첩으로 표현할 수 있는지 여부가 '진정한' 힐베르트 문제라고 생각했으며[3], 이 문제는 현재까지도 미해결 상태로 남아 있다.
6. 갈루아 군
에바리스트 갈루아가 개발한 갈루아 이론은 주어진 다항 방정식이 근호를 이용하여 해를 표현할 수 있는지 판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칠차 방정식의 경우, 그 해법의 형태는 해당 방정식의 갈루아 군에 의해 결정된다.
칠차 방정식의 갈루아 군이 가해군(solvable group)인 경우, 방정식은 근호로 풀 수 있다. 이러한 가해군에 해당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1]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형태의 칠차 방정식은 근호로 풀 수 있다.
- 이 방정식의 갈루아 군은 위수가 42인 최대 가해군이다. 해는 형태로 표현되며, 여기서 는 7차 단위근이고 는 보조 이차 방정식 의 근이다.
- 이 방정식의 갈루아 군은 위수가 14인 이항군이다.
칠차 방정식의 갈루아 군이 단순군인 (위수 168)인 경우도 존재한다. 이 군은 파노 평면의 대칭성을 나타내는 군으로, PSL(2, 7)과 동형이다.[1] 이 갈루아 군을 갖는 칠차 방정식은 근호로 풀 수는 없지만, 타원 함수를 이용하여 해를 구할 수 있다.[1]
만약 칠차 방정식의 갈루아 군이 가해군도 아니고 도 아니라면, 이는 교대군 (위수 2520) 또는 대칭군 (위수 5040)이다.[1] 이 군들은 가해군이 아니므로, 이러한 갈루아 군을 갖는 일반적인 칠차 방정식은 근호로 풀 수 없다. 이 방정식들의 해를 구하기 위해서는 종수 3의 초타원 함수와 관련된 세타 함수가 필요하다.[1] 19세기 수학자들은 이미 육차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것이 계산적으로 매우 복잡했기 때문에, 이러한 칠차 방정식 해법을 깊이 연구하지는 않았다.[1]
칠차 방정식의 가능한 갈루아 군과 그에 따른 해법의 특징은 다음 표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갈루아 군 | 다른 이름 | 위수 | 해법 특징 |
---|---|---|---|
순환군 | 7 | 근호로 표현 가능 (가해군) | |
이항군 | 14 | 근호로 표현 가능 (가해군) | |
메타순환군 | 프로베니우스 군 | 21 | 근호로 표현 가능 (가해군) |
메타순환군 | 프로베니우스 군 | 42 | 근호로 표현 가능 (가해군) |
PSL(2, 7) (동형) | 168 | 타원 함수 필요 | |
교대군 | 2520 | 초타원 함수 필요 | |
대칭군 | 5040 | 초타원 함수 필요 |
7. 특수 응용
원내접 오각형의 넓이의 제곱은 오각형 변의 대칭 함수를 계수로 하는 칠차 방정식의 근이다.[4] 원내접 육각형의 넓이의 제곱도 마찬가지로, 육각형 변의 대칭 함수를 계수로 하는 칠차 방정식의 근으로 나타낼 수 있다.[5]
참조
[1]
서적
Beyond the Quartic Equation
https://books.google[...]
Birkhaüser
2009-01-16
[2]
서적
Kolmogorov's heritage in mathematics
Springer
2007-09-13
[3]
간행물
From Hilbert's Superposition Problem to Dynamical Systems
http://www.pdmi.ras.[...]
[4]
웹사이트
Cyclic Pentagon
http://mathworld.wol[...]
[5]
웹사이트
Cyclic Hexagon
http://mathworld.wo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