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라칼파크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라칼팍인은 주로 우즈베키스탄의 카라칼팍스탄 자치 공화국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이다.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11세기의 투르크 연합인 체르니예 클로부키와 연관되며, 카자흐족, 우즈베크족과 함께 우즈베크 칸국의 하위 집단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카라칼팍어는 튀르크어족에 속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문화적으로는 구전 문학이 발달했으며, 호라즘 지역의 전설과 전통을 공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르크메니스탄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투르크메니스탄의 민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 아시아의 튀르크족 - 돌간인
    돌간인은 러시아의 소수 민족으로, 에벤키, 야쿠트인 등의 영향으로 민족 정체성이 형성되었으며, 전통적으로 순록을 치는 유목 생활을 하다가 소련 시대에는 집단 농장에서 다양한 산업에 종사했다.
  • 아시아의 튀르크족 - 토파인
    러시아 이르쿠츠크주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인 토파인은 "사슴의 사람들"을 의미하는 투르크어에서 유래했으며, 동 사얀 산맥에 정착한 사모예드족 수렵 채집인에서 기원하여 튀르크화 과정을 거쳐 현재의 언어와 문화를 형성했고, 순록 사육, 덫 사냥, 사냥을 통해 유목 생활을 유지해 왔으나 러시아 제국 확장과 소련 집단화 시기를 거치면서 큰 변화를 겪으며 조상의 땅에 대한 권리 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튀르크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튀르크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카라칼파크인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카라칼팍스탄의 국기
카라칼팍 소년들의 경주 (타흐타쾨피르)
인구
총 인구871,970명
우즈베키스탄752,000명
카라칼팍스탄720,940명
터키81,700명
이란55,300명
카자흐스탄50,000–200,000명
투르크메니스탄5,600명
키르기스스탄1,200명
러시아838명
우크라이나117명
언어
사용 언어카라칼팍어
러시아어
우즈베크어
종교
주요 종교수니파 이슬람교
민족 계통 및 관련 민족
민족 계통킵차크족
관련 민족카자흐인
키르기스인
노가이인

2. 역사

카라칼팍족은 15세기에 징기스칸 제국이 붕괴되고 금장군이 무너진 후 등장한 우즈베크 연합의 하위 집단으로, 우즈베크족, 카자흐족과 함께 그 기원을 공유한다. 카라칼팍족 집단은 17세기에 카자흐 연합으로부터 분리되었다.[12]

18세기 카라칼팍족은 칼미크의 지배를 받기도 하고, 시르다리야 하류로 도망치기도 하는 등 어려운 시기를 겪었다. 1810년부터 히바 칸국의 역사와 밀접하게 연결되었으며, 빈민들은 부유한 자들과 관리들에게 농장 노동자로 고용되면서 계급 차별과 모순이 심화되었다.

1867년, 러시아 제국에 정복되어 투르키스탄 총독부 관할 하에 놓였다. 러시아 혁명 이후 소비에트 연방에 속하게 되었고, 1920년 키르기스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현재의 카자흐스탄)이 성립되었다. 1925년 카라칼팍인들은 그 산하의 카라칼팍 자치주를 구성했고, 1932년 카라칼팍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승격되었다. 1936년에는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편입되었다.

1991년 우즈베키스탄 독립 이후에도 카라칼팍인들은 카라칼팍스탄 자치 공화국을 구성하고 있지만, 인구 구성상 우즈베크인이 다수이며 주도권을 가지고 있다.

2. 1. 기원과 초기 역사

"카라칼팍"이라는 단어는 러시아어 키릴 문자 표기에서 유래되었으며, 서구에서 이 민족을 부르는 일반적인 명칭이 되었다. 카라칼팍인들은 스스로를 "Qaraqalpaqs"라고 부르며, 우즈베크인들은 이들을 "Qoraqalpoqs"라고 부른다. 이 단어는 "검은색 칼팍(모자)"을 의미하는데, 이 때문에 역사가들은 이들을 "검은 모자"라는 명칭을 가진 다른 초기 민족들, 예를 들어 체르니예 클로부키와 연결시키면서 혼란을 겪기도 했다.

많은 자료에서 현재의 카라칼팍족을 11세기의 투르크 연합인 체르니예 클로부키와 연결짓고 있는데, 이들의 이름은 러시아어로도 "검은 모자"를 의미한다. 체르니예 클로부키는 키예프 루스의 용병 군대였다. 그러나 이름의 의미가 같다는 점 외에는 이 두 집단을 연결하는 고고학적 또는 역사적 증거는 없다.

카라칼팍족, 우즈베크족, 카자흐족은 15세기에 징기스칸 제국이 붕괴되고 금장군이 무너진 후 등장한 우즈베크 연합의 하위 집단으로 여겨진다. 카라칼팍족 집단은 17세기에 카자흐 연합으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되었다.[12]

최근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카라칼팍족은 15세기 후반 또는 16세기에 시르다리야 강 또는 그 남쪽 지류인 자냐다리야를 따라, 소 유르트의 카자흐족과 가까운 어딘가에서 여러 부족의 연합으로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그들의 언어, 관습, 물질 문화가 카자흐족과 매우 유사한 이유를 설명해준다.[13]

카라칼팍족의 가장 오래된 조상은 기원전 1세기 이후 아랄해 남안에 살았던 사카, 마사게타이 등의 민족이었다. 2세기 말부터 4세기까지 동방에서 흉노족이, 6세기부터 8세기에는 돌궐이 밀려들어 부분적으로 투르크화가 시작되었고, 페체네그, 오구즈 등의 민족이 형성되면서 카라칼팍족의 형성도 시작되었다.[19]

10세기 초, 페체네그족의 일부는 서쪽 남러시아의 스텝으로 이동했고, 키예프 루스 영내에 들어온 부족은 러시아 연대기에 “초르누이 크롭키(검은 모자)”라고 불렸다. 볼가 강과 우랄 산맥 사이에 남은 페체네그족은 이르티시 강 쪽에서 이주해 온 킵차크와 섞여 그들의 언어를 받아들였다.[19]

16세기, 카잔 칸국에서 칭기즈 칸의 장자 조치의 후예인 노가이 계통의 왕족이 지휘하는 유목 집단, 즉 노가이인과 함께 볼가 강 유역에 유목하고 있던 집단으로서 문헌에 분명하게 등장한다. 카잔 멸망 후, 시르다리야 강 유역으로 갔다.[19]

16세기부터 17세기, 카자흐인과 함께 시르다리야 강 중류 및 하류 유역에 유목했다. 17세기 초, 노가이인과 함께 엠바 및 야이카 강 상류와 시르다리야 강 하류에 정착했다. 이들 카라칼팍족은 부하라 칸국과의 관계를 맺었고, 북부 카라칼팍족은 카자흐 칸인 타우케(재위: 1680년 - 1718년)에 예속했다.[19]

1723년, 준가르의 침략으로 인한 “대재앙”을 당했고, 1730년 카자흐 칸국의 소주즈는 러시아 제국의 보호를 요청했다.[20] 그러나 그 후에도 준가르의 침략은 계속되었고, 1743년 카자흐 칸국의 소주즈에서 쫓겨났으며, 17세기부터 19세기 초, 카라칼팍족의 대다수는 호라즘의 옛 땅인 아무다리야 강과 프리다리야 양 강의 삼각주 지대에 거주했다.

2. 2. 중세 시대

많은 자료에서 현재의 카라칼팍족을 11세기의 투르크 연합인 체르니예 클로부키와 연결짓고 있다. 체르니예 클로부키는 키예프 루스의 용병 군대였으며, 이들의 이름은 러시아어로 "검은 모자"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름의 의미가 같다는 점 외에는 이 두 집단을 연결하는 고고학적 또는 역사적 증거는 없다.

카라칼팍족, 우즈베크족, 카자흐족은 15세기에 징기스칸 제국이 붕괴되고 금장군이 무너진 후 등장한 우즈베크 연합의 하위 집단으로 여겨진다. 카라칼팍족 집단은 17세기에 카자흐 연합으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되었다.[12]

최근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카라칼팍족은 15세기 후반 또는 16세기에 시르다리야 강 또는 그 남쪽 지류인 자냐다리야를 따라, 소 유르트의 카자흐족과 가까운 어딘가에서 여러 부족의 연합으로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그들의 언어, 관습, 물질 문화가 카자흐족과 매우 유사한 이유를 설명해 준다.[13]

카라칼팍족의 가장 오래된 조상은 기원전 1세기 이후 아랄해 남안에 살았던 사카, 마사게타이 등의 민족이었다. 2세기 말부터 4세기까지 동방에서 흉노족이, 6세기부터 8세기에는 돌궐이 밀려들어 부분적으로 투르크화가 시작되었고, 페체네그족, 오구즈족 등의 민족이 형성되면서 카라칼팍족의 형성도 시작되었다.[19]

10세기 초, 페체네그족의 일부는 서쪽 남러시아의 스텝으로 이동했고, 키예프 루스 영내에 들어온 부족은 러시아 연대기에 “초르누이 크롭키(검은 모자)”라고 불렸다. 볼가 강과 우랄 산맥 사이에 남은 페체네그족은 이르티시 강 쪽에서 이주해 온 킵차크족과 섞여 그들의 언어를 받아들였다.[19]

16세기, 카잔 칸국에서 칭기즈 칸의 장자 조치의 후예인 노가이 계통의 왕족이 지휘하는 유목 집단, 즉 노가이인과 함께 볼가 강 유역에 유목하고 있던 집단으로서 문헌에 분명하게 등장한다. 카잔 멸망 후, 시르다리야 강 유역으로 갔다.[19]

16세기부터 17세기, 카자흐족과 함께 시르다리야 강 중류 및 하류 유역에 유목했다. 17세기 초, 노가이인과 함께 엠바 및 야이카 강 상류와 시르다리야 강 하류에 정착했다. 이들 카라칼팍족은 부하라 칸국과의 관계를 맺었고, 북부 카라칼팍족은 카자흐 칸인 타우케(1680년 - 1718년)에 예속했다.[19]

1723년, 준가르의 침략으로 인한 “대재앙”이라 불리는 침략을 당했고, 1730년 카자흐 칸국의 소주즈는 러시아 제국의 보호를 요청했다.[20] 그러나 그 후에도 준가르의 침략은 계속되었고, 1743년 카자흐 칸국의 소주즈에서 쫓겨났으며, 17세기부터 19세기 초, 카라칼팍족의 대다수는 호라즘의 옛 땅인 아무다리야 강과 프리다리야 양 강의 삼각주 지대에 거주했다.

2. 3. 근세 시대

많은 자료에서 현재의 카라칼팍족을 11세기 투르크 연합인 체르니예 클로부키와 연결짓고 있는데, 이들의 이름은 러시아어로 "검은 모자"를 의미한다. 체르니예 클로부키는 키예프 루스의 용병 군대였다. 그러나 이름의 의미가 같다는 점 외에는 이 두 집단을 연결하는 고고학적 또는 역사적 증거는 없다.

카라칼팍족, 우즈베크족, 카자흐족은 15세기에 징기스칸 제국이 붕괴되고 금장군이 무너진 후 등장한 우즈베크 연합의 하위 집단으로 여겨진다. 카라칼팍족 집단은 17세기에 카자흐 연합으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되었다.[12]

최근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카라칼팍족은 15세기 후반 또는 16세기에 시르다리야 강 또는 그 남쪽 지류인 자냐다리야를 따라, 소 유르트의 카자흐족과 가까운 어딘가에서 여러 부족의 연합으로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그들의 언어, 관습, 물질 문화가 카자흐족과 매우 유사한 이유를 설명해 준다.[13]

10세기 초, 페체네그족의 일부는 서쪽 남러시아의 스텝으로 이동했고, 키예프 루스 영내에 들어온 부족은 러시아 연대기에 “초르누이 크롭키(Чорнуй Клобуки, 검은 모자)”라고 불렸다. 볼가 강과 우랄 산맥 사이에 남은 페체네그족은 이르티시 강 쪽에서 이주해 온 킵차크와 섞여 그들의 언어를 받아들였다.[19]

16세기, 카잔 칸국에서 칭기즈 칸의 장자 조치의 후예인 노가이 계통의 왕족이 지휘하는 유목 집단, 즉 노가이인과 함께 볼가 강 유역에 유목하고 있던 집단으로서 문헌에 분명하게 등장한다. 카잔 멸망 후, 시르다리야 강 유역으로 갔다.[19]

16세기부터 17세기, 카자흐족과 함께 시르다리야 강 중류 및 하류 유역에 유목했다. 17세기 초, 노가이인과 함께 엠바 및 야이카 강 상류와 시르다리야 강 하류에 정착했다. 이들 카라칼팍족은 부하라 칸국과의 관계를 맺었고, 북부 카라칼팍족은 카자흐 칸인 타우케(재위: 1680년 - 1718년)에 예속했다.[19]

1723년, 준가르의 침략으로 인한 “대재앙”(Актабан шұбырынды, Aktaban Shubyryndy)이라 불리는 침략을 당했고, 1730년 카자흐 칸국의 소주즈는 러시아 제국의 보호를 요청했다.[20] 그러나 그 후에도 준가르의 침략은 계속되었고, 1743년 카자흐 칸국의 소주즈에서 쫓겨났으며, 17세기부터 19세기 초, 카라칼팍족의 대다수는 호라즘의 옛 땅인 아무다리야 강과 프리다리야 양 강의 삼각주 지대에 거주했다.

2. 4. 러시아 제국과 소비에트 연방 시대

카라칼팍족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11세기 키예프 루스의 용병이었던 체르니예 클로부키(검은 모자)와 연결짓는 설도 있지만, 이름의 의미 외에 고고학적, 역사적 증거는 없다.[12]

카라칼팍족, 우즈베크족, 카자흐족은 15세기 징기스칸 제국이 붕괴되고 금장군이 무너진 후 등장한 우즈베크 연합의 하위 집단으로 여겨진다. 카라칼팍족은 17세기에 카자흐 연합에서 분리되었다.[12]

최근 연구에 따르면, 카라칼팍족은 15세기 후반 또는 16세기에 시르다리야 강 또는 그 남쪽 지류인 자냐다리야 부근에서 여러 부족이 연합하여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들은 카자흐족과 언어, 관습, 물질 문화가 매우 유사하다.[13]

카라칼팍족의 조상은 기원전 1세기 이후 아랄해 남쪽에 살았던 사카, 마사게타이 등의 민족이다. 2세기 말부터 4세기까지 흉노족이, 6세기부터 8세기에는 돌궐이 이주해 오면서 투르크화가 진행되었고, 페체네그, 오구즈 등의 민족이 형성되면서 카라칼팍족도 형성되기 시작했다.[19]

10세기 초, 페체네그족 일부는 서쪽 남러시아 스텝 지대로 이동했고, 키예프 루스 영내에 들어온 부족은 러시아 연대기에 "초르누이 크롭키(검은 모자)"라고 불렸다. 볼가 강과 우랄 산맥 사이에 남은 페체네그족은 이르티시 강 쪽에서 온 킵차크와 섞여 그들의 언어를 받아들였다.[19]

16세기, 카잔 칸국에서 칭기즈 칸의 장자 조치의 후예인 노가이계 왕족이 지휘하는 유목 집단인 노가이인과 함께 볼가 강 유역에 유목하던 집단으로 문헌에 등장한다. 카잔 칸국 멸망 후, 시르다리야 강 유역으로 이동했다.[19]

16세기부터 17세기, 카자흐인과 함께 시르다리야 강 중류 및 하류 유역에 유목했다. 17세기 초, 노가이인과 함께 엠바 및 야이카 강 상류와 시르다리야 강 하류에 정착했다. 이들은 부하라 칸국과 관계를 맺었고, 북부 카라칼팍족은 카자흐 칸인 타우케(재위: 1680년 - 1718년)에 예속되었다.[19]

1723년, 준가르의 침략("대재앙"이라 불림)을 당했고, 1730년 카자흐 칸국의 소주즈는 러시아 제국의 보호를 요청했다.[20] 그러나 준가르의 침략은 계속되었고, 1743년 카자흐 칸국의 소주즈에서 쫓겨났다. 17세기부터 19세기 초, 카라칼팍족 대다수는 호라즘의 옛 땅인 아무다리야 강과 프리다리야 양 강의 삼각주 지대에 거주했다.

1867년, 러시아 제국에 정복되어 투르키스탄 총독부 관할 하에 놓였다. 러시아 혁명 후, 소비에트 연방에 속하게 되었고, 1920년 키르기스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현재 카자흐스탄, 수도는 오렌부르크)이 성립되었다. 1925년 그 관할 하의 자치주로 카라칼팍 자치주가 구성되었고, 1932년 카라칼팍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승격되었다. 1936년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편입되었다.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성립 후에도, 그 안에 자치 공화국인 카라칼팍스탄 공화국을 구성하고 있지만, 카라칼팍족이 다수파가 아니며, 주도권은 우즈베크인이 가지고 있다.

2. 5. 현대

많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의 카라칼팍족은 11세기의 투르크 연합인 체르니예 클로부키와 연결된다. 체르니예 클로부키는 키예프 루스의 용병 군대였으며, 이들의 이름은 러시아어로 "검은 모자"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름의 의미가 같다는 점 외에는 이 두 집단을 연결하는 고고학적 또는 역사적 증거는 없다.[12]

카라칼팍족, 우즈베크족, 카자흐족은 15세기에 징기스칸 제국이 붕괴되고 금장군이 무너진 후 등장한 우즈베크 연합의 하위 집단으로 여겨진다. 카라칼팍족 집단은 17세기에 카자흐 연합으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되었다.[12]

최근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카라칼팍족은 15세기 후반 또는 16세기에 시르다리야 강 또는 그 남쪽 지류인 자냐다리야를 따라, 소 유르트의 카자흐족과 가까운 어딘가에서 여러 부족의 연합으로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그들의 언어, 관습, 물질 문화가 카자흐족과 매우 유사한 이유를 설명해 준다.[13]

카라칼팍족의 가장 오래된 조상은 기원전 1세기 이후 아랄해 남안에 살았던 사카(Sakai), 마사게타이(Massagetae) 등의 민족이었다. 2세기 말부터 4세기까지 동방에서 흉노족(Hun)이, 6세기부터 8세기에는 돌궐(突厥)이 밀려들어 부분적으로 투르크화가 시작되었고, 페체네그(Pecheneg), 오구즈(Oghuz) 등의 민족이 형성되면서 카라칼팍족의 형성도 시작되었다.[19]

10세기 초, 페체네그족의 일부는 서쪽 남러시아의 스텝으로 이동했고, 키예프 루스 영내에 들어온 부족은 러시아 연대기에 “초르누이 크롭키(검은 모자)”라고 불렸다. 볼가 강과 우랄 산맥 사이에 남은 페체네그족은 이르티시 강 쪽에서 이주해 온 킵차크(Kipchak)와 섞여 그들의 언어를 받아들였다.[19]

16세기, 카잔 칸국에서 칭기즈칸의 장자 조치의 후예인 노가이 계통의 왕족이 지휘하는 유목 집단, 즉 노가이인과 함께 볼가 강 유역에 유목하고 있던 집단으로서 문헌에 분명하게 등장한다. 카잔 멸망 후, 시르다리야 강 유역으로 갔다.[19]

16세기부터 17세기, 카자흐인과 함께 시르다리야 강 중류 및 하류 유역에 유목했다. 17세기 초, 노가이인과 함께 엠바 강 및 야이카 강 상류와 시르다리야 강 하류에 정착했다. 이들 카라칼팍족은 부하라 칸국과의 관계를 맺었고, 북부 카라칼팍족은 카자흐 칸인 타우케(재위: 1680년 - 1718년)에 예속했다.[19]

1723년, 준가르의 침략으로 인한 “대재앙”이라 불리는 침략을 당했고, 1730년 카자흐 칸국의 소주즈는 러시아 제국의 보호를 요청했다.[20] 그러나 그 후에도 준가르의 침략은 계속되었고, 1743년 카자흐 칸국의 소주즈에서 쫓겨났으며, 17세기부터 19세기 초, 카라칼팍족의 대다수는 호라즘의 옛 땅인 아무다리야 강과 프리다리야 양 강의 삼각주 지대에 거주했다.

1867년, 러시아 제국에 정복되어 투르키스탄 총독부의 관할 하에 놓였다. 러시아 혁명 후, 소비에트 연방에 속하게 되었고, 1920년 키르기스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현재 카자흐스탄, 수도는 오렌부르크)이 성립되었고, 1925년 그 관할 하의 자치주로 카라칼팍 자치주를 구성했다. 1932년 카라칼팍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승격되었다. 1936년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편입되었다. 당시 러시아 공화국 이외에서 자치 공화국을 구성한 드문 예이다.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성립 후에도, 그 안에 자치 공화국인 카라칼팍스탄 공화국을 구성하고 있지만, 인구 구성으로 카라칼팍족이 다수파가 아니며, 주도권은 우즈베크인이 가지고 있다.

3. 지리

카라칼파크족은 주로 카라칼파키스탄 중앙부의 아무다리야 강 관개 지역에 거주한다. 카라칼파크족의 가장 큰 공동체는 누쿠스와 그 주변의 호제일리, 심바이(Chimboy), 타키아타시, 쇼마나이(Shumanay), 쿵그라드(Qoʻngʻirot) 등의 도시에 있다. 카라칼파크족의 고향은 그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지만, 카라칼파크족은 카라칼파키스탄에서 가장 큰 민족 집단은 아니다. 카라칼파크족은 점차 우즈베크족에 의해 수적으로 밀리고 있으며, 많은 우즈베크족이 투르트쿨과 베루니 주변의 비옥한 농업 지역으로 이주하고 있다.

농촌 카라칼파크족은 주로 이전의 집단 농장이나 국영 농장에 거주하는데, 이들 대부분은 최근 사유화되었다. 많은 농촌 카라칼파크족은 아랄해가 마르면서 지역 어업과 삼각주 북부의 많은 목초지, 농경지가 파괴되어 심각한 영향을 받았다. 카라칼파키스탄의 대부분은 사막이다. 동쪽에는 키질쿰 사막이, 서쪽에는 불모의 우스튜르트 고원이, 그리고 북쪽에는 과거 아랄해였던 곳이 점점 커져 아랄쿰 사막(Aralkum Desert)이 되고 있다.

4. 언어

카라칼팍어는 튀르크어족 킵차크-노가이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며, 카자흐어노가이어도 이에 포함된다. 구어체 카라칼팍어는 북동부 방언과 남서부 방언의 두 가지 방언이 있다.[14] 문어체 카라칼팍어는 수정된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를 모두 사용하며, 전자는 소비에트 연방 시대에 표준으로 사용되었고, 후자는 우즈베크어를 위한 우즈베키스탄의 문자 개혁을 모델로 삼았다. 소비에트 연방 이전에는 카라칼팍어가 거의 문자로 쓰이지 않았지만, 쓰였을 때는 수정된 페르소-아랍 문자를 사용했다.

카라칼팍 사람들의 지리적 위치와 역사 때문에 카라칼팍어는 우즈베크어, 몽골어, 타지크어, 러시아어의 영향을 받았다. 카라칼팍어와 우즈베크어를 모두 사용하는 사람들은 종종 카라칼팍어-우즈베크어 피진을 사용한다. 카라칼파크인의 언어는 튀르크어족의 북서어군(킵차크어군)에 속하는 카라칼파크어이다.[21]

5. 종교

카라칼파크인들은 주로 하나피 학파의 수니파 이슬람교를 따른다. 그들이 독립적인 민족 집단으로 처음 등장한 10세기에서 13세기 사이에 이슬람교를 받아들였을 가능성이 높다.

데르비시 수도회, 예를 들어 낙시반디, 쿠브라위야, 야사위, 칼란다르 등은 이 지역에서 상당히 흔하다. 이 지역 사람들과 가장 강력한 관계를 맺은 수도회는 시아파 신자들을 포함하는 쿠브라위야이다.

1914년에 기록된 553개의 모스크 중 몇몇은 누키스, 토르트쿨, 호젤리(Xojeli), 심바이(Shımbay)에 남아 있다. 많은 카라칼파크 물라들은 집을 금요일 예배 장소로 사용한다.

6. 민족

카라칼팍(Karakalpak)이라는 단어는 러시아 키릴 문자 표기에서 유래했으며, 서구에서는 이 민족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명칭이 되었다. 카라칼팍인들은 스스로를 ''Qaraqalpaqs''라고 부르며(내부명칭), 우즈베크인들은 이들을 ''Qoraqalpoqs''라고 부른다. 이 단어는 "검은색 칼팍(모자)"을 의미하며, 역사가들이 이들을 "검은 모자"라는 명칭을 가진 다른 초기 민족들(예: 체르니예 클로부키(Cherniye Klobuki))과 연결시키면서 과거 많은 혼란을 야기했다.[12]

많은 자료들이 현재의 카라칼팍족을 11세기의 투르크 연합인 체르니예 클로부키와 연결짓고 있는데, 이들의 이름은 러시아어로도 "검은 모자"를 의미한다. 체르니예 클로부키는 키예프 루스의 용병 군대였다. 이름의 의미가 같다는 점 외에는 이 두 집단을 연결하는 고고학적 또는 역사적 증거는 없다.

카라칼팍족, 우즈베크족, 카자흐족은 15세기에 징기스칸 제국이 붕괴되고 금장군이 무너진 후 등장한 우즈베크 연합의 하위 집단으로 여겨진다. 카라칼팍족 집단은 17세기에 카자흐 연합으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되었다.[12]

최근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카라칼팍족은 15세기 후반 또는 16세기에 시르다리야 강 또는 그 남쪽 지류인 자냐다리야를 따라, 소 유르트의 카자흐족과 가까운 어딘가에서 여러 부족의 연합으로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그들의 언어, 관습, 물질 문화가 카자흐족과 매우 유사한 이유를 설명해 준다.[13] 형질적으로는 유로페오이드(청동기시대 이래의 스텝 유목민)와 몽골로이드(동방에서 온 이주민)의 두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22], 몽골로이드의 요소가 짙다.

7. 문화

카라칼파크인은 호라즘에 거주했던 부족과 민족의 기원에 대한 다양한 전설과 전통을 간직하고 있다. 케이우마르스, 잠시드, 시아바슈, 루스탐, 토미리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스칸데르) 등 역사적 인물과 관련된 이야기부터 여왕국, 토크 산, 칭기즈칸, 굴두르순, 데데 코르쿠트 서사시에 대한 전설이 전해진다. 특히 아이야즈 요새, 굴두르순, 사십 소녀 요새(카라칼팍어: Qırq-qız-kale), 토크 산(카라칼팍어: Toq-taw)에 관한 전설이 널리 알려져 있다.[15]

7. 1. 문학

카라칼팍 문학의 역사는 16세기 후반 카라칼팍족이 하나의 민족으로 형성되면서, 역사 기록에 "카라칼팍"이라는 이름으로 언급된 시점부터 시작된다. 14세기~15세기 골든 호드, 화이트 호드, 노가이 호드에 존재했던 문학 유적과 당시에 살았던 시인들의 작품은 현대 카자흐, 노가이, 카라칼팍 민족에게 공통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14세기~16세기에 노가이 연합에서 작곡된 노래는 학자들에 의해 "노가이 노래"라고 불린다. 쇼칸 왈리하노프도 민중이 창작한 유산을 3가지 그룹으로 나누고 3번째 그룹을 "노가이 노래"라고 부르면서, 그 출현 시기(14세기~16세기)를 지적하고 카자흐, 카라칼팍, 키르기스, 노가이 민족에게 공통적인 점을 언급한다.[16]

18세기는 카라칼팍족의 정치적 발전에서 가장 어렵고 비극적인 시대였다. 많은 카라칼팍족은 시르다리야 하류로 도망쳐야 했다. 1810년부터 카라칼팍족의 역사적 운명은 히바 칸국의 역사와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빈민들은 부유한 자들과 관리들에게 농장 노동자로 고용되었는데, 이는 카라칼팍족 내 계급 차별과 모순이 심화되었음을 보여준다. 18세기에는 풍부한 구전 민속 예술과 함께 특정한 창작적 특징을 가진 문학적 유산이 등장했으며, 그 저자들은 알려져 있었다. 여기에는 지엔 지라우(카라칼팍어: Jien jıraw)라는 지라우-이야기꾼이 포함된다. 그 시대에는 다른 시인들도 있었지만, 그들의 이름이나 작품은 현재까지 전해지지 않았다. 시는 주제, 스타일, 사실주의 측면에서 민속과는 특정한 방식으로 다르며 서면 문학의 성격을 띤다.

19세기에 살았던 사람들에게 각성된 계급 의식은 결정적인 요소가 되었다. 그것은 19세기 카라칼팍 고전 시의 주요 대표자들인 아지니야즈, 베르다흐의 작품의 이념적 본질을 형성했다. 그들은 사람들의 힘든 삶과 투쟁, 봉건 질서에 대한 불만에 대해 썼다.[17] 풍자도 발전했다. 빈민을 옹호하고 재치 있는 사람이자 나스레딘의 추종자인 조커 오미르벡의 일화가 활발하게 회자되었다.[18]

7. 2. 전통

고대부터 카라칼팍족 사이에서는 호라즘에 거주했던 부족과 민족의 기원에 대한 전설과 전통이 대대로 전해져 내려왔다. 케이우마르스, 잠시드, 시아바슈, 루스탐, 토미리스, 이스칸데르(알렉산드로스 대왕), 여왕국, 토크 산(Mount Tok), 칭기즈칸, 굴두르순(Guldursun), 데데 코르쿠트에 대한 전설들이 전해진다. 카라칼팍족 사이에서 매우 인기 있는 전설에는 아이야즈 요새, 굴두르순, 사십 소녀 요새(카라칼팍어: Qırq-qız-kale), 토크 산(카라칼팍어: Toq-taw)에 관한 전설이 포함된다.[15]

카라칼팍 문학의 역사는 16세기 후반 카라칼팍족이 하나의 민족으로 형성되면서 시작되며, 역사 기록에 "카라칼팍"이라는 이름으로 언급된 시점부터 시작된다. 14세기-15세기에 출현하여 16세기 전반에 골든 호드, 화이트 호드, 대 노가이 연합에 존재했던 문학 유적과 당시에 살았던 시인들의 작품은 현대 카자흐, 노가이, 카라칼팍 민족에게 공통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14세기-16세기에 노가이 연합에서 작곡된 노래는 학자들에 의해 "노가이 노래"라고 불린다. 쇼칸 발리하노프도 민중이 창작한 유산을 3가지 그룹으로 나누고 3번째 그룹을 "노가이 노래"라고 부르면서, 그 출현 시기(14세기-16세기)를 지적하고 카자흐, 카라칼팍, 키르기스, 노가이 민족에게 공통적인 점을 언급한다.[16]

18세기는 카라칼팍족의 정치적 발전에서 가장 어렵고 비극적인 시대였다. 많은 카자흐 부족이 칼미크의 지배를 받았다. 많은 카라칼팍족은 시르다리야 하류로 도망쳐야 했다. 1810년부터 카라칼팍족의 역사적 운명은 히바 칸국의 역사와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빈민들은 부유한 자들과 관리들에게 농장 노동자로 고용되었는데, 이는 카라칼팍족 내 계급 차별과 모순이 심화되었음을 보여준다. 18세기에 풍부한 구전 민속 예술과 함께 특정한 창작적 특징을 가진 문학적 유산이 등장했으며, 그 저자들은 알려져 있었다. 여기에는 지엔 지라우(카라칼팍어: Jien jıraw)라는 지라우-이야기꾼이 포함된다. 그 시대에는 다른 시인들도 있었지만, 그들의 이름이나 작품은 현재까지 전해지지 않았다. 시는 주제, 스타일, 사실주의 측면에서 민속과는 특정한 방식으로 다르며 서면 문학의 성격을 띤다.

19세기에 살았던 사람들에게 각성된 계급 의식은 결정적인 요소가 되었다. 그것은 19세기 카라칼팍 고전 시의 주요 대표자들인 아지니야즈, 베르다흐의 작품의 이념적 본질을 형성했다. 그들은 사람들의 힘든 삶과 투쟁, 봉건 질서에 대한 불만에 대해 썼다.[17] 풍자도 발전했다. 빈민을 옹호하고 재치 있는 사람이자 호자 나스레딘의 추종자인 조커 오미르벡의 일화가 활발하게 회자되었다.[18] 카라칼팍스탄이 러시아에 병합된 후에도 그 주민들은 착취와 압제로부터 해방되지 못했다.

참조

[1] 웹사이트 Karakalpak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3-11-27
[2] 웹사이트 Uzbekistan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1-08-09
[3] 웹사이트 Karakalpak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3-11-27
[4] 웹사이트 Karakalpak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3-11-27
[5] 웹사이트 Karakalpaks in Uzbekistan https://minorityrigh[...]
[6] 웹사이트 Karakalpak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3-11-27
[7] 웹사이트 Karakalpak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3-11-27
[8] 웹사이트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4-08-31
[9] 웹사이트 Результати – Національний склад населення, мовні ознаки, громадянство – Розподіл населення за національністю та рідною мовою – Результат вибору http://2001.ukrcensu[...] 2023-09-21
[10] 백과사전 Karakalpakstan http://www.britannic[...]
[11] 웹사이트 Karakalpak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3-11-27
[12] 학술지 Genetic diversity and the emergence of ethnic groups in Central Asia 2009-09-01
[13]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0-05-19
[14] 웹사이트 Glottolog 4.4 – Kara-Kalpak https://glottolog.or[...] 2021-07-14
[15] 서적 Шоқан жэне "Манас" Алматы
[16] 서적 Из истории развития общественно-философской мысли в Узбекистане Ташкент
[17] 서적 Очерки истории Каракалпакской АССР: С древнейших времен до 1917 г, Том 1 Ташкент: Наука
[18] 서적 "Каракалпакская литература" Мутарджим
[19] 서적 (정보 부족)
[20] 일반텍스트
[21] 서적 (정보 부족)
[22] 서적 (정보 부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