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르파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르파초는 얇게 썬 생고기를 주재료로 하는 요리이다. 1963년, 베네치아의 해리스 바 설립자 주세페 치프리아니가 비토레 카르파초의 이름을 따서 '카르파초'로 명명했다. 피에몬테의 카르네 크루다 알라베세를 기반으로 하며, 얇게 썬 생 쇠고기에 파르미자노 레지아노를 곁들인 요리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비토레 카르파초의 작품 색채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1963년 베네치아에서 열린 비토레 카르파초 탄생 500주년 회고전 기간 동안 해리스 바에서 고안되었다는 설 등이 있다. 일본에서는 생선회를 사용한 카르파초가 개발되었고, 이탈리아에서도 생선이나 채소, 과일을 활용한 카르파초가 등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해산물 요리 - 보타르가
    보타르가는 숭어 또는 참다랑어의 알집을 소금에 절여 건조, 숙성시킨 고급 식재료이며, 지중해 연안 지역에서 주로 생산되고 한국에서는 고급 식재료로 사용된다.
  • 이탈리아의 해산물 요리 - 카폰 마그로
    육류 섭취가 제한되는 가톨릭 단식일에 먹는 이탈리아 요리인 카폰 마그로는 생선, 해산물, 채소를 주재료로 사용하며, 크리스마스 이브에 즐겨 먹는 전통 음식이다.
  • 날고기 요리 - 육회
    육회는 얇게 썬 생쇠고기를 양념에 버무린 한국 전통 음식이며, 19세기 요리책에 조리법이 기록되어 쇠고기 이력 추적 시스템으로 안전성을 관리한다.
  • 날고기 요리 - 스테이크 타르타르
    스테이크 타르타르는 다진 생고기를 주재료로 양념한 요리로, 기원은 타타르족의 말고기 요리라는 설과 유럽 기원설이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화했고, 섭취 시 위생에 주의해야 한다.
  • 이탈리아의 고기 요리 - 콩피
    콩피는 프랑스의 전통적인 조리법으로, 육류를 기름에 절이거나 과일을 설탕에 절여 보존하며, 최근에는 다양한 식재료를 활용한 조미료로도 활용된다.
  • 이탈리아의 고기 요리 - 포르케타
    포르케타는 이탈리아 중부 지역에서 유래한 돼지고기 요리로, 이탈리아 전역에서 인기가 있으며 샌드위치 형태로 판매되기도 한다.
카르파초 - [음식]에 관한 문서
요리 정보
종류이탈리아 요리의 전채
주요 재료날고기 또는 생선 (쇠고기, 말고기, 송아지 고기, 사슴고기)
이름 정보
이탈리아어카르파초
어원
유래15세기 화가 비토레 카르파초

2. 역사

카르파초는 피에몬테의 특산품인 ''카르네 크루다 알라베세''를 기반으로 한다.[2] 1963년 베네치아 해리스 바의 설립자인 주세페 치프리아니가 아말리아 나니 모체니고 백작 부인을 위해 이 요리를 처음 만들었는데, 백작 부인이 의사로부터 생고기를 먹으라는 권고를 받았기 때문이다.[3] 이 요리는 작품의 특징적인 붉은색과 흰색 톤으로 유명한 베네치아 화가 비토레 카르파초의 이름을 따서 '카르파초'로 명명되었다.[4]

해리스 바(베네치아, 2024)에서 제공되는 카르파초 치프리아니(얇게 썬 생 쇠고기에 마요네즈를 뿌린 요리)


카르파초는 생 쇠고기에 마늘, 올리브 오일, 그라나 파다노 치즈, 알바산 백트러플을 곁들인 피에몬테주 랑게 지방의 전통 요리에서 힌트를 얻은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2. 1. 기원

이 요리는 피에몬테의 특산품인 ''카르네 크루다 알라베세''를 기반으로 하며, 1963년[2] 베네치아의 해리스 바의 설립자인 주세페 치프리아니에 의해 발명되었다. 그는 원래 생고기를 먹으라는 의사의 권고를 받은 아말리아 나니 모체니고 백작 부인을 위해 이 요리를 준비했다.[3] 이 요리는 작품의 특징적인 붉은색과 흰색 톤으로 유명한 베네치아 화가 비토레 카르파초의 이름을 따서 '카르파초'로 명명되었다.[4]

카르파초라는 명칭의 유래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설들이 있다.

  • 이탈리아의 화가비토레 카르파초가 얇게 썬 생 쇠고기에 파르미자노 레지아노를 곁들인 요리를 즐겨 먹은 데서 유래했다는 설.
  • 비토레 카르파초의 독특한 붉은색을 기조로 한 작풍이 접시에 담긴 얇게 썬 생 쇠고기의 색채와 유사하기 때문에 붙여졌다는 설.
  • 1963년 (1950년 설도 있다[5]) 베네치아에서 비토레 카르파초 탄생 500주년 회고전 기간 동안, 같은 지역의 레스토랑 "해리스 바"에서 고안된 요리라는 설. 이 설은 앞선 두 설과 달리 베네치아의 전통 요리가 아닌 근래의 창작 요리라고 주장한다.


생 쇠고기에 마늘, 올리브 오일, 그라나 파다노 치즈, 알바산 백트러플을 곁들인 피에몬테주 랑게 지방의 전통 요리에서 힌트를 얻었다는 언급도 있다.

2. 2. 일본으로의 전파와 변용

일본에서는 생 소고기 안심 대신 참치, 가다랑어, 연어 등의 생선회를 사용한 카르파초가 화양 절충 요리(서양 요리의 일본식 어레인지)의 대표적인 예가 되었으며, 그 창작자는 레스토랑 "라・벳토라・다・오치아이"의 오치아이 츠토무라고 알려져 있다.[6] 카르파초의 발상지인 이탈리아에서도 세계적인 생선회 붐의 영향을 받아, 생 생선을 사용한 카르파초나, 채소나 과일을 사용한 것도 많아지고 있다.

3. 다양한 카르파초

일본에서는 생 소고기 안심 대신 참치, 가다랑어, 연어 등의 생선회를 사용한 카르파초가 화양 절충 요리(서양 요리의 일본식 어레인지)의 대표적인 예로 꼽히며, 오치아이 츠토무 셰프가 창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6] 이탈리아에서도 세계적인 생선회 붐의 영향으로 생 생선, 채소, 과일을 사용한 카르파초가 많아지고 있다.

3. 1. 주재료에 따른 분류

카르파초는 원래 얇게 썬 생 쇠고기에 파르미자노 레지아노 치즈를 곁들인 요리에서 유래했지만, 일본에서는 참치, 가다랑어, 연어 등의 생선회를 사용한 카르파초가 서양 요리를 일본식으로 변형한 대표적인 예가 되었다.[6] 이는 레스토랑 "라・벳토라・다・오치아이"의 오치아이 츠토무 셰프가 창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6]

최근에는 카르파초의 발상지인 이탈리아에서도 생선회를 사용한 카르파초나 채소, 과일을 사용한 카르파초가 많아지고 있다. 이는 세계적인 생선회 유행의 영향을 받은 결과이다.

3. 2. 소스와 곁들임

카르파초에는 마늘, 올리브 오일, 그라나 파다노 치즈를 주로 곁들인다. 피에몬테주 랑게 지방의 전통 요리에서 힌트를 얻어, 알바산 백트러플을 곁들이기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carpaccio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10-10
[2] 서적 Ciao, Carpaccio! Liveright Publishing Corporation
[3] 뉴스 Beef carpaccio with rocket: Recreate the magic of Venice and Harry's Bar https://web.archive.[...] The Times 2004-05-13
[4] 서적 Harry's Bar: The Life and Times of the Legendary Venice Landmark https://archive.org/[...] Arcade
[5] 서적 食の世界地図 文藝春秋社
[6] 서적 すし屋の常識・非常識 朝日新書
[7] 뉴스 부티크 레스토랑 리스토란테 에오, 미술관에 온 듯…예술을 맛보다 http://news.hankyung[...] 한국경제 2014-0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