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리야 문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리야 문자는 동인도에서 파생된 문자로, 굽은 형태가 특징이다. 싯담 문자의 영향을 받아 벵골-아삼 문자, 티르후타 문자와 함께 오디아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기원전 1051년의 칼링가 문자가 가장 오래된 사례로 꼽힌다. 종려 잎에 글을 쓰던 관습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 중세, 과도기, 현대의 네 단계를 거쳐 발전했다. 오리야 문자는 오디아어 외에도 산스크리트어, 차티스가르어 표기에도 사용되었으며, 유니코드 표준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오리야 문자는 구조 자음과 비구조 자음으로 분류되며, 자음 결합, 모음, 숫자 등을 포함한다. 오리야 문자의 필기체 변형인 카라니 문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부기다 - 그으즈 문자
    그으즈 문자는 고대 남아라비아 문자에서 유래하여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4세기 경 음성 표기가 도입된 26개의 자음 문자를 가진 아부기다 형태의 문자 체계이다.
  • 아부기다 - 타이 문자
    타이 문자는 람캄행 대왕이 창제한 태국어 문자 체계로, 수코타이 문자를 기반으로 크메르 문자를 수정하고 성조 부호를 도입하여 태국어의 복잡한 음운 체계를 표기한다.
오리야 문자
개요
오디아 문자
'오디아 악샤라'를 오디아 문자로 쓴 것
유형아부기다
사용 언어오디아어
산스크리트어
벵골어
쿠이어
쿠비어
만다어
펭고어
곤드어
키산 쿠루크
두루와어
소라어
산탈어
차티스가르어
할비어
사용 시기14세기 – 현재
조상 문자이집트
원시 시나이 문자
페니키아 문자
아람 문자
브라흐미 문자
굽타 문자
싯담 문자
가우디 문자
자매 문자벵골-아삼
티르후타
나가리
네팔
유니코드 범위U+0B00–U+0B7F
ISO 15924Orya
언어별 명칭
기타
참고Unicode의 블록

2. 역사

동인도에서는 싯담 문자의 파생형이 여러 문자를 낳았는데, 이것이 결국 벵골-아삼 문자와 티르후타 문자, 그리고 오디아 문자가 되었다. 오디아 문자는 고리 모양을 특징으로 한다.[5] 오디아어의 가장 오래된 사례는 칼링가 문자로 기록되어 있으며, 기원전 105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6][7]

사라하파다가 쓴 서기 1060년경의 불교 텍스트에서 발췌한 오디아 문자 샘플


안타 바수데바 사원에 있는 13세기 싯담 문자 변형체, 현대 오디아 문자의 조상


15세기 가자파티 왕국 황제 푸루쇼타마 데바의 구리판 기증서, 현대 오디아 문자의 뚜렷한 형태를 보여준다


오디아 문자의 발전


오디아 문자의 굽은 형태는 종려 잎에 글을 쓰는 관습에서 비롯되었는데, 종려 잎은 너무 많은 직선을 사용하면 찢어지는 경향이 있다.[8]

이 지역의 모든 브라흐미 문자처럼, 오디아 문자도 석비, 구리판, 필사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네 단계를 거쳐 발전했다.

오디아의 고대 및 중세 형태는 인접 지역의 필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 북 오디샤에서는 문자가 오디아로 쓰여 있으며, 싯담 문자에서 파생된 가우디체(글자의 오른쪽 수직 부분이 약간 안으로 구부러짐)와 혼합되어 있다.
  • 남 오디샤에서는 텔루구-칸나다 문자의 둥글고 필기체 형태와 혼합되어 있다.
  • 서 오디샤에서는 나가리 문자와 싯담 문자 (윗부분이 사각형 모양)와 혼합되어 있다.


금석문 자료와 관련하여, 오디아 문자의 다양한 역사적 형태를 보여주는 유물에는 암석 비문, 사원 비문, 석판, 기둥 비문, 조각, 구리판, 동전 및 종려 잎 필사본, 삽화 필사본, 상아판 및 관련 자료가 포함된다. 동 갠가 왕조, 소마밤시 왕조, 반자, 바우마-카라 왕조, 샤일로바바 왕조 등 유서 깊은 왕조 시대의 오디아 문자 발전의 각 단계를 보여주는 수많은 사례가 있다.

그중 여러 세기에 걸쳐 다음과 같은 사례가 있다.

  • 오디아 문자의 가장 오래된 예 중 하나는 서기 11세기 (서기 1051년)의 우르잠 비문이다. 비문에 사용된 언어는 오디샤와 마드야프라데시의 국경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부바네스와르에서 발견된 나라싱하 데바 1세 (13세기) 통치 시대의 이중 언어 및 이중 문자 석비 (오디아어 및 타밀어)에도 적용된다. 오래된 오디아 문자의 오디아어는 오른쪽에, 타밀어는 그란타 문자로 왼쪽에 표시되어 있다.
  • 네트리반제데바의 굼수르 구리판 기증서 (11세기)는 이 문자의 중세 단계를 사각형과 둥근 형태로 묘사한다.
  • 간잠 지구의 포테스와라 사원 석비 (137세기)는 텔루구-칸나다의 영향을 받은 오디아 문자의 주목할 만한 예이다.
  • 야샤반제데바의 안티리가암 판 (12세기)은 북부 나가리의 영향을 받은 오디아 서체를 묘사한다. 문자 스크립트의 차이점은 스크립트가 과도기적 단계에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 아난타바르만 초다가가의 킬로르 비문 (12세기)은 현대적인 것과 거의 같은 상단에 가우디 문자 또는 원시 오리야 문자의 둥근 모양을 보여준다.[2]
  • 아난가빔 데바 3세 (1211-1238 CE)의 푸리 비문의 초기 금석문은 가우디 문자를 보여주는 가장 오래된 오디아 비문 중 하나로 간주되며, 오디아 문자의 원시, 초기 및 중세 단계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텔루구-칸나다 유형의 다른 문자와 함께 초기 원시 오리야 유형의 숫자도 보여준다. 아난타바르만 초다가가 (1114-1115 CE)의 이전 비문은 모음 기호의 프리스타마트라 스타일이 매우 두드러지는 후기 싯담 문자의 변형을 보여준다.
  • 동 갠가 왕 나르심하데바 2세 (1278-1305 CE)의 산스크리트어 켄두아파타 구리판 기록에서는 가우디에서 오디아의 발전을 묘사하는 과도기적 변형이 나타난다 (구리판과 석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둥근 머리글자가 있는 사각형을 보여줌).
  • 가자파티 왕국 왕 푸루쇼타마 데바 (15세기)의 구리판 토지 기증 기록은 구리 도끼 머리에 새겨져 있으며, 15세기에 속하는 종려 잎 필사본에서도 볼 수 있는 현대 오디아 문자의 뚜렷한 초기 버전을 보여준다.


필사본 자료와 관련하여, 오디아의 완전한 문자는 14세기와 15세기 사이에 개발, 수정 및 단순화를 통해 고전적인 고리 모양을 갖추게 되었으며, 이 시기에 종려 잎 필사본 문화가 이 지역에서 지배적이 되었다. 종려 잎은 본질적으로 썩기 쉬우므로, 15세기 이전의 필사본은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최근 작품은 희귀하고 고대 텍스트와 예술적 삽화를 보여주기 때문에 중요하다. 가장 오래된 연대순으로 기록된 종려 잎 필사본 중 하나는 오디샤 주립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아비나바 기타-고빈다이다. 이 필사본의 완성 시기는 서기 1494년으로 추정된다. 박물관에 보관된 다른 필사본에는 자야데바의 기타 고빈다 (16세기)와 18, 19, 20세기의 비교적 최근 작품과 같은 역사적 작품이 포함되어 있다.[9]

압도적으로 오디아 문자는 오디아어를 쓰는 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산스크리트어의 지역적인 쓰기 체계로 사용되었다. 또한 그리슨[10]은 유명한 ''인도 언어 조사''에서 오디아 문자가 차티스가르어, 동부 힌디어의 일종으로, 차티스가르 동부 국경 지역에서 사용되기도 한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데바나가리 문자로 대체된 것으로 보인다.

오리야 문자는 대부분 둥근 모양을 하고 있으며, 싯담에서 파생된 자매 문자들은 가로선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오리야 문자를 읽는 사람은 굽은 고리 아래에서 문자의 관련 특징적인 부분만 찾을 수 있다.

오리야 모음 및 성모와 싯담 문자 대응
아/ଅor이/ଇor이/ଇor이-/ଈor우/ଉor우-/ଊor루/ଋor루-/ୠor리/ଌor리-/ୡor에/ଏor아이/ଐor오/ଓor아우/ଔor
아/𑖀sa아-/𑖁sa이/𑖂sa이-/𑖃sa우/𑖄sa우-/𑖅sa루/𑖆sa루-/𑖇sa리/𑖈sa리-/𑖉sa에/𑖊sa아이/𑖋sa오/𑖌sa아우/𑖍sa


2. 1. 원시 오디아

2. 2. 중세 오디아

2. 3. 과도기 오디아

2. 4. 현대 오디아

3. 문자

오리야 문자는 위에서부터 오리야 문자, ISO 15919에 따른 음역, 국제 음성 기호에 따른 발음 순으로 표기한다. 자음자는 기호를 붙이지 않는 경우, 벵골 문자와 마찬가지로 수반 모음 ɔor를 동반한다. 인도의 많은 언어에서는 수반 모음은 (특히 어말에서) 발음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오리야 문자에서는 항상 발음된다. 벵골 문자처럼 ja와 ya, śaor, ṣaor, sa는 같은 소리가 난다.

벵골 문자와 마찬가지로, va는 ba와 구별되지 않지만, 유니코드에서는 va와 wa의 두 문자가 정의되어 있다. 전자는 일반적으로 결합 문자로 사용되지만, 단독으로는 산스크리트어로부터의 음역 등의 필요에 따라 정의되어 있으며, ba의 글자에 점을 더한 것이다. 후자는 페르시아어에서 차용된 단어에 사용될 수 있다.

'''모음 문자'''

aāiīuūr̥̄l̥̄eaioau
ɔororiororuororruorruːorluorluːororɔi̯orɔorɔu̯or



'''자음 문자'''

kakhagaghaṅacachajajhañaṭaṭhaḍa
orkʰɔorɡɔorɡʱɔorŋɔortʃɔortʃʰɔordʒɔordʒʱɔorɲɔorʈɔorʈʰɔorɖɔor
ଡ଼ଢ଼
ḍhaṛaṛhaṇatathadadhanapaphababha
ɖʱɔorɽɔorɽʱɔorɳɔort̪ɔort̪ʰɔord̪ɔord̪ʱɔorororpʰɔororbʱɔor
mayaẏaralaḷavawaśaṣasaha
ordʒɔororororɭɔororororororor



'''자음자와 모음 기호의 조합'''

600px


600px


이 표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r̥̄의 모음 기호는 r̥의 모음 기호 위에 c가 붙은 형태이며, l̥와 l̥̄의 모음 기호를 나타낼 때는 l̥와 l̥̄의 모음 문자를 문자 아래에 조금 작게 쓴다.

'''자음자와 자음자의 결합 문자'''

କ୍କକ୍ଖକ୍ଗକ୍ଘକ୍ଙକ୍ଚକ୍ଛକ୍ଜକ୍ଝକ୍ଞକ୍ଟକ୍ଠକ୍ଡକ୍ଢକ୍ଡକ୍ଢକ୍ଣକ୍ତକ୍ଥକ୍ଦକ୍ଧକ୍ନକ୍ପକ୍ଫକ୍ବକ୍ଵକ୍ଭକ୍ମକ୍ଯକ୍ୟକ୍ରକ୍ଲକ୍ଳକ୍ୱକ୍ଶକ୍ଷକ୍ସକ୍ହ
ଖ୍କଖ୍ଖଖ୍ଗଖ୍ଘଖ୍ଙଖ୍ଚଖ୍ଛଖ୍ଜଖ୍ଝଖ୍ଞଖ୍ଟଖ୍ଠଖ୍ଡଖ୍ଢଖ୍ଡଖ୍ଢଖ୍ଣଖ୍ତଖ୍ଥଖ୍ଦଖ୍ଧଖ୍ନଖ୍ପଖ୍ଫଖ୍ବଖ୍ଵଖ୍ଭଖ୍ମଖ୍ଯଖ୍ୟଖ୍ରଖ୍ଲଖ୍ଳଖ୍ୱଖ୍ଶଖ୍ଷଖ୍ସଖ୍ହ
ଗ୍କଗ୍ଖଗ୍ଗଗ୍ଘଗ୍ଙଗ୍ଚଗ୍ଛଗ୍ଜଗ୍ଝଗ୍ଞଗ୍ଟଗ୍ଠଗ୍ଡଗ୍ଢଗ୍ଡଗ୍ଢଗ୍ଣଗ୍ତଗ୍ଥଗ୍ଦଗ୍ଧଗ୍ନଗ୍ପଗ୍ଫଗ୍ବଗ୍ଵଗ୍ଭଗ୍ମଗ୍ଯଗ୍ୟଗ୍ରଗ୍ଲଗ୍ଳଗ୍ୱଗ୍ଶଗ୍ଷଗ୍ସଗ୍ହ
ଘ୍କଘ୍ଖଘ୍ଗଘ୍ଘଘ୍ଙଘ୍ଚଘ୍ଛଘ୍ଜଘ୍ଝଘ୍ଞଘ୍ଟଘ୍ଠଘ୍ଡଘ୍ଢଘ୍ଡଘ୍ଢଘ୍ଣଘ୍ତଘ୍ଥଘ୍ଦଘ୍ଧଘ୍ନଘ୍ପଘ୍ଫଘ୍ବଘ୍ଵଘ୍ଭଘ୍ମଘ୍ଯଘ୍ୟଘ୍ରଘ୍ଲଘ୍ଳଘ୍ୱଘ୍ଶଘ୍ଷଘ୍ସଘ୍ହ
ଙ୍କଙ୍ଖଙ୍ଗଙ୍ଘଙ୍ଙଙ୍ଚଙ୍ଛଙ୍ଜଙ୍ଝଙ୍ଞଙ୍ଟଙ୍ଠଙ୍ଡଙ୍ଢଙ୍ଡଙ୍ଢଙ୍ଣଙ୍ତଙ୍ଥଙ୍ଦଙ୍ଧଙ୍ନଙ୍ପଙ୍ଫଙ୍ବଙ୍ଵଙ୍ଭଙ୍ମଙ୍ଯଙ୍ୟଙ୍ରଙ୍ଲଙ୍ଳଙ୍ୱଙ୍ଶଙ୍ଷଙ୍ସଙ୍ହ
ଚ୍କଚ୍ଖଚ୍ଗଚ୍ଘଚ୍ଙଚ୍ଚଚ୍ଛଚ୍ଜଚ୍ଝଚ୍ଞଚ୍ଟଚ୍ଠଚ୍ଡଚ୍ଢଚ୍ଡଚ୍ଢଚ୍ଣଚ୍ତଚ୍ଥଚ୍ଦଚ୍ଧଚ୍ନଚ୍ପଚ୍ଫଚ୍ବଚ୍ଵଚ୍ଭଚ୍ମଚ୍ଯଚ୍ୟଚ୍ରଚ୍ଲଚ୍ଳଚ୍ୱଚ୍ଶଚ୍ଷଚ୍ସଚ୍ହ
ଛ୍କଛ୍ଖଛ୍ଗଛ୍ଘଛ୍ଙଛ୍ଚଛ୍ଛଛ୍ଜଛ୍ଝଛ୍ଞଛ୍ଟଛ୍ଠଛ୍ଡଛ୍ଢଛ୍ଡଛ୍ଢଛ୍ଣଛ୍ତଛ୍ଥଛ୍ଦଛ୍ଧଛ୍ନଛ୍ପଛ୍ଫଛ୍ବଛ୍ଵଛ୍ଭଛ୍ମଛ୍ଯଛ୍ୟଛ୍ରଛ୍ଲଛ୍ଳଛ୍ୱଛ୍ଶଛ୍ଷଛ୍ସଛ୍ହ
ଜ୍କଜ୍ଖଜ୍ଗଜ୍ଘଜ୍ଙଜ୍ଚଜ୍ଛଜ୍ଜଜ୍ଝଜ୍ଞଜ୍ଟଜ୍ଠଜ୍ଡଜ୍ଢଜ୍ଡଜ୍ଢଜ୍ଣଜ୍ତଜ୍ଥଜ୍ଦଜ୍ଧଜ୍ନଜ୍ପଜ୍ଫଜ୍ବଜ୍ଵଜ୍ଭଜ୍ମଜ୍ଯଜ୍ୟଜ୍ରଜ୍ଲଜ୍ଳଜ୍ୱଜ୍ଶଜ୍ଷଜ୍ସଜ୍ହ
ଝ୍କଝ୍ଖଝ୍ଗଝ୍ଘଝ୍ଙଝ୍ଚଝ୍ଛଝ୍ଜଝ୍ଝଝ୍ଞଝ୍ଟଝ୍ଠଝ୍ଡଝ୍ଢଝ୍ଡଝ୍ଢଝ୍ଣଝ୍ତଝ୍ଥଝ୍ଦଝ୍ଧଝ୍ନଝ୍ପଝ୍ଫଝ୍ବଝ୍ଵଝ୍ଭଝ୍ମଝ୍ଯଝ୍ୟଝ୍ରଝ୍ଲଝ୍ଳଝ୍ୱଝ୍ଶଝ୍ଷଝ୍ସଝ୍ହ
ଞ୍କଞ୍ଖଞ୍ଗଞ୍ଘଞ୍ଙଞ୍ଚଞ୍ଛଞ୍ଜଞ୍ଝଞ୍ଞଞ୍ଟଞ୍ଠଞ୍ଡଞ୍ଢଞ୍ଡଞ୍ଢଞ୍ଣଞ୍ତଞ୍ଥଞ୍ଦଞ୍ଧଞ୍ନଞ୍ପଞ୍ଫଞ୍ବଞ୍ଵଞ୍ଭଞ୍ମଞ୍ଯଞ୍ୟଞ୍ରଞ୍ଲଞ୍ଳଞ୍ୱଞ୍ଶଞ୍ଷଞ୍ସଞ୍ହ
ଟ୍କଟ୍ଖଟ୍ଗଟ୍ଘଟ୍ଙଟ୍ଚଟ୍ଛଟ୍ଜଟ୍ଝଟ୍ଞଟ୍ଟଟ୍ଠଟ୍ଡଟ୍ଢଟ୍ଡଟ୍ଢଟ୍ଣଟ୍ତଟ୍ଥଟ୍ଦଟ୍ଧଟ୍ନଟ୍ପଟ୍ଫଟ୍ବଟ୍ଵଟ୍ଭଟ୍ମଟ୍ଯଟ୍ୟଟ୍ରଟ୍ଲଟ୍ଳଟ୍ୱଟ୍ଶଟ୍ଷଟ୍ସଟ୍ହ
ଠ୍କଠ୍ଖଠ୍ଗଠ୍ଘଠ୍ଙଠ୍ଚଠ୍ଛଠ୍ଜଠ୍ଝଠ୍ଞଠ୍ଟଠ୍ଠଠ୍ଡଠ୍ଢଠ୍ଡଠ୍ଢଠ୍ଣଠ୍ତଠ୍ଥଠ୍ଦଠ୍ଧଠ୍ନଠ୍ପଠ୍ଫଠ୍ବଠ୍ଵଠ୍ଭଠ୍ମଠ୍ଯଠ୍ୟଠ୍ରଠ୍ଲଠ୍ଳଠ୍ୱଠ୍ଶଠ୍ଷଠ୍ସଠ୍ହ
ଡ୍କଡ୍ଖଡ୍ଗଡ୍ଘଡ୍ଙଡ୍ଚଡ୍ଛଡ୍ଜଡ୍ଝଡ୍ଞଡ୍ଟଡ୍ଠଡ୍ଡଡ୍ଢଡ୍ଡଡ୍ଢଡ୍ଣଡ୍ତଡ୍ଥଡ୍ଦଡ୍ଧଡ୍ନଡ୍ପଡ୍ଫଡ୍ବଡ୍ଵଡ୍ଭଡ୍ମଡ୍ଯଡ୍ୟଡ୍ରଡ୍ଲଡ୍ଳଡ୍ୱଡ୍ଶଡ୍ଷଡ୍ସଡ୍ହ
ଢ୍କଢ୍ଖଢ୍ଗଢ୍ଘଢ୍ଙଢ୍ଚଢ୍ଛଢ୍ଜଢ୍ଝଢ୍ଞଢ୍ଟଢ୍ଠଢ୍ଡଢ୍ଢଢ୍ଡଢ୍ଢଢ୍ଣଢ୍ତଢ୍ଥଢ୍ଦଢ୍ଧଢ୍ନଢ୍ପଢ୍ଫଢ୍ବଢ୍ଵଢ୍ଭଢ୍ମଢ୍ଯଢ୍ୟଢ୍ରଢ୍ଲଢ୍ଳଢ୍ୱଢ୍ଶଢ୍ଷଢ୍ସଢ୍ହ
ଡ୍କଡ୍ଖଡ୍ଗଡ୍ଘଡ୍ଙଡ୍ଚଡ୍ଛଡ୍ଜଡ୍ଝଡ୍ଞଡ୍ଟଡ୍ଠଡ୍ଡଡ୍ଢଡ୍ଡଡ୍ଢଡ୍ଣଡ୍ତଡ୍ଥଡ୍ଦଡ୍ଧଡ୍ନଡ୍ପଡ୍ଫଡ୍ବଡ୍ଵଡ୍ଭଡ୍ମଡ୍ଯଡ୍ୟଡ୍ରଡ୍ଲଡ୍ଳଡ୍ୱଡ୍ଶଡ୍ଷଡ୍ସଡ୍ହ
ଢ୍କଢ୍ଖଢ୍ଗଢ୍ଘଢ୍ଙଢ୍ଚଢ୍ଛଢ୍ଜଢ୍ଝଢ୍ଞଢ୍ଟଢ୍ଠଢ୍ଡଢ୍ଢଢ୍ଡଢ୍ଢଢ୍ଣଢ୍ତଢ୍ଥଢ୍ଦଢ୍ଧଢ୍ନଢ୍ପଢ୍ଫଢ୍ବଢ୍ଵଢ୍ଭଢ୍ମଢ୍ଯଢ୍ୟଢ୍ରଢ୍ଲଢ୍ଳଢ୍ୱଢ୍ଶଢ୍ଷଢ୍ସଢ୍ହ
ଣ୍କଣ୍ଖଣ୍ଗଣ୍ଘଣ୍ଙଣ୍ଚଣ୍ଛଣ୍ଜଣ୍ଝଣ୍ଞଣ୍ଟଣ୍ଠଣ୍ଡଣ୍ଢଣ୍ଡଣ୍ଢଣ୍ଣଣ୍ତଣ୍ଥଣ୍ଦଣ୍ଧଣ୍ନଣ୍ପଣ୍ଫଣ୍ବଣ୍ଵଣ୍ଭଣ୍ମଣ୍ଯଣ୍ୟଣ୍ରଣ୍ଲଣ୍ଳଣ୍ୱଣ୍ଶଣ୍ଷଣ୍ସଣ୍ହ
ତ୍କତ୍ଖତ୍ଗତ୍ଘତ୍ଙତ୍ଚତ୍ଛତ୍ଜତ୍ଝତ୍ଞତ୍ଟତ୍ଠତ୍ଡତ୍ଢତ୍ଡତ୍ଢତ୍ଣତ୍ତତ୍ଥତ୍ଦତ୍ଧତ୍ନତ୍ପତ୍ଫତ୍ବତ୍ଵତ୍ଭତ୍ମତ୍ଯତ୍ୟତ୍ରତ୍ଲତ୍ଳତ୍ୱତ୍ଶତ୍ଷତ୍ସତ୍ହ
ଥ୍କଥ୍ଖଥ୍ଗଥ୍ଘଥ୍ଙଥ୍ଚଥ୍ଛଥ୍ଜଥ୍ଝଥ୍ଞଥ୍ଟଥ୍ଠଥ୍ଡଥ୍ଢଥ୍ଡଥ୍ଢଥ୍ଣଥ୍ତଥ୍ଥଥ୍ଦଥ୍ଧଥ୍ନଥ୍ପଥ୍ଫଥ୍ବଥ୍ଵଥ୍ଭଥ୍ମଥ୍ଯଥ୍ୟଥ୍ରଥ୍ଲଥ୍ଳଥ୍ୱଥ୍ଶଥ୍ଷଥ୍ସଥ୍ହ
ଦ୍କଦ୍ଖଦ୍ଗଦ୍ଘଦ୍ଙଦ୍ଚଦ୍ଛଦ୍ଜଦ୍ଝଦ୍ଞଦ୍ଟଦ୍ଠଦ୍ଡଦ୍ଢଦ୍ଡଦ୍ଢଦ୍ଣଦ୍ତଦ୍ଥଦ୍ଦଦ୍ଧଦ୍ନଦ୍ପଦ୍ଫଦ୍ବଦ୍ଵଦ୍ଭଦ୍ମଦ୍ଯଦ୍ୟଦ୍ରଦ୍ଲଦ୍ଳଦ୍ୱଦ୍ଶଦ୍ଷଦ୍ସଦ୍ହ
ଧ୍କଧ୍ଖଧ୍ଗଧ୍ଘଧ୍ଙଧ୍ଚଧ୍ଛଧ୍ଜଧ୍ଝଧ୍ଞଧ୍ଟଧ୍ଠଧ୍ଡଧ୍ଢଧ୍ଡଧ୍ଢଧ୍ଣଧ୍ତଧ୍ଥଧ୍ଦଧ୍ଧଧ୍ନଧ୍ପଧ୍ଫଧ୍ବଧ୍ଵଧ୍ଭଧ୍ମଧ୍ଯଧ୍ୟଧ୍ରଧ୍ଲଧ୍ଳଧ୍ୱଧ୍ଶଧ୍ଷଧ୍ସଧ୍ହ
ନ୍କନ୍ଖନ୍ଗନ୍ଘନ୍ଙନ୍ଚନ୍ଛନ୍ଜନ୍ଝନ୍ଞନ୍ଟନ୍ଠନ୍ଡନ୍ଢନ୍ଡନ୍ଢନ୍ଣନ୍ତନ୍ଥନ୍ଦନ୍ଧନ୍ନନ୍ପନ୍ଫନ୍ବନ୍ଵନ୍ଭନ୍ମନ୍ଯନ୍ୟନ୍ରନ୍ଲନ୍ଳନ୍ୱନ୍ଶନ୍ଷନ୍ସନ୍ହ
ପ୍କପ୍ଖପ୍ଗପ୍ଘପ୍ଙପ୍ଚପ୍ଛପ୍ଜପ୍ଝପ୍ଞପ୍ଟପ୍ଠପ୍ଡପ୍ଢପ୍ଡପ୍ଢପ୍ଣପ୍ତପ୍ଥପ୍ଦପ୍ଧପ୍ନପ୍ପପ୍ଫପ୍ବପ୍ଵପ୍ଭପ୍ମପ୍ଯପ୍ୟପ୍ରପ୍ଲପ୍ଳପ୍ୱପ୍ଶପ୍ଷପ୍ସପ୍ହ
ଫ୍କଫ୍ଖଫ୍ଗଫ୍ଘଫ୍ଙଫ୍ଚଫ୍ଛଫ୍ଜଫ୍ଝଫ୍ଞଫ୍ଟଫ୍ଠଫ୍ଡଫ୍ଢଫ୍ଡଫ୍ଢଫ୍ଣଫ୍ତଫ୍ଥଫ୍ଦଫ୍ଧଫ୍ନଫ୍ପଫ୍ଫଫ୍ବଫ୍ଵଫ୍ଭଫ୍ମଫ୍ଯଫ୍ୟଫ୍ରଫ୍ଲଫ୍ଳଫ୍ୱଫ୍ଶଫ୍ଷଫ୍ସଫ୍ହ
ବ୍କବ୍ଖବ୍ଗବ୍ଘବ୍ଙବ୍ଚବ୍ଛବ୍ଜବ୍ଝବ୍ଞବ୍ଟବ୍ଠବ୍ଡବ୍ଢବ୍ଡବ୍ଢବ୍ଣବ୍ତବ୍ଥବ୍ଦବ୍ଧବ୍ନବ୍ପବ୍ଫବ୍ବବ୍ଵବ୍ଭବ୍ମବ୍ଯବ୍ୟବ୍ରବ୍ଲବ୍ଳବ୍ୱବ୍ଶବ୍ଷବ୍ସବ୍ହ
ଵ୍କଵ୍ଖଵ୍ଗଵ୍ଘଵ୍ଙଵ୍ଚଵ୍ଛଵ୍ଜଵ୍ଝଵ୍ଞଵ୍ଟଵ୍ଠଵ୍ଡଵ୍ଢଵ୍ଡଵ୍ଢଵ୍ଣଵ୍ତଵ୍ଥଵ୍ଦଵ୍ଧଵ୍ନଵ୍ପଵ୍ଫଵ୍ବଵ୍ଵଵ୍ଭଵ୍ମଵ୍ଯଵ୍ୟଵ୍ରଵ୍ଲଵ୍ଳଵ୍ୱଵ୍ଶଵ୍ଷଵ୍ସଵ୍ହ
ଭ୍କଭ୍ଖଭ୍ଗଭ୍ଘଭ୍ଙଭ୍ଚଭ୍ଛଭ୍ଜଭ୍ଝଭ୍ଞଭ୍ଟଭ୍ଠଭ୍ଡଭ୍ଢଭ୍ଡଭ୍ଢଭ୍ଣଭ୍ତଭ୍ଥଭ୍ଦଭ୍ଧଭ୍ନଭ୍ପଭ୍ଫଭ୍ବଭ୍ଵଭ୍ଭଭ୍ମଭ୍ଯଭ୍ୟଭ୍ରଭ୍ଲଭ୍ଳଭ୍ୱଭ୍ଶଭ୍ଷଭ୍ସଭ୍ହ
ମ୍କମ୍ଖମ୍ଗମ୍ଘମ୍ଙମ୍ଚମ୍ଛମ୍ଜମ୍ଝମ୍ଞମ୍ଟମ୍ଠମ୍ଡମ୍ଢମ୍ଡମ୍ଢମ୍ଣମ୍ତମ୍ଥମ୍ଦମ୍ଧମ୍ନମ୍ପମ୍ଫମ୍ବମ୍ଵମ୍ଭମ୍ମମ୍ଯମ୍ୟମ୍ରମ୍ଲମ୍ଳମ୍ୱମ୍ଶମ୍ଷମ୍ସମ୍ହ
ଯ୍କଯ୍ଖଯ୍ଗଯ୍ଘଯ୍ଙଯ୍ଚଯ୍ଛଯ୍ଜଯ୍ଝଯ୍ଞଯ୍ଟଯ୍ଠଯ୍ଡଯ୍ଢଯ୍ଡଯ୍ଢଯ୍ଣଯ୍ତଯ୍ଥଯ୍ଦଯ୍ଧଯ୍ନଯ୍ପଯ୍ଫଯ୍ବଯ୍ଵଯ୍ଭଯ୍ମଯ୍ଯଯ୍ୟଯ୍ରଯ୍ଲଯ୍ଳଯ୍ୱଯ୍ଶଯ୍ଷଯ୍ସଯ୍ହ
ୟ୍କୟ୍ଖୟ୍ଗୟ୍ଘୟ୍ଙୟ୍ଚୟ୍ଛୟ୍ଜୟ୍ଝୟ୍ଞୟ୍ଟୟ୍ଠୟ୍ଡୟ୍ଢୟ୍ଡୟ୍ଢୟ୍ଣୟ୍ତୟ୍ଥୟ୍ଦୟ୍ଧୟ୍ନୟ୍ପୟ୍ଫୟ୍ବୟ୍ଵୟ୍ଭୟ୍ମୟ୍ଯୟ୍ୟୟ୍ରୟ୍ଲୟ୍ଳୟ୍ୱୟ୍ଶୟ୍ଷୟ୍ସୟ୍ହ
ର୍କର୍ଖର୍ଗର୍ଘର୍ଙର୍ଚର୍ଛର୍ଜର୍ଝର୍ଞର୍ଟର୍ଠର୍ଡର୍ଢର୍ଡର୍ଢର୍ଣର୍ତର୍ଥର୍ଦର୍ଧର୍ନର୍ପର୍ଫର୍ବର୍ଵର୍ଭର୍ମର୍ଯର୍ୟର୍ରର୍ଲର୍ଳର୍ୱର୍ଶର୍ଷର୍ସର୍ହ
ଲ୍କଲ୍ଖଲ୍ଗଲ୍ଘଲ୍ଙଲ୍ଚଲ୍ଛଲ୍ଜଲ୍ଝଲ୍ଞଲ୍ଟଲ୍ଠଲ୍ଡଲ୍ଢଲ୍ଡଲ୍ଢଲ୍ଣଲ୍ତଲ୍ଥଲ୍ଦଲ୍ଧଲ୍ନଲ୍ପଲ୍ଫଲ୍ବଲ୍ଵଲ୍ଭଲ୍ମଲ୍ଯଲ୍ୟଲ୍ରଲ୍ଲଲ୍ଳଲ୍ୱଲ୍ଶଲ୍ଷଲ୍ସଲ୍ହ
ଳ୍କଳ୍ଖଳ୍ଗଳ୍ଘଳ୍ଙଳ୍ଚଳ୍ଛଳ୍ଜଳ୍ଝଳ୍ଞଳ୍ଟଳ୍ଠଳ୍ଡଳ୍ଢଳ୍ଡଳ୍ଢଳ୍ଣଳ୍ତଳ୍ଥଳ୍ଦଳ୍ଧଳ୍ନଳ୍ପଳ୍ଫଳ୍ବଳ୍ଵଳ୍ଭଳ୍ମଳ୍ଯଳ୍ୟଳ୍ରଳ୍ଲଳ୍ଳଳ୍ୱଳ୍ଶଳ୍ଷଳ୍ସଳ୍ହ
ୱ୍କୱ୍ଖୱ୍ଗୱ୍ଘୱ୍ଙୱ୍ଚୱ୍ଛୱ୍ଜୱ୍ଝୱ୍ଞୱ୍ଟୱ୍ଠୱ୍ଡୱ୍ଢୱ୍ଡୱ୍ଢୱ୍ଣୱ୍ତୱ୍ଥୱ୍ଦୱ୍ଧୱ୍ନୱ୍ପୱ୍ଫୱ୍ବୱ୍ଵୱ୍ଭୱ୍ମୱ୍ଯୱ୍ୟୱ୍ରୱ୍ଲୱ୍ଳୱ୍ୱୱ୍ଶୱ୍ଷୱ୍ସୱ୍ହ
ଶ୍କଶ୍ଖଶ୍ଗଶ୍ଘଶ୍ଙଶ୍ଚଶ୍ଛଶ୍ଜଶ୍ଝଶ୍ଞଶ୍ଟଶ୍ଠଶ୍ଡଶ୍ଢଶ୍ଡଶ୍ଢଶ୍ଣଶ୍ତଶ୍ଥଶ୍ଦଶ୍ଧଶ୍ନଶ୍ପଶ୍ଫଶ୍ବଶ୍ଵଶ୍ଭଶ୍ମଶ୍ଯଶ୍ୟଶ୍ରଶ୍ଲଶ୍ଳଶ୍ୱଶ୍ଶଶ୍ଷଶ୍ସଶ୍ହ
ଷ୍କଷ୍ଖଷ୍ଗଷ୍ଘଷ୍ଙଷ୍ଚଷ୍ଛଷ୍ଜଷ୍ଝଷ୍ଞଷ୍ଟଷ୍ଠଷ୍ଡଷ୍ଢଷ୍ଡଷ୍ଢଷ୍ଣଷ୍ତଷ୍ଥଷ୍ଦଷ୍ଧଷ୍ନଷ୍ପଷ୍ଫଷ୍ବଷ୍ଵଷ୍ଭଷ୍ମଷ୍ଯଷ୍ୟଷ୍ରଷ୍ଲଷ୍ଳଷ୍ୱଷ୍ଶଷ୍ଷଷ୍ସଷ୍ହ
ସ୍କସ୍ଖସ୍ଗସ୍ଘସ୍ଙସ୍ଚସ୍ଛସ୍ଜସ୍ଝସ୍ଞସ୍ଟସ୍ଠସ୍ଡସ୍ଢସ୍ଡସ୍ଢସ୍ଣସ୍ତସ୍ଥସ୍ଦସ୍ଧସ୍ନସ୍ପସ୍ଫସ୍ବସ୍ଵସ୍ଭସ୍ମସ୍ଯସ୍ୟସ୍ରସ୍ଲସ୍ଳସ୍ୱସ୍ଶସ୍ଷସ୍ସସ୍ହ
ହ୍କହ୍ଖହ୍ଗହ୍ଘହ୍ଙହ୍ଚହ୍ଛହ୍ଜହ୍ଝହ୍ଞହ୍ଟହ୍ଠହ୍ଡହ୍ଢହ୍ଡହ୍ଢହ୍ଣହ୍ତହ୍ଥହ୍ଦହ୍ଧହ୍ନହ୍ପହ୍ଫହ୍ବହ୍ଵହ୍ଭହ୍ମହ୍ଯହ୍ୟହ୍ରହ୍ଲହ୍ଳହ୍ୱହ୍ଶହ୍ଷହ୍ସହ୍ହ



'''숫자'''

0123456789¹⁄₁₆³⁄₁₆¼½¾


3. 1. 자음

오리야 문자의 자음은 구조 자음(bargya byan̄jana/ବର୍ଗ୍ୟ ବ୍ୟଞ୍ଜନor)과 비구조 자음(abargya byan̄jana/ଅବର୍ଗ୍ୟ ବ୍ୟଞ୍ଜନor)의 두 가지 범주로 정의된다.

구조 자음은 조음 위치, 즉 혀가 입천장에 닿는 위치에 따라 분류된다.

오리야 구조화 자음
bargya byan̄jana barṇṇa/ବର୍ଗ୍ୟ ବ୍ୟଞ୍ଜନ ବର୍ଣ୍ଣor
Phonetics →Plosive
sparśa/ସ୍ପର୍ଶor
Nasal
anunāsika/ଅନୁନାସିକor
Voicing안울림소리
aghoṣa/ଅଘୋଷor
울림소리
ghoṣa/ଘୋଷor
Aspiration안거센소리
aḻpaprāṇa/ଅଳ୍ପପ୍ରାଣor
거센소리
mahāprāṇa/ମହାପ୍ରାଣor
안거센소리
aḻpaprāṇa/ଅଳ୍ପପ୍ରାଣor
거센소리
mahāprāṇa/ମହାପ୍ରାଣor
안거센소리
aḻpaprāṇa/ଅଳ୍ପପ୍ରାଣor
କଣ୍ଠ୍ୟor
Velar
or (kɔ)or (kʰɔ)or (ɡɔ)or (ɡʱɔ)or (ŋɔ)
ତାଲବ୍ୟor
Palatal
or (tʃɔ)or (tʃʰɔ)or (dʒɔ)or (dʒʱɔ)or (ɲɔ)
ମୂର୍ଦ୍ଧନ୍ୟor
Retroflex
or (ʈɔ)or (ʈʰɔ)or (ɖɔ)or (ɖʱɔ)or (ɳɔ)
ଦନ୍ତ୍ୟor
Dental
or (tɔ)or (tʰɔ)or (dɔ)or (dʱɔ)or (nɔ)
ଓଷ୍ଠ୍ୟor
Labial
or (pɔ)or (pʰɔ)or (bɔ)or (bʱɔ)or (mɔ)



오리야 문자의 비구조화 자음은 구조화 자음에 속하지 않는 나머지 자음을 말한다.

3. 1. 1. 구조화 자음

오리야 구조화 자음
bargya byan̄jana barṇṇa/ବର୍ଗ୍ୟ ବ୍ୟଞ୍ଜନ ବର୍ଣ୍ଣor
Phonetics →Plosive
sparśa/ସ୍ପର୍ଶor
Nasal
anunāsika/ଅନୁନାସିକor
Voicing안울림소리
aghoṣa/ଅଘୋଷor
울림소리
ghoṣa/ଘୋଷor
Aspiration안거센소리
aḻpaprāṇa/ଅଳ୍ପପ୍ରାଣor
거센소리
mahāprāṇa/ମହାପ୍ରାଣor
안거센소리
aḻpaprāṇa/ଅଳ୍ପପ୍ରାଣor
거센소리
mahāprāṇa/ମହାପ୍ରାଣor
안거센소리
aḻpaprāṇa/ଅଳ୍ପପ୍ରାଣor
କଣ୍ଠ୍ୟor
Velar
or (kɔ)or (kʰɔ)or (ɡɔ)or (ɡʱɔ)or (ŋɔ)
ତାଲବ୍ୟor
Palatal
or (tʃɔ)or (tʃʰɔ)or (dʒɔ)or (dʒʱɔ)or (ɲɔ)
ମୂର୍ଦ୍ଧନ୍ୟor
Retroflex
or (ʈɔ)or (ʈʰɔ)or (ɖɔ)or (ɖʱɔ)or (ɳɔ)
ଦନ୍ତ୍ୟor
Dental
or (tɔ)or (tʰɔ)or (dɔ)or (dʱɔ)or (nɔ)
ଓଷ୍ଠ୍ୟor
Labial
or (pɔ)or (pʰɔ)or (bɔ)or (bʱɔ)or (mɔ)


3. 1. 2. 비구조화 자음

오리야 문자의 비구조화 자음은 구조화 자음에 속하지 않는 나머지 자음을 말한다.

3. 1. 3. 추가 자음

3. 2. 모음

오리야 문자는 모든 자음에 내재된 모음이 포함된 음절 문자 또는 아부기다이다. 분음 부호 (자음 위, 아래, 앞 또는 뒤에 나타날 수 있음)는 내재된 모음의 형태를 변경하는 데 사용된다. 모음이 음절의 시작 부분에 나타나면 독립적인 문자로 쓰인다. 또한 특정 자음이 함께 나타날 때는 각 자음 기호의 필수 부분을 결합하기 위해 특수 결합 기호가 사용된다.

장모음과 단모음의 발음에 큰 차이가 없다.

ଇ의 다른 형태는 자음 ଖ (kha), ଥ (tha), ଧ (dha)와 함께 사용된다. 이 분음 부호는 오리야 필기체 스타일 변형인 카라니 문자의 잔재이다.

모음과 분음 부호 및 କ୍[9][14]가 있는 음절
scope=col ଅscope=col ଆscope=col ଇscope=col ଈscope=col ଉscope=col ଊscope=col ଏscope=col ଐscope=col ଓscope=col ଔscope=col ◌
scope=col ◌scope=col ◌ାscope=col ିscope=col ୀscope=col ୁscope=col ୂscope=col ◌େscope=col ୈscope=col ୋscope=col ୌscope=col ‍◌୍
କାକିକୀକୁକୂକେକୈକୋକୌ



추가 모음 분음 부호
ଖିଥିଧି


3. 2. 1. 추가 모음 분음 부호

(소스 내용 없음)

3. 3. 기타 기호

오리야 문자에는 비음화를 나타내는 '''아누스와라'''(ଂ)와 '''찬드라빈두'''(‍ଁ) 부호가 사용된다.[14][15] '''비사르가'''(ଃ)는 음절 끝에 성문 마찰음 ḥ을 추가한다.[14][15]

{| class="wikitable"

|+ 추가 문자 및 부호와 କ 예시

|-

! scope=col colspan=2 {| 아누스와라

! scope=col {| 찬드라빈두

! scope=col

କଂବଂକଁକଃ



기타 기호 및 문장 부호
‍।쉼표
‍॥마침표
‍୰'고(故)'
‍ଓ‍ଁ


3. 4. 숫자

오리야 문자는 고유의 숫자 체계를 가지고 있다. 0부터 9까지의 숫자는 다음과 같다.

숫자
śūnya, sunaekaduitinicāripāñcacha'asātaāṭhana'a



1957년 인도 루피의 십진법 도입 이후로 대부분 사용되지 않지만, 분수 기호 또한 존재한다.

4. 자음 결합

오리야 문자는 둘 이상의 자음이 결합될 때 합자를 형성한다. 오리야 문자의 자음 합자는 "북부" 유형과 "남부" 유형으로 나뉜다.[14]

"북부" 유형은 데바나가리 문자와 같이 둘 이상의 자음이 융합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합자를 이루는 구성 요소를 쉽게 식별할 수도 있지만, 때로는 완전히 새로운 글리프가 만들어지기도 한다.[14]

"남부" 유형은 칸나다어텔루구어처럼 두 번째 자음의 크기가 줄어들어 첫 번째 자음 아래에 위치하는 방식이다.[14]

몇몇 경우에는, ଛ ''차''의 아래 첨자 형태가 ଥ ''타''의 아래 첨자 형태로도 사용되어 혼동될 수 있다.[14]


  • ଛ ''차'': ଚ୍ଛ ''차'', ଞ୍ଛ ''냐차'', ଶ୍ଛ ''샤차''
  • ଥ ''타'': ନ୍ଥ ''ntha'', ସ୍ଥ ''stha''


또한, 비음 부호 ଂ ''ṃ''는 ଫ ''파''와 ଙ ''응''의 글리프 오른쪽에 있는 것과 비슷하게 보인다.[14]

  • ଫ ''파'' (대 ଫଂ ''파ṃ'')
  • ଙ ''응'' (대 ଡଂ ''다ṃ'' 또는 ଉଂ ''uṃ'')
  • ମ୍ଫ ''mpha'' (대 ମ୍ପଂ ''mpaṃ'')

5. 카라니 문자

카라니 문자


카라니 문자(କରଣୀ ଅକ୍ଷର)(차타 문자 ଛଟା ଅକ୍ଷର라고도 함)는 카라나 (କରଣ) 공동체가 개발한 오리야 문자의 필기체/서예체 변형이다.[16] 이 문자는 남부 아시아의 독립 이전 오리사(Odisha, 오디샤)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주로 오리사 토후국의 왕실에서 행정, 문서화, 기록 보관 업무를 담당했던 카라나 공동체에서 사용되었다. 카라니라는 이름은 야자 잎에 글을 쓸 때 사용했던 금속 필기구인 카라니에서 유래되었다.[9][17]

6. 유니코드

오리야 문자는 1991년 10월 버전 1.0이 출시되면서 유니코드 표준에 추가되었다. 오리야 문자에 대한 유니코드 블록은 U+0B00–U+0B7F이다.

오리야 문자
0123456789ABCDEF
U+0B0x ||

|

| || ||

| || ||

| ||

|

|

|

|-

! U+0B1x

|

|

|

| || ||

| || ||

| || ||

| || ||

|

|-

! U+0B2x

| || ||

| || ||

| || ||

|

| || ||

| || ||

|-

! U+0B3x

|

|

| ||

|

| || ||

| ||

|

|

| || ||

|

|-

! U+0B4x

| || ||

| ||

|

|

| ||

|

|

| || ||

|

|

|-

! U+0B5x

|

|

|

|

| ||

|

|

| ||

|

|

|-

! U+0B6x

| || ||

|

|

|

| || ||

| || ||

| || ||

|

|-

! U+0B7x

| || ||

| || ||

| ||

|

|

|

|

|

|

|

|}

[https://www.unicode.org/charts/PDF/U0B00.pdf 공식 유니코드 컨소시엄 코드 차트] (PDF)에서 오리야 문자의 유니코드 할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7. 다른 브라흐미계 문자와의 비교

오리야 문자는 대부분 둥근 모양을 하고 있으며, 싯담에서 파생된 자매 문자들은 가로선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오리야 문자를 읽는 사람은 굽은 고리 아래에서 문자의 관련 특징적인 부분만 찾을 수 있다.

오리야 모음 및 성모와 싯담 문자 대응
𑖀𑖁𑖂𑖃𑖄𑖅𑖆𑖇𑖈𑖉𑖊𑖋𑖌𑖍


참조

[1] 서적 Indian Epigraph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2] 서적 The Indo-Ary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3] 서적 Indian Epigraphy 1998
[4] 서적 The Indo-Ary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5] 서적 Handbook of Literacy in Akshara Orthograph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9
[6] 서적 Indian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Linguistic Society of India. 2020-03-27
[7] 서적 The Evolution of Oriya Language and Script https://books.google[...] Utkal University 2020-03-27
[8] 웹사이트 Odia alphabet, pronunciation and language http://www.omniglot.[...] Omniglot.com 2012-06-14
[9] 학술지 The Oriya Script: Origin, Development and Sources https://www.academia[...] 2012
[10] 웹사이트 LSI Vol-6 https://dsal.uchicag[...] dsal
[11] 웹사이트 Purnachandra Odia Bhasakosha https://archive.org/[...] The Utkal Sahitya Press, Cuttack
[12] 웹사이트 Praharaj, Purnachandra Odia Bhasakosha https://dsal.uchicag[...] dsal
[13] 웹사이트 Purnachandra Odia Bhasakosha https://odiabibhaba.[...] Srujanika
[14] 웹사이트 Chabila Madhu Barnobodha https://archive.org/[...]
[15] 문서 Oriya(Odia) https://www.unicode.[...] Unicode
[16] 웹사이트 ପ୍ରାଚୀନ ସାହିତ୍ୟଗ୍ରନ୍ଥ ସଂପାଦନା-୧ http://14.139.116.20[...] Utkal University 2020-12-25
[17] 웹사이트 Chapter - IV: Development of Oriya Script, Language and Literature http://shodhganga.in[...] 2020-09-30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문서 Oriya ba, va, wa http://www.evertyp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