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야 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리야 문자는 동인도에서 파생된 문자로, 굽은 형태가 특징이다. 싯담 문자의 영향을 받아 벵골-아삼 문자, 티르후타 문자와 함께 오디아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기원전 1051년의 칼링가 문자가 가장 오래된 사례로 꼽힌다. 종려 잎에 글을 쓰던 관습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 중세, 과도기, 현대의 네 단계를 거쳐 발전했다. 오리야 문자는 오디아어 외에도 산스크리트어, 차티스가르어 표기에도 사용되었으며, 유니코드 표준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오리야 문자는 구조 자음과 비구조 자음으로 분류되며, 자음 결합, 모음, 숫자 등을 포함한다. 오리야 문자의 필기체 변형인 카라니 문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오리야 문자 | |
---|---|
개요 | |
![]() | |
유형 | 아부기다 |
사용 언어 | 오디아어 산스크리트어 벵골어 쿠이어 쿠비어 만다어 펭고어 곤드어 키산 쿠루크 두루와어 소라어 산탈어 차티스가르어 할비어 |
사용 시기 | 14세기 – 현재 |
조상 문자 | 이집트 원시 시나이 문자 페니키아 문자 아람 문자 브라흐미 문자 굽타 문자 싯담 문자 가우디 문자 |
자매 문자 | 벵골-아삼 티르후타 나가리 네팔 |
유니코드 범위 | U+0B00–U+0B7F |
ISO 15924 | Orya |
언어별 명칭 | |
기타 | |
참고 | Unicode의 블록 |
2. 역사
동인도에서는 싯담 문자의 파생형이 여러 문자를 낳았는데, 이것이 결국 벵골-아삼 문자와 티르후타 문자, 그리고 오디아 문자가 되었다. 오디아 문자는 고리 모양을 특징으로 한다.[5] 오디아어의 가장 오래된 사례는 칼링가 문자로 기록되어 있으며, 기원전 105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6][7]
오디아 문자의 굽은 형태는 종려 잎에 글을 쓰는 관습에서 비롯되었는데, 종려 잎은 너무 많은 직선을 사용하면 찢어지는 경향이 있다.[8]
이 지역의 모든 브라흐미 문자처럼, 오디아 문자도 석비, 구리판, 필사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네 단계를 거쳐 발전했다.
오디아의 고대 및 중세 형태는 인접 지역의 필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 북 오디샤에서는 문자가 오디아로 쓰여 있으며, 싯담 문자에서 파생된 가우디체(글자의 오른쪽 수직 부분이 약간 안으로 구부러짐)와 혼합되어 있다.
- 남 오디샤에서는 텔루구-칸나다 문자의 둥글고 필기체 형태와 혼합되어 있다.
- 서 오디샤에서는 나가리 문자와 싯담 문자 (윗부분이 사각형 모양)와 혼합되어 있다.
금석문 자료와 관련하여, 오디아 문자의 다양한 역사적 형태를 보여주는 유물에는 암석 비문, 사원 비문, 석판, 기둥 비문, 조각, 구리판, 동전 및 종려 잎 필사본, 삽화 필사본, 상아판 및 관련 자료가 포함된다. 동 갠가 왕조, 소마밤시 왕조, 반자, 바우마-카라 왕조, 샤일로바바 왕조 등 유서 깊은 왕조 시대의 오디아 문자 발전의 각 단계를 보여주는 수많은 사례가 있다.
그중 여러 세기에 걸쳐 다음과 같은 사례가 있다.
- 오디아 문자의 가장 오래된 예 중 하나는 서기 11세기 (서기 1051년)의 우르잠 비문이다. 비문에 사용된 언어는 오디샤와 마드야프라데시의 국경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부바네스와르에서 발견된 나라싱하 데바 1세 (13세기) 통치 시대의 이중 언어 및 이중 문자 석비 (오디아어 및 타밀어)에도 적용된다. 오래된 오디아 문자의 오디아어는 오른쪽에, 타밀어는 그란타 문자로 왼쪽에 표시되어 있다.
- 네트리반제데바의 굼수르 구리판 기증서 (11세기)는 이 문자의 중세 단계를 사각형과 둥근 형태로 묘사한다.
- 간잠 지구의 포테스와라 사원 석비 (137세기)는 텔루구-칸나다의 영향을 받은 오디아 문자의 주목할 만한 예이다.
- 야샤반제데바의 안티리가암 판 (12세기)은 북부 나가리의 영향을 받은 오디아 서체를 묘사한다. 문자 스크립트의 차이점은 스크립트가 과도기적 단계에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 아난타바르만 초다가가의 킬로르 비문 (12세기)은 현대적인 것과 거의 같은 상단에 가우디 문자 또는 원시 오리야 문자의 둥근 모양을 보여준다.[2]
- 아난가빔 데바 3세 (1211-1238 CE)의 푸리 비문의 초기 금석문은 가우디 문자를 보여주는 가장 오래된 오디아 비문 중 하나로 간주되며, 오디아 문자의 원시, 초기 및 중세 단계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텔루구-칸나다 유형의 다른 문자와 함께 초기 원시 오리야 유형의 숫자도 보여준다. 아난타바르만 초다가가 (1114-1115 CE)의 이전 비문은 모음 기호의 프리스타마트라 스타일이 매우 두드러지는 후기 싯담 문자의 변형을 보여준다.
- 동 갠가 왕 나르심하데바 2세 (1278-1305 CE)의 산스크리트어 켄두아파타 구리판 기록에서는 가우디에서 오디아의 발전을 묘사하는 과도기적 변형이 나타난다 (구리판과 석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둥근 머리글자가 있는 사각형을 보여줌).
- 가자파티 왕국 왕 푸루쇼타마 데바 (15세기)의 구리판 토지 기증 기록은 구리 도끼 머리에 새겨져 있으며, 15세기에 속하는 종려 잎 필사본에서도 볼 수 있는 현대 오디아 문자의 뚜렷한 초기 버전을 보여준다.
필사본 자료와 관련하여, 오디아의 완전한 문자는 14세기와 15세기 사이에 개발, 수정 및 단순화를 통해 고전적인 고리 모양을 갖추게 되었으며, 이 시기에 종려 잎 필사본 문화가 이 지역에서 지배적이 되었다. 종려 잎은 본질적으로 썩기 쉬우므로, 15세기 이전의 필사본은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최근 작품은 희귀하고 고대 텍스트와 예술적 삽화를 보여주기 때문에 중요하다. 가장 오래된 연대순으로 기록된 종려 잎 필사본 중 하나는 오디샤 주립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아비나바 기타-고빈다이다. 이 필사본의 완성 시기는 서기 1494년으로 추정된다. 박물관에 보관된 다른 필사본에는 자야데바의 기타 고빈다 (16세기)와 18, 19, 20세기의 비교적 최근 작품과 같은 역사적 작품이 포함되어 있다.[9]
압도적으로 오디아 문자는 오디아어를 쓰는 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산스크리트어의 지역적인 쓰기 체계로 사용되었다. 또한 그리슨[10]은 유명한 ''인도 언어 조사''에서 오디아 문자가 차티스가르어, 동부 힌디어의 일종으로, 차티스가르 동부 국경 지역에서 사용되기도 한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데바나가리 문자로 대체된 것으로 보인다.
오리야 문자는 대부분 둥근 모양을 하고 있으며, 싯담에서 파생된 자매 문자들은 가로선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오리야 문자를 읽는 사람은 굽은 고리 아래에서 문자의 관련 특징적인 부분만 찾을 수 있다.
아/ଅor | 이/ଇor | 이/ଇor | 이-/ଈor | 우/ଉor | 우-/ଊor | 루/ଋor | 루-/ୠor | 리/ଌor | 리-/ୡor | 에/ଏor | 아이/ଐor | 오/ଓor | 아우/ଔor |
아/𑖀sa | 아-/𑖁sa | 이/𑖂sa | 이-/𑖃sa | 우/𑖄sa | 우-/𑖅sa | 루/𑖆sa | 루-/𑖇sa | 리/𑖈sa | 리-/𑖉sa | 에/𑖊sa | 아이/𑖋sa | 오/𑖌sa | 아우/𑖍sa |
2. 1. 원시 오디아
2. 2. 중세 오디아
2. 3. 과도기 오디아
2. 4. 현대 오디아
3. 문자
오리야 문자는 위에서부터 오리야 문자, ISO 15919에 따른 음역, 국제 음성 기호에 따른 발음 순으로 표기한다. 자음자는 기호를 붙이지 않는 경우, 벵골 문자와 마찬가지로 수반 모음 ɔor를 동반한다. 인도의 많은 언어에서는 수반 모음은 (특히 어말에서) 발음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오리야 문자에서는 항상 발음된다. 벵골 문자처럼 ja와 ya, śaor, ṣaor, sa는 같은 소리가 난다.
벵골 문자와 마찬가지로, va는 ba와 구별되지 않지만, 유니코드에서는 va와 wa의 두 문자가 정의되어 있다. 전자는 일반적으로 결합 문자로 사용되지만, 단독으로는 산스크리트어로부터의 음역 등의 필요에 따라 정의되어 있으며, ba의 글자에 점을 더한 것이다. 후자는 페르시아어에서 차용된 단어에 사용될 수 있다.
'''모음 문자'''
ଅ | ଆ | ଇ | ଈ | ଉ | ଊ | ଋ | ୠ | ଌ | ୡ | ଏ | ଐ | ଓ | ଔ |
a | ā | i | ī | u | ū | r̥ | r̥̄ | l̥ | l̥̄ | e | ai | o | au |
ɔor | aːor | ior | iːor | uor | uːor | ruor | ruːor | luor | luːor | eːor | ɔi̯or | ɔor | ɔu̯or |
'''자음 문자'''
କ | ଖ | ଗ | ଘ | ଙ | ଚ | ଛ | ଜ | ଝ | ଞ | ଟ | ଠ | ଡ |
ka | kha | ga | gha | ṅa | ca | cha | ja | jha | ña | ṭa | ṭha | ḍa |
kɔor | kʰɔor | ɡɔor | ɡʱɔor | ŋɔor | tʃɔor | tʃʰɔor | dʒɔor | dʒʱɔor | ɲɔor | ʈɔor | ʈʰɔor | ɖɔor |
ଢ | ଡ଼ | ଢ଼ | ଣ | ତ | ଥ | ଦ | ଧ | ନ | ପ | ଫ | ବ | ଭ |
ḍha | ṛa | ṛha | ṇa | ta | tha | da | dha | na | pa | pha | ba | bha |
ɖʱɔor | ɽɔor | ɽʱɔor | ɳɔor | t̪ɔor | t̪ʰɔor | d̪ɔor | d̪ʱɔor | nɔor | pɔor | pʰɔor | bɔor | bʱɔor |
ମ | ଯ | ୟ | ର | ଲ | ଳ | ଵ | ୱ | ଶ | ଷ | ସ | ହ | |
ma | ya | ẏa | ra | la | ḷa | va | wa | śa | ṣa | sa | ha | |
mɔor | dʒɔor | jɔor | rɔor | lɔor | ɭɔor | wɔor | wɔor | sɔor | sɔor | sɔor | hɔor |
'''자음자와 모음 기호의 조합'''
이 표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r̥̄의 모음 기호는 r̥의 모음 기호 위에 c가 붙은 형태이며, l̥와 l̥̄의 모음 기호를 나타낼 때는 l̥와 l̥̄의 모음 문자를 문자 아래에 조금 작게 쓴다.
'''자음자와 자음자의 결합 문자'''
କ | ଖ | ଗ | ଘ | ଙ | ଚ | ଛ | ଜ | ଝ | ଞ | ଟ | ଠ | ଡ | ଢ | ଡ | ଢ | ଣ | ତ | ଥ | ଦ | ଧ | ନ | ପ | ଫ | ବ | ଵ | ଭ | ମ | ଯ | ୟ | ର | ଲ | ଳ | ୱ | ଶ | ଷ | ସ | ହ | |
---|---|---|---|---|---|---|---|---|---|---|---|---|---|---|---|---|---|---|---|---|---|---|---|---|---|---|---|---|---|---|---|---|---|---|---|---|---|---|
କ | କ୍କ | କ୍ଖ | କ୍ଗ | କ୍ଘ | କ୍ଙ | କ୍ଚ | କ୍ଛ | କ୍ଜ | କ୍ଝ | କ୍ଞ | କ୍ଟ | କ୍ଠ | କ୍ଡ | କ୍ଢ | କ୍ଡ | କ୍ଢ | କ୍ଣ | କ୍ତ | କ୍ଥ | କ୍ଦ | କ୍ଧ | କ୍ନ | କ୍ପ | କ୍ଫ | କ୍ବ | କ୍ଵ | କ୍ଭ | କ୍ମ | କ୍ଯ | କ୍ୟ | କ୍ର | କ୍ଲ | କ୍ଳ | କ୍ୱ | କ୍ଶ | କ୍ଷ | କ୍ସ | କ୍ହ |
ଖ | ଖ୍କ | ଖ୍ଖ | ଖ୍ଗ | ଖ୍ଘ | ଖ୍ଙ | ଖ୍ଚ | ଖ୍ଛ | ଖ୍ଜ | ଖ୍ଝ | ଖ୍ଞ | ଖ୍ଟ | ଖ୍ଠ | ଖ୍ଡ | ଖ୍ଢ | ଖ୍ଡ | ଖ୍ଢ | ଖ୍ଣ | ଖ୍ତ | ଖ୍ଥ | ଖ୍ଦ | ଖ୍ଧ | ଖ୍ନ | ଖ୍ପ | ଖ୍ଫ | ଖ୍ବ | ଖ୍ଵ | ଖ୍ଭ | ଖ୍ମ | ଖ୍ଯ | ଖ୍ୟ | ଖ୍ର | ଖ୍ଲ | ଖ୍ଳ | ଖ୍ୱ | ଖ୍ଶ | ଖ୍ଷ | ଖ୍ସ | ଖ୍ହ |
ଗ | ଗ୍କ | ଗ୍ଖ | ଗ୍ଗ | ଗ୍ଘ | ଗ୍ଙ | ଗ୍ଚ | ଗ୍ଛ | ଗ୍ଜ | ଗ୍ଝ | ଗ୍ଞ | ଗ୍ଟ | ଗ୍ଠ | ଗ୍ଡ | ଗ୍ଢ | ଗ୍ଡ | ଗ୍ଢ | ଗ୍ଣ | ଗ୍ତ | ଗ୍ଥ | ଗ୍ଦ | ଗ୍ଧ | ଗ୍ନ | ଗ୍ପ | ଗ୍ଫ | ଗ୍ବ | ଗ୍ଵ | ଗ୍ଭ | ଗ୍ମ | ଗ୍ଯ | ଗ୍ୟ | ଗ୍ର | ଗ୍ଲ | ଗ୍ଳ | ଗ୍ୱ | ଗ୍ଶ | ଗ୍ଷ | ଗ୍ସ | ଗ୍ହ |
ଘ | ଘ୍କ | ଘ୍ଖ | ଘ୍ଗ | ଘ୍ଘ | ଘ୍ଙ | ଘ୍ଚ | ଘ୍ଛ | ଘ୍ଜ | ଘ୍ଝ | ଘ୍ଞ | ଘ୍ଟ | ଘ୍ଠ | ଘ୍ଡ | ଘ୍ଢ | ଘ୍ଡ | ଘ୍ଢ | ଘ୍ଣ | ଘ୍ତ | ଘ୍ଥ | ଘ୍ଦ | ଘ୍ଧ | ଘ୍ନ | ଘ୍ପ | ଘ୍ଫ | ଘ୍ବ | ଘ୍ଵ | ଘ୍ଭ | ଘ୍ମ | ଘ୍ଯ | ଘ୍ୟ | ଘ୍ର | ଘ୍ଲ | ଘ୍ଳ | ଘ୍ୱ | ଘ୍ଶ | ଘ୍ଷ | ଘ୍ସ | ଘ୍ହ |
ଙ | ଙ୍କ | ଙ୍ଖ | ଙ୍ଗ | ଙ୍ଘ | ଙ୍ଙ | ଙ୍ଚ | ଙ୍ଛ | ଙ୍ଜ | ଙ୍ଝ | ଙ୍ଞ | ଙ୍ଟ | ଙ୍ଠ | ଙ୍ଡ | ଙ୍ଢ | ଙ୍ଡ | ଙ୍ଢ | ଙ୍ଣ | ଙ୍ତ | ଙ୍ଥ | ଙ୍ଦ | ଙ୍ଧ | ଙ୍ନ | ଙ୍ପ | ଙ୍ଫ | ଙ୍ବ | ଙ୍ଵ | ଙ୍ଭ | ଙ୍ମ | ଙ୍ଯ | ଙ୍ୟ | ଙ୍ର | ଙ୍ଲ | ଙ୍ଳ | ଙ୍ୱ | ଙ୍ଶ | ଙ୍ଷ | ଙ୍ସ | ଙ୍ହ |
ଚ | ଚ୍କ | ଚ୍ଖ | ଚ୍ଗ | ଚ୍ଘ | ଚ୍ଙ | ଚ୍ଚ | ଚ୍ଛ | ଚ୍ଜ | ଚ୍ଝ | ଚ୍ଞ | ଚ୍ଟ | ଚ୍ଠ | ଚ୍ଡ | ଚ୍ଢ | ଚ୍ଡ | ଚ୍ଢ | ଚ୍ଣ | ଚ୍ତ | ଚ୍ଥ | ଚ୍ଦ | ଚ୍ଧ | ଚ୍ନ | ଚ୍ପ | ଚ୍ଫ | ଚ୍ବ | ଚ୍ଵ | ଚ୍ଭ | ଚ୍ମ | ଚ୍ଯ | ଚ୍ୟ | ଚ୍ର | ଚ୍ଲ | ଚ୍ଳ | ଚ୍ୱ | ଚ୍ଶ | ଚ୍ଷ | ଚ୍ସ | ଚ୍ହ |
ଛ | ଛ୍କ | ଛ୍ଖ | ଛ୍ଗ | ଛ୍ଘ | ଛ୍ଙ | ଛ୍ଚ | ଛ୍ଛ | ଛ୍ଜ | ଛ୍ଝ | ଛ୍ଞ | ଛ୍ଟ | ଛ୍ଠ | ଛ୍ଡ | ଛ୍ଢ | ଛ୍ଡ | ଛ୍ଢ | ଛ୍ଣ | ଛ୍ତ | ଛ୍ଥ | ଛ୍ଦ | ଛ୍ଧ | ଛ୍ନ | ଛ୍ପ | ଛ୍ଫ | ଛ୍ବ | ଛ୍ଵ | ଛ୍ଭ | ଛ୍ମ | ଛ୍ଯ | ଛ୍ୟ | ଛ୍ର | ଛ୍ଲ | ଛ୍ଳ | ଛ୍ୱ | ଛ୍ଶ | ଛ୍ଷ | ଛ୍ସ | ଛ୍ହ |
ଜ | ଜ୍କ | ଜ୍ଖ | ଜ୍ଗ | ଜ୍ଘ | ଜ୍ଙ | ଜ୍ଚ | ଜ୍ଛ | ଜ୍ଜ | ଜ୍ଝ | ଜ୍ଞ | ଜ୍ଟ | ଜ୍ଠ | ଜ୍ଡ | ଜ୍ଢ | ଜ୍ଡ | ଜ୍ଢ | ଜ୍ଣ | ଜ୍ତ | ଜ୍ଥ | ଜ୍ଦ | ଜ୍ଧ | ଜ୍ନ | ଜ୍ପ | ଜ୍ଫ | ଜ୍ବ | ଜ୍ଵ | ଜ୍ଭ | ଜ୍ମ | ଜ୍ଯ | ଜ୍ୟ | ଜ୍ର | ଜ୍ଲ | ଜ୍ଳ | ଜ୍ୱ | ଜ୍ଶ | ଜ୍ଷ | ଜ୍ସ | ଜ୍ହ |
ଝ | ଝ୍କ | ଝ୍ଖ | ଝ୍ଗ | ଝ୍ଘ | ଝ୍ଙ | ଝ୍ଚ | ଝ୍ଛ | ଝ୍ଜ | ଝ୍ଝ | ଝ୍ଞ | ଝ୍ଟ | ଝ୍ଠ | ଝ୍ଡ | ଝ୍ଢ | ଝ୍ଡ | ଝ୍ଢ | ଝ୍ଣ | ଝ୍ତ | ଝ୍ଥ | ଝ୍ଦ | ଝ୍ଧ | ଝ୍ନ | ଝ୍ପ | ଝ୍ଫ | ଝ୍ବ | ଝ୍ଵ | ଝ୍ଭ | ଝ୍ମ | ଝ୍ଯ | ଝ୍ୟ | ଝ୍ର | ଝ୍ଲ | ଝ୍ଳ | ଝ୍ୱ | ଝ୍ଶ | ଝ୍ଷ | ଝ୍ସ | ଝ୍ହ |
ଞ | ଞ୍କ | ଞ୍ଖ | ଞ୍ଗ | ଞ୍ଘ | ଞ୍ଙ | ଞ୍ଚ | ଞ୍ଛ | ଞ୍ଜ | ଞ୍ଝ | ଞ୍ଞ | ଞ୍ଟ | ଞ୍ଠ | ଞ୍ଡ | ଞ୍ଢ | ଞ୍ଡ | ଞ୍ଢ | ଞ୍ଣ | ଞ୍ତ | ଞ୍ଥ | ଞ୍ଦ | ଞ୍ଧ | ଞ୍ନ | ଞ୍ପ | ଞ୍ଫ | ଞ୍ବ | ଞ୍ଵ | ଞ୍ଭ | ଞ୍ମ | ଞ୍ଯ | ଞ୍ୟ | ଞ୍ର | ଞ୍ଲ | ଞ୍ଳ | ଞ୍ୱ | ଞ୍ଶ | ଞ୍ଷ | ଞ୍ସ | ଞ୍ହ |
ଟ | ଟ୍କ | ଟ୍ଖ | ଟ୍ଗ | ଟ୍ଘ | ଟ୍ଙ | ଟ୍ଚ | ଟ୍ଛ | ଟ୍ଜ | ଟ୍ଝ | ଟ୍ଞ | ଟ୍ଟ | ଟ୍ଠ | ଟ୍ଡ | ଟ୍ଢ | ଟ୍ଡ | ଟ୍ଢ | ଟ୍ଣ | ଟ୍ତ | ଟ୍ଥ | ଟ୍ଦ | ଟ୍ଧ | ଟ୍ନ | ଟ୍ପ | ଟ୍ଫ | ଟ୍ବ | ଟ୍ଵ | ଟ୍ଭ | ଟ୍ମ | ଟ୍ଯ | ଟ୍ୟ | ଟ୍ର | ଟ୍ଲ | ଟ୍ଳ | ଟ୍ୱ | ଟ୍ଶ | ଟ୍ଷ | ଟ୍ସ | ଟ୍ହ |
ଠ | ଠ୍କ | ଠ୍ଖ | ଠ୍ଗ | ଠ୍ଘ | ଠ୍ଙ | ଠ୍ଚ | ଠ୍ଛ | ଠ୍ଜ | ଠ୍ଝ | ଠ୍ଞ | ଠ୍ଟ | ଠ୍ଠ | ଠ୍ଡ | ଠ୍ଢ | ଠ୍ଡ | ଠ୍ଢ | ଠ୍ଣ | ଠ୍ତ | ଠ୍ଥ | ଠ୍ଦ | ଠ୍ଧ | ଠ୍ନ | ଠ୍ପ | ଠ୍ଫ | ଠ୍ବ | ଠ୍ଵ | ଠ୍ଭ | ଠ୍ମ | ଠ୍ଯ | ଠ୍ୟ | ଠ୍ର | ଠ୍ଲ | ଠ୍ଳ | ଠ୍ୱ | ଠ୍ଶ | ଠ୍ଷ | ଠ୍ସ | ଠ୍ହ |
ଡ | ଡ୍କ | ଡ୍ଖ | ଡ୍ଗ | ଡ୍ଘ | ଡ୍ଙ | ଡ୍ଚ | ଡ୍ଛ | ଡ୍ଜ | ଡ୍ଝ | ଡ୍ଞ | ଡ୍ଟ | ଡ୍ଠ | ଡ୍ଡ | ଡ୍ଢ | ଡ୍ଡ | ଡ୍ଢ | ଡ୍ଣ | ଡ୍ତ | ଡ୍ଥ | ଡ୍ଦ | ଡ୍ଧ | ଡ୍ନ | ଡ୍ପ | ଡ୍ଫ | ଡ୍ବ | ଡ୍ଵ | ଡ୍ଭ | ଡ୍ମ | ଡ୍ଯ | ଡ୍ୟ | ଡ୍ର | ଡ୍ଲ | ଡ୍ଳ | ଡ୍ୱ | ଡ୍ଶ | ଡ୍ଷ | ଡ୍ସ | ଡ୍ହ |
ଢ | ଢ୍କ | ଢ୍ଖ | ଢ୍ଗ | ଢ୍ଘ | ଢ୍ଙ | ଢ୍ଚ | ଢ୍ଛ | ଢ୍ଜ | ଢ୍ଝ | ଢ୍ଞ | ଢ୍ଟ | ଢ୍ଠ | ଢ୍ଡ | ଢ୍ଢ | ଢ୍ଡ | ଢ୍ଢ | ଢ୍ଣ | ଢ୍ତ | ଢ୍ଥ | ଢ୍ଦ | ଢ୍ଧ | ଢ୍ନ | ଢ୍ପ | ଢ୍ଫ | ଢ୍ବ | ଢ୍ଵ | ଢ୍ଭ | ଢ୍ମ | ଢ୍ଯ | ଢ୍ୟ | ଢ୍ର | ଢ୍ଲ | ଢ୍ଳ | ଢ୍ୱ | ଢ୍ଶ | ଢ୍ଷ | ଢ୍ସ | ଢ୍ହ |
ଡ | ଡ୍କ | ଡ୍ଖ | ଡ୍ଗ | ଡ୍ଘ | ଡ୍ଙ | ଡ୍ଚ | ଡ୍ଛ | ଡ୍ଜ | ଡ୍ଝ | ଡ୍ଞ | ଡ୍ଟ | ଡ୍ଠ | ଡ୍ଡ | ଡ୍ଢ | ଡ୍ଡ | ଡ୍ଢ | ଡ୍ଣ | ଡ୍ତ | ଡ୍ଥ | ଡ୍ଦ | ଡ୍ଧ | ଡ୍ନ | ଡ୍ପ | ଡ୍ଫ | ଡ୍ବ | ଡ୍ଵ | ଡ୍ଭ | ଡ୍ମ | ଡ୍ଯ | ଡ୍ୟ | ଡ୍ର | ଡ୍ଲ | ଡ୍ଳ | ଡ୍ୱ | ଡ୍ଶ | ଡ୍ଷ | ଡ୍ସ | ଡ୍ହ |
ଢ | ଢ୍କ | ଢ୍ଖ | ଢ୍ଗ | ଢ୍ଘ | ଢ୍ଙ | ଢ୍ଚ | ଢ୍ଛ | ଢ୍ଜ | ଢ୍ଝ | ଢ୍ଞ | ଢ୍ଟ | ଢ୍ଠ | ଢ୍ଡ | ଢ୍ଢ | ଢ୍ଡ | ଢ୍ଢ | ଢ୍ଣ | ଢ୍ତ | ଢ୍ଥ | ଢ୍ଦ | ଢ୍ଧ | ଢ୍ନ | ଢ୍ପ | ଢ୍ଫ | ଢ୍ବ | ଢ୍ଵ | ଢ୍ଭ | ଢ୍ମ | ଢ୍ଯ | ଢ୍ୟ | ଢ୍ର | ଢ୍ଲ | ଢ୍ଳ | ଢ୍ୱ | ଢ୍ଶ | ଢ୍ଷ | ଢ୍ସ | ଢ୍ହ |
ଣ | ଣ୍କ | ଣ୍ଖ | ଣ୍ଗ | ଣ୍ଘ | ଣ୍ଙ | ଣ୍ଚ | ଣ୍ଛ | ଣ୍ଜ | ଣ୍ଝ | ଣ୍ଞ | ଣ୍ଟ | ଣ୍ଠ | ଣ୍ଡ | ଣ୍ଢ | ଣ୍ଡ | ଣ୍ଢ | ଣ୍ଣ | ଣ୍ତ | ଣ୍ଥ | ଣ୍ଦ | ଣ୍ଧ | ଣ୍ନ | ଣ୍ପ | ଣ୍ଫ | ଣ୍ବ | ଣ୍ଵ | ଣ୍ଭ | ଣ୍ମ | ଣ୍ଯ | ଣ୍ୟ | ଣ୍ର | ଣ୍ଲ | ଣ୍ଳ | ଣ୍ୱ | ଣ୍ଶ | ଣ୍ଷ | ଣ୍ସ | ଣ୍ହ |
ତ | ତ୍କ | ତ୍ଖ | ତ୍ଗ | ତ୍ଘ | ତ୍ଙ | ତ୍ଚ | ତ୍ଛ | ତ୍ଜ | ତ୍ଝ | ତ୍ଞ | ତ୍ଟ | ତ୍ଠ | ତ୍ଡ | ତ୍ଢ | ତ୍ଡ | ତ୍ଢ | ତ୍ଣ | ତ୍ତ | ତ୍ଥ | ତ୍ଦ | ତ୍ଧ | ତ୍ନ | ତ୍ପ | ତ୍ଫ | ତ୍ବ | ତ୍ଵ | ତ୍ଭ | ତ୍ମ | ତ୍ଯ | ତ୍ୟ | ତ୍ର | ତ୍ଲ | ତ୍ଳ | ତ୍ୱ | ତ୍ଶ | ତ୍ଷ | ତ୍ସ | ତ୍ହ |
ଥ | ଥ୍କ | ଥ୍ଖ | ଥ୍ଗ | ଥ୍ଘ | ଥ୍ଙ | ଥ୍ଚ | ଥ୍ଛ | ଥ୍ଜ | ଥ୍ଝ | ଥ୍ଞ | ଥ୍ଟ | ଥ୍ଠ | ଥ୍ଡ | ଥ୍ଢ | ଥ୍ଡ | ଥ୍ଢ | ଥ୍ଣ | ଥ୍ତ | ଥ୍ଥ | ଥ୍ଦ | ଥ୍ଧ | ଥ୍ନ | ଥ୍ପ | ଥ୍ଫ | ଥ୍ବ | ଥ୍ଵ | ଥ୍ଭ | ଥ୍ମ | ଥ୍ଯ | ଥ୍ୟ | ଥ୍ର | ଥ୍ଲ | ଥ୍ଳ | ଥ୍ୱ | ଥ୍ଶ | ଥ୍ଷ | ଥ୍ସ | ଥ୍ହ |
ଦ | ଦ୍କ | ଦ୍ଖ | ଦ୍ଗ | ଦ୍ଘ | ଦ୍ଙ | ଦ୍ଚ | ଦ୍ଛ | ଦ୍ଜ | ଦ୍ଝ | ଦ୍ଞ | ଦ୍ଟ | ଦ୍ଠ | ଦ୍ଡ | ଦ୍ଢ | ଦ୍ଡ | ଦ୍ଢ | ଦ୍ଣ | ଦ୍ତ | ଦ୍ଥ | ଦ୍ଦ | ଦ୍ଧ | ଦ୍ନ | ଦ୍ପ | ଦ୍ଫ | ଦ୍ବ | ଦ୍ଵ | ଦ୍ଭ | ଦ୍ମ | ଦ୍ଯ | ଦ୍ୟ | ଦ୍ର | ଦ୍ଲ | ଦ୍ଳ | ଦ୍ୱ | ଦ୍ଶ | ଦ୍ଷ | ଦ୍ସ | ଦ୍ହ |
ଧ | ଧ୍କ | ଧ୍ଖ | ଧ୍ଗ | ଧ୍ଘ | ଧ୍ଙ | ଧ୍ଚ | ଧ୍ଛ | ଧ୍ଜ | ଧ୍ଝ | ଧ୍ଞ | ଧ୍ଟ | ଧ୍ଠ | ଧ୍ଡ | ଧ୍ଢ | ଧ୍ଡ | ଧ୍ଢ | ଧ୍ଣ | ଧ୍ତ | ଧ୍ଥ | ଧ୍ଦ | ଧ୍ଧ | ଧ୍ନ | ଧ୍ପ | ଧ୍ଫ | ଧ୍ବ | ଧ୍ଵ | ଧ୍ଭ | ଧ୍ମ | ଧ୍ଯ | ଧ୍ୟ | ଧ୍ର | ଧ୍ଲ | ଧ୍ଳ | ଧ୍ୱ | ଧ୍ଶ | ଧ୍ଷ | ଧ୍ସ | ଧ୍ହ |
ନ | ନ୍କ | ନ୍ଖ | ନ୍ଗ | ନ୍ଘ | ନ୍ଙ | ନ୍ଚ | ନ୍ଛ | ନ୍ଜ | ନ୍ଝ | ନ୍ଞ | ନ୍ଟ | ନ୍ଠ | ନ୍ଡ | ନ୍ଢ | ନ୍ଡ | ନ୍ଢ | ନ୍ଣ | ନ୍ତ | ନ୍ଥ | ନ୍ଦ | ନ୍ଧ | ନ୍ନ | ନ୍ପ | ନ୍ଫ | ନ୍ବ | ନ୍ଵ | ନ୍ଭ | ନ୍ମ | ନ୍ଯ | ନ୍ୟ | ନ୍ର | ନ୍ଲ | ନ୍ଳ | ନ୍ୱ | ନ୍ଶ | ନ୍ଷ | ନ୍ସ | ନ୍ହ |
ପ | ପ୍କ | ପ୍ଖ | ପ୍ଗ | ପ୍ଘ | ପ୍ଙ | ପ୍ଚ | ପ୍ଛ | ପ୍ଜ | ପ୍ଝ | ପ୍ଞ | ପ୍ଟ | ପ୍ଠ | ପ୍ଡ | ପ୍ଢ | ପ୍ଡ | ପ୍ଢ | ପ୍ଣ | ପ୍ତ | ପ୍ଥ | ପ୍ଦ | ପ୍ଧ | ପ୍ନ | ପ୍ପ | ପ୍ଫ | ପ୍ବ | ପ୍ଵ | ପ୍ଭ | ପ୍ମ | ପ୍ଯ | ପ୍ୟ | ପ୍ର | ପ୍ଲ | ପ୍ଳ | ପ୍ୱ | ପ୍ଶ | ପ୍ଷ | ପ୍ସ | ପ୍ହ |
ଫ | ଫ୍କ | ଫ୍ଖ | ଫ୍ଗ | ଫ୍ଘ | ଫ୍ଙ | ଫ୍ଚ | ଫ୍ଛ | ଫ୍ଜ | ଫ୍ଝ | ଫ୍ଞ | ଫ୍ଟ | ଫ୍ଠ | ଫ୍ଡ | ଫ୍ଢ | ଫ୍ଡ | ଫ୍ଢ | ଫ୍ଣ | ଫ୍ତ | ଫ୍ଥ | ଫ୍ଦ | ଫ୍ଧ | ଫ୍ନ | ଫ୍ପ | ଫ୍ଫ | ଫ୍ବ | ଫ୍ଵ | ଫ୍ଭ | ଫ୍ମ | ଫ୍ଯ | ଫ୍ୟ | ଫ୍ର | ଫ୍ଲ | ଫ୍ଳ | ଫ୍ୱ | ଫ୍ଶ | ଫ୍ଷ | ଫ୍ସ | ଫ୍ହ |
ବ | ବ୍କ | ବ୍ଖ | ବ୍ଗ | ବ୍ଘ | ବ୍ଙ | ବ୍ଚ | ବ୍ଛ | ବ୍ଜ | ବ୍ଝ | ବ୍ଞ | ବ୍ଟ | ବ୍ଠ | ବ୍ଡ | ବ୍ଢ | ବ୍ଡ | ବ୍ଢ | ବ୍ଣ | ବ୍ତ | ବ୍ଥ | ବ୍ଦ | ବ୍ଧ | ବ୍ନ | ବ୍ପ | ବ୍ଫ | ବ୍ବ | ବ୍ଵ | ବ୍ଭ | ବ୍ମ | ବ୍ଯ | ବ୍ୟ | ବ୍ର | ବ୍ଲ | ବ୍ଳ | ବ୍ୱ | ବ୍ଶ | ବ୍ଷ | ବ୍ସ | ବ୍ହ |
ଵ | ଵ୍କ | ଵ୍ଖ | ଵ୍ଗ | ଵ୍ଘ | ଵ୍ଙ | ଵ୍ଚ | ଵ୍ଛ | ଵ୍ଜ | ଵ୍ଝ | ଵ୍ଞ | ଵ୍ଟ | ଵ୍ଠ | ଵ୍ଡ | ଵ୍ଢ | ଵ୍ଡ | ଵ୍ଢ | ଵ୍ଣ | ଵ୍ତ | ଵ୍ଥ | ଵ୍ଦ | ଵ୍ଧ | ଵ୍ନ | ଵ୍ପ | ଵ୍ଫ | ଵ୍ବ | ଵ୍ଵ | ଵ୍ଭ | ଵ୍ମ | ଵ୍ଯ | ଵ୍ୟ | ଵ୍ର | ଵ୍ଲ | ଵ୍ଳ | ଵ୍ୱ | ଵ୍ଶ | ଵ୍ଷ | ଵ୍ସ | ଵ୍ହ |
ଭ | ଭ୍କ | ଭ୍ଖ | ଭ୍ଗ | ଭ୍ଘ | ଭ୍ଙ | ଭ୍ଚ | ଭ୍ଛ | ଭ୍ଜ | ଭ୍ଝ | ଭ୍ଞ | ଭ୍ଟ | ଭ୍ଠ | ଭ୍ଡ | ଭ୍ଢ | ଭ୍ଡ | ଭ୍ଢ | ଭ୍ଣ | ଭ୍ତ | ଭ୍ଥ | ଭ୍ଦ | ଭ୍ଧ | ଭ୍ନ | ଭ୍ପ | ଭ୍ଫ | ଭ୍ବ | ଭ୍ଵ | ଭ୍ଭ | ଭ୍ମ | ଭ୍ଯ | ଭ୍ୟ | ଭ୍ର | ଭ୍ଲ | ଭ୍ଳ | ଭ୍ୱ | ଭ୍ଶ | ଭ୍ଷ | ଭ୍ସ | ଭ୍ହ |
ମ | ମ୍କ | ମ୍ଖ | ମ୍ଗ | ମ୍ଘ | ମ୍ଙ | ମ୍ଚ | ମ୍ଛ | ମ୍ଜ | ମ୍ଝ | ମ୍ଞ | ମ୍ଟ | ମ୍ଠ | ମ୍ଡ | ମ୍ଢ | ମ୍ଡ | ମ୍ଢ | ମ୍ଣ | ମ୍ତ | ମ୍ଥ | ମ୍ଦ | ମ୍ଧ | ମ୍ନ | ମ୍ପ | ମ୍ଫ | ମ୍ବ | ମ୍ଵ | ମ୍ଭ | ମ୍ମ | ମ୍ଯ | ମ୍ୟ | ମ୍ର | ମ୍ଲ | ମ୍ଳ | ମ୍ୱ | ମ୍ଶ | ମ୍ଷ | ମ୍ସ | ମ୍ହ |
ଯ | ଯ୍କ | ଯ୍ଖ | ଯ୍ଗ | ଯ୍ଘ | ଯ୍ଙ | ଯ୍ଚ | ଯ୍ଛ | ଯ୍ଜ | ଯ୍ଝ | ଯ୍ଞ | ଯ୍ଟ | ଯ୍ଠ | ଯ୍ଡ | ଯ୍ଢ | ଯ୍ଡ | ଯ୍ଢ | ଯ୍ଣ | ଯ୍ତ | ଯ୍ଥ | ଯ୍ଦ | ଯ୍ଧ | ଯ୍ନ | ଯ୍ପ | ଯ୍ଫ | ଯ୍ବ | ଯ୍ଵ | ଯ୍ଭ | ଯ୍ମ | ଯ୍ଯ | ଯ୍ୟ | ଯ୍ର | ଯ୍ଲ | ଯ୍ଳ | ଯ୍ୱ | ଯ୍ଶ | ଯ୍ଷ | ଯ୍ସ | ଯ୍ହ |
ୟ | ୟ୍କ | ୟ୍ଖ | ୟ୍ଗ | ୟ୍ଘ | ୟ୍ଙ | ୟ୍ଚ | ୟ୍ଛ | ୟ୍ଜ | ୟ୍ଝ | ୟ୍ଞ | ୟ୍ଟ | ୟ୍ଠ | ୟ୍ଡ | ୟ୍ଢ | ୟ୍ଡ | ୟ୍ଢ | ୟ୍ଣ | ୟ୍ତ | ୟ୍ଥ | ୟ୍ଦ | ୟ୍ଧ | ୟ୍ନ | ୟ୍ପ | ୟ୍ଫ | ୟ୍ବ | ୟ୍ଵ | ୟ୍ଭ | ୟ୍ମ | ୟ୍ଯ | ୟ୍ୟ | ୟ୍ର | ୟ୍ଲ | ୟ୍ଳ | ୟ୍ୱ | ୟ୍ଶ | ୟ୍ଷ | ୟ୍ସ | ୟ୍ହ |
ର | ର୍କ | ର୍ଖ | ର୍ଗ | ର୍ଘ | ର୍ଙ | ର୍ଚ | ର୍ଛ | ର୍ଜ | ର୍ଝ | ର୍ଞ | ର୍ଟ | ର୍ଠ | ର୍ଡ | ର୍ଢ | ର୍ଡ | ର୍ଢ | ର୍ଣ | ର୍ତ | ର୍ଥ | ର୍ଦ | ର୍ଧ | ର୍ନ | ର୍ପ | ର୍ଫ | ର୍ବ | ର୍ଵ | ର୍ଭ | ର୍ମ | ର୍ଯ | ର୍ୟ | ର୍ର | ର୍ଲ | ର୍ଳ | ର୍ୱ | ର୍ଶ | ର୍ଷ | ର୍ସ | ର୍ହ |
ଲ | ଲ୍କ | ଲ୍ଖ | ଲ୍ଗ | ଲ୍ଘ | ଲ୍ଙ | ଲ୍ଚ | ଲ୍ଛ | ଲ୍ଜ | ଲ୍ଝ | ଲ୍ଞ | ଲ୍ଟ | ଲ୍ଠ | ଲ୍ଡ | ଲ୍ଢ | ଲ୍ଡ | ଲ୍ଢ | ଲ୍ଣ | ଲ୍ତ | ଲ୍ଥ | ଲ୍ଦ | ଲ୍ଧ | ଲ୍ନ | ଲ୍ପ | ଲ୍ଫ | ଲ୍ବ | ଲ୍ଵ | ଲ୍ଭ | ଲ୍ମ | ଲ୍ଯ | ଲ୍ୟ | ଲ୍ର | ଲ୍ଲ | ଲ୍ଳ | ଲ୍ୱ | ଲ୍ଶ | ଲ୍ଷ | ଲ୍ସ | ଲ୍ହ |
ଳ | ଳ୍କ | ଳ୍ଖ | ଳ୍ଗ | ଳ୍ଘ | ଳ୍ଙ | ଳ୍ଚ | ଳ୍ଛ | ଳ୍ଜ | ଳ୍ଝ | ଳ୍ଞ | ଳ୍ଟ | ଳ୍ଠ | ଳ୍ଡ | ଳ୍ଢ | ଳ୍ଡ | ଳ୍ଢ | ଳ୍ଣ | ଳ୍ତ | ଳ୍ଥ | ଳ୍ଦ | ଳ୍ଧ | ଳ୍ନ | ଳ୍ପ | ଳ୍ଫ | ଳ୍ବ | ଳ୍ଵ | ଳ୍ଭ | ଳ୍ମ | ଳ୍ଯ | ଳ୍ୟ | ଳ୍ର | ଳ୍ଲ | ଳ୍ଳ | ଳ୍ୱ | ଳ୍ଶ | ଳ୍ଷ | ଳ୍ସ | ଳ୍ହ |
ୱ | ୱ୍କ | ୱ୍ଖ | ୱ୍ଗ | ୱ୍ଘ | ୱ୍ଙ | ୱ୍ଚ | ୱ୍ଛ | ୱ୍ଜ | ୱ୍ଝ | ୱ୍ଞ | ୱ୍ଟ | ୱ୍ଠ | ୱ୍ଡ | ୱ୍ଢ | ୱ୍ଡ | ୱ୍ଢ | ୱ୍ଣ | ୱ୍ତ | ୱ୍ଥ | ୱ୍ଦ | ୱ୍ଧ | ୱ୍ନ | ୱ୍ପ | ୱ୍ଫ | ୱ୍ବ | ୱ୍ଵ | ୱ୍ଭ | ୱ୍ମ | ୱ୍ଯ | ୱ୍ୟ | ୱ୍ର | ୱ୍ଲ | ୱ୍ଳ | ୱ୍ୱ | ୱ୍ଶ | ୱ୍ଷ | ୱ୍ସ | ୱ୍ହ |
ଶ | ଶ୍କ | ଶ୍ଖ | ଶ୍ଗ | ଶ୍ଘ | ଶ୍ଙ | ଶ୍ଚ | ଶ୍ଛ | ଶ୍ଜ | ଶ୍ଝ | ଶ୍ଞ | ଶ୍ଟ | ଶ୍ଠ | ଶ୍ଡ | ଶ୍ଢ | ଶ୍ଡ | ଶ୍ଢ | ଶ୍ଣ | ଶ୍ତ | ଶ୍ଥ | ଶ୍ଦ | ଶ୍ଧ | ଶ୍ନ | ଶ୍ପ | ଶ୍ଫ | ଶ୍ବ | ଶ୍ଵ | ଶ୍ଭ | ଶ୍ମ | ଶ୍ଯ | ଶ୍ୟ | ଶ୍ର | ଶ୍ଲ | ଶ୍ଳ | ଶ୍ୱ | ଶ୍ଶ | ଶ୍ଷ | ଶ୍ସ | ଶ୍ହ |
ଷ | ଷ୍କ | ଷ୍ଖ | ଷ୍ଗ | ଷ୍ଘ | ଷ୍ଙ | ଷ୍ଚ | ଷ୍ଛ | ଷ୍ଜ | ଷ୍ଝ | ଷ୍ଞ | ଷ୍ଟ | ଷ୍ଠ | ଷ୍ଡ | ଷ୍ଢ | ଷ୍ଡ | ଷ୍ଢ | ଷ୍ଣ | ଷ୍ତ | ଷ୍ଥ | ଷ୍ଦ | ଷ୍ଧ | ଷ୍ନ | ଷ୍ପ | ଷ୍ଫ | ଷ୍ବ | ଷ୍ଵ | ଷ୍ଭ | ଷ୍ମ | ଷ୍ଯ | ଷ୍ୟ | ଷ୍ର | ଷ୍ଲ | ଷ୍ଳ | ଷ୍ୱ | ଷ୍ଶ | ଷ୍ଷ | ଷ୍ସ | ଷ୍ହ |
ସ | ସ୍କ | ସ୍ଖ | ସ୍ଗ | ସ୍ଘ | ସ୍ଙ | ସ୍ଚ | ସ୍ଛ | ସ୍ଜ | ସ୍ଝ | ସ୍ଞ | ସ୍ଟ | ସ୍ଠ | ସ୍ଡ | ସ୍ଢ | ସ୍ଡ | ସ୍ଢ | ସ୍ଣ | ସ୍ତ | ସ୍ଥ | ସ୍ଦ | ସ୍ଧ | ସ୍ନ | ସ୍ପ | ସ୍ଫ | ସ୍ବ | ସ୍ଵ | ସ୍ଭ | ସ୍ମ | ସ୍ଯ | ସ୍ୟ | ସ୍ର | ସ୍ଲ | ସ୍ଳ | ସ୍ୱ | ସ୍ଶ | ସ୍ଷ | ସ୍ସ | ସ୍ହ |
ହ | ହ୍କ | ହ୍ଖ | ହ୍ଗ | ହ୍ଘ | ହ୍ଙ | ହ୍ଚ | ହ୍ଛ | ହ୍ଜ | ହ୍ଝ | ହ୍ଞ | ହ୍ଟ | ହ୍ଠ | ହ୍ଡ | ହ୍ଢ | ହ୍ଡ | ହ୍ଢ | ହ୍ଣ | ହ୍ତ | ହ୍ଥ | ହ୍ଦ | ହ୍ଧ | ହ୍ନ | ହ୍ପ | ହ୍ଫ | ହ୍ବ | ହ୍ଵ | ହ୍ଭ | ହ୍ମ | ହ୍ଯ | ହ୍ୟ | ହ୍ର | ହ୍ଲ | ହ୍ଳ | ହ୍ୱ | ହ୍ଶ | ହ୍ଷ | ହ୍ସ | ହ୍ହ |
'''숫자'''
୦ | ୧ | ୨ | ୩ | ୪ | ୫ | ୬ | ୭ | ୮ | ୯ | ୵ | ୶ | ୷ | ୲ | ୳ | ୴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¹⁄₁₆ | ⅛ | ³⁄₁₆ | ¼ | ½ | ¾ |
3. 1. 자음
오리야 문자의 자음은 구조 자음(bargya byan̄jana/ବର୍ଗ୍ୟ ବ୍ୟଞ୍ଜନor)과 비구조 자음(abargya byan̄jana/ଅବର୍ଗ୍ୟ ବ୍ୟଞ୍ଜନor)의 두 가지 범주로 정의된다.구조 자음은 조음 위치, 즉 혀가 입천장에 닿는 위치에 따라 분류된다.
Phonetics → | Plosive sparśa/ସ୍ପର୍ଶor | Nasal anunāsika/ଅନୁନାସିକor | ||||||||
---|---|---|---|---|---|---|---|---|---|---|
Voicing → | 안울림소리 aghoṣa/ଅଘୋଷor | 울림소리 ghoṣa/ଘୋଷor | ||||||||
Aspiration → | 안거센소리 aḻpaprāṇa/ଅଳ୍ପପ୍ରାଣor | 거센소리 mahāprāṇa/ମହାପ୍ରାଣor | 안거센소리 aḻpaprāṇa/ଅଳ୍ପପ୍ରାଣor | 거센소리 mahāprāṇa/ମହାପ୍ରାଣor | 안거센소리 aḻpaprāṇa/ଅଳ୍ପପ୍ରାଣor | |||||
କଣ୍ଠ୍ୟor Velar | କor (kɔ) | ଖor (kʰɔ) | ଗor (ɡɔ) | ଘor (ɡʱɔ) | ଙor (ŋɔ) | |||||
ତାଲବ୍ୟor Palatal | ଚor (tʃɔ) | ଛor (tʃʰɔ) | ଜor (dʒɔ) | ଝor (dʒʱɔ) | ଞor (ɲɔ) | |||||
ମୂର୍ଦ୍ଧନ୍ୟor Retroflex | ଟor (ʈɔ) | ଠor (ʈʰɔ) | ଡor (ɖɔ) | ଢor (ɖʱɔ) | ଣor (ɳɔ) | |||||
ଦନ୍ତ୍ୟor Dental | ତor (tɔ) | ଥor (tʰɔ) | ଦor (dɔ) | ଧor (dʱɔ) | ନor (nɔ) | |||||
ଓଷ୍ଠ୍ୟor Labial | ପor (pɔ) | ଫor (pʰɔ) | ବor (bɔ) | ଭor (bʱɔ) | ମor (mɔ) |
오리야 문자의 비구조화 자음은 구조화 자음에 속하지 않는 나머지 자음을 말한다.
3. 1. 1. 구조화 자음
Phonetics → | Plosive sparśa/ସ୍ପର୍ଶor | Nasal anunāsika/ଅନୁନାସିକor | ||||||||
---|---|---|---|---|---|---|---|---|---|---|
Voicing → | 안울림소리 aghoṣa/ଅଘୋଷor | 울림소리 ghoṣa/ଘୋଷor | ||||||||
Aspiration → | 안거센소리 aḻpaprāṇa/ଅଳ୍ପପ୍ରାଣor | 거센소리 mahāprāṇa/ମହାପ୍ରାଣor | 안거센소리 aḻpaprāṇa/ଅଳ୍ପପ୍ରାଣor | 거센소리 mahāprāṇa/ମହାପ୍ରାଣor | 안거센소리 aḻpaprāṇa/ଅଳ୍ପପ୍ରାଣor | |||||
କଣ୍ଠ୍ୟor Velar | କor | (kɔ) | ଖor | (kʰɔ) | ଗor | (ɡɔ) | ଘor | (ɡʱɔ) | ଙor | (ŋɔ) |
ତାଲବ୍ୟor Palatal | ଚor | (tʃɔ) | ଛor | (tʃʰɔ) | ଜor | (dʒɔ) | ଝor | (dʒʱɔ) | ଞor | (ɲɔ) |
ମୂର୍ଦ୍ଧନ୍ୟor Retroflex | ଟor | (ʈɔ) | ଠor | (ʈʰɔ) | ଡor | (ɖɔ) | ଢor | (ɖʱɔ) | ଣor | (ɳɔ) |
ଦନ୍ତ୍ୟor Dental | ତor | (tɔ) | ଥor | (tʰɔ) | ଦor | (dɔ) | ଧor | (dʱɔ) | ନor | (nɔ) |
ଓଷ୍ଠ୍ୟor Labial | ପor | (pɔ) | ଫor | (pʰɔ) | ବor | (bɔ) | ଭor | (bʱɔ) | ମor | (mɔ) |
3. 1. 2. 비구조화 자음
오리야 문자의 비구조화 자음은 구조화 자음에 속하지 않는 나머지 자음을 말한다.3. 1. 3. 추가 자음
3. 2. 모음
오리야 문자는 모든 자음에 내재된 모음이 포함된 음절 문자 또는 아부기다이다. 분음 부호 (자음 위, 아래, 앞 또는 뒤에 나타날 수 있음)는 내재된 모음의 형태를 변경하는 데 사용된다. 모음이 음절의 시작 부분에 나타나면 독립적인 문자로 쓰인다. 또한 특정 자음이 함께 나타날 때는 각 자음 기호의 필수 부분을 결합하기 위해 특수 결합 기호가 사용된다.장모음과 단모음의 발음에 큰 차이가 없다.
ଇ의 다른 형태는 자음 ଖ (kha), ଥ (tha), ଧ (dha)와 함께 사용된다. 이 분음 부호는 오리야 필기체 스타일 변형인 카라니 문자의 잔재이다.
ଖି | ଥି | ଧି |
3. 2. 1. 추가 모음 분음 부호
(소스 내용 없음)3. 3. 기타 기호
오리야 문자에는 비음화를 나타내는 '''아누스와라'''(ଂ)와 '''찬드라빈두'''(ଁ) 부호가 사용된다.[14][15] '''비사르가'''(ଃ)는 음절 끝에 성문 마찰음 ḥ을 추가한다.[14][15]{| class="wikitable"
|+ 추가 문자 및 부호와 କ 예시
|-
! scope=col colspan=2 {| 아누스와라
! scope=col {| 찬드라빈두
! scope=col
କଂ | ବଂ | କଁ | କଃ |
। | 쉼표 |
॥ | 마침표 |
୰ | '고(故)' |
ଓଁ | 옴 |
3. 4. 숫자
오리야 문자는 고유의 숫자 체계를 가지고 있다. 0부터 9까지의 숫자는 다음과 같다.୦ | ୧ | ୨ | ୩ | ୪ | ୫ | ୬ | ୭ | ୮ | ୯ |
śūnya, suna | eka | dui | tini | cāri | pāñca | cha'a | sāta | āṭha | na'a |
1957년 인도 루피의 십진법 도입 이후로 대부분 사용되지 않지만, 분수 기호 또한 존재한다.
4. 자음 결합
오리야 문자는 둘 이상의 자음이 결합될 때 합자를 형성한다. 오리야 문자의 자음 합자는 "북부" 유형과 "남부" 유형으로 나뉜다.[14]
"북부" 유형은 데바나가리 문자와 같이 둘 이상의 자음이 융합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합자를 이루는 구성 요소를 쉽게 식별할 수도 있지만, 때로는 완전히 새로운 글리프가 만들어지기도 한다.[14]
"남부" 유형은 칸나다어와 텔루구어처럼 두 번째 자음의 크기가 줄어들어 첫 번째 자음 아래에 위치하는 방식이다.[14]
몇몇 경우에는, ଛ ''차''의 아래 첨자 형태가 ଥ ''타''의 아래 첨자 형태로도 사용되어 혼동될 수 있다.[14]
- ଛ ''차'': ଚ୍ଛ ''차'', ଞ୍ଛ ''냐차'', ଶ୍ଛ ''샤차''
- ଥ ''타'': ନ୍ଥ ''ntha'', ସ୍ଥ ''stha''
또한, 비음 부호 ଂ ''ṃ''는 ଫ ''파''와 ଙ ''응''의 글리프 오른쪽에 있는 것과 비슷하게 보인다.[14]
- ଫ ''파'' (대 ଫଂ ''파ṃ'')
- ଙ ''응'' (대 ଡଂ ''다ṃ'' 또는 ଉଂ ''uṃ'')
- ମ୍ଫ ''mpha'' (대 ମ୍ପଂ ''mpaṃ'')
5. 카라니 문자
카라니 문자(କରଣୀ ଅକ୍ଷର)(차타 문자 ଛଟା ଅକ୍ଷର라고도 함)는 카라나 (କରଣ) 공동체가 개발한 오리야 문자의 필기체/서예체 변형이다.[16] 이 문자는 남부 아시아의 독립 이전 오리사(Odisha, 오디샤)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주로 오리사 토후국의 왕실에서 행정, 문서화, 기록 보관 업무를 담당했던 카라나 공동체에서 사용되었다. 카라니라는 이름은 야자 잎에 글을 쓸 때 사용했던 금속 필기구인 카라니에서 유래되었다.[9][17]
6. 유니코드
오리야 문자는 1991년 10월 버전 1.0이 출시되면서 유니코드 표준에 추가되었다. 오리야 문자에 대한 유니코드 블록은 U+0B00–U+0B7F이다.
오리야 문자 | ||||||||||||||||||||||||||||||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A | B | C | D | E | F | |||||||||||||||
U+0B0x | || | | || || | || || | || | | | |- ! U+0B1x | | | | || || | || || | || || | || || | |- ! U+0B2x | || || | || || | || || | | || || | || || |- ! U+0B3x | | | || | | || || | || | | | || || | |- ! U+0B4x | || || | || | | | || | | | || || | | |- ! U+0B5x | | | | | || | | | || | | |- ! U+0B6x | || || | | | | || || | || || | || || | |- ! U+0B7x | || || | || || | || | | | | | | | |} [https://www.unicode.org/charts/PDF/U0B00.pdf 공식 유니코드 컨소시엄 코드 차트] (PDF)에서 오리야 문자의 유니코드 할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7. 다른 브라흐미계 문자와의 비교
오리야 문자는 대부분 둥근 모양을 하고 있으며, 싯담에서 파생된 자매 문자들은 가로선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오리야 문자를 읽는 사람은 굽은 고리 아래에서 문자의 관련 특징적인 부분만 찾을 수 있다.
참조
[1]
서적
Indian Epigraph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