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부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부림은 인류 역사 전반에 걸쳐 발생해 온 사건으로, 암살에 사용되기도 했다. 2013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약 800만 건의 칼부림 사건이 발생했고, 2020년 미국에서는 살인 사건의 일부가 날카로운 도구와 관련되었다. 칼에 찔렸을 때 피부의 탄력성 때문에 내부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쇼크, 출혈, 감염 등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과거에는 복부 칼부림 시 개복술을 시행했으나, 현재는 환자 상태에 따라 수술 여부를 결정한다. 자상 사망 시 부검을 통해 사용된 무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상 공격 - AKB48 악수회 상해 사건
AKB48 악수회 상해 사건은 2014년 5월 AKB48 악수회에서 발생한 흉기 난동 사건으로, 멤버 카와에이 리나 등 3명이 부상을 입고 범인은 징역 6년형을 선고받았으며, 이후 AKB48 그룹은 보안을 강화하고 팬덤 문화에 대한 논란을 낳았다. - 난동살인 - 가와사키시 노보리토 흉기난동 사건
가와사키시 노보리토 흉기난동 사건은 2019년 5월 28일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 노보리토역 부근에서 초등학생과 보호자를 대상으로 발생한 흉기 난동 사건으로, 다수의 부상자와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가해자는 범행 후 자살하여 묻지마 범죄, 혐오 표현, 히키코모리 문제 등을 사회적 의제로 부각시키며 일본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 난동살인 - 타이베이 첩운 흉기난동 사건
타이베이 첩운 흉기난동 사건은 2014년 5월 21일 발생한 사건으로, 정제라는 대학생이 30cm 칼로 승객을 공격하여 4명이 사망하고 24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대만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 모살 - 쾌락살인
쾌락살인은 살인 행위 자체나 살인에 대한 지속적인 성적 환상을 통해 쾌감을 얻는 행위로, 연쇄 살인범에게서 주로 나타나며, 이들은 살인과 성적 만족을 연결하고 피해자에 대한 완전한 통제를 추구하는 경향을 보인다. - 모살 - 스너프 필름
스너프 필름은 사람이 살해되거나 자살하는 장면을 담은 영상 기록물을 의미하며, 경제적 이익을 위해 제작되거나 실제 살인 장면을 담은 것처럼 보이도록 제작되기도 한다.
| 칼부림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유형 | 폭력 범죄 |
| 관련 범죄 | 살인 상해 폭행 협박 |
| 도구 | 칼 흉기 |
| 처벌 | 형법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
| 동의어 | 흉기 난동 |
| 원인 | |
| 사회적 요인 | 빈곤 불평등 실업 사회적 고립 |
| 개인적 요인 | 정신 질환 분노 조절 장애 충동 조절 장애 약물 남용 |
| 대처 방법 | |
| 예방 | 정신 건강 증진 범죄 예방 교육 사회 안전망 강화 |
| 대응 | 경찰 신고 응급 처치 대피 |
2. 역사
칼부림은 인류 역사 전반에 걸쳐 흔히 발생했다. 제2대 칼리프 우마르, 로마 독재관 율리우스 카이사르, 칼리굴라 황제 등 여러 저명한 역사적 인물이 칼부림으로 암살되었다.
2013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약 800만 건의 칼부림 사건이 발생했다.[1] 2020년 미국에서는 22,429건의 살인 사건 중 9%가 날카로운 도구와 관련되었으며, 여성(13%)의 비율이 남성(8.2%)보다 더 높았다.[2]
일본에서는 자살 의식에서 고의적으로 자신을 찌르는 역사적 관행을 할복이라고 한다. 이 의식은 매우 성문화되어 있다.
3. 발생률
3. 1. 대한민국 내 발생 현황
4. 칼의 구조와 상해 원리
인간의 피부는 자기 방어를 위해 탄력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작은 부엌칼과 같은 얇은 물체에 찔렸을 때, 피부는 종종 물체 주위로 단단히 닫혔다가 물체가 제거되면 다시 닫혀서 혈액이 체내에 갇힐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칼날에 있는 길쭉하고 오목한 부분인 풀러는 혈액을 몸 밖으로 내보내 더 많은 손상을 입히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오해로 인해 풀러는 "혈액 홈"(blood groove)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풀러는 실제로 건설에 사용되는 금속 I-빔과 디자인이 유사한 칼날의 구조적 강화이다. 그러나 내부 출혈은 외부 출혈만큼 위험하다. 심각한 부상을 초래할 만큼 혈관이 충분히 절단되면 피부의 탄력성은 혈액이 순환계를 빠져나가 신체의 다른 부위에 쓸데없이 축적되는 것을 막는 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칼에 찔려 사망하는 경우는 쇼크, 심각한 출혈, 감염 또는 심장 및 허파와 같은 필수 기관의 기능 상실로 인해 발생한다.
5. 치료
과거에는 복부에 칼부림 피해가 발생하면 탐색적 수술인 개복술을 시행했으나, 현재는 환자의 상태가 안정적이라면 수술을 하지 않는 것이 안전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 경우 심각한 부상을 나타내는 보상 불가 징후가 있는지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만약 환자가 초기에 불안정한 징후를 보이면 내부 부상을 발견하고 교정하기 위해 개복술을 시행해야 한다.
6. 부검
자상을 입은 사람이 사망하면 시신을 부검하고 법병리학자가 상처 부위를 검사한다. 이러한 조사를 통해 부상을 입히는 데 사용된 무기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외부 외관과 내부 소견을 통해 병리학자는 일반적으로 칼날의 너비와 최소 길이를 포함하여 무기의 크기에 대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무기가 외날인지 양날인지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3]
때로는 칼날의 테이퍼와 상처에서의 칼의 움직임과 같은 요인도 결정될 수 있다. 타박상이나 찰과상은 경비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3]
참조
[1]
저널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01 acute and chronic diseases and injuries in 188 countries,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2015-08-22
[2]
저널
Surveillance for Violent Deaths — National Violent Death Reporting System, 48 States, the District of Columbia, and Puerto Rico, 2020
https://www.cdc.gov/[...]
2023
[3]
저널
Unusual Incised Stab Wound Produced by a Single Edged Weapon: A Case Report
2013-07-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