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스탄틴 폰 카우프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스탄틴 폰 카우프만은 19세기 러시아 제국의 군인이자 투르키스탄의 총독이었다. 그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으로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했으며, 군사 공병으로 경력을 시작하여 코카서스에서 복무하고 카르스 포위전을 지휘했다. 1861년에는 전쟁성 공병 총장이 되었고, 1864년에는 빌나 총독을 역임했다. 1867년 투르키스탄 총독으로 임명된 후 중앙아시아에서 러시아의 영향력을 확대하며, 코칸트 칸국, 부하라 토후국, 히바 칸국을 정복하거나 보호국으로 만들었다. 그의 정복 활동은 러시아의 국경을 아프가니스탄까지 확장시켰으며, 카우프만의 사후에는 그의 이름을 딴 식물 종이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레이트 게임 - 거문도 사건
1885년 영국이 러시아의 남하정책을 견제하기 위해 전략적 요충지인 거문도를 불법 점령한 사건으로, 조선의 취약한 국제적 지위와 열강들의 힘겨루기를 보여주며, 청나라의 외교 개입, 일본의 대조선 정책, 조선 정부의 무능력을 드러낸 근대 한국의 역사적 사건이다. - 그레이트 게임 - 영일 동맹
영일 동맹은 1902년 영국과 일본이 러시아의 팽창과 청나라 이권 경쟁에 대한 공동의 우려로 체결한 군사 동맹으로, 중국과 한국의 독립을 상호 인정하고 특정 조건 하에 상호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나, 여러 요인으로 관계가 악화되어 1923년 공식 종료되었다. - 러시아 제국의 정치인 - 블라디미르 레닌
블라디미르 레닌은 러시아의 혁명가이자 정치가로서 10월 혁명을 주도하여 러시아 제국을 무너뜨리고 소비에트 연방 건설에 핵심 역할을 수행했으며, 마르크스주의를 러시아 혁명에 적용하여 볼셰비키 당을 이끌면서 그의 이론과 전략은 소련의 사회주의 건설과 국제 공산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지만, 그의 통치는 희생과 논란, 전체주의적 독재와 폭력 정치에 대한 비판을 야기했다. - 러시아 제국의 정치인 - 세르게이 비테
세르게이 율리예비치 비테는 러시아 제국의 재무장관이자 총리로서 러시아의 산업화와 근대화에 기여했으며, 시베리아 횡단철도 건설, 금본위제 도입, 포츠머스 조약 체결, 1905년 혁명 당시 개혁 촉구 등 격동기 러시아 정치·경제 상황에 깊숙이 관여한 인물이다. - 1882년 사망 - 찰스 다윈
찰스 다윈은 자연 선택을 통한 진화론을 제시하여 현대 진화생물학의 기초를 세운 영국의 자연과학자이다. - 1882년 사망 - 민겸호
민겸호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명성황후를 지지하고 개화 정책을 추진했으며 임오군란 때 살해된 후 충숙공의 시호와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콘스탄틴 폰 카우프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콘스탄틴 페트로비치 폰 카우프만 |
출생 | 1818년 3월 2일 |
출생지 | 러시아 제국령 폴란드 뎅블린 |
사망 | 1882년 5월 16일 |
사망지 | 시르다리야 주 타슈켄트, 러시아 제국 |
국적 | 독일-러시아인 |
직업 | 군사 기술자 러시아 제국의 총독 |
군사 경력 | |
주요 활동 | 중앙아시아 정복 제라불라크 전투 1873년 히바 원정 1875–1876년 코칸트 원정 |
2.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콘스탄틴 폰 카우프만은 1838년 군에 입대하여 캅카스에서 공병으로 복무를 시작했다. 이후 대령으로 진급하여 1855년 카르스 포위전에서 전투공병을 지휘했다.[2] 카르스가 함락된 후, 윌리엄 윌리엄스 경과 평화 협상을 진행했다.
1861년, 전쟁부 장관 드미트리 밀류틴을 도와 군사 조직 개편에 참여했으며, 전쟁국의 공병과 국장이 되었다. 1864년에는 중장으로 진급했고, 빌뉴스의 부관참모이자 징병 총괄자가 되어 차르의 폴란드 귀족 재산 몰수 정책을 시행했다.[3]
2. 1. 가계 및 출생
콘스탄틴 폰 카우프만 가문은 본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이었으나, 100년 이상 친러시아 성향을 유지하며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했다.[1] 다른 자료에 따르면, 그는 "18세기 후반 러시아에서 복무한 오스트리아 용병의 후손이다.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정교회 기독교인이며, 그의 이름 외에는 독일적인 것이 없었다."[2]콘스탄틴 페트로비치는 러시아 제국군 중장 표트르 표도로비치 폰 카우프만(1784-1849)과 그의 아내 에밀리 왓슨-프리스트필드-아이써네이(1790-1858) 사이에서 4명의 아들 중 둘째로 태어났다. 그는 니콜라예프 공학 연구소(현재 군사 공학 기술 대학교)에서 군사 공병으로 졸업했다.
2. 2. 군 경력
카우프만 가문은 본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이었지만, 100년 넘게 친러시아 성향을 유지하며 정교회로 개종했다.[1] 카우프만은 현재 군사 공학기술 대학교라고 불리는 니콜라예프 공학 연구소에서 공병으로 교육받았다. 1838년 캅카스에서 공병으로 복무를 시작하여 1855년 카르스 포위전에서는 전투공병을 지휘하며 대령으로 진급했다.[2] 카르스가 항복한 후, 그는 윌리엄 윌리엄스 경과 평화 협상을 진행했다.1861년, 카우프만은 전쟁부 장관 드미트리 밀류틴을 도와 군사 조직 개편에 참여하며 전쟁국의 공병과 국장이 되었다. 1864년에는 중장으로 진급하여 빌뉴스의 부관참모이자 징병 총괄자가 되었으며, 당시 차르의 폴란드 귀족 재산 몰수 정책을 시행하며 지방까지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다.[3]
2. 3. 전쟁성 근무 및 빌나 총독
카우프만 가문은 본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이었으나, 100년 넘게 친러시아 성향을 유지하며 정교회로 개종했다. 카우프만은 현재 군사 공학기술 대학교로 불리는 니콜라예프 공학 연구소에서 공병으로 교육받았다. 1838년 캅카스에서 공병으로 복무를 시작하여 대령으로 진급했고, 1855년에는 카르 공방전에서 전투공병으로 활약했다. 카르 함락 후에는 평화 협상을 위해 윌리엄 윌리엄스 경과 협상에 참여했다.[1]1861년, 군사 조직 개편을 추진하던 전쟁부 장관 드미트리 밀류틴을 보좌하여 전쟁국의 공병과 국장이 되었다. 1864년에는 중장으로 진급하여 빌뉴스에서 부관참모 겸 징병 총괄자가 되었으며, 당시 차르의 폴란드 귀족 재산 몰수 정책을 시행하며 지방까지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다.[1]
3. 투르키스탄 정복
1867년, 콘스탄틴 폰 카우프만은 러시아령 투르키스탄의 총독이 되어 중앙아시아에서 러시아의 확장 정책을 펼쳤다. 그는 코칸트 칸국, 부하라 토후국, 히바 칸국 등을 차례로 정복하거나 보호국으로 만들어 러시아 제국의 영향력을 크게 확대했다.
카우프만의 정복 활동은 아프가니스탄과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러시아 제국의 국경이 아프가니스탄에 근접하게 되면서, 세르 알리 칸과 카우프만 간의 교류는 1878년 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발발의 한 원인이 되었다.
3. 1. 투르키스탄 총독 부임
1867년, 콘스탄틴 폰 카우프만은 러시아령 투르키스탄의 총독이 되어 중앙아시아에서 러시아의 확장 정책을 펼쳤으며, 이는 그가 죽을 때까지 계속되었다. 코칸트 칸국의 시르다리야강 북부는 이미 러시아가 점령하고 있었고, 나머지 부분은 보호국으로서 명목상으로만 독립국이었다. 1868년 부하라 토후국 작전에서 사마르칸트를 성공적으로 점령한 후 토후국 전체를 정복했다.
1872년부터 1873년까지 히바 칸국을 공격하여 수도인 히바를 점령하고 러시아의 보호국으로 만들었다. 이후 1875년 코칸트 칸국 전쟁에서 이전 통치자 쿠도야르에 대한 반러시아 봉기를 진압하고 칸을 물러나게 했다. 코칸트 칸국이 러시아에 합병된 후 칸국의 나머지 영토는 페르가나 분지만 남게 되었다. 이러한 빠른 칸국들의 흡수는 러시아 제국의 국경을 아프가니스탄 바로 앞까지 도달하게 만들었고, 세르 알리 칸과 카우프만 간의 밀사는 1878년 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발발에 영향을 주었다.
3. 2. 부하라 칸국 정복
1868년 콘스탄틴 폰 카우프만은 부하라 토후국을 상대로 성공적인 원정을 수행하여 사마르칸트를 점령하고 점차적으로 토후국 전 지역을 복속시켰다.3. 3. 히바 칸국 정복
1873년 카우프만은 히바 칸국을 공격하여 수도 히바를 점령하고 칸국을 러시아의 보호국으로 만들었다.[1] 1875년에는 코칸트 칸국을 상대로 원정을 벌여, 이전 통치자 후도야르에 대한 반러시아 봉기를 진압하고 칸을 몰아냈다. 코칸트 칸국이 러시아에 합병된 후 칸국의 나머지 영토는 페르가나 분지만 남게 되었다.[1] 이러한 칸국들의 빠른 흡수로 러시아 제국의 국경은 아프가니스탄 바로 앞까지 도달하게 되었고, 세르 알리 칸과 카우프만과의 밀사는 1878년 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발발에 영향을 주었다.[1]3. 4. 코칸트 칸국 정복
1867년, 카우프만은 러시아령 투르키스탄의 총독이 되어 죽을 때까지 중앙아시아에서 러시아의 확장 정책을 펼쳤다. 시르다리야강 북쪽의 코칸트 칸국 영토는 이미 러시아가 점령했고, 나머지 지역은 명목상으로만 독립국이었다. 1868년 부하라 토후국을 상대로 한 작전에서 사마르칸트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고, 이후 토후국 전체를 정복했다.1873년 히바 원정에서는 히바 칸국을 공격하여 수도 히바를 점령하고 러시아의 보호국으로 만들었다. 1875년에는 코칸트 칸국을 상대로 전쟁을 벌여, 이전 통치자 쿠도야르에 대한 반러시아 봉기를 진압하고 칸을 몰아냈다. 코칸트 칸국이 러시아에 합병된 후 칸국의 영토는 페르가나 분지만 남게 되었다. 이러한 칸국들의 빠른 흡수로 러시아 제국의 국경은 아프가니스탄 바로 앞까지 이르게 되었고, 세르 알리 칸과 카우프만의 밀사는 1878년 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이 일어나는 데 영향을 주었다.
3. 5. 아프가니스탄과의 관계
카우프만의 급속한 칸국 병합으로 러시아는 아프가니스탄과 국경을 접하게 되었다. 셰르 알리 칸이 카우프만의 사절을 접견한 것은 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1]4. 투르키스탄 통치
콘스탄틴 폰 카우프만은 1867년부터 1881년까지 초대 투르키스탄 총독을 지내며 러시아 제국의 중앙아시아 정복 및 식민지화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4. 1. 행정 및 정책
1867년부터 1886년까지 투르케스탄 총독으로 재임한 콘스탄틴 폰 카우프만은 여러 임시 법령을 통해 상당한 재량권을 가지고 정책을 펼쳤다. 1868년, 그는 모스크바 전문가들과 협력하여 알렉세이와 올가 페드첸코 부부를 중심으로 해당 지역의 자연사를 기록하는 탐험대를 조직했다.[4]카우프만은 러시아 제국의 국경을 확장하는 동시에, 새로운 영토를 조사하고 기록하기 위해 통계학자, 페드첸코 부부, 전쟁 화가 바실리 베레시차긴, 교육가 니콜라이 오스트로우모프 등을 포함한 팀을 구성했다. 그는 "새롭게, 거의 탐험되지 않은 지역"에 대한 조사를 추진하며, 모스크바 자연과학, 인류학, 민족학 애호가 협회(OLEAE)의 타슈켄트 지부를 설립했다.[5]
1868년부터 1872년까지 페드첸코 부부는 세 차례 탐험을 실시했다. 카우프만은 이러한 조사를 통해 얻은 정보를 러시아인뿐만 아니라 현지인들과도 공유하고자 했으며, 현지 신문을 통해 과학적 발견을 발표했다. 또한 1872년 모스크바 전 러시아 기술 전시회를 통해 러시아 제국의 새로운 영토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전시했다.[5]
카우프만은 인접 국가와 독자적인 행정 협상을 진행하고, 예산 지출을 설정 및 감독하며, 세금을 부과하고, '총독부' 내 러시아 국민의 특권을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졌다. 또한 러시아 군사 법원의 사형 선고를 확정하거나 취소할 수 있는 권한도 보유했다. 당시 러시아 제국 내에서 이 정도의 독립성을 가진 군사 총독은 없었으며, 중앙 정부는 투르케스탄 지역이 제국에 통합될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투르케스탄은 유럽 러시아와 스텝 지대로 인해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었고, 오래되고 정착된 이슬람 문화는 차르 시대 관료들에게 더욱 큰 거리감을 느끼게 했다. 카우프만의 초기 통치 기간 동안 투르케스탄은 행정적으로도 고립되어 있었으며, 개혁되지 않은 토착 행정 위에 군사 관료주의 체제가 느슨하게 덧씌워진 독특한 제도를 가지고 있었다.
1873년 히바 원정 당시, 히바의 노예들은 도시 함락이 임박했다는 소식을 듣고 반란을 일으켰다.[6] 카우프만의 군대가 히바에 진입했을 때, 히바인들은 노예 봉기를 진압해 달라고 요청했으며, 이 과정에서 노예들은 이전 노예주들에게 복수했다.[7] 러시아 정복 이후 무하마드 라힘 칸 2세가 수도로 돌아오자, 카우프만은 그에게 히바 노예 무역과 노예 제도를 폐지할 것을 요구했고, 그는 이를 수용했다.[8]
카우프만은 정부로부터 모든 정복 계획을 지원받지는 못했지만, 1877년 러시아-튀르크 전쟁 영웅 미하일 스코벨레프 장군이 1880년과 1881년에 아할-테케 오아시스의 투르크멘족을 상대로 티플리스에서 파견되었을 때에도 여전히 재직 중이었다. 스코벨레프는 페르가나 계곡의 실질적인 군사 총독으로서 마르겔란과 뉴 마르겔란에서 지휘했지만, 두 번째 원정 중 소환되었다. (1882년 7월 7일, 그는 모스크바 호텔에서 자신의 영지로 가던 중 심장마비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메르브 합병 직전이었다.) 1865년 타슈켄트를 정복한 미하일 체르냐예프 장군이 그의 후임으로 임명되었다.
그의 이름을 딴 ''카우프만 튤립'', ''에레무루스 카우프만니'', ''에레모스타키스 카우프만니아나'', ''겐티아나 카우프만니아나'', ''스타티체 카우프만니아나'' 등 다양한 식물 종이 있다.
4. 2. 강압적인 통치와 비판
1867년부터 1886년까지 투르케스탄 총독으로 재임한 콘스탄틴 폰 카우프만은 여러 임시 법령을 통해 상당한 재량권을 부여받았다.[4] 그는 러시아 제국의 국경을 확장하는 한편, 새로운 영토를 조사하고 기록하기 위해 1868년 모스크바 전문가들에게 알렉세이와 올가 페드첸코 부부를 지정하여 해당 지역의 자연사를 기록하는 탐험대를 조직하게 했다.[4] 이 탐험대에는 통계학자, 페드첸코 부부, 전쟁 화가 바실리 베레시차긴, 교육가 니콜라이 오스트로우모프 등이 포함되었다.카우프만은 "새롭게, 거의 탐험되지 않은 지역"에 대한 조사를 원했으며, 모스크바 자연과학, 인류학, 민족학 애호가 협회(OLEAE)의 타슈켄트 지부를 설립했다.[5] 페드첸코 부부는 1868년에서 1872년 사이에 세 차례 탐험을 진행했다. 카우프만은 이러한 조사를 통해 얻은 정보를 러시아인뿐만 아니라 현지인들과도 공유하고자 했으며, 현지 신문을 통해 과학적 발견을 발표했다. 또한 1872년 모스크바 전 러시아 기술 전시회를 통해 러시아 제국의 새로운 영토에 대한 연구를 전시했다.[5]
카우프만은 인접 국가와 독자적으로 행정 협상을 진행하고, 예산 지출을 설정 및 감독하며, 세금을 부과하고, '총독부' 내 러시아 국민의 특권을 설정할 수 있었다. 또한 러시아 군사 법원에서 내려진 사형 선고를 확정하고 취소할 권한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권한은 러시아 제국 내 다른 어떤 군사 총독도 갖지 못한 중앙 통제로부터의 독립성이었다. 투르케스탄은 유럽 러시아와 스텝 지대로 지리적으로 격리되었고, 이슬람 문화로 인해 차르 시대 관료들에게 더욱 고립된 지역으로 여겨졌다. 초기 통치 기간 동안 투르케스탄은 행정적으로도 고립되어 있었으며, 개혁되지 않은 토착 행정에 군사 관료주의가 느슨하게 덧씌워진 독특한 제도를 가지고 있었다.
1873년 히바 원정 중, 히바의 노예들은 도시의 몰락이 임박했다는 소식을 듣고 반란을 일으켰다.[6] 카우프만의 군대가 히바에 진입했을 때, 히바인들은 노예 봉기를 진압해 달라고 간청했고, 노예들은 이전 노예주들에게 복수했다.[7] 무하마드 라힘 칸 2세가 러시아 정복 후 수도로 돌아왔을 때, 카우프만은 그에게 히바 노예 무역과 노예 제도를 폐지할 것을 요구했고, 그는 이를 수용했다.[8]
카우프만은 모든 정복 계획을 정부로부터 지원받지는 못했지만, 1877년 러시아-터키 전쟁의 영웅인 미하일 스코벨레프 장군이 1880년과 1881년에 아할-테케 오아시스의 투르크멘족에 대항하여 티플리스에서 파견되었을 때 재직 중이었다. 스코벨레프는 페르가나 계곡의 군사 총독으로 마르겔란과 뉴 마르겔란에서 지휘했지만, 두 번째 캠페인에서 중단되고 소환되었다. 1882년 7월 7일, 그는 모스크바 호텔에서 심장마비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1865년 타슈켄트를 정복한 미하일 체르냐예프 장군이 그의 후임으로 임명되었다.
그의 이름을 딴 ''카우프만 튤립'', ''에레무루스 카우프만니'', ''에레모스타키스 카우프만니아나'', ''겐티아나 카우프만니아나'', ''스타티체 카우프만니아나'' 등 다양한 식물 종이 있다.
참조
[1]
Meyers Konversations-Lexikon
Kaufmann, Konstantin von
http://www.retrobibl[...]
[2]
서적
The Russian Conquest of Central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Story of Lithuania
https://penelope.uch[...]
Stratford House
[4]
서적
Ladies in the Laboratory IV: Imperial Russia's Women in Science, 1800-1900: A Survey of Their Contributions to Research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5-03-12
[5]
서적
Russia's Orient: Imperial Borderlands and Peoples, 1700-1917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6]
서적
Slavery and Empire in Central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Slavery and Empire in Central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Slavery and Empire in Central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