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쿠닷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닷은 말레이시아 사바 주에 위치한 도시로, 룽구스족의 언어인 '쿠타드'에서 유래되었다. 1881년 영국령 북보르네오의 수도로 건설되었으나, 해적의 공격으로 인해 1883년 산다칸으로 수도가 이전되었다. 쿠닷은 룽구스족의 전통적인 거주지이며, 하카(객가) 공동체의 중요한 정착지이기도 하다. 관광 산업이 발달하여 해변, 룽구스 문화 체험, 골프 클럽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육상, 항공, 해상 교통이 가능하며, 특히 코타키나발루와 연결되는 범보르네오 고속도로의 북쪽 종점이다.

2. 어원

쿠닷이라는 지명은 룽구스족 언어에서 유래했다.[1] 룽구스족은 이 지역에서 자라는 거친 풀을 '쿠타드(Kutad)'라고 불렀는데, 영국인들이 이를 '쿠닷(Kudat)'으로 잘못 이해하면서 현재의 지명이 되었다.[1] 원래 이 지역은 '톰보룽간(Tomborungan)'이라고 불렸으나,[1] 쿠닷이라는 지명이 널리 사용되면서 대체되었다.[1]

3. 역사

쿠닷은 원래 두순족의 하위 집단인 룽구스족의 터전이었다. 룽구스족은 해안가를 자주 드나들던 해적을 피해 내륙의 롱하우스 공동체에서 거주했다.

1881년 11월 7일, 영국의 북보르네오 회사(North Borneo Chartered Company)가 영국령 북보르네오의 수도로 쿠닷을 건설했다. 그러나 바자우족, 일라눈족 등 해적들의 잦은 습격으로 인해 1883년 수도를 동해안의 산다칸으로 이전했다.[3]

1890년 쿠닷 타운의 모습

3. 1. 영국 북보르네오 회사 통치 시기

19세기 말, 영국(대영 제국) 북보르네오 차터 회사에 고용된 탐험가 프란츠 위티는 현재의 쿠닷 타운에서 26km 떨어진 곳에서 석유를 발견했다. 이것이 회사가 쿠닷을 영국령 북보르네오의 첫 번째 정착지로 선택한 이유일 수 있다.[3] 쿠닷 타운은 1881년 12월 7일에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회사의 관리들은 쿠닷을 영국령 북보르네오의 첫 번째 수도로 선포하기 위해 여러 브루나이 말레이인들의 도움을 받아 토지 정리를 시작했으며, 이는 1882년에 공식적으로 이루어졌다. 영국 정착민들은 룽구스족의 족장이었던 템멩궁 쿠란투드와 쿠닷의 무슬림 공동체 지도자였던 다투 하룬과 평화 협정을 체결하여 원주민 이웃과 평화롭게 지낼 수 있도록 했다.

쿠닷의 영국 식민 관리들은 사바 최초의 골프 클럽인 쿠닷 골프 클럽을 설립하여 자신들의 레크리에이션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힘썼다. 1900년대 초에 9홀, 3075m 코스가 완공되었다. 이 코스는 주변에 도로와 건물이 가깝게 위치하여 도전적인 코스로 인정받고 있다.[4]

회사는 중국인 이주민을 데려와 토지를 경작하게 했다. 회사는 "외국 인종의 생산적이고 산업적인 가치는 보르네오 원주민보다 훨씬 크며, 원주민이 개별적으로 외계 인종만큼 국가에 가치 있는 자산이 되려면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이러한 목적으로 외국인 노동자를 데려오는 데 의존했다.[5] 1882년, 당시 북보르네오 총독이었던 윌리엄 크로커는 중국 이민청장으로 임명된 월터 메드허스트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중국 이주민을 영국령 북보르네오로 보냈다. 메드허스트는 영국령 북보르네오에서 일자리를 찾는 데 관심이 있는 모든 중국인에게 무료 통행료를 제공했다. 이주민 대부분은 당시 식민지에서 가장 큰 도시였던 쿠닷과 산다칸에 하선하여 정착했다. 1885년 메드허스트가 영국으로 돌아갔을 때 쿠닷 주민 937명 중 348명이 중국인이었고, 이 중 222명이 상점 점원으로 일했다.[6] 이 기간 동안 쿠닷의 중요성은 회사가 영국령 북보르네오의 수도를 산다칸으로 옮기면서 크게 약화되었다.[7] 그러나 쿠닷으로의 중국 이주는 느린 속도로나마 계속되었다.

쿠닷은 사바에서 가장 오래된 하카계 중국인 공동체 중 하나가 있는 곳이다. 쿠닷에서 하카족의 활동은 1880년대에 월터 메드허스트가 남중국에서 영국령 북보르네오로 이주하려는 사람들에게 무료 통행을 제안하면서 시작되었다.

중국의 바젤 선교회는 이 계획을 매우 지지했으며, 특히 '기독교 하카 이민의 대부'로 묘사되는 루돌프 레클러 선교사가 적극적으로 광둥성에 거주하는 기독교 하카족에게 메드허스트의 제안을 받아들일 것을 권장했다.[10] 1883년에 쿠닷에 첫 이주민들이 도착하여 라오 산(老山, Lǎo Shān|라오 산중국어) 정착촌을 세웠다.[11] 1889년에는 새로운 정착민들이 신 산(新山, Xīn Shān|신 산중국어)이라는 새로운 정착촌을 세웠다.[12] 이후에 도착한 사람들은 쿠닷 마을에서 더 멀리 떨어진 곳에 새로운 정착촌을 만들었는데, 여기에는 피낭수(槟榔樹, Bīnláng shù|빈랑수중국어), 타말랑, 시쿠아티(西瓜地, Xīguā dì|시과디중국어) 마을이 포함된다. 초창기 정착민들은 대부분 하카족이었지만, 이후에 도착한 사람들 중 일부는 호키엔, 광둥어, 하이난어 방언 집단 출신이었다.[13]

라우 산의 바젤 기독교 교회는 19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회사는 초창기 하카족 정착민들에게 무료 토지와 도구를 제공했으며, 처음 6개월 동안 식량 배급도 제공했다. 그 대가로 정착민들은 10에이커의 토지에 있는 숲을 개간하고 각 토지의 최소 절반을 벼농사로 경작해야 했다. 나머지 절반은 자급자족 작물을 재배하는 데 사용할 수 있었다. 많은 하카족 정착민들이 광대한 코코넛 농장을 세웠고, 이는 쿠닷 풍경의 지배적인 특징으로 남아 있다. 현재 쿠닷 지역의 코코넛 재배 총 면적은 약 5740ha이며, 3,000가구 이상이 이 코코넛 농장을 관리하는 데 관여하고 있다.[14] 하카족은 쿠닷 사회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쿠닷 시내와 시쿠아티, 마퉁공과 같은 지역의 작은 마을에 있는 상점의 대부분은 하카족이 소유하고 있다. 라오 산, 신 산, 피낭수, 팍카 춘(百家村, Bǎijiā cūn|백가촌중국어)과 같이 이 지역의 많은 지명은 하카어에서 유래되었다. 자란 사크 푸와 자란 타이 청과 같은 지역의 여러 도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쿠닷 시내의 여러 도로는 레옹 완 시악(梁萬錫, Liáng Wànxī|량완시중국어)을 기리기 위한 자란 완 시악, 친 삼 초이(陳三才, Chén Sāncái|천산차이중국어)를 기리기 위한 자란 친 삼 초이, 로 티엔 촉(羅天爵, Luó Tiānjué|뤄톈줴중국어)을 기리기 위한 자란 로 티엔 촉을 포함하여 지역 사회의 저명한 구성원이었던 하카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3. 2.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일본 제국 육군은 현지인과 자바에서 온 사람들을 강제 동원하여 쿠닷에 비행장을 건설하고 유지했다.[4] 활주로는 산호석을 사용하여 건설되었으며,[4] 이 과정에서 많은 인도네시아 노동자들이 질병과 기아로 사망했다.[4] 1945년, 미국 극동 공군B-25 폭격기로 비행장을 여러 차례 폭격하여 사용 불능 상태로 만들었다.[4] 현재의 쿠닷 공항은 일본이 건설한 비행장의 일부에 건설되었다.[4]

3. 3. 전후 발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쿠닷은 산다칸코타키나발루(당시에는 제셀턴으로 알려짐)에 비해 발전이 더뎠다. 1960년대에 쿠닷과 코타키나발루를 연결하는 도로가 건설되기 전까지는 바다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었다는 점이 쿠닷의 고립을 더욱 심화시켰다.[8] 1990년대까지 현지인들은 주로 코코넛과 해산물 산업에 집중했으며, 이후 소수의 방문객들이 전통적인 룽구스 문화를 경험하기 위해 쿠닷을 방문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초, 쿠닷은 여러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급속한 발전을 겪었다. 새로운 호텔, 스포츠 센터, 사이덱 에스플러네이드가 건설되었고, 판보르네오 고속도로와 마을을 연결하는 새로운 도로가 건설되었다. 또한 쿠닷 골프 클럽의 기존 9홀 코스가 6080m 길이의 정규 18홀 코스로 확장되었다. 오늘날, 오래된 9홀 코스는 '세컨드 나인스'로, 새로운 9홀 코스는 '퍼스트 나인스'로 불린다.[9]

리아 호텔

4. 문화

쿠닷에는 사바에서 가장 오래된 하카 공동체가 있다. 19세기 후반, 영국 북보르네오 회사는 중국인 이주민을 데려와 토지를 경작하게 했다.[5] 당시 북보르네오 총독이었던 윌리엄 크로커는 중국 이민청장 월터 메드허스트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메드허스트는 영국령 북보르네오에서 일자리를 찾는 중국인에게 무료 통행료를 제공했다.[6] 이들 중 상당수는 쿠닷에 정착했으며, 1885년에는 쿠닷 주민 937명 중 348명이 중국인이었고, 그 중 222명이 상점 점원으로 일했다.[6]

1880년대, 메드허스트는 남중국에서 영국령 북보르네오로 이주하려는 사람들에게 무료 통행을 제안했고, 중국의 바젤 선교회는 이 계획을 지지했다. 특히 '기독교 하카 이민의 대부'로 묘사되는 루돌프 레클러 선교사는 광둥성의 기독교 하카족에게 이 제안을 받아들일 것을 권장했다.[10] 1883년, 첫 이주민들이 쿠닷에 도착하여 라오 산(老山|Lǎo Shān중국어, 문자 그대로 '오래된 산') 정착촌을 세웠고,[11] 1889년에는 신 산(新山|Xīn Shān중국어, 문자 그대로 '새로운 산')이라는 새로운 정착촌을 세웠다.[12] 이후 더 많은 사람들이 쿠닷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피낭수(槟榔樹|Bīnláng shù중국어, 문자 그대로 '빈랑나무'), 타말랑, 시쿠아티(西瓜地|Xīguā dì중국어) 등의 정착촌을 만들었다.[13]

초기 정착민들은 대부분 하카족이었지만, 이후 호키엔, 광둥어, 하이난어 방언 집단 출신들도 있었다.[13] 회사는 이들에게 무료 토지와 도구, 6개월간의 식량을 제공했고, 정착민들은 10에이커의 토지에 있는 숲을 개간하고 벼농사를 지어야 했다.[14] 많은 하카족 정착민들이 코코넛 농장을 세웠고, 이는 쿠닷 풍경의 지배적인 특징으로 남아 있다. 현재 쿠닷 지역의 코코넛 재배 총 면적은 약 5740ha이며, 3,000가구 이상이 코코넛 농장 관리에 관여하고 있다.[14]

쿠닷 시내와 시쿠아티, 마퉁공과 같은 지역의 작은 마을에 있는 상점 대부분은 하카족이 소유하고 있다. 라오 산, 신 산, 피낭수, 팍카 춘(百家村|Bǎijiā cūn중국어, 문자 그대로 '백 가구 마을')과 같이 이 지역의 많은 지명은 하카어에서 유래되었다. 자란 사크 푸와 자란 타이 청과 같은 지역의 여러 도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쿠닷 시내의 여러 도로는 레옹 완 시악(梁萬錫|Liáng Wànxī중국어), 친 삼 초이(陳三才|Chén Sāncái중국어), 로 티엔 촉(羅天爵|Luó Tiānjué중국어) 등 지역 사회의 저명한 하카족 구성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4. 1. 룽구스족 문화

코타키나발루-쿠닷 도로를 따라 위치한 여러 마을에서는 룽구스족 문화의 다양한 측면을 보여준다. 곰비자우 마을(Kampung Gombizau)에서는 꿀 생산과 전통적인 룽구스 약초 채취를 관찰할 수 있으며, 숨앙카프 마을(Kampung Sumangkap)은 꽹과리 제작 산업으로 유명하다. 바방가조 마을(Kampung Bavanggazo)은 전통적인 룽구스 롱하우스로 유명하며, 관광객들이 룽구스 사람들의 문화와 생활 방식을 경험하고 배울 수 있는 공동체 프로젝트의 일부이다. 룽구스 문화는 미냑 마을(Kampung Minyak)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미솜푸루 홈스테이 프로그램(Misompuru Homestay Programme)에서도 경험할 수 있다.

5. 관광

쿠닷은 아름다운 해변과 룽구스족 문화 체험, 객가 화교 공동체의 역사 등으로 알려진 관광지이다.[1]

쿠닷 시내의 객가 화교가 운영하는 상점

5. 1. 주요 관광지

쿠닷 타운은 느긋한 분위기와 바다와 가깝다는 특징을 가진, 작지만 중요한 관광 산업이 발달한 곳이다. 사바 전역에서 방문객들이 쿠닷을 찾아 신선한 해산물을 구매하고 전형적인 사바 시골 마을의 매력을 경험한다. 타운 내 관광 명소로는 쿠닷 골프 클럽, 사이덱 에스플러네이드, 중앙 시장, 어시장이 있다.

쿠닷은 사바에서 가장 때묻지 않은 해변으로 유명하다. 잘 알려진 해변으로는 박 박(Bak Bak), 파시르 푸티(Pasir Putih), 칼람푸니안(Kalampunian), 토룽궁안(Torungkungan) 등이 있다. 쿠닷은 보르네오 섬 최북단 곶인 탄중 심팡 멩가야우(Tanjung Simpang Mengayau)와도 가깝다.

6. 교통

쿠닷은 범보르네오 고속도로의 북쪽 종점이다.[9] 연방 도로 1호선(사바)은 쿠닷과 코타키나발루, 코타벨루드, 투아란, 파파르, 보포트, 시피탕을 포함한 사바 서해안의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며, 쿠닷에서 코타키나발루까지는 차로 약 3시간(190km)이 소요된다. 해당 도로는 관련 당국의 부실한 관리로 인해 많은 사고가 발생했으며, 정치인들이 유권자 수를 늘리는 데 이용하기도 한다.

쿠닷 공항


시내 중심가 북쪽에는 쿠닷 공항이 있으며, MASWings가 운항하는 코타키나발루행(40분 소요)과 산다칸행(50분 소요) 항공편이 있다.[1]

2015년 2월, 사바 주 수석 장관 부처 특별 임무 장관 테오 치 캉은 쿠닷과 필리핀 팔라완의 브룩스 포인트를 잇는 롤온롤오프(RORO) 페리 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15] 승객들이 말레이시아를 출입할 수 있도록 세관, 출입국 관리, 검역 및 보안(CIQS) 센터가 건설되었으며, 기타 필요한 시설들이 건설 중이었다. 그러나 2016년 4월, 당시 사바 주 수석 장관 무사 아만필리핀아부 사야프 반군이 셈포르나 해역에서 말레이시아인 4명을 납치한 사건 이후, 보안 조치로 페리 서비스 개시를 무기한 연기한다고 발표했다.[16]

6. 1. 육상 교통

쿠닷은 범보르네오 고속도로의 북쪽 종점이다.[9] 연방 도로 1호선(사바)은 쿠닷과 코타키나발루, 코타벨루드, 투아란, 파파르, 보포트, 시피탕을 포함한 사바 서해안의 주요 도시들을 연결한다.[9] 쿠닷에서 코타키나발루까지는 차로 약 3시간(190km)이 소요된다.

해당 도로는 관련 당국의 부실한 관리로 인해 많은 사고가 발생했으며, 정치인들이 유권자 수를 늘리는 데 이용하기도 한다.

6. 2. 항공 교통



시내 중심가 북쪽에는 쿠닷 공항이 있으며, 이곳에서 MASWings가 운항하는 코타키나발루산다칸행 항공편이 있다.[1] 코타키나발루행 항공편은 40분, 산다칸행 항공편은 50분 소요된다.[1]

6. 3. 해상 교통

2015년 2월, 사바 주 수석 장관 부처 특별 임무 장관 테오 치 캉은 쿠닷과 필리핀 팔라완의 브룩스 포인트를 잇는 롤온롤오프(RORO) 페리 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15] 이 페리 서비스를 통해 승객들이 말레이시아를 출입할 수 있도록 세관, 출입국 관리, 검역 및 보안(CIQS) 센터가 건설되었으며, 기타 필요한 시설들이 건설 중이다.

2016년 4월, 당시 사바 주 수석 장관 무사 아만필리핀아부 사야프 반군이 셈포르나 해역에서 말레이시아인 4명을 납치한 사건 이후, 보안 조치로 페리 서비스 개시를 무기한 연기한다고 발표했다.[16]

7. 기후

쿠닷은 열대 우림 기후(Af)를 나타내며, 연중 고온 다습하다. 2월부터 11월까지는 중간 정도의 강우량을 보이며, 12월과 1월에는 많은 비가 내린다.[18]

쿠닷의 월별 평균 기온 및 강수량[18]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29.729.830.631.531.931.631.331.330.730.730.429.9
평균 기온 (℃)26.226.226.827.527.927.527.227.226.726.926.826.4
평균 최저 기온 (℃)22.722.723.123.623.923.523.223.222.823.223.223.0
평균 강수량 (mm)336mm173mm157mm85mm124mm131mm113mm119mm128mm189mm271mm444mm


8. 주요 인물


  • 푸아드 스테판스 (1920–1976) - 사바의 초대 및 제5대 수석 장관이자 사바의 제3대 주지사 (이 도시에서 태어났지만 파파르 출신).
  • 무스타파 하룬 (1918–1995) – 사바의 초대 주지사; 연합 사바 국민 기구의 공동 창립자
  • 충 카 키앗 (1948–) – 사바의 제13대 수석 장관; 자유민주당 전 대표; 탄종 카포르의 사바 주 의회 전 의원
  • 로 티엔 촉 – 1914-1926년 영국령 북보르네오 입법 위원회의 중국인 대표
  • 테오 체 강 (1970-) – 사바 수석 장관 부서의 특별 임무 장관; 자유민주당 전 대표; 탄종 카포르의 사바 주 의회 전 의원
  • 하지 시데크 단타 – 연합 사바 국민 기구의 공동 창립자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by ethnic group, Local Authority area and state, Malaysia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2017-11-05
[2] 서적 Sabah Colour Guide: Kudat Natural History Publications (Borneo)
[3] 문서
[4] 웹사이트 Kudat Golf Club {{!}} Places / Destination {{!}} Sabah, Malaysian Borneo https://web.archive.[...]
[5] 간행물 A Report on the Census of North Borneo, 1921 London
[6] 서적 The Transformation of an Immigrant Society: A Study of the Chinese of Sabah London: Asean Academic Press
[7] 문서
[8] 문서
[9] 웹사이트 Kudat Golf Club {{!}} Places / Destination {{!}} Sabah, Malaysian Borneo https://web.archive.[...]
[10] 서적 The Hakkas of Sabah Sabah Theological Seminary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웹사이트 Kudat-Palawan ferry service soon http://www.theborneo[...]
[16] 웹사이트 Berita Daily https://web.archive.[...] 2016-05-06
[17] 웹사이트 Climate: Kudat https://en.climate-d[...] Climate-Data.org 2020-10-30
[18] 웹인용 Climate: Kudat https://en.climate-d[...] Climate-Data.org 2020-10-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