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우든비스 커콜디 (영국 의회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우든비스 커콜디는 스코틀랜드 파이프 지역에 위치한 영국 의회 선거구이다. 2005년 신설되었으며, 초대 의원은 고든 브라운이었다. 이후 스코틀랜드 국민당과 노동당이 번갈아 가며 의석을 차지했으며, 2024년 선거에서는 노동당의 멜라니 워드가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의 영국 의회 선거구 - 오크니 셰틀랜드 (영국 의회 선거구)
오크니 셰틀랜드는 스코틀랜드 최북단의 제도들을 관할하는 영국 의회 선거구로, 1708년 신설 이후 유지되어 왔으며 자유민주당이 강세를 보이는 지역이다. - 스코틀랜드의 영국 의회 선거구 - 인버네스 스카이 웨스트로스셔 (영국 의회 선거구)
2023년 로스, 스카이 앤 로카버 선거구와 인버네스, 네언 앤 베이드녹 스트래스페이 선거구가 통합되어 스코틀랜드 하일랜드 의회 구역에 속하는 영국 의회 선거구인 인버네스 스카이 웨스트로스셔는 2024년 총선에서 드로 스칼론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 2024년 신설된 영국 의회 선거구 - 인버네스 스카이 웨스트로스셔 (영국 의회 선거구)
2023년 로스, 스카이 앤 로카버 선거구와 인버네스, 네언 앤 베이드녹 스트래스페이 선거구가 통합되어 스코틀랜드 하일랜드 의회 구역에 속하는 영국 의회 선거구인 인버네스 스카이 웨스트로스셔는 2024년 총선에서 드로 스칼론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 2024년 신설된 영국 의회 선거구 - 리치먼드 노샐러턴 (영국 의회 선거구)
리치먼드 노샐러턴은 영국 요크셔 험버 노스요크셔주에 위치한 영국 의회 선거구이며, 리치먼드, 노샐러턴, 콜번 등 도시와 시골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영국군 캐터릭 개리슨이 위치하며, 브렉시트 탈퇴 지지율은 55%였고, 2024년 영국 총선에서 리시 수낵이 보수당 후보로 당선되었다.
카우든비스 커콜디 (영국 의회 선거구)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카우든비스 커콜디 |
영어명 | Cowdenbeath and Kirkcaldy |
의회 | 영국 |
![]() | |
유형 | 자치주 |
연도 | 2024 |
이전 선거구 | 커콜디 카우든비스 |
지방 | 스코틀랜드 |
도시 | 번트아일랜드 카우든비스 돌거티베이 킹혼 커콜디 로크겔리 |
의원수 | 1인 |
현 의원 | |
의원 | 멜라니 워드 |
정당 | 노동당 |
과거 선거구 (2005-2024) | |
연도 | 2005 |
폐지 | 2024 |
의원수 | 1인 |
이전 선거구 | 커콜디 던펌린이스트 |
2. 역사
2005년 영국 총선부터 신설되었으며 초대 의원은 고든 브라운 당시 영국 재무장관이었다. 브라운 의원은 1983년부터 2005년까지 던펌린이스트 지역구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2007년부터는 토니 블레어의 후임으로 영국 총리가 되었다. 2010년 영국 총선에서 무난하게 재선에 성공하였으나 노동당의 패배로 총리 연임에는 실패하였으며, 영국 노동당 대표직에서도 물러났다. 이후 야당측 평의원으로 지낼 것이라고 밝혔다.[1] 5년간 국회의원직을 역임하였다.
2015년 영국 총선에서는 브라운 의원이 불출마한 동시에 스코틀랜드 국민당이 스코틀랜드 내에서의 돌풍을 타고 처음으로 카우든비스 커콜디 지역구도 확보하였다. 2017년 총선에서는 노동당의 리즐리 레어드 후보가 로저 멀린 스코틀랜드 국민당 후보를 단 259표차로 누르고 지역구를 탈환하였다.[2][3] 레어드 의원은 2017년 6월 14일 노동당 그림자 내각에서 예비 스코틀랜드장관에 임명되었다가 일주일 만에 물러났다.[4]
2019년 총선에서는 스코틀랜드 국민당의 닐 핸비 후보가 1,243표의 격차로 당선되었다. 그러나 선거기간 중에 핸비 후보가 SNS에 반유대주의 성향을 드러낸 글을 게시한 것이 논란이 되면서 스코틀랜드 국민당 측이 출당 조치를 내렸다. 후보등록 마감 이후의 조치였기에 투표용지상에는 스코틀랜드 국민당으로 당적이 유지된 채로 발행되었으며, 스코틀랜드 국민당이 노동당으로부터 지역구를 탈환한 것으로 보도됐다.[3] 이번 총선에서 출당조치로 인해 무소속인 상태에서 당선된 사례는 핸비 후보가 유일했다.[2] 핸비 의원은 2020년 6월 스코틀랜드 국민당에 복당하였다.[5] 하지만 2021년 3월 스코틀랜드 국민당에서 탈당하여 신당인 알바당에 합류, 이스트로디언 지역구의 케니 매캐스킬 의원과 함께 알바당 소속 의원 2명이 되었다.[6]
2. 1. 선거구 신설 및 고든 브라운 (2005년 ~ 2015년)
2005년 총선부터 커콜디 카우든비스 선거구가 신설되었으며, 초대 의원은 고든 브라운이었다.[17] 브라운 의원은 1983년부터 2005년까지 던펌린이스트 지역구 의원을 역임했다.[1] 2005년 총선에서 브라운 의원은 58.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17]브라운 의원은 토니 블레어의 뒤를 이어 2007년 영국 총리가 되었다.[1] 2010년 총선에서 재선되었으나, 노동당의 패배로 총리직과 당 대표직에서 물러났다.[1] 이후 5년간 평의원으로 지내다가[1] 2015년 총선에 불출마했다.
2. 2. 스코틀랜드 국민당과 노동당의 경쟁 (2015년 ~ 현재)
2015년 영국 총선에서 스코틀랜드 국민당은 스코틀랜드 내 돌풍을 타고 카우든비스 커콜디 지역구를 처음으로 확보하였다. 로저 멀린 후보는 52.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며, 이는 이전 선거에서 영국 노동당 소속 고든 브라운 의원이 차지했던 의석이었다.[13][16][14]2017년 영국 총선에서는 영국 노동당의 레즐리 레어드 후보가 로저 멀린 후보를 단 259표 차이(0.5%p)로 누르고 지역구를 탈환하였다.[2][3] 레어드 의원은 당선 직후인 2017년 6월 14일 노동당 그림자 내각의 예비 스코틀랜드장관에 임명되었으나 일주일 만에 물러났다.[4]
2019년 영국 총선에서는 스코틀랜드 국민당의 닐 핸비 후보가 1,243표 차이(2.6%p)로 레즐리 레어드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10][11] 그러나 선거 기간 중 핸비 후보가 SNS에 반유대주의 성향의 글을 게시한 것이 논란이 되어, 스코틀랜드 국민당은 후보 등록 마감 이후인 11월 28일 핸비 후보에 대한 당원 자격 정지와 후보 지명 철회 조치를 내렸다.[12] 투표용지에는 스코틀랜드 국민당 소속으로 표기되었지만, 핸비 의원은 무소속으로 당선된 유일한 사례가 되었다.[2][3] 이후 핸비 의원은 2020년 6월 스코틀랜드 국민당에 복당하였으나,[5] 2021년 3월 탈당하여 알바당에 합류하였다.[6]
3. 관할 구역
카우든비스 커콜디 선거구는 스코틀랜드 로우랜드 지방의 파이프 지역에 위치한 지역구이다. 북쪽으로는 오킬 사우스퍼스셔, 서쪽으로는 던펌린 웨스트파이프, 동쪽으로는 글렌로스 지역구와 접한다.[7]
이 선거구에는 커콜디시, 카우든비스시를 비롯하여 번트아일랜드, 돌거티베이, 다이저트, 켈티, 로크겔리시, 그리고 애버더, 오치터툴, 발링그리, 크로스힐, 글렌크레이그, 킹혼, 로코어, 럼피넌스 마을이 포함된다.[7]
2005년부터 2024년까지 파이프 의회구역의 애버더 번트아일랜드웨스트, 오치터툴 번트아일랜드이스트, 발링그리 로코어, 베너키 밸리, 카우든비스센트럴, 크로스힐 로크겔리노스, 돌거티베이이스트, 돌거티베이웨스트 힐렌드, 더니키어, 다이저트 갤러타운, 글레브파크, 패스헤드 싱클레어타운, 헤이필드 볼서즈니, 켈티, 킹혼 인버티얼, 링크타운 커콜디센트럴, 럼피넌스 로크겔리사우스, 오크필드 카우든비스노스, 레이스 롱브래스, 스미턴 오버턴, 템플홀이스트, 템플홀웨스트가 관할 구역이었다.[7]
2024년부터 현재까지는 파이프 의회구역의 던펌린노스, 인버키싱 달게티베이, 번티슬랜드, 킹혼 웨스턴커콜디, 커콜디노스, 커콜디센트럴, 커콜디이스트, 카우든비스가 관할 구역이다.
4. 역대 국회의원
선거 | 의원 | 정당 | |
---|---|---|---|
style="background-color: " | | 2005년 | 고든 브라운 | 노동당 |
style="background-color: " | | 2015년 | 로저 멀린 | 스코틀랜드 국민당 |
style="background-color: " | | 2017년 | 레즐리 레어드 | 노동당 |
style="background-color: " | | 2019년 | 닐 핸비 | 무소속 |
style="background-color: " | | 2020년 | 스코틀랜드 국민당 | |
style="background-color: " | | 2021년 | 알바당 | |
style="background-color: " | | 2024년 | 멜라니 워드 | 노동당 |
5. 역대 선거 결과
2024년 영국 총선에서 카우든비스 커콜디 선거구의 총 유권자 수는 71,845명이었다.[9]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득표율 변화 |
---|---|---|---|---|
스코틀랜드 노동당/Scottish Labour영어 | 멜라니 워드 | 18,662 | 45.7% | +16.2% |
스코틀랜드 국민당/Scottish National Party영어 | 레즐리 백하우스 | 11,414 | 28.0% | -8.3% |
영국 보수당/Conservative Party (UK)영어 | 조너선 그레이 | 3,203 | 7.8% | -14.4% |
영국 개혁당/Reform UK영어 | 소니아 데이비슨 | 3,128 | 7.7% | +5.7% |
영국 자유민주당/Liberal Democrats (UK)영어 | 프레이저 그레이엄 | 1,593 | 3.9% | -2.6% |
스코틀랜드 녹색당/Scottish Greens영어 | 매그스 홀 | 1,556 | 3.8% | +0.3% |
알바당/Alba Party영어 | 닐 핸비 | 1,132 | 2.8% | New |
스코틀랜드 자유지상당/Scottish Libertarian Party영어 | 칼럼 폴 | 126 | 0.3% | New |
과반 득표 | 7,248 | 17.75% | ||
투표율 | 40,814 | 56.96% | -10.2% |
스코틀랜드 노동당이 스코틀랜드 국민당을 누르고 승리하여, 진보 진영이 승리하였다.
2019년 영국 총선에서 커콜디 카우든비스 선거구에서는 스코틀랜드 국민당의 닐 핸비 후보가 16,568표(35.2%)를 얻어 당선되었다.[10][11] 그러나 핸비는 후보 등록 마감 이후인 2019년 11월 28일, 반유대주의성 발언으로 스코틀랜드 국민당에서 당원 자격 정지 및 후보 지명 철회 조치를 받았다.[12]
스코틀랜드 노동당의 레즐리 레어드 후보는 15,325표(32.6%)로 2위를 기록했다. 스코틀랜드 보수당의 케이틀린 레즐리 후보는 9,449표(20.1%), 스코틀랜드 자유민주당의 길리언 콜해밀턴 후보는 2,903표(6.2%), 스코틀랜드 녹색당의 스콧 러더퍼드 후보는 1,628표(3.5%), 브렉시트당의 미치 윌리엄 후보는 1,132표(2.4%)를 얻었다.
투표율은 64.5%로, 47,005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닐 핸비 후보와 레즐리 레어드 후보 간의 표차는 1,243표(2.6%)였다.
2017년 영국 총선에서 커콜디 카우든비스 선거구에서는 스코틀랜드 노동당의 레즐리 레어드 후보가 17,016표(36.8%)를 얻어 당선되었다.[10] 스코틀랜드 국민당의 로저 멀린 후보는 16,757표(36.3%)로 2위를 기록했다.[10] 스코틀랜드 보수당의 데이브 뎀지 후보는 10,762표(23.3%), 스코틀랜드 자유민주당의 맬컴 우드 후보는 1,118표(2.4%), 영국 독립당의 데이비드 코번 후보는 540표(1.2%)를 얻었다.[10]
레즐리 레어드 후보와 로저 멀린 후보의 득표수 차이는 259표(0.5%)였다. 투표율은 63.5%였다. 결과적으로 스코틀랜드 노동당이 스코틀랜드 국민당으로부터 이 선거구를 탈환했다.
2015년 영국 총선에서 커콜디 카우든비스 선거구에서는 스코틀랜드 국민당(Scottish National Party)의 로저 멀린 후보가 27,628표(52.2%)를 얻어 당선되었다.[13][16][14] 노동 협동조합(Labour Co-operative)의 케니 셀비 후보는 17,654표(33.4%)로 2위를 기록했다. 스코틀랜드 보수당(Scottish Conservatives)의 데이브 뎀지 후보는 5,223표(9.9%), 영국 독립당(UK Independence Party)의 잭 닐 후보는 1,237표(2.3%), 스코틀랜드 자유민주당(Scottish Liberal Democrats)의 칼럼 레즐리 후보는 1,150표(2.3%)를 얻었다.
로저 멀린 후보는 케니 셀비 후보를 9,974표(18.8%) 차이로 이겼다. 투표율은 69.6%였다. 이번 선거 결과, 스코틀랜드 국민당은 이전 선거에서 노동당에게 빼앗겼던 이 선거구를 탈환했다.
2010년 영국 총선에서 커콜디 카우든비스 선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5][16]
- 고든 브라운 (스코틀랜드 노동당)이 29,559표(64.5%)를 얻어 당선되었다. 브라운은 이전 선거 대비 6.4%p 더 많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 더글라스 채프맨 (스코틀랜드 국민당)은 6,550표(14.3%)를 얻어 2위를 차지했으며, 이전 선거 대비 0.2%p 하락했다.
- 존 메인랜드 (스코틀랜드 자유민주당)는 4,269표(9.3%)로 3위를 기록, 이전 선거 대비 3.7%p 하락했다.
- 린지 패터슨 (스코틀랜드 보수당)은 4,258표(9.3%)로 4위를 기록, 이전 선거 대비 1.0%p 하락했다.
- 피터 애덤스 (영국 독립당)는 760표(1.7%)를 얻었으며, 이전 선거 대비 0.5%p 상승했다.
- 수전 아치볼드(무소속)는 184표(0.4%), 도널드 맥라렌(무소속)은 165표(0.4%)를 득표했다.
- 데릭 잭슨(대지당)은 57표(0.1%)를 얻었다.
노동당의 고든 브라운은 23,009표(50.2%)라는 압도적인 득표차로 승리했다. 투표율은 62.2%로, 이전 선거 대비 3.8%p 증가했다.
2005년 영국 총선에서 커콜디 카우든비스 선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7]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득표변동(%) |
---|---|---|---|---|
스코틀랜드 노동당 | 고든 브라운 | 24,278 | 58.1 | -0.4 |
스코틀랜드 국민당 | 앨런 배스 | 6,062 | 14.5 | -4.1 |
스코틀랜드 자유민주당 | 알렉스 콜해밀턴 | 5,450 | 13.0 | +3.8 |
스코틀랜드 보수당 | 스튜어트 랜덜 | 4,308 | 10.3 | -0.3 |
스코틀랜드 사회당 | 스티브 웨스트 | 666 | 1.6 | -1.1 |
영국 독립당 | 피터 애덤스 | 516 | 1.2 | +0.8 |
스코틀랜드 어르신 연합당 | 제임스 파커 | 425 | 1.0 | |
무소속 | 엘리자베스 콴테스 | 47 | 0.1 | |
무소속 | 팻 사전트 | 44 | 0.1 | |
과반수 득표 | 18,216 | 43.6 | +3.7 | |
투표율 | 41,796 | 58.4 |
스코틀랜드 노동당의 고든 브라운 후보가 해당 선거구에서 승리하여, 압도적인 표차로 당선되었다. 이는 당시 노동당의 강력한 지지 기반과 고든 브라운의 높은 인지도를 보여주는 결과였다.
5. 1. 2000년대
2005년 영국 총선에서 커콜디 카우든비스 선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7]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득표변동(%) |
---|---|---|---|---|
스코틀랜드 노동당 | 고든 브라운 | 24,278 | 58.1 | -0.4 |
스코틀랜드 국민당 | 앨런 배스 | 6,062 | 14.5 | -4.1 |
스코틀랜드 자유민주당 | 알렉스 콜해밀턴 | 5,450 | 13.0 | +3.8 |
스코틀랜드 보수당 | 스튜어트 랜덜 | 4,308 | 10.3 | -0.3 |
스코틀랜드 사회당 | 스티브 웨스트 | 666 | 1.6 | -1.1 |
영국 독립당 | 피터 애덤스 | 516 | 1.2 | +0.8 |
스코틀랜드 어르신 연합당 | 제임스 파커 | 425 | 1.0 | |
무소속 | 엘리자베스 콴테스 | 47 | 0.1 | |
무소속 | 팻 사전트 | 44 | 0.1 | |
과반수 득표 | 18,216 | 43.6 | +3.7 | |
투표율 | 41,796 | 58.4 |
스코틀랜드 노동당의 고든 브라운 후보가 해당 선거구에서 승리하여, 압도적인 표차로 당선되었다. 이는 당시 노동당의 강력한 지지 기반과 고든 브라운의 높은 인지도를 보여주는 결과였다. 반면, 보수 정당은 상대적으로 낮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고전을 면치 못했다.
5. 1. 1. 2005년 총선
2005년 영국 총선에서 커콜디 카우든비스 선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7]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득표변동(%) |
---|---|---|---|---|
스코틀랜드 노동당 | 고든 브라운 | 24,278 | 58.1 | -0.4 |
스코틀랜드 국민당 | 앨런 배스 | 6,062 | 14.5 | -4.1 |
스코틀랜드 자유민주당 | 알렉스 콜해밀턴 | 5,450 | 13.0 | +3.8 |
스코틀랜드 보수당 | 스튜어트 랜덜 | 4,308 | 10.3 | -0.3 |
스코틀랜드 사회당 | 스티브 웨스트 | 666 | 1.6 | -1.1 |
영국 독립당 | 피터 애덤스 | 516 | 1.2 | +0.8 |
스코틀랜드 어르신 연합당 | 제임스 파커 | 425 | 1.0 | |
무소속 | 엘리자베스 콴테스 | 47 | 0.1 | |
무소속 | 팻 사전트 | 44 | 0.1 | |
과반수 득표 | 18,216 | 43.6 | +3.7 | |
투표율 | 41,796 | 58.4 |
스코틀랜드 노동당의 고든 브라운 후보가 해당 선거구에서 승리하였다.
5. 2. 2010년대
2019년 영국 총선에서 커콜디 카우든비스 선거구에서는 스코틀랜드 국민당의 닐 핸비 후보가 16,568표(35.2%)를 얻어 당선되었다.[10][11] 그러나 핸비는 후보 등록 마감 이후인 2019년 11월 28일, 반유대주의성 발언으로 스코틀랜드 국민당에서 당원 자격 정지 및 후보 지명 철회 조치를 받았다.[12]스코틀랜드 노동당의 레즐리 레어드 후보는 15,325표(32.6%)로 2위를 기록했다. 스코틀랜드 보수당의 케이틀린 레즐리 후보는 9,449표(20.1%), 스코틀랜드 자유민주당의 길리언 콜해밀턴 후보는 2,903표(6.2%), 스코틀랜드 녹색당의 스콧 러더퍼드 후보는 1,628표(3.5%), 브렉시트당의 미치 윌리엄 후보는 1,132표(2.4%)를 얻었다.
투표율은 64.5%로, 47,005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닐 핸비 후보와 레즐리 레어드 후보 간의 표차는 1,243표(2.6%)였다.
2017년 영국 총선에서 커콜디 카우든비스 선거구에서는 스코틀랜드 노동당의 레즐리 레어드 후보가 17,016표(36.8%)를 얻어 당선되었다.[10] 스코틀랜드 국민당의 로저 멀린 후보는 16,757표(36.3%)로 2위를 기록했다.[10] 스코틀랜드 보수당의 데이브 뎀지 후보는 10,762표(23.3%), 스코틀랜드 자유민주당의 맬컴 우드 후보는 1,118표(2.4%), 영국 독립당의 데이비드 코번 후보는 540표(1.2%)를 얻었다.[10]
레즐리 레어드 후보와 로저 멀린 후보의 득표수 차이는 259표(0.5%)였다. 투표율은 63.5%였다. 결과적으로 스코틀랜드 노동당이 스코틀랜드 국민당으로부터 이 선거구를 탈환했다.
2015년 영국 총선에서 커콜디 카우든비스 선거구에서는 스코틀랜드 국민당(Scottish National Party)의 로저 멀린 후보가 27,628표(52.2%)를 얻어 당선되었다.[13][16][14] 노동 협동조합(Labour Co-operative)의 케니 셀비 후보는 17,654표(33.4%)로 2위를 기록했다. 스코틀랜드 보수당(Scottish Conservatives)의 데이브 뎀지 후보는 5,223표(9.9%), 영국 독립당(UK Independence Party)의 잭 닐 후보는 1,237표(2.3%), 스코틀랜드 자유민주당(Scottish Liberal Democrats)의 칼럼 레즐리 후보는 1,150표(2.3%)를 얻었다.
로저 멀린 후보는 케니 셀비 후보를 9,974표(18.8%) 차이로 이겼다. 투표율은 69.6%였다. 이번 선거 결과, 스코틀랜드 국민당은 이전 선거에서 노동당에게 빼앗겼던 이 선거구를 탈환했다. 스윙(swing)은 +34.6%였다.
2010년 영국 총선에서 커콜디 카우든비스 선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5][16]
- 고든 브라운 (스코틀랜드 노동당)이 29,559표(64.5%)를 얻어 당선되었다. 브라운은 이전 선거 대비 6.4%p 더 많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 더글라스 채프맨 (스코틀랜드 국민당)은 6,550표(14.3%)를 얻어 2위를 차지했으며, 이전 선거 대비 0.2%p 하락했다.
- 존 메인랜드 (스코틀랜드 자유민주당)는 4,269표(9.3%)로 3위를 기록, 이전 선거 대비 3.7%p 하락했다.
- 린지 패터슨 (스코틀랜드 보수당)은 4,258표(9.3%)로 4위를 기록, 이전 선거 대비 1.0%p 하락했다.
- 피터 애덤스 (영국 독립당)는 760표(1.7%)를 얻었으며, 이전 선거 대비 0.5%p 상승했다.
- 수전 아치볼드(무소속)는 184표(0.4%), 도널드 맥라렌(무소속)은 165표(0.4%)를 득표했다.
- 데릭 잭슨(대지당)은 57표(0.1%)를 얻었다.
노동당의 고든 브라운은 23,009표(50.2%)라는 압도적인 득표차로 승리했다. 투표율은 62.2%로, 이전 선거 대비 3.8%p 증가했다.
5. 2. 1. 2010년 총선
2010년 영국 총선에서 커콜디 카우든비스 선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5][16]- 고든 브라운 (스코틀랜드 노동당)이 29,559표(64.5%)를 얻어 당선되었다. 브라운은 이전 선거 대비 6.4%p 더 많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 더글라스 채프맨 (스코틀랜드 국민당)은 6,550표(14.3%)를 얻어 2위를 차지했으며, 이전 선거 대비 0.2%p 하락했다.
- 존 메인랜드 (스코틀랜드 자유민주당)는 4,269표(9.3%)로 3위를 기록, 이전 선거 대비 3.7%p 하락했다.
- 린지 패터슨 (스코틀랜드 보수당)은 4,258표(9.3%)로 4위를 기록, 이전 선거 대비 1.0%p 하락했다.
- 피터 애덤스 (영국 독립당)는 760표(1.7%)를 얻었으며, 이전 선거 대비 0.5%p 상승했다.
- 수전 아치볼드(무소속)는 184표(0.4%), 도널드 맥라렌(무소속)은 165표(0.4%)를 득표했다.
- 데릭 잭슨(대지당)은 57표(0.1%)를 얻었다.
노동당의 고든 브라운은 23,009표(50.2%)라는 압도적인 득표차로 승리했다. 투표율은 62.2%로, 이전 선거 대비 3.8%p 증가했다.
5. 2. 2. 2015년 총선
2015년 영국 총선에서 커콜디 카우든비스 선거구에서는 스코틀랜드 국민당(Scottish National Party)의 로저 멀린 후보가 27,628표(52.2%)를 얻어 당선되었다.[13][16][14] 노동 협동조합(Labour Co-operative)의 케니 셀비 후보는 17,654표(33.4%)로 2위를 기록했다. 스코틀랜드 보수당(Scottish Conservatives)의 데이브 뎀지 후보는 5,223표(9.9%), 영국 독립당(UK Independence Party)의 잭 닐 후보는 1,237표(2.3%), 스코틀랜드 자유민주당(Scottish Liberal Democrats)의 칼럼 레즐리 후보는 1,150표(2.3%)를 얻었다.로저 멀린 후보는 케니 셀비 후보를 9,974표(18.8%) 차이로 이겼다. 투표율은 69.6%였다. 이번 선거 결과, 스코틀랜드 국민당은 이전 선거에서 노동당에게 빼앗겼던 이 선거구를 탈환했다. 스윙(swing)은 +34.6%였다.
5. 2. 3. 2017년 총선
2017년 영국 총선에서 커콜디 카우든비스 선거구에서는 스코틀랜드 노동당의 레즐리 레어드 후보가 17,016표(36.8%)를 얻어 당선되었다.[10] 스코틀랜드 국민당의 로저 멀린 후보는 16,757표(36.3%)로 2위를 기록했다.[10] 스코틀랜드 보수당의 데이브 뎀지 후보는 10,762표(23.3%), 스코틀랜드 자유민주당의 맬컴 우드 후보는 1,118표(2.4%), 영국 독립당의 데이비드 코번 후보는 540표(1.2%)를 얻었다.[10]레즐리 레어드 후보와 로저 멀린 후보의 득표수 차이는 259표(0.5%)였다. 투표율은 63.5%였다. 결과적으로 스코틀랜드 노동당이 스코틀랜드 국민당으로부터 이 선거구를 탈환했다.
5. 2. 4. 2019년 총선
2019년 영국 총선에서 커콜디 카우든비스 선거구에서는 스코틀랜드 국민당의 닐 핸비 후보가 16,568표(35.2%)를 얻어 당선되었다.[10][11] 그러나 핸비는 후보 등록 마감 이후인 2019년 11월 28일, 반유대주의성 발언으로 스코틀랜드 국민당에서 당원 자격 정지 및 후보 지명 철회 조치를 받았다.[12]스코틀랜드 노동당의 레즐리 레어드 후보는 15,325표(32.6%)로 2위를 기록했다. 스코틀랜드 보수당의 케이틀린 레즐리 후보는 9,449표(20.1%), 스코틀랜드 자유민주당의 길리언 콜해밀턴 후보는 2,903표(6.2%), 스코틀랜드 녹색당의 스콧 러더퍼드 후보는 1,628표(3.5%), 브렉시트당의 미치 윌리엄 후보는 1,132표(2.4%)를 얻었다.
투표율은 64.5%로, 47,005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닐 핸비 후보와 레즐리 레어드 후보 간의 표차는 1,243표(2.6%)였다.
5. 3. 2020년대
2024년 영국 총선에서 카우든비스 커콜디 선거구의 총 유권자 수는 71,845명이었다.[9]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득표율 변화 |
---|---|---|---|---|
스코틀랜드 노동당/Scottish Labour영어 | 멜라니 워드 | 18,662 | 45.7% | +16.2% |
스코틀랜드 국민당/Scottish National Party영어 | 레즐리 백하우스 | 11,414 | 28.0% | -8.3% |
영국 보수당/Conservative Party (UK)영어 | 조너선 그레이 | 3,203 | 7.8% | -14.4% |
영국 개혁당/Reform UK영어 | 소니아 데이비슨 | 3,128 | 7.7% | +5.7% |
영국 자유민주당/Liberal Democrats (UK)영어 | 프레이저 그레이엄 | 1,593 | 3.9% | -2.6% |
스코틀랜드 녹색당/Scottish Greens영어 | 매그스 홀 | 1,556 | 3.8% | +0.3% |
알바당/Alba Party영어 | 닐 핸비 | 1,132 | 2.8% | New |
스코틀랜드 자유지상당/Scottish Libertarian Party영어 | 칼럼 폴 | 126 | 0.3% | New |
과반 득표 | 7,248 | 17.75% | ||
투표율 | 40,814 | 56.96% | -10.2% |
스코틀랜드 노동당이 스코틀랜드 국민당을 누르고 승리하였다.
5. 3. 1. 2024년 총선
2024년 영국 총선에서 카우든비스 커콜디 선거구의 총 유권자 수는 71,845명이었다.[9]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득표율 변화 |
---|---|---|---|---|
스코틀랜드 노동당/Scottish Labour영어 | 멜라니 워드 | 18,662 | 45.7% | +16.2% |
스코틀랜드 국민당/Scottish National Party영어 | 레즐리 백하우스 | 11,414 | 28.0% | -8.3% |
영국 보수당/Conservative Party (UK)영어 | 조너선 그레이 | 3,203 | 7.8% | -14.4% |
영국 개혁당/Reform UK영어 | 소니아 데이비슨 | 3,128 | 7.7% | +5.7% |
영국 자유민주당/Liberal Democrats (UK)영어 | 프레이저 그레이엄 | 1,593 | 3.9% | -2.6% |
스코틀랜드 녹색당/Scottish Greens영어 | 매그스 홀 | 1,556 | 3.8% | +0.3% |
알바당/Alba Party영어 | 닐 핸비 | 1,132 | 2.8% | New |
스코틀랜드 자유지상당/Scottish Libertarian Party영어 | 칼럼 폴 | 126 | 0.3% | New |
과반 득표 | 7,248 | 17.75% | ||
투표율 | 40,814 | 56.96% | -10.2% |
스코틀랜드 노동당이 스코틀랜드 국민당을 누르고 승리하였다.
참조
[1]
뉴스
Brown to remain as backbench MP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5-13
[2]
뉴스
Axed SNP candidate elected to Westminster
https://www.bbc.com/[...]
2019-12-16
[3]
뉴스
Kirkcaldy & Cowdenbeath parliamentary constituency - Election 2019
https://www.bbc.com/[...]
2019-12-15
[4]
뉴스
Notes on the Reshuffle
https://newsocialist[...]
2017-06-20
[5]
뉴스
Fife MP 'welcomed back' into SNP after six-month suspension
https://www.thecouri[...]
2020-06-04
[6]
트윗
NEW: Neale Hanvey becomes second Westminster MP to defect from SNP to Alex Salmond's Alba Party. Follows Kenny MacAskill. @SkyNews
2021-03-28
[7]
웹인용
Gordon Brown Constituency Website
https://web.archive.[...]
2007-06-26
[8]
간행물
2012-03
[9]
웹인용
Fife General Election Results 2024
https://www.fife.gov[...]
2024-07-09
[10]
웹인용
General Election 12 December 2019
https://web.archive.[...]
2019-11-15
[11]
뉴스
Kirkcaldy & Cowdenbeath parliamentary constituency – Election 2019
https://www.bbc.com/[...]
2019-12-15
[12]
뉴스
SNP drop candidate over claims of anti-Semitism
https://www.bbc.co.u[...]
2019-11-28
[13]
웹인용
Election Data 2015
http://www.electoral[...]
Electoral Calculus
2015-10-17
[14]
웹인용
Candidates to be MP (PPCs) for Kirkcaldy and Cowdenbeath in the UK 2015 general election
https://web.archive.[...]
2015-03-07
[15]
웹인용
Election Data 2010
http://www.electoral[...]
Electoral Calculus
2015-10-17
[16]
웹인용
Elections – The Scottish Independence Referendum Results 2014
2021-12-28
[17]
웹인용
Election Data 2005
http://www.electoral[...]
Electoral Calculus
2015-1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