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에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에어족은 남아프리카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의 어족으로, 10~20여 개의 언어와 다양한 방언군으로 구성된다. 2천 년 전 보츠와나에 진입한 농경 목축 집단에서 기원하며, 주어파 언어 화자들과의 혼합을 거쳐 형성되었다. 코에콰디어족과 가장 가까운 관계이며, 고립어인 산다웨어와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된다. 코에어족은 코에코에어파와 칼라하리어파로 분류되며, 각 파는 다시 하위 군으로 나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에어족 - 코에코에어
코에코에어는 코에어족 언어로서 과거 주어족 언어를 사용하던 하이옴족이 언어 전환한 언어이며, 복잡한 음운 체계를 가지고 나미비아의 국어이자 공용어이지만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 - 코에어족 - 콰디어
콰디어는 7개의 구두 모음과 3개의 비모음을 가지며, 다양한 자음 체계와 더불어 1, 2인칭 대명사 및 주격, 목적격, 소유격을 구분하고, 명사는 성과 수를 구분하는 언어이다. - 코이산 제어 - 산다웨어
산다웨어는 탄자니아에서 쓰이는 고립된 언어로, 복잡한 음운 체계, SOV 어순, 명사 성별 구분을 특징으로 하며, 코에어와 친족 관계 가능성이 제기된다. - 코이산 제어 - 하자어
하자어는 탄자니아 하자족의 고립어로, 과거 코이산어족으로 분류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계통적 연관성이 불분명하며, 단순한 음절 구조와 형태소 중간 흡착음, 문법적 성과 수, 최대 두 개의 목적어를 가질 수 있는 동사 특징을 지닌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코에어족 | |
---|---|
개요 | |
이름 | 코에어족 |
다른 이름 | 중앙 코이산어파 (폐기) |
지역 | 나미비아 및 칼라하리 사막 |
어족 색상 | 코이산 |
계통 분류 | |
1단계 | 코에-콰디어족 |
하위 1 | 코에코에어파 |
하위 2 | 추-크웨 |
조어 | 원시 코에어 |
언어 코드 | |
Glottolog | khoe1241 khoe1240 (Khoe-Kwadi) |
Glottolog 참조 | 코에 |
음운 정보 | |
로마자 표기 | Kway |
2. 역사
톰 귈데만은 코에콰디조어를 사용하는 농경목축인 집단이 약 2천 년 전에 북동쪽에서 (즉 오늘날 산다웨어가 사용되는 방향으로부터) 보츠와나에 진입했으며, 칼라하리 지역에서 아직 농경이 가능했을 시기에, 세력을 확장하는 반투인들로부터 농경을 받아들였으리라고 본다.[9] 콰디인(과 아마도 다마라인)의 조상은 서쪽으로 계속 이주한 반면, 칼라하리 지역에 정착한 이들은 주어파 언어 화자들을 흡수했을 것이다. 이로 인해 코에어족에는 주어의 영향이 남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이주민들은 북동부 칼라하리인(언어적으로는 동추크웨어군 화자)의 조상이 되었으며, 남서쪽에서는 이웃한 주어 (아마도 더 일반적으로는 카어족) 화자들이 코에어족 화자로 전환되면서 서추크웨어군의 조상이 되었다.
이후 칼라하리 지역이 사막화되면서 칼라하리인들은 수렵채집 경제를 채택했고, 반투 농경민이 남하했음에도 흡수되지 않는 결과를 낳았다.
남서쪽으로 이주를 계속한 코에어족 화자들은 목축을 유지했으며 코에코에인이 되었다. 이들은 투어족 화자들과 대규모로 혼합되면서 그들 언어의 특징을 흡수했다. 이로 인해 코에코에어파 언어들에는 투어족 및 카어족 기층이 남게 되었다.[3] 나마인은 16세기 이후로 나미비아로 영역을 확장하고 다마라인이나 하이뜰롬인과 같은 예속 민족들을 흡수했으며, 이는 대략 유럽인과의 조우 및 식민지화의 시기와 맞물린다.
2. 1. 코에콰디어족 가설
코에어족은 앙골라의 사어인 콰디어와 가장 가까운 관계이며, 이 둘을 묶어 '''코에콰디어족'''이라고 한다. 콰디어 기록 부족으로 인해 공통된 단어 중 어느 것이 동근어이고 어느 것이 차용어인지 구분하기는 힘들다.2. 2. 산다웨어와의 관계
코에어족은 고립어인 산다웨어와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고 있다. 산다웨어의 대명사 체계는 코에콰디어족과 매우 유사하지만, 규칙적인 소리 대응 면에서는 상관관계가 충분히 알려져 있지 않다. 후설모음 제약 등 코에어족에는 있지만 산다웨어에는 없는 특징을 고려하면, 둘 간의 계통적 관계는 어느 정도 예측력을 갖는다.3. 분류
코에어족에는 10~20여 개의 언어가 속하지만, 방언군이 많아 어떤 것을 서로 다른 언어로 분류할 것인지는 어느 정도 주관적이다.[10] 각 방언군을 하나로 묶는 경우 코에어족에는 아홉 개 언어가 속하게 된다.[10]
코에어족과 계통적으로 가장 가까운 언어는 앙골라의 사어인 콰디어일 수 있다. 이 둘을 묶는 어족을 '''코에콰디어족'''이라고 하며, 대명사와 일부 기초 어휘가 재구된 바 있다. 그러나 콰디어 기록이 부족하므로 공통된 단어 중 어느 것이 동근이고 어느 것이 차용일지 구분하기는 힘들다.[10] 그 다음으로 가까운 언어는 고립어인 산다웨어일 수 있는데, 산다웨어의 대명사 체계는 코에콰디어족과 매우 유사하지만, 규칙적인 소리 대응 면에서는 상관관계가 충분히 알려져 있지 않다.[10] 그럼에도 예컨대 코에어족에는 있지만 산다웨어에는 없는 후설모음 제약 등을 고려하면, 둘 간의 계통적 관계는 어느 정도 예측력을 갖는다.[10]
코에어족은 크게 코에코에어파와 칼라하리어파로 나뉜다. 코에코에어파는 북코에코에어군 (코에코에어, 에이니어†)과 남코에코에어군 (코에마나어)으로, 칼라하리어파는 동칼라하리어군 (슈아어, 초아어, 찌하어)과 서칼라하리어군 (코에어, 나로어, 탸바어, 들라나어)으로 구성된다.
- 나마어는 땨코에 및 하이뜰롬 방언을 포함하는 방언군이다.
- 히리어는 그리콰어 또는 케이프 호텐토트어로도 알려진 방언군이다.
- 슈아어는 슈와, 데티, 찌하, 차이세, 가나디 방언을 포함하는 방언군이다.
- 초아어는 치레치레 및 쿠아 방언을 포함하는 방언군이다.
- 코에어는 뜰라니어와 부가 방언을 포함하는 방언군이다.
- 나로어는 방언군이다.
- 들라나어는 즈위어를 포함하는 방언군으로, 탸바어는 여기에 포함되기도 하나 나로어에 더 가까울 수 있다.
- 찌하어는 슈아어에 더 가까운지 코에어에 더 가까운지 아직 확실하지 않다.
동칼라하리어군에서는 대부분 치경 흡착음과 경구개 흡착음이 사라졌거나 사라지는 중이다.[10]
3. 1. 코에코에어파
3. 1. 1. 북코에코에어군
코에코에어, 에이니어†3. 1. 2. 남코에코에어군
코에마나어는 코라나어, 그리콰어라고도 불린다.3. 2. 칼라하리어파 (추크웨어파)
3. 2. 1. 동칼라하리어군
슈아어는 슈와, 데티, 찌하, 차이세, 가나디 방언을 포함하는 방언군이다. 초아어는 치레치레 및 쿠아 방언을 포함하는 방언군이다. 찌하어는 슈아어에 더 가까운지 코에어에 더 가까운지 아직 확실하지 않다.3. 2. 2. 서칼라하리어군
코에어는 뜰라니어와 부가 방언을 포함하는 방언군이다. 나로어는 방언군이다. 들라나어는 즈위어를 포함하는 방언군이며, 탸바어는 여기에 포함되기도 하나 나로어에 더 가까울 수 있다.3. 3. 기타
4. 더 읽어보기
- Kenneth L. Baucom영어 1974. Proto-Central-Khoisan영어. In Erhard Friedrich Karl Voeltz영어 (ed.), ''Proceedings of the 3rd annual conference on African linguistics영어'', 7-8 April 1972, 3-37. Bloomington영어: Research Institute for Inner Asian Studies영어, Indiana University영어.
참조
[1]
Glottolog
Khoe–Kwadi
[2]
서적
The Khoisan Languages of Southern Africa
2019
[3]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Africa
De Gruyter Mouton
[4]
간행물
"The Linguistic Prehistory of Southern Africa: Bush, Kwadi, Hottentot, and Bantu Linguistic Relationships"
1963-07
[5]
문서
"Names of Khoisan Languages and their Variants"
[6]
Glottolog
Khoe–Kwadi
Glottolog. Leipzig: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13
[7]
학술지
코이산 제어의 클릭 자음의 기술적 틀(<특집>아프리카 제어의 음성)
https://doi.org/10.2[...]
일본음성학회
1998
[8]
Glottolog
Khoe–Kwadi
[9]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Africa
De Gruyter Mouton
[10]
간행물
"The Linguistic Prehistory of Southern Africa: Bush, Kwadi, Hottentot, and Bantu Linguistic Relationships"
1963-07
[11]
문서
"Names of Khoisan Languages and their Varian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