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스트루베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스트루베르데는 포르투갈 베자 현에 위치한 도시로, 선사 시대부터 다양한 문화의 교차로였다. 이 지역은 기원전 20만 년 전 네안데르탈인 거주지였으며, 켈트족, 로마 제국, 무어인의 지배를 거쳐 포르투갈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1510년 타운 헌장을 받았으며, 현재는 광업, 농업, 축산업을 기반으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진다. 주요 건축물로는 오우리케 전투 기념주, 왕립 바실리카, 상 미겔의 기적의 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르투갈의 도시 - 마달레나 (아소르스 제도)
    마달레나는 포르투갈 아소르스 제도 피쿠섬에 위치한 도시이자 지방 자치체로, 와인 산업 번성으로 성장했으며 경제 다각화를 거쳐 현재는 에코투어리즘이 발전했고 파이알섬과의 주요 항구 역할을 하는 6개의 교구로 나뉜다.
  • 포르투갈의 도시 - 아르가닐
    아르가닐은 포르투갈 코임브라 현에 위치한 도시이자 지방 자치 단체로, 선사 시대부터 근현대까지 다양한 역사를 거쳐 14개의 교구로 행정 구역이 나뉘며 농업, 임업, 경공업, 소매 및 서비스업이 경제의 중심을 이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카스트루베르드
개요
카스트루베르드
시장에서 바라본 석양의 카스트루베르드
별칭평원 자치구
위치포르투갈 알렌테주 지방
행정 구역
국가포르투갈
지역알렌테주 지방
하위 지역바이슈알렌테주
행정 구역 수4개 민정 구역
정치
시장프란시스쿠 주제 칼데이라 두아르테
소속 정당CDU
지리
고도234m
면적569.44km²
인구
인구 (2011년)7,276명
일반 정보
지역 번호286
우편 번호7780
수호 성인상 페드루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2. 역사

로마 점령은 4세기 동안 지속되었고, 그 뒤를 서고트족의 이동(서기 300-700년)과 무어인의 지배(711년)가 뒤따랐으며, 이후 기독교 재정복 기간 동안 무어인들이 이 지역에서 추방되었다.[3] 아폰수 1세가 5명의 무어인 왕을 상대로 승리한 오리케 전투는 카스트루베르데 마을에서 약 5km 떨어진 상 페드루 다스 카베사스에서 발생했으며, 포르투갈 왕국 건설(1143년 사모라 조약)의 길을 열었다.[3] 이 전투는 1139년 7월 24일과 25일, 이틀 동안 벌어졌으며, 리베이라 드 코브레스의 물이 붉은색으로 흐를 정도로 매우 치열했다. 상 마메데 전투 이후 포르투갈의 왕자로 선포된 아폰수 엔리케스는 오리케 전투에서 무어인 왕들을 물리치고 왕으로 선포되었다.[3]

오리케 전투를 기념하기 위해 카스트루베르데 왕립 대성당에 있는 'D. 아폰수 엔리케스' 아줄레주


아폰수 왕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은 산초 2세 시대인 1234년경 알주슈트렐 성을 점령할 때까지 포르투갈에 의해 완전히 확보되지 않았다.[3] 이후, '''카스트루베르데 왕립 대성당'''은 1573년에 포르투갈의 세바스티앙 왕이 무어인에 대한 기독교인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건설했으며, 중앙 예배당 벽은 유명한 전투를 묘사한 아줄레주로 장식되어 있다.[3]

카스트루베르데 지역은 코멘다 드 산티아고의 수도원과 아베이루 공작의 소유가 되었다.[3] 카스트루베르데는 중앙 행정 중심지이자 시청으로 계속 운영되었고, 카세벨과 엔트라다스는 행정 자율성을 얻었다.[4] 광물 채굴이 경제를 이끌었지만, 목축업 또한 이 지역 경제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16세기와 17세기 동안 ''Campos de Ourique''는 카스텔라 지역과 세라 다 에스트렐라에서 온 많은 가축 떼의 목적지가 되어 도시에 새로운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차원을 더했다.[3]

14세기 초, 카스트루베르데 지역의 광대한 목초지는 포르투갈의 드니 왕(''농부 왕'')에 의해 귀족에게 수여되었으며, 이는 수천 헥타르를 윤작 경작으로 관리하여 포르투갈의 ''곡창''과 국가의 가장 중요한 목초지가 되었다.[3]

포르투갈의 마누엘 1세가 반포한 카스트루베르데 타운의 1510년 헌장


19세기 중반에 주변 자치구가 재조직되었고 카스트루베르데는 현재의 경계 내에서 공식화되었다. 이 도시는 1510년 포르투갈의 마누엘 1세 왕에 의해 타운 헌장을 받았다.[3]

2. 1. 선사 시대 및 고대

바이수 알렌테주 하위 지역의 선사 시대는 기원전 20만 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 지역은 구석기 시대에 유럽 북부에서 온 이동하는 네안데르탈인들이 통과했다.[3] 기원전 28,000년경에 멸종할 때까지 네안데르탈인은 현재의 포르투갈에서 사냥하고 채집했다. 이후 이 지역은 풍부한 광물과 지중해 연안의 상업적, 전략적 위치로 인해 여러 문화의 고향이 되었다. 가장 초기의 정착지는 기원전 6세기경 이베리아 반도 중부에서 온 켈트이베리아인과 시작되었고, 그 뒤를 켈트족이 따랐다.[3] 3세기부터는 부족 씨족이 조직적인 oppidum으로 대체되었으며, 이는 대규모 바위나 토공사로 건설된 많은 '''카스트로''' 마을을 포함하는 정의된 영토를 가진 요새화된 조직 도시였다.[3]

Espança 필사본, 이 지역의 페니키아의 영향의 증거가 있는 고대 석재


카스트루베르데 지역의 초기 문화에 대한 최초의 증거는 산타 바르바라 드 파드롱스의 시민 교구에 있는 네베스-코르보 마을 근처에서 발견된 ''''Espança 필사본''''의 발견이었다.[3] 이 고고학적 석재에는 타르테소스 문자와 타르테소스어를 사용하는 남서부 고대 이베리아 문자가 포함되어 있으며, 가장 오래된 고대 이베리아 문자로 확인되었다. 페니키아 문자와 관련되어 있으며, 페니키아 문화와 가장 가까운 유럽과의 연결 고리이다. 타르테소스 문화는 로마 제국 시대의 투르데타니 민족의 선구자였다. 고전 시대 동안 정착촌의 성장은 이베리아 '''황철광 지대'''의 전략적 중요성과 관련이 있었을 것이다.[3] 카스트루베르데는 알주슈트렐 광산(북쪽으로 20km)과 과디아나강의 지류에 위치한 메르톨라 항구 도시(동쪽으로 40km)를 연결하는 교통로에 위치해 있었다.[3] 로마 점령 기간 동안 광물에 대한 광범위한 채굴과 창고 보관에는 방어 시설과 광물 창고가 필요했으며, 카스트루베르데 지역에는 20개 이상의 작은 구조물이 남아 있다.[3] 채굴 활동과 함께 이 지역은 광대한 곡물 생산과 소/양 방목 지역이 되었다. 이러한 결합된 '기본 경제'의 풍부함과 풍요로움은 카스트루베르데가 지중해 지역 내에서 상업의 지역 중심지, 즉 문화의 교차로가 될 정도로 성장했다.[3]

''카스트루베르데''라는 이름의 기원은 이 초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그 이름에 대한 두 가지 해석이 있다. 하나는 이 이름이 로마 시대의 ''Castra Castrorum''에서 파생되었으며, ''verde''(''"녹색"''을 의미)를 결합하여 ''new''를 나타낸다는 것이다.[3] 더 일관된 해석은 이 이름이 ''Castrum Veteris''에서 파생된 것으로, 작은 고원(상 마르티뉴 예배당이 있는 곳)에 존재했던 다른 ''castro''와 구별하기 위해 ''가장 오래된 카스트로''를 의미하며 중세 시대에 버려졌다.[3] ''castro''라는 용어는 라틴어 ''castrum''에서 파생되었으며, 큰 바위로 지어진 작은 군사 야영지 또는 요새를 나타낸다.[3]

2. 2. 로마 시대

바이수 알렌테주 하위 지역은 기원전 20만 년 전부터 구석기 시대에 유럽 북부에서 온 네안데르탈인들이 이동하며 통과한 지역이다.[3] 기원전 28,000년경 네안데르탈인이 멸종할 때까지 이베리아 반도에서 사냥과 채집을 했다. 이후 이 지역은 풍부한 광물과 지중해 연안의 상업적, 전략적 위치 덕분에 여러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다. 초기 정착은 기원전 6세기경 이베리아 반도 중부에서 온 켈트이베리아인으로부터 시작되었고, 그 뒤를 켈트족이 따랐다.[3] 3세기부터 부족 씨족은 조직적인 oppidum으로 대체되었으며, 이는 대규모 바위나 토공사로 건설된 '''카스트로''' 마을을 포함하는 정의된 영토를 가진 요새화된 도시였다.[3]

카스트루베르데 지역의 초기 문화에 대한 최초의 증거는 산타 바르바라 드 파드롱스의 네베스-코르보 마을 근처에서 발견된 ''''Espança 필사본''''이다.[3]

이 고고학적 석재에는 타르테소스 문자와 타르테소스어를 사용하는 남서부 고대 이베리아 문자가 포함되어 있으며, 가장 오래된 고대 이베리아 문자로 확인되었다. 페니키아 문자와 관련되어 있으며, 페니키아 문화와 유럽과의 연결 고리이다. 타르테소스 문화는 로마 제국 시대 투르데타니 민족의 선구자였다. 정착촌의 성장은 이베리아 '''황철광 지대'''의 전략적 중요성과 관련이 있었을 것이다.[3] 카스트루베르데는 알주슈트렐 광산(북쪽으로 20km)과 과디아나강의 지류에 위치한 메르톨라 항구 도시(동쪽으로 40km)를 연결하는 교통로에 위치해 있다.[3] 로마 점령 기간 동안 광물에 대한 광범위한 채굴과 창고 보관에는 방어 시설과 광물 창고가 필요했으며, 카스트루베르데 지역에는 20개 이상의 작은 구조물이 남아 있다.[3] 채굴 활동과 함께 이 지역은 광대한 곡물 생산과 소와 양을 방목하는 지역이 되었다. 이러한 경제적 풍요로움은 카스트루베르데가 지중해 지역 내에서 상업의 지역 중심지이자 문화 교류의 장이 될 정도로 성장했다.[3]

''카스트루베르데''라는 이름의 기원은 이 초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두 가지 어원 해석이 존재한다. 하나는 로마 시대의 ''Castra Castrorum''에서 파생되었으며, ''verde''(''"녹색"''을 의미)를 결합하여 ''new''를 나타낸다는 것이다.[3] 더 일관된 해석은 ''Castrum Veteris''에서 파생된 것으로, 작은 고원(상 마르티뉴 예배당이 있는 곳)에 존재했던 다른 ''castro''와 구별하기 위해 ''가장 오래된 카스트로''를 의미하며 중세 시대에 버려졌다.[3] ''castro''라는 용어는 라틴어 ''castrum''에서 파생되었으며, 큰 바위로 지어진 작은 군사 야영지 또는 요새를 나타낸다.[3]

2. 3. 중세 시대



카스트루베르데 지역은 로마 점령 이후 서고트족의 이동(서기 300-700년)과 무어인의 추방(711년)을 거쳐, 기독교 재정복 시대에 이르렀다.[3] 아폰수 1세가 5명의 무어인 왕을 상대로 승리한 오리케 전투는 카스트루베르데 마을에서 약 5km 떨어진 상 페드루 다스 카베사스에서 발생했으며, 포르투갈 왕국 건국(1143년 사모라 조약)의 길을 열었다.[3] 전투는 1139년 7월 24일과 25일, 이틀 동안 지속되었으며, 리베이라 드 코브레스의 물이 붉은색으로 흐를 정도로 매우 유혈이 낭자했다. 상 마메데 전투 이후 포르투갈의 왕자로 선포된 아폰수 엔리케스는 오리케 전투에서 무어인 왕들을 물리치고 왕으로 선포되었다.[3]

아폰수 왕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은 산초 2세 왕 시대인 1234년경 알주슈트렐 성을 점령할 때까지 포르투갈에 의해 완전히 확보되지 않았다.[3] 이후, '''카스트루베르데 왕립 대성당'''은 1573년에 포르투갈의 세바스티앙 왕이 무어인에 대한 기독교인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건설했으며, 중앙 예배당의 벽은 유명한 전투를 묘사한 아줄레주로 장식되어 있다.[3]

카스트루베르데 지역은 코멘다 드 산티아고의 수도원과 아베이루 공작의 소유가 되었다.[3] 카스트루베르데는 중앙 행정 중심지이자 시청으로 계속 운영되었고, 카세벨과 엔트라다스는 행정 자율성을 얻었다.[4] 광물 채굴이 경제를 이끌었지만, 목축업 또한 이 지역 경제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16세기와 17세기 동안 ''Campos de Ourique''는 카스텔라 지역과 세라 다 에스트렐라에서 온 많은 가축 떼의 목적지가 되어 시에 새로운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차원을 더했다.[3]

14세기 초, 카스트루베르데 지역의 광대한 목초지는 포르투갈의 드니 왕에 의해 귀족에게 수여되었으며, 수천 헥타르를 윤작 경작으로 관리하여 포르투갈의 ''곡창''과 국가의 가장 중요한 목초지가 되었다.[3]

이 도시는 1510년 포르투갈의 마누엘 1세 왕에 의해 타운 헌장 (''포랄'')을 받았다.[3]

2. 4. 근세 및 현대



''카스트루베르데''라는 이름의 기원은 로마 시대의 ''Castra Castrorum''에서 파생되었다는 설과, ''Castrum Veteris''에서 파생되어 ''가장 오래된 카스트로''를 의미한다는 설이 있다. ''castro''는 라틴어 ''castrum''에서 유래했으며, 큰 바위로 지어진 작은 군사 야영지 또는 요새를 뜻한다.[3]

로마 점령은 4세기에 걸쳐 지속되었고, 서고트족의 이동(서기 300-700년)과 무어인의 추방(711년)이 뒤따랐다. 이후 기독교 재정복 기간 동안 이 지역에서 무어인들이 추방되었다.[3] 아폰수 1세가 5명의 무어인 왕을 상대로 승리한 오리케 전투는 카스트루베르데 마을에서 약 5km 떨어진 상 페드루 다스 카베사스에서 발생했으며, 포르투갈 왕국 건설(1143년 사모라 조약)의 길을 열었다.[3] 이 전투는 1139년 7월 24일과 25일, 이틀 동안 지속되었으며, 리베이라 드 코브레스의 물이 붉은색으로 흐를 정도로 매우 치열했다. 상 마메데 전투 이후 포르투갈의 왕자로 선포된 아폰수 엔리케스는 오리케 전투에서 무어인 왕들을 물리치고 왕으로 선포되었다.[3] 그러나 이 지역은 산초 2세 시대인 1234년경 알주슈트렐 성을 점령할 때까지 포르투갈에 의해 완전히 확보되지 않았다.[3] 이후, '''카스트루베르데 왕립 대성당'''은 1573년에 포르투갈의 세바스티앙 왕이 무어인에 대한 기독교인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건설했으며, 중앙 예배당 벽은 유명한 전투를 묘사한 아줄레주로 장식되어 있다.[3]

카스트루베르데 지역은 코멘다 드 산티아고의 수도원과 아베이루 공작의 소유가 되었다.[3] 카스트루베르데는 중앙 행정 중심지이자 시청으로 계속 운영되었고, 카세벨과 엔트라다스는 행정 자율성을 얻었다.[4] 광물 채굴이 경제를 이끌었지만, 목축업 또한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16세기와 17세기 동안 ''Campos de Ourique''는 카스텔라 지역과 세라 다 에스트렐라에서 온 많은 가축 떼의 목적지가 되어 시에 새로운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차원을 부여했다.[3]

14세기 초, 이 지역은 새로운 왕국 내에서 뚜렷한 경제적 실체로 조직되었다.[3] ''재정복 이후'' 시대 동안, 카스트루베르데 지역의 광대한 목초지는 포르투갈의 드니 왕(''농부 왕'')에 의해 귀족에게 수여되었으며, 이는 수천 헥타르를 윤작 경작으로 관리하여 포르투갈의 ''곡창''과 국가의 가장 중요한 목초지가 되었다.[3]

19세기 중반에 주변 자치구가 재조직되었고 카스트루베르데는 현재의 경계 내에서 공식화되었다. 이 도시는 1510년 포르투갈의 마누엘 1세 왕에 의해 타운 헌장 (''포랄'')을 받았다.[3] 2010년은 카스트루베르데와 카세벨의 타운 헌장 500주년을 기념하는 연중 축제가 열린 해였다.[3]

3. 지리

카스트루베르데는 세하 두 칼데이랑과 마주한 알렌테주 평야 내 "캄푸 브랑쿠"로 알려진 지역에 위치한다.[9] 베자 현에 속하며, 북쪽으로는 베자 시와 알주스트렐 시, 남쪽으로는 알모도바르 시, 동쪽으로는 메르톨라 시, 서쪽으로는 오우리케 시와 경계를 접한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인구는 대체로 큰 도시 지역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1970년 시의 인구는 9004명이었으나 1981년에는 7472명으로 감소했고, 10년 후에는 7786명으로 소폭 증가했지만 2001년 인구 조사에서는 7603명으로 다시 약간 감소했다. 문맹률은 15.7%로 비교적 높은 편인데,[10] 이는 거주 인구의 70%가 초등학교 수준의 교육만 받았다는 사실에서 기인한다.[10] 주민의 절반 이상(4,820명)이 카스트루베르드 시에 거주하며, 나머지 인구는 카세벨(365명), 엔트라다스(774명), 산타 바르바라 도스 파드롱스(1,271명), 상 마르코스 다 아타부에이라(373명) 등의 마을에 분산되어 있다.

567.2km2 면적의 이 지역 사회는 4개의 행정 구역(프레게지아)으로 나뉘며, 여러 중소 규모 지역에 흩어져 있다.[11]


  • 카스트루베르드 이 카세벨
  • 엔트라다스
  • 산타 바르바라 드 파드롱스
  • 상 마르코스 다 아타부에이라

3. 1. 자연 지리

카스트루베르데 지역은 해발 100m~300m 고도의 평원 지형으로, 넓은 구릉으로 이루어져 있다. 평균 해발 고도는 약 200m이다. 가장 낮은 지점은 리베이라 드 코브레스 근처 상 마르코스 다 아타부에이라 교구에 있는 약 110m 지점(베자 시 북동쪽 경계)이다. 가장 높은 지점(299m)은 카스트루베르데 교구 내 세로 다 반데이라의 측지 표지(우르자)이다. 경사도는 0~2%이지만, 코브레스와 마리아 델가다 계곡, 리베이라 드 오에이라스 인근(알모도바르 국경 근처)에서는 15%로 뚜렷하다. 이 지역에는 리베이라 데 알바카르, 리베이라 다 폰티냐, 리베이라 데 테르제스, 리베이라 다 샤다, 리베이라 다 세테, 리베이라 다 가타 등 여러 '리베이라'(계곡 또는 강)가 흐른다.

토양은 척박하여 농업에 부적합하며, 하부 토양은 주로 과립상 편암, 회색사암, 사암, 석영암으로 구성되고 투과성이 낮은 화산 변성 입자도 포함된다. 카스트루베르데는 이베리아 황철광 지대를 가로지르며, 황철광, 황동석, 섬아연석, 방연광, 석석 형태의 화산 기원 괴상 황화물 광상 (VMS)이 알주스트렐에서 알렌테주를 거쳐 스페인 남부까지 분포한다.[5] 포르투갈이 이베리아 반도에서 분리되었을 때 활발한 열수 화산 활동으로 화산 퇴적 황철광 복합체가 형성되었다(포르투갈 육괴가 이베리아 반도와 충돌). 카스트루베르데는 유럽 주요 채굴 매장지 중 하나로, 침식 위험이 높지만 지역 경제를 지탱한다. 광업 활동은 수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로마 시대 채굴 구조물 잔해는 이 지역이 로마 야금학 확장에 중요했음을 보여준다. 루시타니아 남부는 황화물 광석 외 , , 구리, 주석, , 등 광물이 풍부했다.

3. 2. 기후

카스트루베르데는 대서양의 영향을 받는 고온성 지중해성 기후(쾨펜: ''Csa'')를 보입니다. 덥고 건조한 여름과 온화하고 습한 겨울이 특징입니다. 연평균 기온은 일반적으로 16°C에서 17°C 사이입니다. 더운 달에는 최고 기온이 43°C에 도달하거나 이를 넘어설 수 있으며, 겨울에는 밤 기온이 때때로 어는점 이하로 떨어질 수 있습니다(연평균 8일).[7] 연평균 강수량은 약 450mm에서 500mm이며, 이 중 32%가 강수량이 가장 많은 11월과 12월에 집중되어 있고, 7월과 8월은 강수량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가장 건조한 달입니다.

카스트루베르데, 빌라에알현, 포르투갈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13°C15°C17°C19°C23°C28°C32°C32°C29°C23°C17°C14°C21.8°C
평균 최저 기온 (℃)5°C6°C6°C8°C10°C13°C15°C15°C15°C12°C8°C6°C9.9°C
강수량 (mm)81.3mm81.3mm53.3mm61mm35.6mm22.9mm2.5mm2.5mm22.9mm66mm76.2mm83.9mm589.4mm

[22]

네베스-코르보 광산, 카스트루베르데, 베자, 포르투갈 기후 (1981-2010 평균 및 극값, 1984–2020 강수량)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 기록 (℃)22°C24.6°C29°C33°C38.2°C44.1°C44.6°C45.7°C41.7°C35.8°C28.7°C22°C
평균 최고 기온 (℃)14.4°C15.9°C19.1°C20.7°C24.4°C29.9°C33.4°C33.1°C29.3°C23.7°C18.3°C15.2°C
평균 기온 (℃)9.3°C10.5°C13°C14.5°C17.5°C22°C24.7°C24.5°C22.1°C17.9°C13.2°C10.6°C
평균 최저 기온 (℃)4.3°C5.2°C6.9°C8.3°C10.7°C14.1°C15.9°C16°C14.9°C12°C8.1°C5.9°C
최저 기온 기록 (℃)-7.1°C-4.9°C-4°C-1°C-0.5°C6.4°C10°C10.5°C7°C2.9°C-1.5°C-3.8°C
강수량 (mm)51.8mm45.7mm45.6mm51mm29.5mm5.7mm1.7mm3.3mm24.3mm56.8mm77.6mm73.4mm

[7][8]

3. 3. 생태/보호 구역

카스트루베르데 지역은 해발 300~900피트(100~300m)의 고도로 변화하는 평원 지형으로, 평균 해발 고도는 약 200m이다. 가장 낮은 지점은 리베이라 드 코브레스 근처 상 마르코스 다 아타부에이라 교구의 약 110m 지점(베자 시와 북동쪽 경계)이다. 가장 높은 지점(299m)은 카스트루베르데 교구 내 세로 다 반데이라에 있는 측지 표지(우르자)이다. 경사도는 0~2%이지만, 코브레스와 마리아 델가다 계곡, 리베이라 드 오에이라스 인근(알모도바르와 국경 근처)에서는 15%로 뚜렷하다. 이 시에는 리베이라 데 알바카르, 리베이라 다 폰티냐, 리베이라 데 테르제스, 리베이라 다 샤다, 리베이라 다 세테 및 리베이라 다 가타 등 다른 '리베이라'(계곡 또는 강)가 있다.

이 시의 토양은 척박하며, 농업 지원 능력이 떨어진다. 하부 토양은 주로 과립상의 편암, 회색사암, 사암, 일부 지역에서는 석영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투과성이 감소된 희귀한 화산 변성 입자도 포함되어 있다. 카스트루베르데는 이베리아 황철광 지대를 가로지르며, 황철광, 황동석, 섬아연석, 방연광, 석석 형태의 화산 기원 괴상 황화물 광상 (VMS)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알주스트렐에서 시작하여 하부 알렌테주를 거쳐 스페인 남부로 확장된다.[5] 포르투갈이 이베리아 반도에서 바다로 분리되었을 때, 활발한 열수 화산 활동으로 화산 퇴적 황철광 복합체가 형성되었다(포르투갈의 육괴가 이베리아 반도와 충돌). 카스트루베르데는 유럽에서 가장 중요한 채굴 매장지 중 하나에 위치하며, 침식 위험이 높지만, 지역 경제를 지탱한다. 광업 활동은 수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로마 시대 채굴 구조물 잔해는 이 지역이 로마 야금학 확장에 중요했음을 보여준다. 황화물 광석 외에도, 이 루시타니아 남부 지역은 , , 구리, 주석, , 과 같은 다른 광물이 풍부했다.

카스트루베르데 시의 상당 부분은 유럽 연합의 나투라 2000 프로젝트에 포함되며, 큰새 및 검은별응애와 같은 멸종 위기에 처한 스텝 조류를 위한 특별 보호 구역(SPA)으로 지정되어 있다.[6]

3. 4. 인문 지리

카스트루베르드 시는 세하 두 칼데이랑과 마주한 알렌테주 평야 내 "캄푸 브랑쿠"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지역에 위치해 있다.[9] 베자 현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베자 시와 알주스트렐 시, 남쪽으로는 알모도바르 시, 동쪽으로는 메르톨라 시, 서쪽으로는 오우리케 시와 접해 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인구는 일반적으로 더 큰 도시 지역에 집중되어 왔다. 1970년 시의 인구는 9004명이었으나 1981년에는 7472명으로 감소했다. 10년 후에는 7786명으로 소폭 증가했지만, 최근 인구 조사(2001년)에 따르면 약간의 감소(7603명)가 있었다. 문맹률은 상대적으로 높으며, 15.7%가 문맹으로 간주된다.[10] 이는 거주 인구의 70%가 초등학교 수준의 교육만 받았다는 사실에 의해 더욱 두드러진다.[10]

주민의 50% 이상이 카스트루베르드 시(4,820명 거주)에 거주하며, 나머지 마을에 나머지 인구가 거주한다: 카세벨 365명, 엔트라다스 774명, 산타 바르바라 도스 파드롱스 1,271명, 상 마르코스 다 아타부에이라 373명.

면적 567.2km2의 이 지역 사회는 4개의 민간 교구(프레게지아)로 나뉘어 여러 중간 규모 및 소규모 지역에 흩어져 있다.[11]

  • 카스트루베르드 이 카세벨
  • 엔트라다스
  • 산타 바르바라 드 파드롱스
  • 상 마르코스 다 아타부에이라

4. 경제

카스트루베르드는 알렌테주 평야 내 "캄푸 브랑쿠(Campo Branco)"로 알려진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베자 현에 속한다.[9] 북쪽으로는 베자 시와 알주스트렐 시, 남쪽으로는 알모도바르 시, 동쪽으로는 메르톨라 시, 서쪽으로는 오우리케 시와 접해 있다.

1970년 9004명이던 인구는 1981년 7472명으로 감소했다가, 1991년에는 7786명으로 소폭 증가했으나, 2001년 인구 조사에서는 7603명으로 다시 감소했다. 문맹률은 15.7%로 높은 편이며, 거주 인구의 70%가 초등학교 수준의 교육만 받았다.[10]

인구 증가는 주로 광업, 특히 네베스-코르보 광산 단지 개발의 영향이 크다. 광산 활동과 관련 서비스, 토목 건설, 공공 사업 등으로 인해 시립 서비스와 인구가 함께 성장했으며, 1979년 이후 광업 관련 일자리도 증가했다.

노동력은 1차 산업 11.12%, 2차 산업 32.7%, 3차 서비스업 56.18%로 분포한다.[12] 산타 바르바라 도스 파드롱스는 네베스-코르보 광산이 주요 고용주이며, 엔트라다스에서는 일부 농업과 목축업이 이루어진다. 이를 제외하면, 대체로 위와 같은 노동력 분포가 시의 전반적인 경향을 따른다.

5. 교통

카스트루베르드는 북부 지역과 알가르브를 연결하는 회랑을 따라 위치하여 주요 교통망 접근이 용이하다.

파루(100km), 리스본(190km), 세비야(270km) 공항과 시네스 항구(95km)는 다른 주요 중심지로의 접근을 편리하게 한다.

국내 다른 지역과의 연결은 다음과 같은 도로망을 통해 이루어진다.


  • 오리크(E.N. 123)를 통해 알렌테주 리토랄로 연결
  • A2 및 I.C.1을 따라 해안 알가르브로 연결
  • A2를 통해 리스본으로 연결
  • 메르톨라(E.N. 123)로 연결
  • 알모도바르(E.N. 2)로 연결
  • 베자에보라(I.P.2)로 연결


시내에서는 대중교통이 모든 지역을 최소 1개의 노선으로 연결하며(주말 제외), 전국 고속 서비스는 카스트루베르데 지역 사회를 베자, 에보라, 리스본, 알가르브의 역과 토마르, 코임브라, 포르투, 브라가, 엘바스로 연결한다.

6. 건축물

카스트루베르데에는 오리케 전투와 관련된 역사적인 건축물과 종교적인 건축물이 있다. 주요 건축물은 다음과 같다.


  • '''Espança 필사본''': 산타 바르바라 드 파드롱스의 네베스-코르보 마을 근처에서 발견된 고고학적 석재이다. 타르테소스 문자와 타르테소스어를 사용하는 남서부 고대 이베리아 문자가 포함되어 있으며, 가장 오래된 고대 이베리아 문자로 확인되었다. 페니키아 문자와 관련되어 있어 페니키아 문화와 유럽을 연결하는 중요한 유물이다.

  • '''노사 세노라 다 콘세이상 교회(카스트루베르데 왕립 대성당)''': 1573년 포르투갈의 세바스티앙 왕이 오리케 전투에서 기독교 군대가 무어인에게 승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건설을 의뢰했다. 중앙 예배당 벽면은 아줄레주 타일로 장식되어 오리케 전투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세바스티앙 1세 국왕이 아폰수 1세가 오리케 전투에서 무어인 왕들을 물리친 것을 기리기 위해 건설한 ''카스트루 베르데 왕립 바실리카'', 즉 노사 세노라 다 콘세이상의 실제 교회

  • '''1510년 포르투갈의 마누엘 1세 헌장''': 포르투갈의 마누엘 1세가 카스트루베르데에 부여한 도시 헌장이다.


이 외에도,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는 오우리케 전투 기념주, 성 미카엘의 기적의 샘, 노사 세노라 두스 헤메디우스 교회, 상 미겔 예배당, 상 세바스티앙 예배당, 상 페드루 다스 카베사스 예배당 등이 있다.

6. 1. 공공 건축물


  • '''오우리케 전투 기념주'''(Padrão comemorativo da Batalha de Ouriquept)는 원래 1785년 상 페드루 예배당 북쪽에 세워졌으나, 1960년경 시청사 부지로 옮겨졌다.[13] 1792년 5월 9일경에는 마리아 2세 여왕의 초상이 담긴 메달이 추가되었으며, 메달 아래에는 ''"...우리 첫 번째 군주 D. 아폰수 엔히케스에게 그리스도 아버지의 영광스러운 출현..."''이라는 문구가 새겨졌다.[13] 1803년 12월 7~8일 저녁의 허리케인으로 기념비의 가장 좁은 지점이 손상되었지만 재건되었다. 1960년, 번개에 맞아 파괴된 후 시 광장으로 옮겨졌으며, 원래의 계단, 받침대, 메달만이 사건에서 살아남았다.[13]

시청 광장에 위치한 오우리케 전투 기념주

  • '''성 미카엘의 기적의 샘'''(Fonte de Milagre de São Miguelpt)은 카스트루베르드에서 7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우물 주변을 둘러싼 사원으로, ''헤르다드 두 모라웅'' 부지에 자리 잡고 있으며, 1714년에 상 미겔 예배당과 같은 시기에 건설되었다. 예배당은 근처 높은 지대에 위치해 있지만, 둘 다 원래는 확인되지 않은 시대의 기존 구조 위에 건설되었다. 1982년, 리스본에서 지역 역사를 연구하고(현지 고등학교에서 가르치기 위해) 임명된 역사학자 아빌리오 페레이라 데 카르발류는 ''카스트루베르드 왕립 바실리카''의 주 제단 아래에서 230개 이상의 원고를 발견했다. 그는 원고 연구를 통해 ''퐁테 데 밀라그레''와 상 미겔 예배당의 역사에 대한 정보를 밝혀냈고, 이를 바탕으로 두 유적지와 수 세기 동안 그곳에서 행해진 치유 활동에 관한 174페이지 분량의 책을 저술했다. 1989년 카스트루베르드 시 당국에 의해 출판된 이 책은 원고에서 발견된 사실 자료를 통해 두 장소의 연관성과 '퐁테'의 치유력(이베리아 반도 전역에서 온 순례객들의 정기적인 방문 언급)을 자세히 설명했다. 이 유적지의 치유 효과가 너무나 중요하여 주앙 5세 (1706–1750)는 이 유적지의 관리에 직접 참여하게 되었다.[14] "예배당"과 "퐁테" 사이의 행정 관계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풍부한 유산은 최근 역사에서 숨겨져 150년 이상 잠자고 있다. 그러나 예배당은 IGESPAR에 의해 ''공공 이익 재산''으로 분류되었으며, 2008년에는 '퐁테 데 밀라그레'에서 치료 프로토콜을 재확립하는 실행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해 비영리 단체인 ''아소시아상 드 상 미겔 파라 메디시나 바이오-에네르제티카''가 결성되었다. 이 장소는 여전히 강력한 치료 행위의 장소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사원과 우물의 부지는 2009년부터 복구 단계에 있다.

1714년 건축된 폰테 드 밀라그레 사원 (''상 미구엘 예배당과 같은 시기에 건축됨'')

6. 2. 종교 건축물


  • '''노사 세노라 다 콘세이상 교회'''(Igreja Matriz de Castro Verde/Igreja de Nossa Senhora da Conceição/Basílica Real de Castro Verdept)는 포르투갈의 주앙 5세(1706–1750) 통치 시대에 세워졌으며, 포르투갈의 세바스티앙 왕(1568–1578) 시대에 이미 개조된 더 오래된 사찰 위에 '바실리카' 형태로 세워졌다.[15] 중앙 본당, 측면 성구실 및 두 개의 종탑[16]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나는 시계를 갖추고 있다.[17] 내부 벽은 오리케 전투를 묘사하는 아줄레주 패널로 덮여 있으며, 천장은 바로크 및 '조아니노' 양식의 금박 제단이 있는 다색 목재로 구성되어 있다.[15][18]
  • '''노사 세노라 두스 헤메디우스 교회''' (Igreja Igreja das Chagas do Salvador/Igreja de Nossa Senhora dos Remédiospt)는 '우리 주님의 성흔 교회'라고도 불리며, '의학의 성모'에게 헌정되었으며 아폰수 1세가 설립했다.[19] 17세기 동안 교회는 대부분 폐허가 되었고, 스페인의 펠리페 2세가 박람회를 통해 자금을 모아 교회를 복원하기로 결정했다(이는 1620년에 처음 개최되었다). ''카스트루 페이라''는 1834년까지 지속되었고, 이후 바이수 알렌테주 현 지역의 세속적인 행사로 바뀌었다.[19] 디오고 마지나가 1763–67년에 그린 유화는 예수 그리스도가 상 페드루 다스 카베사스 부근에서 아폰수 엔리케스에게 나타난 '오우리케의 기적'(''Miracle of Ourique'')을 묘사하고 있으며, 카스트루 베르데에서 5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단일 본당 교회에는 네덜란드에서 제작된 꽃, 새, 풍차를 묘사한 여러 개의 아줄레주가 포함되어 있다.[19]
  • '''상 미겔 예배당''' – 주앙 5세 왕의 명령에 따라 1715년과 1728년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더 오래된 교회의 폐허 위에 건설되었고, 포르투갈의 마리아 1세 여왕(1760–1779)의 유사한 명령에 따라 리스본의 아줄레주로 내부가 개조되었다.
  • '''상 세바스티앙 예배당''' (Ermida de São Sebastiãopt)은 단순한 단일 본당 은둔소이며, "후기" 17세기 마누엘 양식 순례 예배당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예배당은 매년 1월 20일에 열리는 성 세바스티앙 축일의 연례 축제의 중심이다). 아치형 제단화로 알아볼 수 있다.[20]
  • '''상 페드루 다스 카베사스 예배당''' (Ermida de São Pedro das Cabeçapt)은 제랄도스에서 5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15세기 사찰이며, 시골 성소이자 순례자들의 경건한 장소이다. 이 사찰은 신화적인 오리케 전투의 일부였던 평원에 위치해 있으며, 여기서 아폰수 엔리케스는 다섯 명의 무어인 왕을 물리쳤다. 예배당은 평원 위의 높은 지점에 위치해 있으며, 초대 '포르투갈 왕'과 그의 역사적인 승리에 경의를 표하기 위해 세바스티앙 왕의 명령으로 건설되었다.[21]

7. 유명 인물


  • 알프레두 루이스 다 코스타 (1883년 카스벨 출생 – 1908년 사망): 공보원이자 편집자, 언론인, 점원, 판매원이었으며, 1908년 리스본 국왕 암살 사건 당시 포르투갈 국왕 카를루스 1세와 포르투갈 왕세자 루이스 필리페를 암살한 두 명의 암살범 중 한 명이다.
  • 로제리우 콘트레이라스 (1922년–1990년): 벤피카에서 3년간 활약한 전 축구 골키퍼이다.
  • 프레데리쿠 호자 (1957년–2019년): 397번의 클럽 출전을 기록한 프로 축구 선수이다.

참조

[1] 웹사이트 Instituto Nacional de Estatística http://www.ine.pt/xp[...]
[2] 웹사이트 Áreas das freguesias, concelhos, distritos e país http://www.dgterrito[...] 2018-11-05
[3] 간행물 Património Histórico http://www.cm-castro[...] Câmara Municipal de Castro Verde 2013-02-08
[4] 문서
[5] 논문 D. Mellado, et al.
[6] 서적 Nuno Sarmento
[7] 웹사이트 Normais climatológicas 1981-2010: Neves Corvo https://www.ipma.pt/[...] IPMA 2023-12-26
[8] 웹사이트 Castro Verde (27I/01G) https://snirh.apambi[...] APA 2021-06-04
[9] 문서 Agro.Ges
[10] 문서 I.S.S. I.P – CDSS Beja, ed
[11] 웹사이트 Law nr. 11-A/2013, page 552 30 http://dre.pt/pdf1sd[...] 2014-07-20
[12] 문서 I.S.S. I.P – CDSS Beja, ed
[13] 간행물 Padrão comemorativo da Batalha de Ourique (PT040206020021) http://www.monumento[...] SIPA – Sistema de Informação para o Património Arquitectónico 2012-02-07
[14] 서적 História de Uma Confraria (1677–1855) Edição da Câmara Municipal de Castro Verde
[15] 간행물 Igreja Matriz de Castro Verde/Igreja de Nossa Senhora da Conceição/Basílica Real de Castro Verde (PT040206020006) http://www.monumento[...] SIPA – Sistema de Informação para o Património Arquitectónico 2012-02-07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간행물 Igreja das Chagas do Salvador / Igreja de Nossa Senhora dos Remédios (PT040206020002) http://www.monumento[...] SIPA – Sistema de Informação para o Património Arquitectónico 2012-02-07
[20] 간행물 Ermida de São Sebastião (PT040206020010) http://www.monumento[...] SIPA – Sistema de Informação para o Património Arquitectónico 2012-02-07
[21] 간행물 Ermida de São Pedro das Cabeças (PT040206020012) http://www.monumento[...] SIPA – Sistema de Informação para o Património Arquitectónico 2012-02-07
[22] 웹인용 Meteorological information for Castro Verde http://www.weather.c[...] 2010-03-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