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벨 (건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벨은 벽에서 돌출되어 구조적 또는 장식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건축 부재이다. 내민 보의 열을 수직으로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고대부터 아치나 돌출부를 지지하는 데 사용되었다. 고대 건축에서는 벌집 집, 누라게, 톨로스 무덤 등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중세 건축에서는 치장벽, 망루, 돌출부 등을 지지하는 데 활용되었다. 코벨은 구조적 기능 외에도 장식적인 요소로 발전하여, 노르만, 고딕, 르네상스 등 다양한 건축 양식에서 조각된 형태로 나타난다. 현대 건축에서는 굴뚝 건설 등에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식 - 카르투슈
카르투슈는 고대 이집트에서 파라오의 이름을 새기는 데 사용된 타원형 장식틀로, 대중문화에서 고대 이집트 배경 작품의 소품으로 등장하며 스토리 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장식 - 장식품
장식품은 다양한 문화권 예술의 중요한 요소로서 시대에 따라 장식 수준이 변동했으며, 알로이스 리글의 연구 이후 다양한 문화유산을 참고한 장식 스타일이 등장했고, 판화 기술 발전은 장식 요소 접근성을 높였으며, 현대 건축에서는 장식 제거 시도와 함께 현대적 장식 어휘 고안 등 다양한 대응이 나타났고, 19세기에는 장식 관련 저서들이 출판되어 당시 장식 예술 경향을 파악하는 데 기여했다. - 건축의장 - 계단
계단은 층간 이동을 위한 구조물로, 다양한 형태와 재료로 만들어지며 디딤판, 챌면, 난간 등으로 구성되고, 건축적 실용성과 더불어 현대에는 유니버설 디자인과 안전이 중요하며 예술적 상징으로도 활용된다. - 건축의장 - 장미창
장미창은 로마 건축의 오쿨루스에서 유래된 원형 창으로, 초기 기독교 건축에서 시작하여 고딕 시대에 이르러 크고 화려하게 발전했으며,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코벨 (건축) | |
---|---|
정의 | |
설명 | 벽에서 튀어나와 위에 놓인 하중을 지지하는 석조물 조각이다. |
어원 | |
유래 | 고대 프랑스어 "corbel", 라틴어 "corbellus" 또는 "corvus"에서 유래 |
의미 | 까마귀 |
건축적 특징 | |
용도 | 아치, 지붕, 발코니 등을 지지하는 데 사용된다. |
재료 | 돌, 나무, 벽돌 등 |
디자인 | 다양한 스타일로 장식될 수 있으며, 특히 중세 건축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종류 | |
콘솔 (Console (architecture)) | 벽에서 돌출되어 받침 역할을 하는 건축 요소. |
모치오쿠리 (持ち送り) | 일본 건축에서 처마 등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재. |
역사적 맥락 | |
사용 시기 | 신석기 시대부터 다양한 문화권에서 사용되었다. (메이스 호의 케언에서 발견) |
특징 | 건축물의 장식적 요소로도 사용되며, 특히 고딕 건축, 신고전주의 건축, 아르누보 양식에서 자주 볼 수 있다. |
2. 역사
내민 보 쌓기는 수직 벽에서 점차적으로 내민 보를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오랫동안 간단한 종류의 아치로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많은 신석기 시대 돌무덤에서 벽이 점차적으로 내민 보로 쌓여 입구가 판석으로 덮일 수 있었다. 내민 보 아치는 세계 초기 건축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되었다.
중세 건축에서는 상층이나 벽 평면에서 앞으로 돌출된 치장벽을 지지하는 데 이 기술이 사용되었으며, 종종 치성벽을 형성했다. 이것은 나중에 구멍 없이 장식적인 특징이 되었다. 상층을 지지하고 특히 돌출된 모서리 망루를 지지하는 내민 보는 이후 스코틀랜드 남작 스타일의 특징이 되었다.
중세 목조 건물은 종종 내민 보와 유사한 방식으로 상층이 돌출된 나무 보 위에 캔틸레버로 튀어나온 돌출부를 사용했다.
내밀 구조는 일련의 내밀부를 벽에 깊이 맞물리게 하여 돌출된 벽이나 난간을 지지하는 기술로, 신석기 시대부터 사용되어 왔다[4].
2. 1. 고대 건축

코벨 구조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용되어 왔다.[4] 고대 이집트를 비롯한 여러 문명에서 코벨 구조를 찾아볼 수 있다. 특히, 고대 그리스 건축의 코린트식 오더에서 볼 수 있는 처마 내닫이(modillion)는 코벨의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이다.[4] 고대 중국에서도 내닫이 구조가 사용되었으며, 석재와 목재 모두에 사용된 이 구조는 '두공'이라고 불린다. 일본에서는 쿠미모노에 해당한다.
2. 2. 중세 건축
노르만(로마네스크) 양식의 코벨은 단순한 형태가 많았지만, 사람, 동물, 상상의 짐승 등을 조각한 장식적인 코벨도 등장했다. 킬펙, 허리퍼드셔의 성 마리아와 성 데이비드 교회에는 12세기에 제작된 다양한 조각 코벨이 85개(원래 91개)나 남아있다.[3]초기 영국 시대에는 링컨 대성당과 같이 정교하게 조각된 코벨이 사용되기도 했고, 때로는 더 단순하게 조각되기도 했다.

중세 건축에서는 상층이나 벽면에서 앞으로 돌출된 치장벽을 지지하기 위해 코벨이 사용되었으며, 종종 치성벽을 형성했다. 이 사이의 구멍은 공격자에게 물건을 떨어뜨리는 데 사용될 수 있었다. 이후 구멍이 없는 장식적인 특징으로 변화했으며, 상층, 특히 모서리 망루를 지지하는 코벨은 스코틀랜드 남작 스타일의 특징이 되었다.
3. 종류 및 형태
노르만 건축(로마네스크 건축) 코벨은 단순한 외관을 가지기도 하지만, 사람, 동물, 상상의 "짐승" 머리 등 다양한 모티프로 정교하게 조각되기도 했다. 킬펙의 성 마리아와 성 데이비드 교회에는 85개의 풍부하게 조각된 코벨이 남아있어 주목할 만하다.[3] 초기 영국 시대의 링컨 대성당 코벨도 정교하게 조각된 예시이다.
코벨은 때때로 벽 안으로 자라나거나 매듭을 형성하며, 천사나 다른 인물들이 받치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후기에는 기둥의 주두와 유사한 잎사귀 등의 장식이 코벨에 사용되었다.
잉글랜드의 목조 가구 작업에서는 창틀이나 돌출 창을 지지하는 나무 코벨("태슬" 또는 "브래거")이 많이 사용되었고, 이 역시 조각으로 장식되었다.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발코니를 받치는 코벨은 매우 크고 화려하게 조각되었으며, 특히 이탈리아 친퀘첸토(16세기) 양식에서 훌륭한 예시들을 찾아볼 수 있다. 19세기 보자르 건축에서는 코벨 표현에 더욱 다양한 상상력이 발휘되었다.
코벨 테이블은 일련의 코벨 위에 얹혀진 돌출된 띠 모양 장식(스트링 코스)이다. 코벨 아래에 작은 아케이드를 형성하기도 하며, 롬바르드 건축에서는 층을 나누거나 벽면을 분할하는 장식으로 사용되었다. 이탈리아에서는 코벨 위에 몰딩을 만들고 파라펫을 형성하기도 했다.[4]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코벨 테이블 아치를 지지하는 코벨은 정교하게 몰딩되었고, 여러 겹으로 돌출되기도 했다. 영국과 프랑스 성의 마키쿨레이션을 지지하는 코벨은 네 겹으로 구성되었다.[4]
현대 굴뚝 건설에서 코벨 테이블은 콘크리트 링 빔 형태로 연도 내부에 건설된다. 코벨은 현장 타설 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일 수 있으며, 약 10미터 간격으로 건설되어 내화 벽돌의 안정성을 보장한다.
내밀 구조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용된 기술로, 벽에 깊이 맞물린 돌출부를 통해 벽이나 난간을 지지한다. 메이즈하우와 같은 신석기 시대 유적에서 그 예시를 볼 수 있다. 중세 건축, 스코틀랜드 고딕 리바이벌 건축(en)에서 자주 사용되었으며, 고전 건축의 코린트식 오더, 고대 중국 건축에서도 나타난다.
"corbel"이라는 단어는 고대 프랑스어에서 유래했으며, 라틴어 ''corbellus''(큰까마귀를 뜻하는 ''corvus''의 축소형)에서 파생되어 부리 모양을 나타낸다.[4] 프랑스어로는 실내 내밀 구조를 ''corbeau''(까마귀)라고 부른다. ''cul-de-lampe''(吊束飾り)는 볼트를 지지하는 일종의 내밀 구조를 가리키기도 한다.[5] 이탈리아어로는 ''mensola'', 독일어로는 ''Kragstein''이라고 부른다.[4] 프랑스어에서는 고전 건축의 내밀부를 ''modillon''이라고 부른다.
중국에서는 기원전부터 석재와 목재 코벨을 모두 "두공"이라고 불렀으며, 일본 사찰 건축의 "쿠미모노"가 이에 해당한다.
3. 1. 구조적 코벨


내민 보 쌓기는 내민 보의 열이 수직에서 점차 벽을 쌓아올리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많은 신석기 시대 돌무덤에서 벽이 점차적으로 내민 보로 쌓여 입구가 판석으로 덮일 수 있게 하는 등, 오랫동안 간단한 종류의 아치로 사용되어 왔다.
내민 보 아치는 세계 초기 건축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되었다. 다양한 유형은 벌집 집 (고대 영국 등), 아일랜드의 클로한, 로마 이전 사르데냐의 누라게, 후기 청동기 시대 그리스 및 지중해의 다른 지역의 톨로스 무덤 (또는 "벌집 무덤")이라고 불릴 수 있다.
중세 건축에서는 상층이나 벽 평면에서 앞으로 돌출된 치장벽을 지지하는 데 이 기술이 사용되었으며, 종종 치성벽을 형성했다(내민 보 사이의 구멍은 공격자에게 물건을 떨어뜨리는 데 사용될 수 있었다). 이것은 나중에 구멍 없이 장식적인 특징이 되었다. 상층을 지지하고 특히 돌출된 모서리 망루를 지지하는 내민 보는 이후 스코틀랜드 남작 스타일의 특징이 되었다.
중세 목조 건물은 종종 내민 보와 유사한 방식으로 상층이 돌출된 나무 보 위에 캔틸레버로 튀어나온 돌출부를 사용한다.
3. 2. 장식적 코벨
노르만(로마네스크) 코벨은 종종 단순한 외관을 가지고 있지만, 사람, 동물 또는 상상의 "짐승"의 양식화된 머리, 때로는 다른 모티프(예: 킬펙, 허리퍼드셔의 성 마리아와 성 데이비드 교회는 85개의 원래의 풍부하게 조각된 코벨 중 91개가 여전히 남아 있어 주목할 만한 예시이다.)로 정교하게 조각될 수 있다.[3] 초기 영국 시대에도 링컨 대성당과 같이 코벨이 정교하게 조각되기도 했고, 때로는 더 단순하게 조각되기도 했다.코벨은 때때로 벽 안으로 자라는 것처럼 보이거나 매듭을 형성하며 끝나기도 하며, 종종 천사나 다른 인물들이 받치고 있다. 후기에는 코벨에 사용된 조각된 잎사귀와 기타 장식품이 기둥의 주두에 사용된 것과 유사하다.
잉글랜드 전역의 목조 가구 작업에서는 창틀이나 나무로 된 돌출 창을 지지하는 나무 코벨("태슬" 또는 "브래거")이 풍부하며, 이 또한 종종 조각된다.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 발코니를 받치는 코벨은 때때로 매우 크고 풍부하게 조각되었으며, 이탈리아 친퀘첸토 (16세기) 양식의 가장 훌륭한 예 중 일부가 여기에 있다. 16세기 관행을 따라 19세기 보자르 건축의 파리 출신 디자이너들은 코벨을 다양하게 표현하는 데 상상력을 발휘하도록 권장되었다.

3. 3. 코벨 테이블
코벨 테이블은 일련의 코벨 위에 얹혀진 돌출된 띠 모양의 장식(스트링 코스)이다. 때로는 코벨 아래에 작은 아케이드를 형성하기도 하며, 아치의 아치형은 뾰족하고 트레포일 모양이다. 일반적으로 코벨 테이블은 빗물받이를 지지하지만, 롬바르드 건축에서는 아케이드형 코벨 테이블이 층을 나누거나 벽면을 분할하는 장식으로 사용되었다. 이탈리아에서는 때때로 코벨 위에 몰딩을 형성하고, 그 위에 파라펫을 형성하는 평평한 벽이 돌출되기도 하였다.[4]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 코벨 테이블의 아치를 지지하는 코벨은 정교하게 몰딩된 경우가 많으며, 때로는 서로 겹쳐서 두세 겹으로 돌출되었다. 영국과 프랑스 성의 마키쿨레이션을 지지하는 코벨은 네 겹으로 구성되었다.[4]
4. 갤러리
참조
[1]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Second Edition on CD-ROM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2]
서적
The Classical Language of Architecture
Thames and Hudson
1980
[3]
웹사이트
CRSBI website: St Mary and St David, Kilpeck, Herefordshire
http://www.crsbi.ac.[...]
[4]
위키문헌
Corbel
[5]
웹사이트
Die.net definition
http://dictionary.di[...]
[6]
웹사이트
CRSBI website: St Mary and St David, Kilpeck, Herefordshire
http://www.crsbi.ac.[...]
[7]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Second Edition on CD-ROM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