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칼뱅주의 이중예정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뱅주의 이중예정론은 하나님이 구원받을 자와 멸망받을 자를 미리 정해 놓았다는 교리이다. 이 교리는 유대교, 영지주의 등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기독교 내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가 처음 제시했다. 장 칼뱅은 이중 예정론을 발전시켜, 하나님이 모든 것을 섭리하고 예정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칼뱅은 성경과 현실을 근거로 이 교리를 옹호했지만, 윤리적 문제와 성경 해석의 어려움으로 인해 비판을 받아왔다. 20세기에는 칼 바르트가 이중예정론을 재해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칼뱅주의 이중예정론
칼뱅주의 예정론
젊은 시절의 [[장 칼뱅]]
젊은 시절의 장 칼뱅
신학적 분류
교파개혁교회, 칼뱅주의
신학칼뱅주의 신학
주요 인물
관련 인물아우구스티누스, 토마스 아퀴나스, 마르틴 루터, 울리히 츠빙글리, 존 칼빈, 테오도르 베자, 프란시스 튀레틴, 조나단 에드워즈, 헤르만 바빙크, 카를 바르트, 존 머레이
주요 개념
예정무조건적 선택, 제한 속죄, 불가항력적 은혜, 성도의 견인, 이중 예정
다섯 솔라오직 성경, 오직 은혜, 오직 믿음, 오직 그리스도, 오직 하나님께 영광
관련 교리언약 신학, 신인협동설 (반대)
기타
주제구원론

2. 기원

예정론은 유대교 에세네파,[4] 영지주의,[5] 마니교[6] 등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기독교 내에서는 412년 펠라기우스 논쟁 당시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가 이 교리를 처음 제시하였다.[7] 펠라기우스는 인간이 원죄 없이 태어나며 선과 악을 선택할 자유 의지를 지닌다고 주장한 반면, 아우구스티누스는 사도 바울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인간의 믿음은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은혜의 선물이며 인간은 스스로 선택할 수 없다고 반박하였다. 아우구스티누스는 모든 사람이 하나님의 언약에 반응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며, "세상에 대한 하나님의 일반적인 돌봄은 하나님이 선택받은 자들을 돌보는 방식으로 구체화된다"고 주장했다.[8] 또한 그는 세례 없이 죽은 신생아와 사산아를 지옥으로 보내는 하나님의 정의를 옹호했다.[9]

3. 칼뱅의 예정론

장 칼뱅기독교 강요(1539년)를 통해 예정론을 발전시켰다.[38][39] 이 책은 제네바에서 추방된 후 스트라스부르에서 개혁주의 신학자 마르틴 부처와 정기적으로 상의하며 완성되었다.[38][39] 칼뱅은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며, 섭리예정을 통해 세상 모든 일이 하나님의 뜻대로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섭리가 없으면 세계는 "살 수 없는 곳"이 될 것이고, 예정이 없으면 "아무도 구원받지 못할 것"이라고 보았다.[40]

칼뱅의 섭리 교리는 "모든 사건은 신의 비밀스러운 계획에 의해 다스려진다"는 것이다.[41] 따라서 "신이 알면서도 의도적으로 작정하지 않은 일은 없다." 이것은 사건의 우연성을 배제한다.[41] 칼뱅은 자신의 섭리 교리를 모든 사건에 적용하여 개인의 구원에 대한 자신의 예정 교리로 발전시켰다.[41]

칼뱅은 예정을 "실제적인 사실"로서 설명하기 시작했다. 그가 관찰한 "실제적인 사실"은 "생명의 언약"이 전파되는 사람들 사이에서조차, 그것이 동일하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것이었다.[42] 비록 "모든 사람이 회개와 믿음으로 부름받았으나", 사실상 "회개와 믿음의 영은 모두에게 주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43]

칼뱅은 예수의 가르침에서 이 다양성에 대한 신학적 해석의 근거를 찾았다. 그는 씨 뿌리는 자의 비유를 지적하며, "씨앗이 가시덤불이나 돌밭에 떨어지는 것이 새로운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43] 요한복음 6장 65절에서 "아버지께서 허락하지 않으면 아무도 내게 올 수 없다"는 예수의 가르침에서 칼뱅은 이러한 다양성, 즉 회개와 믿음의 영을 받는 이와 받지 못하는 이가 존재하는 사실에 대한 신학적 해석의 열쇠를 찾았다.[44]

칼뱅의 이러한 관점은 사람이 "신의 심판의 깊이를 헤아릴 수 없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이 심판은 "영원한 선택의 목적에 따라" 이루어진다. 신은 일부에게 구원을 제공하지만, 모든 사람에게는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많은 사람에게 이것은 "어떤 사람은 구원받도록 예정되었고, 어떤 사람은 파멸되도록 예정되었다는 것이 부조리하게 보인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칼뱅은 "선택과 예정에 대한 적절한 관점"이 이 부조리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았다.[42]

따라서 칼뱅은 사람들을 "생명이나 죽음으로 예정된" 존재로 묘사하는 신학의 논거를 성경의 권위와 "실제적인 사실"에서 찾았다.[45] 칼뱅은 성경이 사람으로 하여금 "큰 신비"인 예정을 받아들이라고 요구한다고 보았으며, 동시에 "인간의 호기심"에 대해 경고하기도 했다.[46] 칼뱅주의자들은 믿는 자들에게 있어 "우리의 구원의 원인이 우리에게서 나온 것이 아니라 오직 신에게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아는 것"은 감사해야 마땅할 것으로 여긴다.[47]

3. 1. 칼뱅의 저작

장 칼뱅은 이중 예정론을 가르쳤으며, 이 주제에 대한 기초적인 저작인 기독교 강요(1539년)를 출판했다.[38][39] 이 책은 제네바에서 추방된 후 스트라스부르에서 개혁주의 신학자 마르틴 부처와 정기적으로 상의하며 완성되었다.[38][39] 칼뱅은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섭리와 예정 교리를 발전시켰는데, 섭리가 없으면 세계는 살 수 없는 곳이 되고, 예정이 없으면 아무도 구원받지 못한다고 보았다.[40]

칼뱅의 섭리 교리는 "모든 사건은 신의 비밀스러운 계획에 의해 다스려진다"는 것으로, 신이 의도적으로 작정하지 않은 일은 없다는 것이다.[41] 칼뱅은 이 섭리 교리를 모든 사건에 적용하여 개인의 구원에 대한 예정 교리로 발전시켰다.[41]

칼뱅은 씨 뿌리는 자의 비유와 요한복음 6장 65절("아버지께서 허락하지 않으면 아무도 내게 올 수 없다") 말씀을 근거로, 회개와 믿음의 영을 받는 이와 받지 못하는 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에 대한 신학적 해석을 제시했다.[43][44]

칼뱅은 성경의 권위와 "실제적인 사실"에서 사람들이 "생명이나 죽음으로 예정된" 존재라는 신학의 논거를 찾았다.[45] 그는 성경이 예정이라는 "큰 신비"를 받아들이라고 요구하는 동시에, "인간의 호기심"에 대해 경고한다고 보았다.[46] 칼뱅주의자들은 "구원의 원인이 우리에게서 나온 것이 아니라 오직 신에게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아는 것"에 감사해야 한다고 여긴다.[47]

3. 2. 이중 예정

칼뱅은 하나님이 구원받을 자와 멸망받을 자를 모두 예정했다는 이중 예정을 가르쳤다.[10] 즉, 어떤 사람은 생명으로, 어떤 사람은 죽음으로 예정되었다는 것이다. 칼뱅은 성경과 현실을 근거로 이 교리를 옹호하면서, 인간의 이해를 넘어서는 신비라고 보았다.

'''이중 예정설'''은 하나님이 구원받을 자를 선택하실 뿐만 아니라, 멸망할 자를 또한 창조하신다는 사상이다.[10] 일부 현대 칼뱅주의자들은 이중 예정설이 제기하는 윤리적 딜레마에 대해, 하나님의 적극적인 예정은 선택된 자에게만 해당한다고 설명한다. 하나님은 선택된 자에게 구원을 가져오는 은혜를 베푸시지만, 멸망할 자에게는 구원 은혜를 거두신다. 칼뱅주의자들은 하나님이 스스로의 주권으로 선택된 자 안에서 중생을 일으키지만, 멸망할 자가 죄를 짓도록 강요하지 않기 때문에, 멸망을 예정하신 사람들을 창조하심에도 불구하고 공의로우시고 공정하시다고 가르친다.[11]

존 칼빈은 "이것은 무지하고 유치한 짓이다. 그 반대인 유기가 없이는 예정이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하나님이 지나쳐 가시는 자는 정죄하신다. 그 이유는 그분께서 자신의 자녀들에게 예정하신 상속에서 그들을 제외하기로 기뻐하셨기 때문이다."라고 말하며 이중 예정에 대한 다른 입장을 거부했다.[12]

학자들은 하인리히 불링거가 이중 예정설을 받아들였는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프랭크 A. 제임스 3세는 그가 이중 예정설을 거부하고, 하나님이 구원을 위해 몇몇을 선택하지만, 어떤 식으로든 멸망을 예정하지 않는 "단일 예정설"을 선호했다고 주장한다.[13] 반면에, 코르넬리스 베네마는 "불링거는 일관되게 단일 예정설을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몇몇 경우에 이중 예정설을 옹호했다고 주장한다.[14]

3. 3. 유기와 능동성 문제

칼뱅주의자들은 멸망받을 자들에 대한 하나님의 예정이 능동적인 동시에 수동적이라고 설명한다.[48][24]

이는 대부분의 칼뱅주의자들이 타락후선택설의 관점을 취하기 때문이다. 이 관점에서 하나님은 창조 이전에 인간의 타락이 일어날 것을 먼저 작정하고, 그 후 선택과 유기에 대해 작정했다. 따라서 하나님은 정죄할 자들을 능동적으로 선택하지만, 그들이 죄악된 본성을 가질 것임을 알고 있기 때문에, 그들을 방치하는 방식으로 예정한다. 이러한 교리를 "유기"라고 부른다.[48][24]

4. 평등한 궁극성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은 하나님의 선택과 유기에 대해 "예정"(predestinated)과 "운명지워짐"(foreordained)이라는 다른 용어를 사용하여, 두 행위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지 않음을 시사한다.[49][25] "평등한 궁극성"이라는 용어는 하나님이 선택된 자와 유기된 자 모두에게 동일하게 역사하신다는 관점을 의미한다.[49]

R. C. 스프로울은 이 입장이 유기된 자들의 죄에 하나님이 적극적으로 개입한다는 의미를 내포할 수 있다고 비판한다.[49][25] 반면, 로버트 L. 레이먼드는 평등한 궁극성을 주장하면서도, 두 경우에 동일한 신적 인과성이 있다고 말할 필요는 없다고 제안한다.[50][26]

칼뱅주의자들은 자신들의 체계가 결정론의 형태로 묘사될 수 있다고 해도, 이는 개인의 자유 의지와 도덕적 책임을 강조하는 결정론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그들은 인간의 의지가 죄에 얽매여 있으며, 그 결과 참된 자유를 실현할 수 없다고 본다. 따라서 죄에 얽매인 의지를 가진 개인은 신을 섬기기로 선택할 수 없다. 칼뱅주의자들은 또한 구원이 행위와는 상관없이 오직 은혜로 이루어진다고 믿으며, 신을 믿기로 선택하는 행위를 행위나 일종의 작업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이러한 선택 행위가 구원과 저주의 차이를 만들 수 없다고 본다.

5. 칼뱅주의 이후의 발전

5. 1. 여러 신앙고백서들

네덜란드 신앙고백(벨직신앙고백서)(1561)은 아담의 후손이 타락한 후, 하나님은 자비롭고 정의로운 분으로 자신을 드러내셨다고 말한다. 하나님은 자비로 인해 영원하고 불변하는 계획에 따라 택하신 자들을 구원하시고, 정의로 인해 스스로 타락한 자들을 멸망에 버려두신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1643)은 하나님의 영원한 작정에 대해 설명한다. 하나님은 영원 전부터 모든 일을 자유롭고 불변하게 정하셨지만, 죄의 창조자는 아니며, 피조물의 의지를 침해하지 않는다. 어떤 사람들과 천사들은 영원한 생명으로, 나머지는 영원한 죽음으로 예정되었으며, 이들의 수는 불변하다. 하나님은 선택받은 자들을 오직 은혜와 사랑으로 그리스도 안에서 영원한 영광에 이르도록 선택하셨으며, 구원의 수단들도 함께 예정하셨다. 선택받지 못한 자들은 그들의 죄로 인한 수욕과 진노에 이르도록 작정되어 하나님의 영광스러운 공의를 찬송하게 된다.

5. 2. 바르트주의 견해

20세기 개혁주의 신학자 칼 바르트는 개혁주의 이중예정론을 재해석하였다.[51] 바르트에 따르면 하나님은 그리스도를 거부하며 동시에 선택한 것이다.[51] 각 개인들은 선택의 주체가 아니라 그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있는 것에 의해서 선택되고 거절되는 것이라고 한다.[51]

시르레이 거트리와 같은 바르트 해석자들은 예정론을 사색적이라고 반대하며 바르트의 재해석을 삼위일체론이라고 한다. 하나님은 자유롭게 사람들을 사랑하시고 죄인들에 대한 심판은 사랑과 화해의 갈망에 의해서 움직인다고 한다.[52]

6. 한국 개신교와 예정론

6. 1. 예정론 논쟁

6. 2. 한국 사회와 예정론

7. 비판과 반론

칼뱅주의의 예정론은 전통적으로 다양한 비판에 직면해 왔다.
윤리적 문제칼뱅주의의 예정론은 하나님의 공의와 인간의 자유 의지 문제와 관련하여 윤리적인 질문을 제기한다. 특히, 하나님이 멸망받을 자를 미리 정해 놓았다는 이중 예정 교리는 오랜 기간 비판의 대상이 되어 왔다.
성경 해석 문제칼뱅주의의 예정론에 대한 성경 해석은 신학적 논쟁의 핵심 주제 중 하나이다. 칼뱅주의를 지지하는 이들은 특정한 성경 구절들을 근거로 제시하며 예정론을 옹호한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에 반대하는 이들은 다른 관점의 성경 해석을 제시하며 반박한다. 존 웨슬리는 그의 설교에서 예정론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를 제시하기도 했다.

https://web.archive.org/web/20001209234900/http://gbgm-umc.org/umhistory/Wesley/sermons/serm-058.stm 설교 #58: "예정론" 존 웨슬리

https://web.archive.org/web/20001115075300/http://gbgm-umc.org/UMhistory/Wesley/sermons/serm-128.stm 설교 #128: "자유 은총" 존 웨슬리

https://web.archive.org/web/20150102143940/http://www.wlsessays.net/files/Hussman%20Antecedent%20Will_0.pdf 하나님의 선행 의지와 결과 의지: 이것이 유효하고 유용한 구분인가? A. 허스만 (고백 루터교 관점)

7. 1. 윤리적 문제 칼뱅주의의 예정론은 하나님의 공의와 인간의 자유 의지 문제와 관련하여 윤리적인 질문을 제기한다. 특히, 하나님이 멸망받을 자를 미리 정해 놓았다는 이중 예정 교리는 오랜 기간 비판의 대상이 되어 왔다.

7. 2. 성경 해석 문제

칼뱅주의의 예정론에 대한 성경 해석은 신학적 논쟁의 핵심 주제 중 하나이다. 칼뱅주의를 지지하는 이들은 특정한 성경 구절들을 근거로 제시하며 예정론을 옹호한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에 반대하는 이들은 다른 관점의 성경 해석을 제시하며 반박한다. 존 웨슬리는 그의 설교에서 예정론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를 제시하기도 했다.

참조

[1] 서적 Seeing Beyond the Word: Visual Arts and the Calvinist Tradition Wm. B. Eerdmans Publishing
[2] 학술지 Westminster Assembly and Confession of Faith
[3] 서적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Kessinger Pub
[4] 서적 Judaism Penguin Books 1966
[5] 서적 Culture and Philosophy in the Age of Plotinus Duckworth 2006
[6] 서적 Der Manichäismus.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77
[7] 서적 De pecc. merit.
[8]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Reformed The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9] 서적 Enchir.
[10] 서적 Martin Luther's Theology: A Contemporary Interpretation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08
[11] 서적 What Are Election and Predestination? P & R Pub.
[12] 서적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13] 서적 Peter Martyr Vermigli and Predestination: The Augustinian Inheritance of An Italian Reformer https://www.questia.[...] Clarendon Press 2017-09-08
[14] 서적 Heinrich Bullinger and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2002
[15] 문서 Nimmo, Fergusson, p. 45.
[16] 웹사이트 "Predestination and Providence" in Ad Fontes. To the Sources: A Primer in Reformed Theology https://web.archive.[...] Erdman Center of Continuing Education at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2015-09-18
[17] 서적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18] 서적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19] 서적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20] 서적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21] 서적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22] 서적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23] 웹사이트 John Calvin: Calvin's Commentaries—Complete https://www.ccel.org[...]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2023-04-27
[24] 서적 A New Systematic Theology of the Christian Faith Thomas Nelson
[25] 웹사이트 "Double" Predestination by R.C. Sproul http://www.the-highw[...] 2023-04-27
[26] 서적 A New Systematic Theology of the Christian Faith Thomas Nelson
[27] 서적 Introducing the Reformed Faith Westminster John Knox
[28] 서적 Introducing the Reformed Faith Westminster John Knox
[29] 서적 Seeing Beyond the Word: Visual Arts and the Calvinist Tradition https://archive.org/[...] Wm. B. Eerdmans Publishing
[30] 문서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31] 서적 Martin Luther's Theology: A Contemporary Interpretation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08
[32] 서적 Predestination: Biblical and Theological Paths http://www.oxfordsch[...] Oxford University Press
[33] 서적 Theologie reformierter Bekenntnisschriften Westminster John Knox
[34] 서적 What Are Election and Predestination? P & R Pub.
[35] 서적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36] 서적 Peter Martyr Vermigli and Predestination: The Augustinian Inheritance of An Italian Reformer https://www.questia.[...] Clarendon Press 2017-09-08
[37] 서적 Heinrich Bullinger and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https://archive.org/[...] 2002
[38]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Reformed The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39] 문서 Nimmo, Fergusson, p. 45.
[4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3.ptsem.ed[...] Susan E. Schreiner, "Predestination and Providence" in ''Ad Fontes. To the Sources: A Primer in Reformed Theology'' (Erdman Center of Continuing Education at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2018-02-18
[41] 문서 Calvi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1.16.2–3, 8.
[42] 문서 Calvi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3.21.1.
[43] 문서 Calvi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3.22.10.
[44] 문서 Calvi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3.22.7.
[45] 문서 Calvi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3.21.5.
[46] 문서 Calvi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3.21.1 and 3.23.12.
[47] 웹사이트 John Calvin: Calvin's Commentaries—Complete https://www.ccel.org[...]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2023-04-27
[48] 문서 Robert L. Reymond, ''A New Systematic Theology of the Christian Faith'' (Nashville, Tennessee: Thomas Nelson, 1998), p. 345.
[49] 웹사이트 "Double" Predestination by R.C. Sproul http://www.the-highw[...] 2023-04-27
[50] 문서 Robert L. Reymond, ''A New Systematic Theology of the Christian Faith'' (2nd ed., Nashville, Tennessee: Thomas Nelson, 1998), p. 360.
[51] 서적 Introducing the Reformed Faith https://archive.org/[...] Westminster John Knox
[52] 서적 Introducing the Reformed Faith https://archive.org/[...] Westminster John Knox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