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칼링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링가는 고대 인도 동부 지역에 존재했던 왕국이다. 마우리아 왕조 쇠퇴 후 체디 왕조가 성립되었으며, 카라벨라 왕 시기에 자이나교를 보급하고 주변국을 공격하며 해상 무역을 통해 동남아시아와 교류했다. 칼링가인은 스리랑카, 미얀마, 인도네시아 등지에 거주했으며, 말레이시아에서는 인도인을 "칼링"이라고 불렀다. 자프나 왕국은 칼링가 마가 왕의 군대에 의해 건국되었으며, 칼링가 문자는 브라흐미 문자에서 파생되어 오리야 문자로 발전했다. 또한, 칼링가는 마하바라타, 메가스테네스의 저서, 상감 문학 등 다양한 문헌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링가 - 카루바키
    아소카 왕의 왕비 중 한 명인 카루바키는 아소카의 칙령에 자선 기부 기록이 남아있고, 아들 티바라의 어머니이자 아소카 비문에 이름이 언급된 유일한 왕비로 알려져 있으며, 아소카를 불교로 이끌고 복지 정책을 조언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칼링가 -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마하메가바하나 왕조는 기원전 2세기경 칼링가를 통치했으며 카라벨라 왕의 하티굼파 비문과 자이나교 유적을 통해 알려진 고대 왕조이다.
  • 오디샤주의 역사 - 가자파티 제국
    가자파티 제국은 15세기 초 카필렌드라 데바에 의해 건국되어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갠지스 강에서 카베리 강까지 영토를 확장했으나, 16세기 쇠퇴하여 1541년에 멸망했다.
  • 오디샤주의 역사 -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마하메가바하나 왕조는 기원전 2세기경 칼링가를 통치했으며 카라벨라 왕의 하티굼파 비문과 자이나교 유적을 통해 알려진 고대 왕조이다.
  • 베다 - 아타르바베다
    아타르바베다는 기원전 1200/1000년경에 편찬된 고대 인도의 베다 경전으로, 주술, 의례, 의학, 점술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질병 치료, 재산 보호, 적의 퇴치 등 다양한 목적의 주문과 기도, 형이상학적 사색을 담고 있고, 주요 판본으로는 샤우나키야와 파이팔라다가 있다.
  • 베다 - 베다 산스크리트어
    베다 산스크리트어는 기원전 1500년경 리그베다를 포함하는 베다 시대의 산스크리트어이며, 고전 산스크리트어와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어휘 등에서 차이를 보이고, 5개의 층위로 구분되며, 유성 역행 치경 접근음과 고저 억양 등의 특징을 갖는다.
칼링가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남아시아의 역사적인 칼링가 지역의 삼각형 외삽.
칼링가의 최대 강역.
기본 정보
유형지역
국가인도
오디샤주 (중앙 및 남부)
안드라프라데시주 (북부)
통용어오리야어
텔루구어
시간대IST
UTC 오프셋+5:30
고중세 시대 수도토살리
시수팔가르
단타푸람
프리슈타푸라
칼링가나가라
쿠타크

2. 역사

고대 인도의 주요 세력 중 하나였던 칼링가는 마가다국과 경쟁하였으나, 기원전 3세기 칼링가 전쟁을 통해 마우리아 왕조의 아소카 대왕에게 정복되었다. 이후 마우리아 왕조가 쇠퇴하면서 칼링가는 다시 독립하여 체디 왕조를 세웠다.

체디 왕조 시대, 특히 카라벨라 왕의 통치 아래 칼링가는 강력한 세력을 구축하고 자이나교를 후원하며 영토를 확장했다. 또한, 뛰어난 해상력을 바탕으로 동남아시아 여러 지역과 활발한 무역 활동을 펼치며 문화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해상 활동의 영향은 후대에까지 이어져, 스리랑카 북부의 자프나 왕국 건국 설화에도 칼링가와의 연관성이 나타난다.

2. 1. 체디 왕조와 카라벨라 왕

마가다국과 패권을 다투던 칼링가국은 칼링가 전쟁 이후 아소카 왕에게 정복되어 마우리아 왕조에 속하게 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흘러 마우리아 왕조의 힘이 약해지자 칼링가국은 다시 독립하여 체디 왕조를 세웠다.

체디 왕조의 왕 중 가장 유명한 인물은 카라벨라 왕(ଖାରେବଳ|카라벨라or, खारवेल|카라벨라sa, 기원전 209년? ~ 170년경?)이다. 그는 자이나교 신자로서 인도 동부 지역에 자이나교를 널리 알리는 데 힘썼다. 당시 수도였던 부바네스와르에 남겨진 비문에 따르면, 카라벨라 왕은 마가다국의 라자그리하까지 공격했으며, 인도-그리스 왕국의 데메트리오스 2세는 그와의 전쟁을 피해 마투라까지 물러났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시기 칼링가국은 강력한 해양 세력을 바탕으로 스리랑카, 미얀마, 태국, 베트남동남아시아 국가들과 활발한 해상 무역을 펼쳤다. 스리랑카, 미얀마, 인도네시아 등지에는 칼링가 사람들이 모여 사는 지역도 생겨났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말레이시아에서는 오늘날에도 인도계 사람들을 '칼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 2. 해상 무역과 문화 교류

마우리아 왕조의 지배력이 약화된 후 독립한 체디 왕조 시기, 특히 카라벨라( ଖାରେବଳ|or, खारवेल|Khāravelasa ) 왕(기원전 209년?~170년경?) 치세에 칼링가는 강력한 해양 왕국으로 발전했다. 이 시기 칼링가는 스리랑카, 미얀마, 태국, 베트남동남아시아 여러 지역과 활발하게 해상 무역을 전개했다. 이러한 교류의 결과로 스리랑카, 미얀마, 인도네시아 등지에는 칼링가 사람들이 모여 사는 집주 구역이 형성되기도 했다. 오늘날 말레이시아에서 인도계 사람들을 가리켜 "칼링"이라고 부르는 것도 과거 칼링가의 해상 활동 영향력을 보여주는 흔적이다.

2. 3. 자프나 왕국과의 관계

스리랑카 북부의 자프나를 거점으로 13세기에 세워진 자프나 왕국( யாழ்ப்பாண அரசு|알라파나 아라수ta, 1215년~1619년)은 칼링가 마가 왕의 군대에 의해 건국되었다. 자프나 왕국은 자신들이 칼링가에서 바다를 건너왔다고 주장하며, 그 기원을 칼링가에 두었다.

3. 언어와 문자

칼링가 문자는 브라흐미 문자에서 파생되었으며, 칼링가국에서 사용되었다. 이 문자는 드라비다어족 언어의 일종을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칼링가국에서 드라비다어족 언어의 영향력이 강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칼링가 문자는 이후 브라흐미 계열 문자와 융합하고 변형되어 11세기오리야 문자로 발전하여 오늘날에 이른다.

4. 문헌 속의 칼링가

서사시마하바라타』에도 칼링가국이 등장한다. 칼링가 국왕 슈르타유는 카우라바 편에 서서 바라타 대전쟁에 참여했다.

그리스메가스테네스가 쓴 인도에 관한 기록에도 칼링가국(Calingae)이 언급된다. 이 기록에서는 칼링가국이 마가다국과 더불어 자이나교가 가장 융성한 왕국 중 하나로 소개된다.

고대 타밀 문학인 상감 문학에서는 '칼링가'(கலிங்கம்|칼링감tam)라는 단어가 결혼식 등 특별한 날에 입는 고급 면직물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이는 칼링가 지역에서 생산된 면직물이 높은 가치를 지닌 상품으로 여겨졌음을 보여준다.

참조

[1] 서적 Outline of the History of Kalinga https://archive.org/[...] Asian Educational Services 1996
[2] 서적 Historical Geography and dynastic History of Orissa https://archive.org/[...] Punthi Pustak
[3] 서적 Bengal District Gazetteer : Puri https://books.google[...] Concept Publishing Company 2007-01-01
[4] 간행물 Formation of Orissa Province and Role of Oriyas in Berhampur https://www.jstor.or[...] Indian History Congress 2005–2006
[5] 간행물 ODISHA DISTRICT GAZETTEERS GAJAPATI http://gopabandhuaca[...] GAD, Govt of Odisha 2002
[6] 간행물 Stand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Official Administration of the Madras Presidency in each Department https://archive.org/[...] Madras University 187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